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철도터널 화재 시 구난역 내의 연기거동에 대한 수치해석 연구

        홍사훈(Hong Sa Hoon),유홍선(Ryou Hong Sun),이성혁(Lee Seong Hyuk) 한국철도학회 2008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 No.-

        The present study performed numerical investigation to analyze the smoke behavior in the rescue station by using the commercial CFD code (FLUENT Ver 6.3). The present study adopted a 10MW ultrafast mode for simulation, and it also used the MVHS(Modify Volumetric Heat Source) model modified from the original VHS(Volumetric Heat Source) model in order to treat the product generation and the oxygen consumption under the stoichiometric state. In addition, the present simulation includes the species conservation equation for the materialization of heat source and the estimation of smoke movement. From the results, the smoke flows are moving along the ceiling because of thermal buoyancy force and as time goes, the smoke gradually moves downward at the vicinity of the entrance. Moreover, without using ventilation, it is found that the smoke flows no longer spread across the cross-passages because the pressure in the non-accident tunnel is higher than that in the accident tunnel.

      • KCI등재

        취약계층학생의 수학과 학습부진 유형 연구: 잠재프로파일 전이분석

        홍사훈(Hong, Saahoon),김수정(Kim, Su Jung),박소영(Park, So-Young),Rhee, Greg(Rhee, Gre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2

        경기교육종단연구 5년간(2012-2016)의 데이터 중 1~3차년도 초등학생 데이터(2012-2014)를 사용한 본 연구는, 초등학교 취약계층 수학과 학습부진학생들의 학습 부진 유형이 3년에 걸쳐서 어떻게 변화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학습 부진 유형이 수학성취도 향상과 방과후학교의 영향을 받는지 분석하였다. 잠재프로 파일전이분석과 공변량분석을 통한 연구 결과는, 수학과 학습부진 유형이 1차년도의 경우, 세 가지 유형(고위험군, 중위험군, 학교생활 적응 잠재력이 높은 우수군)에서, 2차년도의 경우, 두 가지 유형(중위험군과 학교생활 적응 잠재력 우수군), 3차년도의 경우, 여섯 가지 유형으로 변화되고 있음을 확인시켜 주었다. 동시에 이러한 가변성 이 방과후학교에 의해 긍정적인 영향을 받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고등학생을 포함한 보다 확대된 추가 연구의 필요성과 함께, 취약계층 학생들을 위한 교육중재시스템 구축과 지원을 위한 교육 정책적 함의, 학교수준의 교육중재 효율성 향상을 위한 논의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Childhood poverty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children’s learning outcomes in multi-aspects, such as cognitive, emotional, and social developments. This study longitudinally presents the latent classes of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in math over psychological, school-level, and family-level characteristics. We used data from 2012-2014 Kyeonggi Educational Panel Study (KEPS), and limited to students from low-income families. Using the latent profile transition analysis, we investigated whether after-school programs affect academic performance among these children across three different academic calendar periods. We found that after-school programs had critical roles on the latent classes in these children with varying degrees by academic calendar period. The study highlights that after-school programs remain an important intervention in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and future research is needed to evaluat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 targeted at these vulnerable children.

      • KCI등재

        SW-PBIS가 인지발달장애학생들의 학력신장에 미치는 효과

        홍사훈 ( Saa Hoon Hong ),류지훈 ( Ji Hoon Ryoo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2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3 No.3

        SW-PBIS는 학생들의 사회적 능력 습득과 향상을 지원하기 위한 포괄적인 학교환경의 변화를 제안하고 있다. 삼층 위계모형을 기반으로 한 SW-PBIS는 학생들이 바람직한 학습 태도, 행위규범, 소수에 대한 이해와 배려, 다양성 존중에 관한 교육기회를 제공한다. 도움이 필요한 학생들에게는 그들의 필요에 맞추어진 개별화된 혹은 특성화된 별도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체계적인 지원은 사회적 능력의 습득과 향상을 도울 뿐 아니라 일반학생들의 학력신장에도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경향점수를 활용하여 SW-PBIS와 경도 인지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간의 관계에 대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 SW-PBIS를 통한 긍정적인 학교 환경의 변화는 특수교육요구학생들의 읽기 학력신장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이는 학생들의 과목별 학업성취도와 관련된 다양한 변인들에 대한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으며, 한국에서의 SW-PBIS 역할과 활용을 위한 논의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W-PBIS on special education student achievement by us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s allowed to identify a matched sample whose control group has similar characteristics as its experimental group. SW-PBIS schools and their matched samples were compared within model selection procedures using model fit index. The result indicated that special education student achievement growth in math was not associated with SW-PBIS while their growth in reading was associated with SW-PBIS. For Korean education, SW-PBIS could be introduced to support Korean character eduction and democratic civil education. Implication for Korean-version SW-PBIS application was also discussed.

      • KCI등재

        학교수준의 부가가치모델을 통한 학교 효율성 척도 연구

        홍사훈 ( Saahoon Hong ),류지훈 ( Ji Hoon Ryoo ),곽노훈 ( Nohoon Kwak ),이동엽 ( Dong Yub Lee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7 중등교육연구 Vol.65 No.3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종단연구 1-3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중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단위 변인들을 탐색하였다. 학교단위의 변인들을 바탕으로 네 가지의 학교단위 부가가치모델(value-added model)을 구현함으로써 학교 효율성 척도를 산출하였다. 특히 전체학생들과 학업성취도 수준이 낮은 학생들에 대한 학교의 효율성(effectiveness)을 구분함으로써 모집단이 달라짐에 따른 학교 효율성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제시된 네 가지 부가가치모델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같은 과목 내에서의 모델 간 학교 효율성 척도 상관관계는 대부분 0.8 이상으로 높았지만, 각 모델 내에서 영어와 수학에 대한 학교 효율성 척도 상관관계는 0.39부터 0.44로 낮았다. 이는 부가가치모델이 학교 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다양한 변인들을 포함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과목 간의 낮은 상관관계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부가가치모델을 통한 효율성 척도는 각 과목별로 해석되고 활용되어져야 함을 의미한다. As student learning gains depend on the quality of school, effective school must be a primary measure of its quality. However, the evaluation of school is at best inconsistent, which is mainly because of the lack of reliable and valid evaluation tools. This study examines four value-added models (VAMs) to measure school accountability by using panel data from the first, second, and third waves of the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VAM estimates yields the academic growth rates of groups of all students in middle school and low performing students, respectively, from year to year. The results indicate that VAM estimates from four different VAM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one another. In particular, correlations between Math and Reading in each VAM vary between 0.39 and 0.44, while correlations among VAM estimates within each subject are above 0.8. The findings suggest that critical school variables could be taken differently to compare the school effectiveness in Math and Reading, respectively. VAM estimates also need to be interpreted by subjects, Math and Reading, separately. Recommendations for policy associated with VAMs and future research topics are discussed.

      • 미세 딤플 가공 표면의 수력학적 윤활특성에 대한 수치해석 연구

        홍사훈(S.H. Hong),이재봉(J.B. Lee),조민행(M.H. Cho),이성혁(S.H. Lee) 한국전산유체공학회 2009 한국전산유체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9 No.4

        Recently, the manufacturing of micro-cavity by means of laser surface texturing (LST) technique and low friction study by the LST have been in great progress. Most of current works have been dealing with the effect of cavity on Fiction and wear. The main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numerically two-dimensional lubrication characteristics of micro-dimple shapes fabricated on solid surfaces, and this study utilized the commercial CFD code (Fluent V.6.3). For the evaluation, preliminary simulation was conducted and numerical predictions were compared with the analytic solution obtained from the Reynolds's equation. Mainly,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dimple depth, pattern shapes, and film thickness on lubrication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 reduction of friction. It is found that the existence of micro-dimpled surface makes it possible to substantially reduce the Fiction forces exerted on the surfaces. In particular, substantial decrease in shear stresses was observed as the lubricant film thickness decreases. For instance, in the case of the film thickness of 0.01 ㎜, the estimated shear stress decreases up to about 40%. It indicates that the film thickness would be important factor in designing the micro-dimpled surfaces. Furthermore, it was observed that such a optimum dimple depth would be present because the dimple depth larger than the optimum value did no longer affect the reduction in shear stresses.

      • KCI등재

        학교 수준 학업 성취도에 대한 미네소타 교원성과급제의 효과에 관한 연구

        홍사훈 ( Saa Hoon Hong ),류지훈 ( Ji Hoon Ryoo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1 교사교육연구 Vol.50 No.2

        미국의 교원성과급제는 학생의 학업 성취도를 주요 평가기준으로 사용하고 있다. 교원성과급제의 적용은 학력신장에 미치는 교원의 효능성에 관한 연구들과 함께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와 함께, 교원성과급제와 학력신장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종단 연구의 필요성들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 는 학교 수준의 학력신장을 교원성과급제의 핵심으로 반영한 미네소타의 교원성과급제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학력신장에 미치는 교원성과급제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미네소타의 교원성과급제는 초등학교 3, 4, 5학년의 학력신장에 기여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현 교원성과급제에 대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과 함께, 교원성과급제 전반에 대한 심도 있는 재논의의 필요성을 확인시켜 주고 있다. Minnesota performance pay is intended to help with the recruitment and retention of high-ability teachers that leads to successful student learning, Linear Mixed Model(LMM) was employed to examine the effect of performance pay for teachers on student educational performance as measured by Minnesota Comprehensive Assessments II(MCA II) test scores in mathematics and reading assessmen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performance pay and school mean growth in MCA II tests; thus, this study provides empirical evidence showing that Minnesota performance pay tied to student achievement was not sufficient enough to improve school performance in academic assessment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미세 딤플 가공 표면의 수력학적 윤활특성에 대한 수치해석

        홍사훈(Sa Hoon Hong),이재응(Jaeung Lee),조민행(Min Haeng Cho),이성혁(Seong Hyuk Lee) 한국전산유체공학회 2009 한국전산유체공학회지 Vol.14 No.4

        This study deals with the numerical investigation on two-dimensional lubrication characteristics of micro-dimple shapes fabricated on solid surfaces by using the commercial CFD code (Fluent V.6.3) to examine the influence of micro dimple depth and width on the reduction in friction under the sliding plate condition. In addition, single and multiple dimple arrays are simulated, all for a fixed area fraction of dimple on the surface.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the existence of micro-dimpled surface makes it possible to substantially reduce the friction forces exerted on the surfaces, and such an optimum dimple depth would be present because the dimple depth larger than the optimum value did no longer affect the reduction in shear stresses, indicating that the reduction of friction is likely to be associated with inner flows of lubricant inside dimples. Moreover, it is observed that at the fixed area fraction, the friction reduction increases with the increase of dimple diameter.

      • KCI등재

        통합교육 운영 만족 예측모형 분석에 근거한 통합교육 개선 방안

        홍사훈(Hong, Saahoon),류지훈(Ryoo, Ji Hoon),박소영(Park, So-Young),유장순(Yoo, Jang-S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4

        본 연구는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통합교육 운영 만족도에 미치는 잠재변인과 외 생변인의 직․간접 효과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G도 전체 초․중․고등학교에 특수학급이 설치된 일반학교의 통합학급 담당 일반교사와 특수교사 각 1 명에게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일반교사 445명(39.4%)과 특수교사 683명(60.5%)의 총 1,128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를 하나의 교사 집단으로 고려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초등학교가 중․고등학교 보다 통합교육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수교사와 일반교사 간의 통합교육 운영에 대한 만족도에 대한 직접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집단의 교직경력은 통합교육 운영에 대한 간접효과만을 보였다. 그 밖의 통합교육 담임교사 경력, 통합교육 연수, 협력교수와 같은 외생변인은 통합교육 운영에 대하여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고 있었다. 둘째, 초등학교의 일반교사가 초등학교의 특수교사보다 통합교육 만족도에 대하여 학교공동체의 수용태도를 매개로 하는 긍정적인 간접효과를 나타내었다. 셋째, 교직경력이 높은 교사들의 경우에 학교공동체의 장애학생들에 대한 수용태도가 긍정적일 때, 통합교육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등학교에서 고등학교에 이를 때까지 통합교육의 만족도가 낮아지는 원인과 일반교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통합교육 운영 만족도를 보이는 특수교사에 대한 추후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eacher satisfaction toward inclusion. 1,128 general/special education teachers’ survey responses were collected by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tilized to examine the total, direct, and indirect effects among school type, special education teacher, teacher experience, professional development, co-teaching, school professional groups’ attitude toward students with special needs, and teacher satisfaction toward inclus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eachers at elementary schools ha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student with special needs than middle and/or high school teachers.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less positive on the attitude toward inclusion than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the general/special education teacher satisfaction toward inclusion had an indirect effect of teachers’ attitude toward inclusive education via teaching experience. This study highlights the current status of inclusive education in the public education system. It also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challenges and tasks to improve inclusive education that meets special education student needs and teachers with/without special education teacher licen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