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유아 숲 교육기관의 교육역량지표 개발 및 타당화

        허우정(Hur, Woo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6

        본 연구는 유아 숲 교육기관의 교육역량지표를 개발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선행연구를 통해 교육역량지표의 정의, 기본요소로서 교사역량, 놀이역량, 환경역량을 살펴보았다. 사전연구를 토대로 1차 시안을 개발하고, 개발된 교육역량지표에 대해 유아교육 전문가를 대상으로 2회의 자문을 통해 수정·보완하였다. 개발된 문항에 대해 예비조사와 본조사를 통해 문항양호도 및 검사양호도를 살펴보았다. 이에 따라 최종 교사역량 21문항, 놀이역량 10문항, 환경역량 16문항, 총 47문항으로 완성되었다. 본 교육역량지표는 교육역량기반의 유아 숲 교육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계기가 마련 될 것이다. This study was aimed at developing educational competency indicators for early childhood forest education institutions. To that end, the study identified the definition of education competency indicators through previous prior studies and examined basic factors such as teacher competency, play competency, and environmental competency. The first draft was developed based on prior study and revised and supplemented by twice consultations with exper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developing the education competency indicators. We looked at the validation of questions and validation of inspections for developed questions through preliminary and main surveys. As a result, a total of 47 questions were finalized by 21 questions about teacher competency, 10 questions about the play competency and 16 questions about environmental competency. This educational competency indicators will provide an opportunity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in forests based on educational competency.

      • KCI등재

        유아 숲 교육기관의 교육역량 개념 및 구성요소 탐색

        허우정(Hur, Woo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본 연구는 최근에 많은 관심을 받고 유아 숲 교육기관의 교육역량 개념, 구성요소 등을 탐색해 보고자 2016년 8월 10일부터 2017년 2월 21일 동안 참여관찰 및 교사들의 일지를 분석하고, 2017년 2월 10일에는 숲교사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 다. 관찰 및 일지분석, 심층면담자료 분석을 위해 전문가 3인은 구성요소가 타당한지 검토하게 하는 과정(member check)을 거쳤으며, 삼각기법(triangulation)을 통해 신뢰성을 높였다. 숲 교육에서의 교육역량은 유아들이 앞으로 살아갈 미래의 삶을 건강하고 행복하게 잘 살 수 있도록 길러지고 있는 역량으로 정의 된다. 교육역량의 구조로는 인성역량을 기반으로 지식역량, 자기관리역량, 사회적 역량으로 분석하였다. 교육역량의 구성요소로 지식역량은 사고력, 언어표현능력으로, 자기관리역량은 신체 운동능력, 자기조절로, 사회적 역량은 관계 및 소통, 참여 및 협력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숲 유아교육기관의 교육역량을 강화하고, 건강하고 행복한 유아 숲 교육을 기대해 본다.

      • KCI등재

        Q-방법론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동작교수 어려움에 대한 유형분석

        허우정(Hur, Woo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0

        This study using Q-methodology to distinguish types for Movement teaching s difficulties of pre-kindergarten teachers was extracted with five types.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Statements of strongly agreement or strongly opposition and the difference between types, the first type was defined as the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the movement teaching , the second type was defined as the emotional effect , the third type was defined as safety · hierarchical · progressive teaching , the fourth type was defined as an integrated approach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regions and the fifth type was defined as an overall integrated approach . Based on the results, it derived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the movement teaching curriculum should be based on a systematic theoretical knowledge through adequate theoretical explanation. Second, to increase the emotional effects, the training of utilization of the various teaching media and the narration related to the movement activities are required. Finally, the integrated approach of theoretical knowledge and reality of activity should be enough to experience.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의 동작교수의 어려움에 대한 유형을 살펴보고자 2015년 8월 31일부터 2015년 12월 18일 동안 총 15주의 동작교육강를 수강한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어려움에 대한 주관적 해석으로 Q 방법을 활용하여 5개의 유 형으로 추출되었다. Ⅰ유형은 ‘동작교수의 지식 및 이해’, Ⅱ유형은 ‘정서적 효과’, Ⅲ유형은 ‘안전 위계적 점진적 교수’, Ⅳ유형은 ‘개별적 특성 및 발달 영역간의 통합적접근’, Ⅴ유형은 ‘전반적인 통합적 접근’으로 어려움을 명명하였다. 결과에 따라 다음 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동작교육교과를 운영할 때 충분한 이론적인 설명을 통해 체계적인 이론적 지식이 바탕이 되어야 한다. 둘째, 정서적 효과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교수매체의 활용, 동작활동 관련의 나레이션 등에 대한 교육이 요구된다. 셋째, 통합적 접근의 이론적 지식, 활동의 실제를 충분히 경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KCI등재

        유아교사용 생태소양척도 개발 연구

        허우정(Hur, Woo-Jeong)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2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생명력을 지닌 건강하고, 행복한 아이로 키우고자 하는 생태적 소양을 갖춘 교사를 위한 자기 성찰의 자료로 생태소양척도를 개발하였다. 문헌연구 및 조사연구를 통해 자료를 분석하여 시안을 개발하였으며, 전문가 적절성을 검토 받아 최종시안을 확정하였다. 본 검사 자료로는 총 278부를 배부하여 232(83.45%) 부를 회수하였으며, 불성실한 5부를 참여대상에서 제외하고 총 227부를 본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유아교사용 생태소양척도 문항의 변별도에서 18번 문항이 변별력이 없는 문항으로 나타났으며, 요인분석에서 모든 문항이 요인적 재량이 0.35이상으로 요인설명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요인 분석에서 나타난 5 요인은 생활신념, 양육신념, 교육실천, 관계실천, 환경실천으로 명명하였다. 문항 18을 제외하고 총 46문항을 최종 문항으로 선정하였다. 최종생태소양척도의 영역 간 상관은 .27-.96으로 나타났으며, 신뢰도 계수(α)는. 92로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is to develop eco-literacy scale. This study sustainable communities in an effort to raise their children as caregivers, life is as a teacher have to be met by the beliefs and attitudes to develop as a tool to assess. Regarding the item discrimination power of the draft for the ecological literacy scales for teachers, Item 18 didn’t have any discrimination power. When a factor analysis was carried out, the factor loading of every item was above 0.35, which showed that the factor score of the items was good. The five factors selected by the factor analysis were respectively named life beliefs, rearing beliefs, educational practice, relational practice and environmental practice, and 46 items were finally selected except for Item 18.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of the subfactors of the finalized ecological literacy scales was between. 27 and .96, which implied that there was a close correlation. Their reliability coefficient(α) was .92, which showed that the scales were reliable.

      • KCI등재후보

        SWOT 분석을 통한 생태유아교육 평가 전략 도출

        허우정(Hur Woo-Jeong),김영연(Kim Young-Yoen)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08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2 No.1

          생태유아교육 평가란 생명사상을 철학적 기초로 하여 유아교육 평가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아이 살림, 교사 살림, 교육 살림을 중요한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생태유아교육평가를 보다 활성화하고 효율적으로 개발 연구하기 위해서 SWOT분석을 하였다. SWOT분석을 통해 생태유아교육평가의 내부의 강ㆍ약점과 외부의 기회ㆍ위협 요인 등을 파악하여 생태유아교육평가의 발생 가능한 요인들을 예측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최적의 전략방안을 도출하여 활용하고자 하였다. 생태유아교육 평가의 전략으로 첫째 새로운 패러다임의 유아교육평가 차별화 달성, 둘째 생태유아교육평가의 현실적 실행 기반 구축, 셋째 지속적인 생태유아교육 평가체제 구축으로 나타났다.   The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a new paradigm of philosophical basi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tresses the importance of practical life basis. Therefore, the evaluation of the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make three parts of living ; ‘living of child’, ‘living of teacher’ and ‘living of education’ which they are important point of reference<BR>  This research uses SWOT analysis in order to study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evaluation more efficiently. Through SWOT analysis, We were able to grasp both internal strength and weakness and external opportunity and threat factors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Evaluation. In addition, we were able to predict possible factors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Evaluation. To respond to that, we found the optimal strategy plan and wanted to take advantage.<BR>  Using the strategy of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evaluation, we were able to achieve three main points. Firstly, this study could differentiate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evaluation from existing evaluations. Secondly, this study created a realistic base for the pratice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evaluation. Lastly, this study creates ongoing evaluation system of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evaluation.

      • KCI등재

        가스켓 사출유동해석을 통한 CRB 시스템의 Heater 배열구조 영향성 분석

        우정(Woo-jeong Joo),박수연(Su-Yeon Park),장욱(Jang-Wook Hur) 한국기계가공학회 2024 한국기계가공학회지 Vol.23 No.2

        Injection flow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CRB (Cold Runner Block) system using the Moldex3D program for EPDM (Ethylene-Propylene Diene Monomer) gaskets with excellent heat resistance in hydrogen fuel cells. In the upper mold of the existing model, the temperature is relatively small, with a minimum of 175.9 ℃ and a maximum of 180.1 ℃, while the lower mold has a minimum of 176.0 ℃ and a maximum of 182.3 ℃, which varies slightly depending on the cavity and temperature sensor location. The averag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measured and analyzed values of the existing model is approximately 8.1 ℃, but the measured and interpreted values show very similar temperature graph shapes depending on the sensor attachment location. By changing the heater arrangement structure, the maximum temperature deviation for each cavity (upper mold: 4.2→1.6 ℃, lower mold: 6.3→2.0 ℃) and the maximum temperature deviation inside the cavity (upper mold: 1.7→0.3 ℃, lower mold: 3.4→0.8 ℃) have been improved. By changing the heater arrangement structure in the CRB mold (from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avity to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temperature deviation is reduced, and the degree of hardness is improved, which is expected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gasket.

      • KCI등재

        수소 연료전지 개스킷의 면압에 대한 유한요소 해석

        전형렬,박수현,우정,장욱,Jeon, Hyeong-Ryeol,Park, Soo-Hyun,Zoo, Woo-jung,Hur, Jang-Wook 한국기계가공학회 2022 한국기계가공학회지 Vol.21 No.6

        The optimal strain energy function was obtained by comparing the results of the analysis using the strain energy functions obtained by uniaxial tensile and equibiaxial tensile tests on gasket materials used in hydrogen fuel cells, with the results measured using a contact pressure measurement sensor. At this time, even when only the uniaxial tensile test was conducted, Yeoh could obtain the most accurate results even by conducting only the uniaxial tensile test. Using this, an analysis of the cross section of the gasket used in stack confirmed a safe contact pressure and no deformation on the separator. In the future, research will be conducted to verify the gasket durability by reliability evaluation.

      • KCI등재

        생태유아교사 평가를 위한 평가영역 및 준거 탐색

        하은옥(Ha Eun-Ok),허우정(Hur Woo-Jeong),황해익(Hwang Hae-I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2 No.1

        본 연구는 생태유아교육의 실적 향상과 전문적인 성장발달을 위해 반드시 제고되어야할 생태유아교사 평가를 위하여 생태유아교사의 참모습을 알아보고 바람직한 생태유아교사를 평가하기 위한 평가영역 및 준거 탐색을 본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현행 유아교사 평가관련 연구물들을 비교ㆍ분석하여 유아교사의 교사평가영역과 평가준거 등을 고찰 한 후 생태유아교사 평가영역과 준거를 구안하는데 참조하였으며, 또한 생태유아교육에 종사하고 있는 교육 전문가, 현장 전문가인 기관장과 교사를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설문지 및 심층면담을 통하여 생태유아교사의 참모습, 평가영역 및 준거, 평가방법 평가자 등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다. 연구결과 생태유아교사를 평가하기위한 평가영역은 교사의 신념 및 철학 등 내면적 의식을 평가하는 영역과 생태유아교육을 현장에서 실천하고 활동해 나가는 실천 및 활동영역을 평가하는 영역 등 두 부분의 평가영역을 제시하였으며, 평가방법은 단면적이고 일회적인 평가방법을 지양하고 다면적이고 과정 중심적으로 평가해야 됨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탐색 내용을 토대로 향후 생태유아교사 평가도구 개발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This study aims at finding the attributes of eco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e evaluation of eco early childhood teachers to enhance quality and professional growth development of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o provide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an eco early childhood teachers' assessment tool. The study purposes are : 1. To find the desirable attributes of eco early childhood teachers. 2. To present an evaluation area and criteria for the evaluation of eco early childhood teachers. 3. To present a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an eco early childhood teachers' assessment tool. The study results are : Attributes of the eco early childhood teachers are someone who listens to nature or the inner world and seeks pleasure and happiness in nature, someone susceptible to nature and human beings, someone who teaches in accordance with this life disposition, and lives together with nature. The evaluation area and criteria are: The area of belief and philosophy and practice and activity. The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of an eco early childhood teachers assessment tool is: The purpose of the eco early childhood teachers assessment should serve self-examination and growth and development. The evaluation area and criteria for the eco early childhood teachers should be: to evaluate the teachers' inner consciousness, and evaluate daily lives in relation to human beings, such as children, parents, colleagues, neighbors, community and so on, and nature, and to evaluate the practical and active areas. Various evaluation methods such as interviews, triangular surveying, portfolio evaluation rather than the rating criteria which can be simply quantified are regarded as desirable when evaluating the teachers' inner consciousness area and practical and active areas. The eco early childhood teacher evaluation should consist of not only the eco early childhood teachers themselves but colleagues, professionals, and parents to evaluate various aspects.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