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결혼이민여성의 초국가주의 실천과 자녀양육 및 유아의 이중문화 경험에 관한 이론적 고찰 : 사회적 지원 방안을 중심으로

        최정아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4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13 No.3

        본 연구는 결혼이민여성의 자녀양육에서 나타나는 초국가주의 실천을 이해하기 위해 초국가주의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자녀양육 및 유아의 이중문화 태도에 대한 관련 문헌을 고찰함으로써 사회적 지원 방안에 대한 연구 방향 및 정책적 제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 결과, 결혼이민여성들은 한국 사회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모국과의 다양한 연결망을 통한 초국가주의를 실천하고 있으며, 특히 자녀양육경험을 공유하기 위해 공동체 네트워크를 활용한 초국가주의를 실천함으로써 유아기자녀의 이중문화 태도, 자아개념 및 정체성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임이 선행연구를 통해 예측되었다. 본 연구는 자녀양육에서 초국가주의를 실천하는 결혼이민여성의 유아기 자녀가 이중문화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가지고 정체성을 형성할 수 있도록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고, 적극적인 지원 방안을 위한 추후 연구가 진행될 필요성을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practice of transnationalism in child-rearing among married immigrant women by establishing the concept of transnationalism, reviewing related literature on child-rearing and young children's bicultural attitudes, and providing research directions and policy recommendations for social support measu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married immigrant women in Korea practice transnationalism through various networks with their home countries while adapting to Korean society. Particularly, they tend to use community networks to share their child-rearing experiences, a form of the practice of transnationalism that previous studies predict will positively impact their young children's bicultural attitudes, self-concept, and identity formation.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to improve social awareness and conduct further research on active support measures to help young children of married immigrant women, who practice transnationalism in child-rearing, develop positive attitudes towards biculturalism and form their identity.

      • KCI등재

        수단-목적사슬이론을 이용한 소셜커머스의 사용자 가치 분석

        최정아,임영우,곽기영 한국지식경영학회 2022 지식경영연구 Vol.23 No.1

        소셜 네트워크의 확산에 따라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소셜커머스는 다중 스마트 기기의 사용과 함께 빠르게 성장해왔 다. 쿠팡과 티켓몬스터와 같은 소셜커머스 사이트들의 빠른 성장을 감안한다면 소셜커머스 환경에서 사용자의 구매 의사 결정 과정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소셜커머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목표에 대한 이 해를 보다 풍부하게 발전시키고자 한다. 둘째, 사용자의 목표를 분석하기 위한 방법론적 대안을 소개한다. 본 연구에서는 래더링 인터뷰와 수단-목적사슬 분석을 활용했다. 소셜커머스를 활용한 구매 경험이 6개월 이상인 사용자 40명을 대상으 로 실시한 인터뷰 분석 결과, 사용자의 목표 구조를 보여주는 위계적 목적지도가 도출되었다. 본 지도는 타인과의 따뜻 한 관계, 쇼핑의 재미와 즐거움, 성취감, 만족감, 금전적 저축, 편의성 등을 포함한 소셜커머스의 22가지 궁극적인 목표를 담고 있다. 또한 활동에서부터 궁극적인 목표까지 다양한 경로가 존재하기에 사용자가 추구하는 목표를 조사하면 사용자를 이해하는 통찰력을 얻을 수 있다.

      • KCI등재

        Redox- and pH-responsive fluorescent carbon nanoparticles-MnO2-based FRET system for tumor-targeted drug delivery in vivo and in vitro

        최정아,이정은,Zihnil Adha Islamy Mazrad,인인식,정지훈,박성영 한국공업화학회 2018 Journal of Industrial and Engineering Chemistry Vol.63 No.-

        The carbonized boronic acid-conjugated fluorescent carbon nanoparticles (FNPs) were crosslinked with carbonized dopamine-conjugated hyaluronic acid (HA) via the diol boronic acid-linked catechol groups [C-FNP] as extracellular targeting ligands and pH responsiveness. Into that C-FNP, the redox-responsive MnO2 nanosheets were loaded to demonstrate quenching effect, which recovered after glutathione (GSH) treatment. The MnO2-loaded C-FNP showed excellent stability and tumor-targeting ability guided to the localized tumor using “on–off” fluorescent switch. Furthermore, paclitaxel (PTX) inside the MnO2-loaded C-FNP performed in vitro and in vivo bioimaging and chemotherapeutic activities analyzed towards cancer and non-cancerous cells.

      • KCI등재후보

        국내 필라테스 연구과제 및 연구동향 분석을 위한 문헌고찰

        최정아,이영오 한국스포츠학회 2017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5 No.1

        이 연구는 국내에서 이루어진 ‘필라테스’ 관련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필라테스 연구의 양・질적 제고를 통한 새로운 연구 과제를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16년까지 발표된 필라테스 관련 석・박사학위논 문 및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국회전자도서관,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에 소장된 데이터베이스(DB)중 ‘필라테스’ 를 키워드로 검색하여 총 525편의 논문을 검색하였다. 그 결과 첫째, 논문유형에 대한 분석결과 ‘2006년부터 2016년’ 현재 ‘국내학술지’에서 필라테스 연구가 가장 활발히 진행되었다. 둘째, 필라테스 운동유형에 따른 연구 빈도 분석결과 연구자들이 ‘기구필라테스’에 대해 연구도구로서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었다. 셋째, 국내 학술지별 필라테스 연구 빈도 분석 결과 2006년이후부터 2016년까지 10편 이상 씩 가장 많이 게재되고 있는 학회는 ‘체육과학회’, ‘한국무용교육학 회’, ‘한국사회체육학회’로 나타났다. 넷째, 필라테스와 관련하여 연구주제에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연구분야는 ‘운동 생리학 분야’와 ‘스포츠심리학 분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rend of researches related to ‘pilates’ conducted in Korea, and produce new research projects through quantitative・qualitative improvement of future researches of pilates based on the aforementioned. For the foregoing, this study searched for total 525 theses by searching by ‘pilates’ out of master’s and doctor’s theses and dissertations published in the academic journals related to pilates that were presented from 2000 through 2016 out of database (DB) kept in the Electronic Library of the National Assembly and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After that, this study collected 130 theses for degrees and 183 theses published in the academic journals by searching with keywords of ‘pilates’ and ‘pilates exercise program’ considering validity of this study. First, as a result of analysis on the type of theses, researches are the most actively conducted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from 2006 through 2016. Second, results of analysis on the frequency of researches according to the type of pilates exercise show that the most researchers carry out researches by using ‘tool pilates’ when researching pilate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frequency of researches on pilates by domestic academic journals, society that more than 10 theses are published after 2006 through 2016 were ‘The Korean Society Of Sports Science’, ‘The Korea Dance Education Society’ and ‘Korean Sociological Association’. Fourth, fields of research that are used the most in subjects of research related to pilates were ‘exercise physiology’ and ‘sport psychology’.

      • KCI등재

        개화기 여성 가사에 나타난 여성 의식 고찰

        최정아 한국여성문학학회 2013 여성문학연구 Vol.29 No.-

        Yǒsǒng Gasa includes diverse female voices from the Confucian society. Yǒsǒng Gasa advocates for the masculine rule in general; however female writers sometimes express their own voices. Readers need to discern how female voices are expressed differently from male voices and how female voices are spoken in their own ways at the end of the nineteenth century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I focus on the work called Kǒngke-sara written in the age of enlightenment. This transitional period has a task of modernization (namely Westernization) and recognizes the changing female status. Women should be educated and enlightened according to the changed social atmosphere. However, although women began to acknowledge this atmosphere in the enlightenment period, their inferior social position let them unable to transform the social system. Women posit themselves between the tradition and the modern and reveal their confusions and complexities as floating subjects, which uncovers in my close reading of Kǒngkae-sara. Women’s attempts to set up female identity begin to show up in Kyǒngkaesara and followed by new novels (shinsosǒl) that describe the changed female identity. 여성가사는 지배양식인 남성가사를 모방하는 것에서 여성들의 서사로 내면화, 융성시키는 과정에서 시대 사회적인 변화를 담지하고 다른 문학 갈래와도 영향을 주고 받으며 여성적인 소통의 장으로서의 독자성을 키워나갔다. 일레인 쇼왈터Elain Showalter는 「그들만의 문학A Literature of Their Own」(1977)에서 지배전통의 지배적 양식을 모방하고 내면화시키던 단계를 거쳐 여성들만의 문학공간을 창출해나가는 여성적 자기서사의 특징을 주목한 바 있다. 여성 가사는 바로 이러한 여성적 자기서사의 구현물로서 생각될 수 있다. 특히 낭독과 필사로 이어지는 향유 방식과 전승의 과정은 다기한 변이체들을 낳으며 고정된 텍스트 분석의 틀을 벗어나 있다. 이러한 면모는 여성 텍스트의 외연을 넓혀주는 동시에 텍스트 자체의 다중적인 목소리들에 주목하게 한다. 특히 계녀가류 여성가사는 유교적 자장하에서 시대 변화에 따라 다양한 목소리들을 담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게 부각될 필요가 있다. 여성들의 관계적인 성향을 분명히 담지한 텍스트의 확장과 소통의 방식은 때로 남성적인 윤리규범의 계도를 위한 방편이 되기도 했지만 그 속에서도 여성들은 자신들의 목소리를 만들어냈다. 이 지점에서 지배적인 목소리와 침묵하고 있는 목소리 혹은 불투명하게 드러나는 목소리들을 감지해낼 필요가 있다. 특히 시대가 요구하는 지점에서 여성의 목소리를 통해 여성적 정체성을 모색해내는 과정은 세밀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여성 가사는 개화기라는 시대적 격변 속에서 또다른 변모를 보이는데, 형식적인 쇠퇴 혹은 소멸의 측면 보다는 그 시대적 소명을 담아내는 지점이 부각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특히 조선의 전면적인 재구성을 요구하는 시대 속에서 조선적 윤리의식을 계도하였던 계녀가류 여성 가사의 시대인식의 면면들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지점들을 <경계사라>라는 작품을 통해 살펴보고자 했다. 개화기는 문명개화를 시대적 과제로 삼으며 그 중심에 여성을 두었다. 따라서 계몽의 대상은 여성이었으며 쏟아지는 여성담론들은 또하나의 여성 지침서들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 지점에서 계녀가류 여성가사와 개화계몽류 여성 가사가 내용적 형식적 측면에서, 바로 이러한 시대적 요구를 여성에게 익숙한 양식으로 전달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만나고 있다. 다만 여성의 자각은 주지의 사실이었으나 실제 여성의 삶은 급격히 변화될 수 없는 것이었다. 결국 여성들은 전통과 근대의 경계에서 자신의 위치를 찾고 있었으며 이러한 지점들을 <경계사라>와 다른 여성가사들을 통해 방증해보고자 했다. 이 시기 여성가사에 나타난 여성들의 정체성 모색의 과정은 신소설의 면면들, 이후 근대 여성 소설의 면면과도 이어지는 것으로 이는 차후의 과제로서 남겨둔다.

      • KCI등재

        오에 겐자부로(大江健三郎) 「인간 양(人間の羊)」론

        최정아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3 비교일본학 Vol.28 No.-

        「인간 양」에서 오에는 ‘감금된 상태’를 이야기하기 위해, 1950년대 후반 현재에도 일본인의 의식 저변에 남아 있는 패전국민의 열등감이 사회의 ‘모럴’로서 수용되는 애국주의적 가치와 결합될 때 다시금 부활하게 되는 광기어린 국수주의를 견고한 자 기기만의 <벽>으로서 창출하고 있다. 「인간 양」에서 이야기 하는 ‘감금된 상태’란 바 로 이 국수주의의 <벽>에 갇혀 개인의 자유와 권리라고 하는 전후 민주주의의 가치 가 활로를 잃고 위협을 받는 상태를 말한다. 오에는 이러한 ‘감금된 상태’를 이야기 함으로써 당대의 독자들에게 전후 민주주의의 가치가 뿌리내리지 못하고 있는 사회 현실과 패전 전 국수주의의 부활을 허락하는 사회적 조건들의 위험성을 전하고 전후 민주주의의 가치를 새 시대의 사회 ‘모럴’로서 확립해 가야할 필요성에 대한 자각을 촉구하고 있다.

      • KCI등재

        자아획득의 과정으로 읽는 ‘라쇼몽(羅生門)’ - 아쿠타가와 문학의 사상적 출발 -

        최정아 한국일본어문학회 2010 日本語文學 Vol.46 No.-

        芥川は「羅生門」を書くにあたり、失?の憂鬱から逃れるため「なる可く現?と懸け離れた、なる可く愉快な小?」を意?したという。本論文は、芥川が意?した<愉快さ>の正?を新しく究明することで「羅生門」のテ?マを正確に知り、ひいては、彼の文?の原点における思想とその意義を再照明することを目的とする。 「羅生門」は主人公が下人から?人に?わる過程を描いた小?である。しかし、その??は、自我への自?すらなく下人として生きてきた一人の少年が、自分に?在する固有の自我<正義感>に目?め、生の目的を?見することにより自己の生の主?として生まれ?わる過程である。芥川はこの過程を通し、人間本然の自我の、決して利己的でも?でもない、純?で美しく?靭な?像を描き、また、自我の?現を追求する自由と幸福を人生の?の?値として提示している。 このように、「羅生門」において、<自我>という近代の思想?念が具象化されているということは、近代自我思想が芥川文?の出?点における思想的根幹として位置していることを意味する。そしてこの事?は、芥川が?に理知と技巧に秀でた作家であるのではなく、?は日本近代文?全般を通して持?された文?的課題の充?なる?承者であったことを物語る。近代的自我の確立と?現こそ、明治以?、日本近代作家たちが受容した最大の文?的課題だったのであり、にもかかわらず、日本近代の抑?的時代?況のため、ついに未完のままに?されていた課題だからである。 今まで芥川文?の?究は、主にその美的形式と技巧に重点をおいたり、芥川の?記的事?から由?する漠然たる先入?に依?し主題を考える傾向が?かった。しかし以上の結果は、今後の芥川文??究が、作品の思想性により焦点をあて、思想の推移と?自性を究明し、もって彼の文?の意義を再?討することを要求するものといえる。

      • KCI등재

        한국인 영어학습자들의 발달단계에 따른 비명시적 언 어규칙에 대한 습득 분석

        최정아 국제언어문학회 2022 國際言語文學 Vol.- No.51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acquisition of English by Korean college students by the extent of their knowledge of linguistic items without simple rules in context, and in particular to examine the co-occurrence of the definite article with proper nouns, singular and plural use of material nouns, countability in abstract nouns, and the order of the parallel structure of compound nouns. To this end, Korean university students of English were divided into groups with higher and lower levels of such knowledge. Four questionnaires on related inexplicit linguistic items were administered, to measure participants’ degree of acquisit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students with higher levels of learning performed better when dealing with linguistic items that do not have explicit grammar rules of English. However, statistical analysis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Korean learners of English had difficulty in acquiring non-explicit linguistic items even when their knowledge of the target words was at a high level. Due to the lack of research on language items without explicit grammatical rules in English, this study will serve as a useful resource for devising effective teaching methods for such grammatical elements. 본 연구는 영어의 명시적 문법규칙이 없는 언어항목에 해당하는 정관사와고유명사의 공기현상, 물질명사의 단수와 복수 사용, 추상명사의 가산성, 복합명사의 병렬구조에 관한 한국 대학생 영어학습자들의 언어 발달단계2 에 따른습득 정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한국인 대학생 영어학습자들의 학습 수준에 따라 상, 하 집단으로 나누고 관련 비명시적 언어 항목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여 그 습득 정도를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영어의 명시적 언어 규칙이 없는언어항목에 대해서 한국인 대학생 영어학습자들의 발달 수준이 높을수록 상위집단의 평균 점수가 높아서 하위집단 보다 더 잘 습득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통계 분석을 통해 상위와 하위집단 두 집단 간의 차이의 유의수준은 미비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한국인 영어 학습자가 목표어의학습 수준이 높은 단계일지라도 비명시적인 언어항목에 대해 습득에 어려움을겪고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실제 교육현장에서는 명시적인 언어규칙이 존재하지 않는 언어 항목에 대한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그런 점에서 이와 같은연구 자료는 비명시적 언어 현상에 대한 효과적 교수법 마련에 좋은 발판이 되리라고 확신한다.

      • KCI등재

        해방기 귀환소설 연구 -‘귀환 의례’의 메커니즘과 귀환자의 윤리를 중심으로-

        최정아 우리어문학회 2009 우리어문연구 Vol.33 No.-

        귀환은 단순히 지리적인 경계를 넘어가는 행위가 아니라 새롭게 분할되고 재편되기 시작한 국가와 민족의 경계를 넘어가는 상징적 월경(越境)이다. 식민 지배로부터 해방된 민족의 이름 아래 집결하는 귀환자들의 내면에는 새로운 상징적 경계선이 그어졌고, 그것은 새로운 민족국가 구성원의 일원으로서 자기정체성을 재구성하는 과정이었다. 귀환자들은 이산의 삶을 통해 형성된 혼종적 정체성으로 인해 민족의 집단적 정체성과는 일정한 괴리를 의식할 수밖에 없었다. 귀환 소재 해방기 소설들은 바로 이러한 귀환자들의 내면에 각인된 집단적 정체성과 개인적 정체성 간의 괴리와 그것을 봉합하는 민족주의적 상상력을 보여주고 있다. 귀환소설은 회복과 복원의 서사인 동시에 구성과 건설의 서사다. 그것은 조선인으로서의 민족적 정체성을 되찾는 과정이지만, 그 정체성은 저절로 주어지는 즉자적인 것이 아니라 재발견하고 재구성하고 재획득해야 하는 대자적인 것이다. 요컨대 귀환자들은 조선인이 되어야하는 것이다. 이러한 ‘조선인 되기’의 과정은 특정한 이데올로기에 의해 작동되는 상징적 의례의 절차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 글은 바로 이러한 귀환의례의 상징적 메커니즘과 그 이데올로기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해방기 귀환소설에 나타난 ‘귀환 의례’의 양상은 만주로부터의 귀환과 일본으로부터의 귀환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귀환서사는 지리적 귀환과 상징적 귀환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데, 지리적 귀환은 상징적 귀환의 성격과 양상을 결정하는 토대라고 할 수 있다. 즉 지리적 귀환의 유형에 따라 계층․직업․젠더 등의 차이에 따른 상징적 귀환이 결정되는 것이다. 일본으로부터의 귀환은 대개 징병․징용․위안부 등으로 강제동원된 개인들의 귀환이라는 성격을 갖는다. 그런데 귀환의 과정에서 이들은 일본을 위해 전쟁에 참전하고 노동력을 팔았던 수치스럽고 부끄러운 과거를 ‘정화’해야 했다. 민족적 양심에 의한 ‘정화의 의례’를 통과하고 나서야 조선인으로 거듭날 수 있었던 것이다. 엄흥섭의 「귀환일기」와 안회남의 「불」 등의 소설들에서 이러한 정화의 귀환 의례의 메커니즘과 이를 작동시키는 민족적 양심이 도덕적인 외피를 입은 순혈주의의 이데올로기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만주로부터의 귀환은 일제의 식민정책의 직간접적인 영향이 작용하긴 했지만 경제적 궁핍을 해결하기 위해 자발적으로 이주한 가족들의 귀환이라는 점에서 일본으로부터의 귀환과 차이점을 지닌다. 이러한 측면에서 만주로부터의 귀환서사는 만주 이주 이전의 조선인으로서의 정체성을 회복하고 민족공동체의 일원으로 귀속되기 위한 회복과 결속의 의례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회복과 결속의 귀환 의례는 정비석의 「귀향」과 염상섭의 「해방의 아들」 등에서 살펴볼 수 있는데, 이들 작품에서는 그러한 귀환 의례가 가부장제의 이데올로기에 의해 작동되는 메커니즘이라는 사실도 함께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해방기 귀환소설은 특정한 이데올로기에 의해 작동하는 ‘조선인 되기’의 상징적 의례를 보여주는 서사이면서 또한 민족주의와 국가주의 등 귀환의 이데올로기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보여주기도 한다. 채만식의 「소년은 자란다」, 허준의 「잔등」 등이 그러한 작품들로, 이들 작품에는 민족국가를 넘어서는 주체적 윤리의 가능성이 제기... Repatriate novels are basically narratives of revival and restoration in the process of recovering one's national identy as a Korean. Identity as a Korean is not ‘an sich’ given by itself but ‘fur sich’ which should be rediscovered, reconstituted, and re-acquired; in fact, returnees had to become Korean. The process of ‘becoming Korean’ is accomplished by symbolic rites and procedures based on certain ideologies. This paper focuses on analyzing such symbolic mechanisms of repatriate rites and the underlying ideology. This paper examines the aspects of ‘repatriate rites’ revealed in repatriate novels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by dividing ‘repatriat -ion’ into two types: repatriation from Japan and repatriation from Manchuria. Repatriate narratives are composed of symbolic repatriat -ion and geographical repatriation, which is the basis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and aspects of symbolic ones; in fact, types of geo -graphical repatriation determines symbolic repatriation which is differentiated by class, occupation, gender and so on. Repatriation from Japan is characterized by personal repatriation, of those who had been forcibly mobilized for conscription, forced labor and comfort women and so on. They returned to Korea, right after the liberation but, in the process of repatriation, they needed to purge their shameful bygones of participating in the war and working for Japan’s military. The ‘rite of purification’ based on national conscience enables them to become Korean. It is verified in several novels such as Diary of Repatriation by Eom Heung-seop and Fire by An Hoe-nam that the ideology of pure-blood in ethical appearance is virtually identical with the mechanism of repatriate rites of purification induced by national conscience. Repatriation from Manchuria had an obvious difference in that it was a repatriation of families, that had migrated of their own accord, in order to escape from economic difficulties. For these reasons, it can be construed that repatriate narratives from Manchuria are rites of restoration and solidarity in order to belong to national community as recovering identities as Koreans ahead of movement to Manchuria. Several novels such as Returning Home by Jeong Bi-seok, Son of Liberation by Yeom Sang-seop present the above aspects of repatriate rites and further that repatriate rites of restoration and solidarity are based on mechanism operated by patriarchal system. Repatriate novels during liberation period are narratives that present symbolic rites of ‘becoming Korean’ operated by specific ideologies, and that also offer critical examination on repatriate ideologies such as nationalism; for example, A Boy Has Grown by Chae Man-sik and Jandeung(Dim Light) by Hoe Jun suggest possibilities of subjective ethics beyond nation-state. Repatriate narrative is a form of symbolic rites reflecting and intensifying ideology of nation-state and psychological system inter -nally operated. Geographical repatriation is a historical condition of repatriation happened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But, repatriation as symbolic rites is an important subject to study in that it has characteristics in a form of universality beyond particularity that geographical repatriation has. Symbolic repatriation, that is, is a general process of ‘becoming a member of nation’ applicable to people who are actually living within boundaries of nation-state besides Diaspora. Territory and boundary of nation-state only retains given that the general process of ‘becoming people’ formed under psychological system permanently operates. Hence, repatriation is an ongoing process which cannot but discontinue in delaying and suspending its completion as far as nation-state continues to exi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