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반사형 단열재가 설치된 단일 중공층의 열저항값 산정 프로그램 함수 개발에 관한 연구

        최정민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4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6 No.3

        전세계가 1992년 6월 브라질의 리우환경회의에서 기후변화에 관한 UN기본협약(UNFCCC,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을 채택하였다. 우리나라에서도 온난화 방지와 더불어 건물의 화석 에너지 사용량을 감축시키기 위해 지속적으로 제도적 개선과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건물부분에서 건물 냉난방 에너지 절약과 함께 거주자의 열적 쾌적성 확보를 위해 단열재 설치 의무규정이 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따라 우리나라에서 건물의 단열재는 표 1과 같이 건축물의 에너지 절약설계기준(2013.10)상에서 규정하고 있는 가∼라의 4가지 등급 단열재로만 그 사용이 한정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 건설 현장에서는 이상의 규정 단열재외에 반사형 단열재에 대한 시공이 빈번히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반사형 단열재는 일반적으로 복사열저항의 효과를 이용하기 때문에 건물 해당부위에 중공층과 함께 설치되어야 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건물 부위나 중공층 열류 흐름방향 등 다양한 설치 조건에 따라 그 성능이 크게 달라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아직까지 국내 관련 연구는 초기단계라 볼 수 있다.(김여진, 최정민, 김진관, 권영철, 이무진) 국외의 경우에는 Robinson과 Powell의 반사형 중공층의 열저항값 실험 데이터 값이나, ISO, ASHRAE의 기준에서 중공층 조건에 따른 열저항값들이 제시되어 활용되고 있으나, 해당 조건에만 적용되는 한계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반사형 단열재가 설치된 건물 단일 중공층의 단열저항값을 산정하는 이론에 대해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단일 중공층 열저항값에 미치는 관련 변수들의 도출과 그 영향을 검토하는 프로그램 함수를 개발하고자 하며, 이를 이용하여 건물 에너지 절약을 위한 반사형 단열재의 적정 설계 및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 KCI등재

        반사형 단열재가 설치된 단일 중공층 열저항 계산값의 정밀도 향상에 관한 연구

        최정민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5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7 No.2

        건물의 에너지 절약을 위해 단열재가 사용된다. 단열재는 일반적으로 충진형 단열재(mass insulation)와 반사형 단열재(reflective insulation)로 대별할 수 있다. 반사형 단열재는 낮은 방사율(emissivity) 표면을 가지는 성질을 이용하여 복사열에 대한 저항 효과를 제공하기 때문에 건물 지붕이나 벽체 등에 사용하여 복사열 차단을 주목적으로 하여 설치하는 단열재이다. 그러나, 충진형 단열재와는 달리 반사형 단열재는 재료 자체만의 열저항값을 갖기 보다는 반사형 단열재의 특성과 함께 중공층의 다양한 조건이 고려된 열저항값(R-Value)을 가지기 때문에 반사형 단열재 자체의 방사율과 함께 열류 흐름이나 반사형 단열재 시스템의 중공층내 온도차, 평균온도 등 주요 인자들에 따라 열저항값이 수시로 변하는 특성을 지닌다. 따라서, 반사형 단열재의 열저항값 산정을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다양한 실험과 함께 산정 식이 제안되었다. 이가운데, 대표적인 연구로는 1983년에 Yarbrough의 Oak Ridge National Laboratory에서의 연구로 기존의 Robinson and Powell의 309개의 실험데이터와 중공층 이격거리, 중공층 온도차, 중공층 평균온도 변수 등에 Method of Least Squares 법을 적용하여 해석적으로 중공층 열저항을 산출하는 방법(이하 Method 1)을 발표하였다. 또한 1991년에는 Desjarlais와 Yarbrough는 반사형 단열재와 관련한 열저항 실험을 추가로 실시하고, Nusselt number를 이용한 무차원 관계식을 이용하여 열저항값을 산정하는 방법(이하 Method 2)을 제시한 바 있다. 국내의 관련 연구에서는 최정민 등은 Method 2를 적용한 반사형 표면을 가지는 단일 중공층의 열저항값을 산정하는 프로그램 함수를 개발하고, 이를 2013 ASHARE의 Table을 이용하여 x축에는 ASHRAE table값을, y축에는 개발된 프로그램 함수에서 도출된 값들을 1차 직선의 회귀 방정식으로 검증을 실시한 결과, 회귀식 , 결정계수인 값 0.9648로 예측할 수 있는 산정 방법을 제안한 바 있으나, 열저항값을 구간별로 살펴보면 열저항값 1.0㎡K/W 이상인 범위에서는 거의 직선의 형태를 보이는데 비해, 열저항값 1.0㎡K/W 이하의 범위에서는 ASHRAE Table값과 개발된 프로그램 함수의 결과값 사이에서 차이가 발생하여 이에 대한 추가적인 보완이 필요하다고 지적한 바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선 반사형 단열재가 설치된 건물 단일 중공층의 단열저항값을 보다 정확도 높게 계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두가지 산정 방법(Method 1과 2)을 적용한 결과값들과 2013 ASHRAE Table값과 비교하여 각 이론 방법에 대한 타당성 검증을 실시하고, 이를 통해 건물 단일 중공층의 단열저항값을 보다 정밀도 높게 산정할 수 방법(이하, Method 3)을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고 진행되었다. The reflective insulations provide a thermal barrier by reflecting radiant energy by having low emittance surfaces. Unlike mass insulation, the reflective insulations have a system R-value rather than a material R-value. Therefore, this study will review the two methods(namely, Method 1 and Method 2) for theoretically calculated thermal R resistance values of an enclosed air space with reflective insulation. Validations are made with 2013 ASHRAE table R-values. Next,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two methods are reviewed and the 1’st order regression equation with (residue) are compared with change of variables such as position of air space with heat flow direction, air space thickness and effective emittance, etc.. Finally, at the end of this study another R-value calculating method(namely, Method 3) is proposed with high accuracy enhancement.

      • KCI등재후보

        담도를 침범한 간세포암에서 경피담도경을 통한 알코올 주입술의 효과

        최정민,이성구,이상수,이장한,송문희,변대근,송태준,최정식,박도현,서동완,김명환,민영일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5 Clinical Endoscopy Vol.30 No.6

        Background/Aims: To evaluate the clinical outcomes of the percutaneous cholangioscopic ethanol injection in the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invading the bile duct,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study. Methods: Ten patients who received the percutaneous cholangioscopic ethanol injection were selected patients were diagnosed as HCC invading the bile duct between January 1998 and February 2004. Treatment response, complications, survival or death and survival time were analyzed. Results: Ten patients received mean of 5.3 sessions (range 2∼19) of cholangioscopic ethanol injection. Eight patients had decreased tumor mass, and the rest 2 patients had no response. Complications were pain (n=10), hemobilia (n=6: bleeding was minimal), cholangitis (n=2), bile duct rupture (n=1), and bile duct stricture (n=1). Nine patients died from severe hepatic failure and sepsis, one patient has survived for 19 months as of now. Median survival time was 5 months (range 2∼19 months). Percutaneous transhepatic biliary drainage (PTBD) could be removed in two patients. Conclusions: Percutaneous cholangioscopic ethanol injection in HCC invading the bile duct showed size reduction of mass. PTBD could be no longer needed in some patients. However, supportive cares such as PTBD may be appropriate considering their short survival period and risk of procedure. 목적: 간세포암의 담도 침범은 전체 간세포암 환자의 0.53~9%의 빈도로 보고되고 진단 당시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아 일반적으로 담관 배액술만을 시행하게 된다. 담관 배액술만을 시행 받은 경우 예후는 불량하고 생존 기간 중 삶의 질 또한 떨어지게 된다. 경피 담도 내시경을 통한 알코올 주입술로 담도 내 종괴를 치료한 증례 보고가 있었으나 아직 경험예들을 분석하여 치료 효과를 검토한 보고는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간세포암의 담도 침범이 확진된 환자에서 경피 담도 내시경을 통한 알코올 주입술의 효과와 합병증 및 생존기간에 대해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1월부터 2004년 2월까지 간세포암의 담도 침범이 확진된 환자 중 경피 담도 내시경을 통한 알코올 주입술을 시행 받은 10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종괴의 감소, 합병증, 배액관의 배출, 생존 및 사망, 생존 기간에 대해 분석하였다. 결과: 평균 5.3회(범위 2~19회)의 알코올 주입술을 시행하였고 한 회당 평균 17 mL의 알코올을 주입하였다. 10예 중 8예에서 종괴의 감소가 있었고 나머지는 반응이 없었다. 2예에서 담도 개통성이 유지되어 배액관을 제거할 수 있었다. 합병증은 모든 예에서 통증이 있었고 출혈은 6예에서 발생하였으나 대부분 자연 지혈되었으며 적혈구 수혈이 필요한 경우는 없었다. 그 외에 담도염(2예), 담도 협착(1예), 담도 파열(1예)이 있었다. 사망은 9예, 생존이 1예였고 19개월째 생존하고 있다. 중앙 생존기간(median survival time)은 5개월(범위 2~19개월)이었다. 사망의 원인은 모두 심한 간부전 상태에서 담도염(7예) 및 자발성 복막염(1예)에 의한 패혈증, 식도 정맥류 출혈(1예)이었다. 알코올 주입술과 관련되어 사망한 예는 없었다. 결론: 경피 담도경을 통한 알코올 주입술은 간세포암의 담도 침범이 있는 환자에서 효과적으로 종괴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일부 환자에서 배액관을 제거할 수 있는 치료법으로 생각하며, 다른 치료법에 반응이 없는 예에서 종양의 감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시술법이다. 그러나 간부전이 심한 경우에 환자의 예후가 불량하고 담도 배액술만을 시행 받은 환자들과 생존 기간의 차이가 없으므로 시술에 따르는 합병증을 고려하여 배액관 삽입 등 보존적 치료가 적절한 것으로 생각한다.

      • KCI등재

        Effect of Biolinker on the Detection of Prostate Specific Antigen in an Interferometry

        최정민,안진영,Byung-Woo Kim 한국생물공학회 2009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 Vol.14 No.1

        Prostate-specific antigen (PSA) has been identified as a significant biomarker for prostate cancer screening. Heavily-doped porous silicon, etched to form a Fabry-Perot fringe pattern, can be applied to an interferometric sensing for detecting PSA bound with PSA-antibody. In the previous works, a calyx crown derivative (Prolinker-A) was used as an alternative biolinker on the porous silicon surface for interferometric biosensing of DNA-damaging chemical instead of employing the conventional biomolecular affinity method using biotin, which resulted in a denser linker formation. In this study, G5 amine-terminated PAMAM (poly amidoamine) dendrimer as a biolinker, was applied to an interferometric sensing of PSA by using porous silicon, which shows the enhancement of adhesion capability and increase of functional groups more than those with Prolinker-A. Considerably low level down to 1 ng/mL of PSA could be detected by this sensing system.

      • KCI등재

        평균년 표준기상데이터를 이용한 평판형 태양열 집열기 설치각 산정에 관한 연구

        최정민 대한설비공학회 2002 설비공학 논문집 Vol.14 No.12

        In general, flat-plate solar collectors are generally fixed in place at some angles. The most common method is to orient solar collectors toward the true south, where variations up to 15 degrees east or west are acceptable and the tiIt angle of the collectors is calculated from latitude and different heating applications. However, the best angle of flat-plate collectors depends upon whether the dominant load occurs in the winter, summer, or evenly all year. Moreover, this setting angle must consider the average insolation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exactly. In this study, the setting angle of flat-plate solar collectors is presented for Busan area by using domestic typical meteorological year weather data, so that the fixed flat-plate solar collectors must be set as quantitatively as possi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