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실과(기술ㆍ가정) 교육과정에서 정보통신기술(ICT)의 통합적 수용방안

        최유현(Choi Yu Hyun) 한국실과교육학회 2004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17 No.1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reflected contents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on 7th Practical arts curriculum, to suggest the strategies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ducational contents that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ntegrate into practical arts education. 1. In 7th curriculum,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n Practical arts education have reflected as two aspects of educational content and methodology. 2. The strategy of restructuring lesson units would suggested for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ntegrate into practical arts education in current stage. 3. For the future, the strategy of curriculum restructuring would suggested for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ntegrate into practical arts education in educational content aspect. And in the educational methodology aspect, the Choi’s ICT model for practical arts education will be applied. As a result of that, I suggest that the study of this matter should be continued more specifically.

      • 기술적 문제해결 과정에 나타난 사고 활동의 분석과 그 계발 전략

        최유현,Choi, Yu-Hyun 仁川敎育大學校 科學敎育硏究所 2003 과학교육논총 Vol.15 No.-

        이 연구는 기본적으로 문제해결 절차 모형에서 나타난 사고 활동을 무엇이며, 그 사고 활동을 계발하기 위한 구체적 전략에 대하여 이론적 탐구를 하는 것이었다. 이론적 연구에 기초하여 기술적 문제해결 과정에 따른 문제해결 사고 및 능력 모형이 구안되었다. 즉 문제해결 과정에서의 문제해결 사고는 계획단계에서 아이디어를 생산하는 확산적 사고, 생성된 여러 가지 아이디어를 선정하는 수렴적 사고, 그리고 문제해결 평가 단계에서의 과정 및 결과를 평가하는 활동에서의 비판적 사고와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 또한 문제해결 과정에서의 지적 능력인 문제해결능력은 문제 확인단계에서 인식 능력, 계획단계의 창의력, 의사 결정능력, 문제 실행 단계에서 실천능력, 문제해결 평가 단계에서의 평가능력으로 개념화 하였다. 이러한 모형에 기초하여 이 연구에서 확산적 사고와 수렴적 사고의 기법들을 정리하여 제시하는 것으로 그 사고 계발 전략을 마련하였다. 이러한 사고 전략 기법들은 아동의 문제해결 과정에서도 적용 될 수 있지만, 문제해결 활동 이전에 확산적 사고 활동 프로그램 및 수렴적 사고 활동 프로그램으로 활동을 한다면 아이들의 문제해결 활동이 보다 촉진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the model of thinking activities in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process and to propose the strategies for developing of thinking ability. The results from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thinking activities in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process were the divergent thinking for generating ideas, the convergent thinking for selecting the best idea in plan step of problem solving process and critical thinking in evaluation step of problem solving process. Second, the strategies for developing of divergent thinking proposed in this study were Brainstorming, Brainlighting, Mind map, Synetics, Checklist, SCAMPER, etc. The strategies for developing of convergent thinking proposed in this study were Creative Evaluation, Highlighting, Anti-brainstorming, ALU, P-P-C Dialog, Evaluation Matrix, PMI, CAF, Rules, C & S、AGO, etc. As a result of that, I suggest that the outcome of this research should be applied to the real class and the study of this matter should be continued.

      • KCI등재

        창의적 공학교육을 위한 문제중심학습(PBL)의 모형과 절차의 탐색

        최유현,Choi Yu-Hyun 한국공학교육학회 2005 공학교육연구 Vol.8 No.1

        문제중심학습은 실세계 환경과 공학적 환경에서 탐구하고 문제 해결하는 실천적 학습에 중점을 두며, 크게 교육과정 조직자와 수업전략의 두 가지 전략을 포함한다. 이 연구에서 구안한 PBL 전략은 크게 교육과정 조직자로서의 문제설계 단계와 수업전략으로서의 문제 적용 단계로 구분된다. 특히 문제 적용 단계는 문제해결 학습에 기초하며, 그 절차는 즉 '문제의 확인', '문제의 구체화', '해결방안의 탐색과 창안', '해결방안의 선정', '해결방안의 구체화', '실행', '평가', '적용과 성찰'의 단계이다. 특히 이 연구에서 계획과정의 상세화는 문제해결 모형이 갖는 장점 중의 하나인 문제해결을 위한 구상, 즉 확산적 사고와 수렴적 사고활동을 유도하기 위한 전략의 방편이 된다. Problem-Based Learning is focused, experiential learning organized around the investigation and resolution of messy, real-world problem. It is both a curriculum organizer and instructional strategy, two complementary processes. The PBL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was composed the two components of Problem Design(curriculum organizer) and Problem Implementation(instructional strategy). The basic process of Problem Implementation Model were composed the 8 steps ; 1) the identification of problem, 2) the specification of problem, 3) the exploration and generation for solution, 4) the selecting of best idea, 5) the specific planning of best idea, 6) the implementation and realization, 7) the evaluation, 8) the applying and reflection.

      • KCI등재

        포트폴리오 평가의 개념과 절차; 공학교육 학습평가의 한 가지 대안

        최유현,Choi Yu-Hyun 한국공학교육학회 2000 공학교육연구 Vol.3 No.2

        최근 교육평가의 논의에서 포트폴리오는 대안적 평가의 한 유형으로 부각되고 있다. 즉 포트폴리오 평가는 평가의 보편적인 접근과는 달리 학생들의 학습 활동을 전 시간에 걸쳐 수집하고 평가하는 혁신적인 평가 방법으로 대두된다. 특히 공학교육에서의 이러한 접근은 공학교육의 특성상 의미있는 접근이 되며, 이 연구에서는 공학교육에서의 포트폴리오의 평가의 개념을 논의하고 나아가 실제로 공학교육에서 포트폴리오를 평가에 적용할 수 있는 절차를 제안하는 것이었다. 이 연구의 탐색 결과는 학생들이 학습 목표를 도발하는데 서류화한 학생들의 활동 생산물을 수집하고 평가하는 유목적적, 체계적, 성찰적 과정으로 정의되며, 적용을 위한 절차는 포트폴리오의 목적, 내용, 평가, 활용의 네 단계를 제안하였다. Portfolio are emerging as a prominent type of alternative assessment. Portfolio assessment is becoming increasingly clear that this method of collecting and evaluating student work over time has significant advantages over more conventional approaches to assessment. So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review the concepts and steps for planning and implementing portfolio assessment in engineering education. In education, portfolio can be defined as a purposeful, systematic, reflective process of collecting and evaluating student products to document progress toward the attaintment of learning targets. Four steps for planning and implementing portfolio assessment in engineering education were suggested as follows: 1) determine purpose 2) determine sources of content, 3) teacher evaluation of contents and student self-evaluation, 4) using of portfolio.

      • KCI등재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대학 교과교육 수업 전략의 개발과 효과

        최유현(Choi Yu Hyun) 한국실과교육학회 2005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18 No.1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e the strategies for instruction using student portfolio in teacher education for subject matters. The study was carried out the reviewing literatures and the qualitative case study research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instructional strategies using student portfolio in teacher education for subject matters. The important materials of the qualitative evidence were the participant observation, structured interviewing of students, survey questionnaires, student’s portfolio essay and self assessment documents. As result of reviewing literatures, strategies for instruction using student portfolio in teaching methods for teacher education were developed. The results of qualitative cas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positive effects of instruction using student portfolio were identified in the cognitive domains, such as understandings,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of instruction. 2. The positive effects of instruction using student portfolio were identified in the affective domains, such as interest, passion, motivation, and expectation. But students had difficult in collecting and organizing of portfolio. The students for further instruction desired the improvements of ‘interaction with professor’ ‘orientation about portfolio’ ‘creative collecting and organizing of materials’.

      • KCI등재

        일의 교육적 가치 변화와 교육철학적 쟁점

        최유현(Yu Hyun Choi) 대한공업교육학회 1991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16 No.2

        The relation between work and education has been one of hot issues in current educational theories. Since education was monopolized by the leisure class in traditional class society, the work which was considered as a humble activity was ignored in education. But these problems requires to change value of work in education with civilization advan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ider the value and disputations of work in education as the historical viewpoints. The study was done through the reviewing literatures. The historical meaning of work in education clarified in the study were as the follows. (1) In Ancient times, the work was ignored by the leisure class. This social phenomenon which justified by Greek philosoper separated the work from education. (2) In the second Middle ages, the development of manual trade and commercial business build up the civil class. The apprenticeship training program was created by the guild constituted civil class. But this manual trainig program was not formal school education. (3) Naturalists who laid stress on self activities of children introduced manual training course in their curriculum. (4) In 20th Century, Dewey criticized the dualism of work and leisure, mind and body, theory and practice as the products of class society. He laid stress on Activities, Experience, Behavior through work, and thought that man could learn social insight, cooperative attitude. Supposing that work in education has significant value, disputations between education by the work and education by the intrinsic knowledge were proposed. Considering historical viewpoints, work is reflected in education beyond doubt. The work in education will be applied two directions, that is, work as a contents of the education(vocational education) and as a methods of the education(liberal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

        기술교과 교육에 있어서 기술적 교양 목표 성취를 위한 문제 해결 수업 전략의 효과

        최유현(Yu Hyun Choi) 대한공업교육학회 1995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20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이론적 고찰에서 구안된 문제 해결 수업 전략이 기술적 교양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는 것이었다. 이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실험 연구의 설계는 비동형 통제군 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 이며, 실험 집단은 문제 해결 수업 전략의 실험 처치를 하였고, 통제 집단은 전통적 수업 전략의 실험 처치를 하여 기술적 교양 능력의 사전 검사, 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 실험의 대상은 유의적 표집에 의하여 선정된 서을 I 중학교 2학년 2개반 학생이었다. 또한 이 연구의 실험을 위한 학습 내용은 중학교 2학년 기술 교과의 `기계의 이용` 단원이며, 실험은 1994년 4월 11일부터 1994년 7월 2일까지 12주(41시간) 동안 수행되었다. 이 연구의 독립 변인은 문제 해결 수업 전략을 통한 학습 지도법과 전통적인 수업 전략을 통한 학습 지도법, 학업 성취 변인이었다. 그리고 종속 변인은 기술적 교양 능력의 인지적 능력, 조작적 능력, 문제 해결 능력, 평가능력의 점수이다. 그리고 쿠드 리차드슨 공식에 의한 평가 도구의 신뢰도는 사전 검사가 r = 0.81, 사후 검사가 r = 0.83으로 나타났다. 이 실험 결과를 검증하기 위한 통계 방법은 공변량 분석(ANCOVA : analysis of covariance), t 검증 등이 사용되었다. 이 연구의 가설 검증에 필요한 유의 수준은 p〈0.05이었다. 이 연구의 실험을 통하여 가설 검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 사전 검사를 공변량으로 한 수정 평균치가 실험 집단인 문제 해결수업 집단(M = 61.67)과 통제 집단인 전통적 수업 집단(M = 51.38) 간에는 통계적 유의 수준 p〈0.01에서 차이가 검증되었다. 나. 문제 해결 수업 전략에 의한 수업을 받은 학생 집단(실험 집단)과 전통적 수업을 받은 학생 집단(통제 집단)간의 기술적 교양능력의 하위 변인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변인은 문제 해결 능력 (p = 0.02), 평가 능력 (p = 0.00)이었고, 차이를 나타내지 않는 변인은 인지적 능력, 조작적 능력이었다. 다. 두 집단간의 학업 성취 변인에 따른 기술적 교양능력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학업성적이 상위 집단인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간(p〈0.05), 학업 성적이 중위 집단인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간(p 〈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검증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하여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가. 문제 해결 수업 전략이 전통적 수업전략보다 전체적인 기술적 교양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특히 기술적 교양 능력의 문제해결 능력과 평가 능력 변인에서 그 효과가 뚜렷하였다. 나. 문제 해결 수업 전략에 의한 학습 지도는 학업 성적이 하위 집단 보다 중 상위 집단에서 기술적 교양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가 있었다. 이상의 결론을 기초로 할 때, 기술 교과 교육의 목표를 `기술적 교양 능력의 성취`로 설정할 경우, 그 목표의 효율적인 달성을 위하여 창의적인 문제 해결 수업 전략의 적용이 바람직할 것이며, 아울러 그 적용에 따른 구체적인 방안과 평가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교원의 정보활용 능력 실태와 교육 요구도 분석

        최유현(Choi Yu Hyun),나승일(Na Seoung Il),이미자(Lee Mi ja),김태훈(Kim Tae Hoon),김윤희(Kim Yoon Hee) 한국실과교육학회 2005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1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teacher’s actual state of ICT usage and educational need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literature review, expert conference, and survey to accomplish the purpose. The subjects for the survey were 870 teacher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from 87 schools throughout different areas around nation. The questionnaires(10 sets for each school)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by mail. The number of questionnaires collected was 641(73.7%). This study used the SPSS program to conduct a descriptive analysis of the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actors for teacher’s ICT ability were analyzed in 60 different elements. Second, The state of teachers for ICT usage shows instruction(16.6%), educational guidance(7.3%), management(21%), and professional development(12%). Third, The state of ICT educational needs level shows a pattern that teachers represent higher levels of educational needs on ICT for the factors which they shows higher level of significance of ICT usage and lower level of ability.

      • KCI등재

        ENACT 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예비 기술교사의 과학기술의 사회적 책임감과 교육 필요성에 대한 인식 변화 탐색

        최유현(Choi, Yuhyun),고연주(Ko, Yeonjoo),홍영지(Hong, Youngji),이현주(Lee, Hyunju),황요한(Hwang, Yohan)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21 교과교육학연구 Vol.25 No.2

        이 연구는 ENACT 프로그램에 참여한 예비 기술교사의 팀 프로젝트 학습과정과 경험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ENACT 프로그램은 과학기술관련 사회쟁점과 문제해결에 기반을 두고 만들어진 교육프로그램으로, 쟁점발견, 쟁점탐색, 미래 상황 예측, 과학·기술·공학적 쟁점해결, 사회적 실천의 5단계로 구성된다. 본 연구에서는 예비 기술교사 48명을 대상으로 5주 간의 온라인 ENACT 프로그램을 진행하였으며, 해당 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예비 교사의 과학기술에 대한 사회적 책무성 및 교수 활동 태도의 변화와 학습요인별 성찰 경험 등을 살펴보았다. 면담분석 결과, 예비 교사들은 과학기술관련 사회쟁점을 과학·공학적으로 해결하고 사회적 실천을 위한 방안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사회적 책무성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였으며, 특히 본인을 포함한 모든 사회 구성원이 이에 관심을 가질 것을 촉구하였다. 또한 ENACT 프로그램을 수행한 것이 예비 교사 스스로에도 효과적이었을 뿐만 아니라, 교사로서 학생들에게도 의미있는 교육이 될 것이라 보았다. 특히 예비 교사들은 추상적인 아이디어를 구체적 방안으로 발전시키거나 기존과 다른 학습 방법으로 수행했다는 점, 평소 관심 있던 주제나 실생활과 연관된 주제를 선정하여 문제를 스스로 해결해보는 경험을 했다는 데 흥미를 느끼고 있었다. 이와 더불어, 프로그램의 진행 과정에서 단계별 관련 내용과 사례를 워크북에 담아두어 프로젝트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었으며, 과학기술과 관련된 지식의 증가를 비롯하여 다양한 영역에서 과학기술을 바라볼 기회를 얻었다고 보고하였다. 초기에는 갈등을 겪었지만 점차 팀이 문제를 잘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는 믿음 하에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였으며, 프로젝트 결과물에 대한 창조적 자신감 또한 보여주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pre-service technology teachers’ learning experiences of participating in the ENACT program. The ENACT program, designed by integrating socio-scientific issues education with scientific/engineering problem-solving processes, consisted of five steps: 1) Engage in SSIs, 2) Navigate SSIs, 3) Anticipate future consequences, 4) Conduct scientific and engineering practice, and 5) Take action. We implemented the program for 48 pre-service technology teachers over 5 weeks in online workspaces, and examined their views on social responsibility of science and engineering, attitudes toward the ENACT approaches, and their learning experiences. Results indicated that the pre-service teachers began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ultivating social responsibility while exploring the nature of SSIs and generating ideas for taking action, and they even encouraged others to join the discussions on the issues. They highly valued their experiences in the ENACT program and believed that such programs will be also beneficial to students. Additionally, they enjoyed the process of elaborating abstract ideas into real solutions for the issues they encountered in their lives. They also mentioned that the online workspaces for the ENACT program supported their learning by guiding them in each step of the program. They believed that such process allowed them to broaden their perspectives on socioscientific issues despite the challenges and conflicts they experienced working with team members. They expressed a sense of accomplishment and satisfaction after the proj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