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일반고등학교와 특성화고등학교의 특수학급 진로교육 운영 실태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최영혜,최상배 公州大學校 特殊敎育硏究所 2018 특수교육논집 Vol.22 No.2

        This research involved in-depth, unstructured interviewing with 7 teachers including three teachers who worked before in general high school, three teachers who worked in specialized high school and one teacher who worked in both high schools in order to find out actual condition of special-education students and improvement plans in general high school with special classes and specialized high school in Gangwon-do Province. It was found that specially educated students who entered in general high school showed a tendency to prepare to enter university and received education in order to raise SAT scores and school records through school curriculum, but students with sensory impairment among them could comprehend curriculum and manage their scores so that they were accepted by the university of their dream and specialized in major they wanted, whil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had difficulties to enter university through regular education course sin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didn’t know systematic information concerning the college admission system as well. In addition, although general high school already set up guidelines on field placement system, it went beyond the curriculum in general high school and was not in operation due to the school regulation, persuasion of administrator and negative awarenes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order to resolve these problems, it is required to provide information on career education by type of high school through education for school parents, to connect employment companies for specially educated students through cooperation between firms and schools for strengthening career education in high school with special classes and to employ additional manpower in order to mange and assign special-education students more professionally.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come up with an effective, flexible budget plan in order that specially educated students who require lots of experience could receive efficient career education. 이 연구는 일반고등학교와 특성화고등학교 유형에 따른 고등학교 특수학급 진로교육 운영 특성과 개선방안에 대한 특수학급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특수교사 7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 된 질문지를 활용하여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 3개의 상위범주, 12개의 하위범주, 24개의 의미단위가 도출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특수교사는 특성화고등학교는 진로에 대한 교육적 지원이 잘 되어 있는 반면 일반고등학교는 진로선택에 대한 정보제공이나 제도적 정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특수교사는 학교 유형에 따라 고등학교 진로교육에 차이가 있었고, 진로선택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였다. 따라서 고등학교 입학 전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진로교육활동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셋째, 특수교사는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진로활동 및 선택을 위해 진로활동에 특화되어 있는 전문 인력 배치가 필요하며, 특수학급 인원과 목적을 구분하지 않는 일괄적으로 예산을 편성할 필요가 있다고 인식하였다. 넷째, 특수교사는 고등학교와 산업체와의 산학협력을 통해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일자리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고 인식하였다.

      • 흙을 주제로 한 예술-과학통합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생태적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최영혜,백지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9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9 No.11

        본 연구는 흙을 주제로 한 예술-과학통합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생태적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대구광역시에 소재한 I유치원의 만 4-5세 종일반 유아 36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임의배정 하였다.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흙을 주제로 한 예술-과학통합 활동을 18회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누리과정에서 제시에 따른 생활주제에 맞춘 바깥놀이활동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검사도구는 이경민(2000)이 수정·보완한 과학적 탐구능력검사와 김명선(2015)의 생태적 감수성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두 집단의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여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고 분석결과 흙을 주제로 한 실험집단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생태적 감수성에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흙을 주제로 한 예술-과학통합 활동이 유아들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생태적 감수성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흙을 주제로 한 예술-과학통합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생태적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최영혜 ( Choi Younghye ),백지혜 ( Baek Jeehea ) 열린부모교육학회 2021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흙을 주제로 한 예술-과학통합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생태적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대구광역시에 소재한 I유치원의 만 4-5세 종일반 유아 36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임의배정 하였다.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흙을 주제로 한 예술-과학통합 활동을 18회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누리과정에 따른 생활주제에 맞춘 바깥놀이 활동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검사도구는 이경민(2000)이 수정·보완한 과학적 탐구능력검사와 김명선(2015)의 생태적 감수성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두 집단의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여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고 분석결과 흙을 주제로 한 예술-과학통합 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생태적 감수성에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흙을 주제로 한 예술-과학통합 활동이 유아들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생태적 감수성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effects of soil-themed art and science integrated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scientific inquiry ability and ecological sensibility. A total of 36 young children aged 4-5 years old in a full-day class at I kindergarten located in Daegu Metropolitan City were selected for both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for this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a total of 18 soil-themed art and science integration activities for 9 weeks. The testing of scientific inquiry ability by Lee (2000) and ecological sensibility testing by Kim (2015) were modified and used for research tool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 covariance analysis (ANC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upon analyzing the effects of soil-themed art and science integrated activities on the scientific inquiry ability of young children, the post-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in the total score of the scientific inquiry ability. Secondly, upon analyzing the effects of soil-themed art and science integration activities on the ecological sensibility of young children, the post-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in terms of the total score of the ecological sensibility.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soil-themed art and science integration activities are effective in improving young children’s scientific inquiry ability and ecological sensibility.

      • KCI등재

        인도메타신의 용해도에 미치는 계면 활성제의 영향

        김경순,최영혜 대한약학회 1984 약학회지 Vol.28 No.3

        To improve the solubility properties of indomethacin, a poorly water-soluble drug, some attempts were made with surfactants, such as sodium deoxycholate, sodium laurylsulfate and polysorbate-80. The enhancement effect in solubility was found to be due to the micellar solubilization and dependent on the concentration of surfactants, pH and temperature. The mechanism of interaction was suggested to be attributed to the formation of mixed micelles between the drug and solubilizers.

      • 여대생의 에너지드링크 섭취 실태와 수면의 질에 관한 연구

        윤수연,최영혜,강정아,곽민경,우수진,이유나,이연주,임해진,최하나 이화여자대학교 간호과학대학 2013 이화간호학회지 Vol.- No.47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take of energy drinks, sleep quality and relationship of intake of energy drinks and sleep quality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Method: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250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se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method from 8 October to 15 October 2012.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otal, Chi-square test, one-way ANOVA and independent t-test using the SPSS/WIN program. Result: Energy drink intake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Chi-square test (χ²=7.672, p=0.022). Drinking alcohol and energy drinks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Chi-square test (χ²=4.255, p=0.039). Exercise and energy drink intake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Chi-square test (χ²=7.573, p=0.023). The mean sleep quality score was 38.5±8.2. Conclusion: Further research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energy drinks intake and sleep quality is needed. Nurses, as educators, need to suggest the risks of energy drink intake and aid the students to adjust their amount of intak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