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행정 직원의 직무스트레스 및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최수찬,이은혜,원경림,조영림,김다솜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7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at the essence of university administrative staff’s job stress and relevant characteristics that could influence their stress at work. For this research, we collected 250 samples of university administrative staffs in Seoul from March to April, 2017 and used 227 ones for final analys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rganizational commitment, organizational culture,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job characteristics (job satisfaction, job control, emotional labor) tended to be significantly associated to Job stress.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Employee Assistant Program (EAP) should be launched in order to provide integrated services for university staff. Second, diverse psycho-social services, such as consultation, leisure activities, and empowerment, should be provided by utilizing the resources of university. Lastly,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needs to support for enhancing the staff's work environments. 본 연구는 대학 행정 직원의 다양한 직무스트레스와 그 영향 요인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대학 행정 직원의 근로환경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사회복지적 개입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2017년 3월부터 약 5주간 서울 소재 4년제 대학교에 근무하는 행정 직원 250명을 대상으로 편의 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중 227부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조직적 특성(조직몰입, 조직문화, 조직 지원)과 직무 특성(직무만족, 직무 통제, 감정노동)은 직무스트레스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른 제언으로 첫째, 통합적이고 다양한 문제에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근로자지원프로그램(EAP) 도입이 필요하다. 둘째, 대학이 갖고 있는 자원 및 인프라를 활용한 다양한 형태의 복지 서비스(상담, 여가활동 기회 제공, 역량 강화 교육 등) 제공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대학 행정 직원의 업무환경 개선을 위한 지자체 및 교육청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중소기업 기혼 근로자의 직장 - 가정 갈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기업내 가족친화제도의 조절효과

        최수찬,김종성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6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Vol.13 No.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oderating effects of family-friendly policies on the effects of work-family conflicts on the job satisfaction of married workers i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This research utilized the data collected by Korea Workers’ Compensation & Welfare Service in 2011, and finally analyzed the survey responses of 144 married workers in the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The research examined general and variable features through frequency, descriptive, and correlation analyse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also applied in order to figure out the moderating effects of family friendly policies. The followings ar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first, the directions of work-family conflict affecting job satisfaction varied and only the Work to Family Conflict(WFC) affected negatively on job satisfaction. Second, family-friendly policies statistically prove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relations between the Work to Family Conflict(WFC) and the job satisfaction. Therefore, family-friendly policies should be more adapted among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in order to minimize the individual workers’ work-family conflicts as well as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management through job satisfaction. 그간 우리나라 중소기업에서 근무 중인 기혼 남녀 근로자를 대상으로 일·가정 양립을 위한 가족친화제도의 효과성에 대한 실증적 연구는 거의 전무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직장-가정 갈등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서 가족친화제도 이용의 조절효과를 측정함으로써 중소기업내 가족친화제도의 유효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가족친화제도의 도입 및 활성화를 위한 이론적·정책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근로복지공단(2011)의 ‘중소기업 근로자의 복리후생제도 이용현황 및 욕구 조사’자료를 이용하여 다양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가정 갈등에서 직장→가정 갈등이 직무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장-가정 갈등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에서 가족친화제도의 조절효과는 직장→가정 갈등에 부(-)적인 영향을 완화하는 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가족친화제도의 도입 및 활성화를 위한 이론적·정책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맞벌이 여부에 따른 직장-가정간 갈등과 직무만족도

        최수찬,우종민,박웅섭,김상아 大韓産業醫學會 2009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21 No.1

        목적 본 연구에서는 기혼의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직장 역할에 참여함으로서 가정역할 수행이 어려운 경우와 반대로 가정역할에 참여함으로서 직장 역할 수행이 어려운 경우에 발생하는 직장-가정 간 갈등과 같은 스트레스가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맞벌이 여부에 따른 차별적 영향의 가능성을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방법 서울과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는 직장인 1,000명을 대상으로 우편설문을 실시하여 44.0%의 회수율을 보였으며 본 연구의 주제인 맞벌이 여부에 맞도록 기혼상태로 보고한 236부의 설문지만을 최종 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전산입력 후 SAS 1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결과 직무만족도를 종속변수로 이변량분석에서 유의한 변수들을 독립변수로 한 다중희귀분석수행결과 홑벌이에 있어서는 직장이 가정에 끼치는 갈등이 감소할수록 직무만족도가 유의하게 높았고(p<0.05) 맞벌이에서는 가정이 직장에 끼치는 갈등이 감소할수록 직무만족도가 유의하게 높았다(p<0.05) 결론 맞벌이 여부에 따라 경험하는 직장-가정과 관련된 스트레스의 내용에 차이가 있으므로 추후 기업 내에서 근로자들의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홑벌이와 맞벌이와 같은 가족형태에 따른 차별적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Objectives Work family conflict can arise from two opposite directions the experiences at work interfere with family life and the experiences in the family interfere with work life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the presence of two income sources on the association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Job attitude Methods Responses to structured survey questionnaires were received from 236 two-income families liv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Results A differential effect was observed between single income families and two-income families Higher job satisfaction was related with lower work interference with family (WIF) among single-income families and with lower family interference with work (FIW) among two-income families Conclusions Employee welfare programs need to be expanded to enhance job satisfaction for the increasing number of two-income families

      • KCI등재

        복지시설 종사자의 소진에 미치는 직업관련 요인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수찬,김상아,전지영,박웅섭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08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the meaning of the burnout of welfare facility worker by researching the job-concerned factors giving effect to burnout of welfare facility worker from various aspects. In order to perform the purpose, the researcher performed questionnaire via post mail to social welfare works, who have worked in total 681 social welfare facilities for more than 2 years, or similar workers and he selected total 369 papers for final analysis. The study applied structure equation model and searched for optimum model explaining how job-concerned factors such as long time work, existence of fixed rest time, client violence and job stress give effects to the burnout of welfare worker and the burnout itself.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job stress plays the role of mediu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 factors including insufficient resting hour and client violence and burnout of welfare facility worker. In order words, risk factors including insufficient fixed rest time and client violence give negative effect to the burnout of welfare facility worker directly. Moreover, it is grasped that it increases job stress of welfare facility worker and that the job stress gives negative effect to his burnout. Through the study result, the researcher suggests to reduce stress and the factor aggravating mental health by establishing the fixed rest time for welfare facility worker and improving working condition such as protection from client violence. 본 연구는 서울시 복지시설 종사자의 소진에 미치는 직업관련 요인들과의 관련성을 다각적으로 살펴봄으로써 복지시설 종사자의 소진에 대한 함의를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서울시 소재 사회복지시설 총 681개소에서 2년 이상 근속한 복지시설 종사자를 대상으로 우편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총 368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는 장시간근무 여부, 정규적 휴게시간 유무, 클라이언트 폭력과 같은 직업관련 요인들과 직무스트레스가 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소진에 어떠한 경로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조방정식모형을 적용하여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직무스트레스는 정규적 휴게시간의 부족과 클라이언트 폭력이라는 위험요소와 복지시설종사자의 소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정규적 휴게시간의 부족과 클라이언트 폭력이라는 위험요소는 복지시설 종사자의 소진에 직접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복지시설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를 가중시키고, 이러한 직무스트레스는 복지시설 종사자의 소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복지시설 종사자의 휴게시간 마련, 클라이언트 폭력으로부터 보호 등의 근무조건을 개선하여 복지시설 종사자의 스트레스 및 정신건강 악화 요인을 감소시켜야 함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Loneliness, suicidal ideation, and resilienc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최수찬,윤수경,차훈민,박가희,고수연,민진아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22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72 No.-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how loneliness affected suicidal idea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on this relationship during the COVID-19 pandemic. Data was collected by surveying 1,000 participants over the age of 18 who lived in regions where there were many confirmed COVID-19 cases as of February 2021, namely Daegu, Gyeongbuk, Gyeonggi, and Seoul. The SPSS PROCESS macro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lonelines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uicidal ideation and that resilience mediated this relationship. Based on these results, this paper presents policy and other practical measures that should be taken to prevent adult suicid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KCI등재

        서울시 사회복지시설 근무 사회복지사들의 직무스트레스 수준

        최수찬,김상아,이정은,박웅섭 大韓産業醫學會 2007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9 No.4

        목적: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 실태를 알아보고,복지시설 유형과 직업조건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서울시 소재 681개 사회복지시설에 근무 중인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우편설문을 시행하였으며 ,최종 분석 사용된 설문지는 총 432부였다.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KOSS)의 단축형을 사용하여 직무스트레스를 측정하였고,빈도분석,t-test,AN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노인복지시설의 경우 타 기관에 비해 직무요구,직무자율성결여,보상부적절로 인한 스트레스 수준이 모두 높게 나타났다. 작업조건별로는 업무형태,근무시간, 정규휴식시간,직위에 따라 직무스트레스 수준에 차이가 있었다. 서비스와 행정을 둘 다 수행하는 경우에 직무스트레스총점,직무요구,관계갈등,직무불안정,조직체계,보상부적절, 직장문화 영역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이 높았고,근무시간이 10시간 이상인 경우에 직무요구 영역에서 ,일선 및 선엄사회복지사가 직무자율성결여 및 보상부 적절로 인한 직무스트레스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또한 정규휴식시간 유무에 따라서는 직무스트레스 총점 및 직무스트레스의 7개 하위 영역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적절한 관리하기 위해서는 서비스와 행정업무 병행에 대한 조치 및 정규휴식시간 확보가 필요하고,특히 노인복지시설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적절한 관리가 필요하다. Objectives: To investigate the level and variation of job stress according to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and work conditions among social workers in Seoul. Methods: For this survey,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administrated to 1,000 social workers working in organizations for social welfare practice in Seoul. A total of 432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received (43.2% response rate). Results: Social workers working in welfare organizations for the aged had higher job stress in the areas of job demand, insufficient job control and lack of reward than those in other welfare organizations. In addition, higher job stress was found in those in charge of both service and administrational work, without regular time for rest, working over 10 hours, in the frontline and senior grade. Conclusions: This study confirms the importance of guaranteeing regular time for breaks in the work schedule and of considering the service and administrational work ratio in job arrangement in order to alleviate stress of social workers.

      • KCI등재

        중소기업 근로자들의 직장-가정 간 전이가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복리후생제도의 조절효과

        최수찬,이희종,정선아,이지선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27 No.3

        본 연구는 직장생활과 가정생활 사이에서 조화로운 삶을 위해 제공되는 복리후생 제도가 대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악한 중소기업의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직장-가정 간 전이(직장-가정 부정적 전이: WFN, 직장-가정 긍정적 전이: WFP, 가정-직장 부정적 전이: FWN, 가정-직장 긍정적 전이: FWP)가 조직몰입(OC)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확인하고, 직장에서 제공되는 복리후생제도(EB)의 조절효과를 알아본 연구이다. 본 연구는 수도권 소재의 중소기업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조사되어 총 269부가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조직몰입에 직장-가정 부정적 전이(WFN), 직장-가정 긍정적 전이(FWP), 복리후생제도가 유의미한 영향을 끼쳤으며 복리후생제도는 직장-가정 부정적 전이(WFN)가 조직몰입에 끼치는 영향만을 조절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소기업 근로자들의 부정적 정서를 관리하고, 긍정적 정서를 보다 강화시킴으로써 조직의 성과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며, 이 때 복리후생 제도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콜센터 종사자의 소진에 관한 연구: 직장 내 폭력, 조직지원인식, 여가활동의 영향력 분석

        최수찬,윤수경,임정수,민진아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2 사회과학연구 Vol.61 No.2

        본 연구는 콜센터 종사자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탐색하기 위해 환경적 요인(직장 내 폭력)과 보호요인(조직지원인식, 여가활동)으로 접근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해 2021년 1월부터 3월까지 서울시 소재 통신, 금융(카드, 은행, 보험), 유통(백화점, 쇼핑몰, 홈쇼핑) 관련 민간기관 콜센터에서 근무하는 종사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데이터를 활용하였고, 총 398명을 분석하였다.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 영향력 분석을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고객의 정신적·성적 폭력은 정적인 방향에서 유의한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호요인인 조직지원인식과 여가활동은 소진에 부적인 방향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들 요인 간 소진에 미치는 영향력 비교 결과, 조직지원인식이 가장 큰 영향력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고 고객의 정신적·성적 폭력, 여가활동 순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콜센터 종사자의 소진 예방을 위해서 필요한 정책적·실천적 방안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장애인일자리 사업 참여자가 지각한 임파워먼트와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 행정도우미로 근무하는 장애인을 중심으로

        최수찬,손인봉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2013 장애와 고용 Vol.2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 행정도우미가 지각한 임파워먼트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양자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장애인 행정도우미의 조직몰입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정책적·실천적 함의를 제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2년 8월 27일부터 9월 14일까지 약 3주에 걸쳐, 수도권의 시·군·구청 및 읍·면·동 주민센터 253개소의, 장애인 행정도우미 253명을 대상으로 우편조사와 전자우편조사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장애인 행정도우미의 임파워먼트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SPSS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장애인 행정도우미가 지각한 임파워먼트가 직무스트레스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고, 직무스트레스 또한 조직몰입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동시에 임파워먼트가 조직몰입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직무스트레스는 부분매개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장애인 행정도우미의 조직몰입도를 높일 수 있는 정책적·실천적 함의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poli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improving organizational commitments of public assistants with disabilities, by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between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data of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253 public assistants with disabilities of 253 community centers located at Seoul,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from August 27 to September 14, 2012. In analysis, 236 datasets were used, excluding those having many missing data. Multiple regression was employed for mediating effect analysis using SPSS 19.0. The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empowerme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job stress. These results imply that job stress should be diminished to improve organizational commitments of public assistants with disabilities. In addition, empowerment need to be emphasized as a strategy to reduce job stress and to promote organizational commitments of public assistants with disab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