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조금 배분과 행정, 정치 - 국고보조금과 균형발전특별회계를 중심으로-

        최낙혁,권향원 경인행정학회 2023 한국정책연구 Vol.23 No.1

        This study analyzes the drivers of allocating specific grants and block grants in Korea. As the distribution process and specific criteria for government grants are not transparently disclosed,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mainly on political variables as the determinants of grant allocations. However,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conduct an empirical analysis by considering both administrative and political capacity as factors that could influence the allocation of these two grants, both of which have an application-based nature. We collected and analyzed data from 226 local governments from 2013 to 2019, and performed a regression analysis using a fixed effects model. While the results showed that political capacity remained an important factor, we also discovered that administrative capacity was a significant variable and that the control variable of regional development was effective for the specific grant.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we can conclude that efforts by local governments to enhance their administrative capacity are necessary.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국고보조금과 균형발전특별회계보조금 배분의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보조금의 배분과정과 세부적인 기준이 투명하게 공개되어 있지 않아서, 선행연구들은 주로 정치적 변수에 초점을 두고 분석하여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신청주의 성격을 가진 두 보조금에 행정적 변수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지방정부의 역량으로서 행정역량과 정치역량을 함께 고려한 실증분석을 시도하였다. 226개 기초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2013년부터 2019년까지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자료를 구성하였고, 고정효과 모형으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정치역량이 여전히 유효한 영향요인이지만, 행정역량 역시 중요한 변수라는 점과 통제변수인 지역발전 변수는 국고보조금에 더 유효하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행정역량의 강화를 위한 지방정부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적극행정 활성화를 위한 제언: 공직자의 관점에서

        최낙혁,조형석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2022 국정관리연구 Vol.17 No.1

        The study aims to evaluate the policies for promoting proactive administration and present policy implications. Policies for proactive administration promotion were implemented in earnest by the current government since 2019. The study analyzed the polices of the administration and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respectively. As a result of the study, awareness of proactive administra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system were still insufficient, and there was room for improvement in the performance of the proactive administrative support system. In addition, it was pointed out that there is a problem with the system operation of local governments and public institutions with relatively weak foundations. As a policy direction for system improvement, the following measures were proposed: expansion of incentives to raise awareness of proactive administration, improve audit practices, improvement of proactive administration support systems, improvement of public relations and regulations, and active support for local governments and public institutions. 본 연구의 목표는 공직자의 관점에서 적극행정 활성화 정책을 진단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2019년 이후 현 정부에서 본격적으로 추진된 적극행정 활성화 정책을 행정부와 감사원으로 구분하여 설명하고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공직자의 관점에서 정책적 미비점을 진단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정책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적극행정에 대한 인식과 제도에 대한 이해가 여전히 충분하지 못하고, 적극행정지원제도의 성과도 개선의 여지가 있었으며, 상대적으로 기반이 취약한 지방 및 공공기관의 제도운영에 문제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제도 개선을 위한 정책방향으로서 적극행정 인식을 제고하기 위한 인센티브 확대 및 감사관행 개선, 적극행정 지원제도 내실화를 위한 교육・홍보 및 규정 개선, 지방 및 공공기관의 제도운영 활성화를 위한 적극적인 지원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지방 지속가능성의 영향요인 탐색 연구

        최낙혁,권향원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23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7 No.4

        본 연구는 지방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경제적 요인으로서 지역경제발전과 인구성장의 영향요인을 탐색 하였다. 기존의 성장 중심의 영향요인 분석과 더불어 지속가능성을 위한 사회·환경적 변수를 객관적 지표와 간주관 적 지표를 함께 사용하여 구성하였다. 회귀분석을 통해 전국 226개 기초지방자치단체를 분석한 결과, 객관 지표로 측정된 산업·일자리 요인과 보건복지 요인이 경제발전과 인구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편 간주관 지표로 측정된 환경 변수는 경제발전에는 부정적, 인구성장에는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객관적 지표와 더불어 주민들의 의견이 반영된 간주관적 지표가 함께 사용되어야 하 며, 지방의 경제, 환경적 특성을 고려한 차별적인 정책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찾을 수 있었다. This study explores the factors influencing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and population growth as economic factor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localities. In addition to analyzing the growth-oriented factors, this study constructs social and environmental variables for sustainability using both objective and intersubjective indicators. Regression analysis of 226 local governments nationwide shows that objective indicators such as industrial and employment factors, as well as healthcare factors, have a positive effect on economic development and population growth. On the other hand, environmental variables measured by intersubjective indicators were found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economic development but a positive impact on population growth.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it is necessary to use both objective and intersubjective indicators, reflecting the opinions of residents, and to develop tailored policies that consider the unique economic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each locality.

      • KCI등재

        재난안전 대응체계에 관한 네트워크 분석: 감염병 재난대응을 중심으로

        최낙혁,최슬기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2 사회과학연구 Vol.33 No.2

        This study evaluated the emergency management system and presented its policy implications. Among the various types of disasters, the infectious disease disaster was set as the analysis target considering of the COVID-19 pandemic. The analysis data were obtained from the Infectious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ct and the emergency management manual. The analysis methods were literature research and network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KCDC, local governments, and healthcare workers were central actors in the network of the act. In addition,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KCDC,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and local governments were identified as central actors in the standard manual network. On the other hand,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 agencies and the collabor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private sector, which are essential for disaster response, were not described specifically. These analysis results suggest that Korea's infectious disease disaster response system still faces the limitations of being composed of an order-control system despite the changes in emergency management.

      • KCI등재

        기간제 노동자의 지위변동 요인에 관한 연구

        최낙혁,권혁주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10 政策分析評價學會報 Vol.20 No.2

        2007년 7월부터 시행되고 있는 기간제 보호법의 중요한 정책수단은 기간제노동자의 사용기간을 2년으로 제한하고 이를 초과할 경우 정규직으로 전환시키는 것인데, 여기에는 사용기간의 제한이 노동지위 변동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생각이 전제되어 있다. 본 연구는 이 점에 착안하여 사용기간제한을 대리하는 변수로 근속기간을 설정하고, 정책개입이전의 노동시장에서 과연 근속년수가 노동지위의 변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근속년수는 정규직 전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실업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근속1년은 그 이상에 비해 정규직 전환에 매우 불리하였으나, 2년 이상의 근속년수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규직 전환에 영향을 미치는 기타변수의 효과를 보면 노동공급측면에서 여성이 매우 불리하고, 노동수요측면에서 산업은 제조업이 유리하며, 직종은 생산직이 특히 불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통해 정책수단으로 사용기간제한을 택한 것은 과학적인 근거가 있고, 취약계층인 여성과 생산직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지방정부 효율성과 역량에 대한 실증적 연구

        최낙혁(NakHyeok Choi)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1 사회과학연구 Vol.32 No.2

        This study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l government efficiency and government capacity in Korea. There have been various discussions on the developmental policies of local governments in the social sciences and public administration. However, few studies present empirical findings that provide a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 efficiency and capacity. To fill the gap, this study developed a theoretical framework and used it to analyze the relationship empirically. Government capacity was measured based on multiple factors in human and financial resources, and government efficiency was computed from DEA. The study employed the fixed-effect model for regression analysis using panel data containing four years of information on 152 local governments. As a result, the quality of government capacity affected government efficiency; however, quantitative factors, such as the number of employees and total expenditur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or negatively affected. From the results, the study recommends that local governments increase their efficiency by improving their managerial efficiency and improving their capacity to raise revenue autonomously.

      • KCI등재

        지방정부제도와 사회기반시설 지출의 성과: 미국 플로리다 67개 카운티를 대상으로

        최낙혁 ( Nakhyeok Choi ) 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2017 국가정책연구 Vol.31 No.1

        본 논문은 미국 플로리다 주의 67개 카운티 (county) 정부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지방정부의 사회기반시설 투자 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실증적 분석을 위해, 종속변수는 도로(public road) 지출의 효율성으로 설정하고, 자료포락분석을 통하여 효율성 점수를 도출하였다. 핵심 독립 변수인 지방정부제도 변수로는 정부권력 구조, 선거제도, 지방정부의 헌장 (charter), 선출직위원의 수를 이용하였다. 또한 통제변수로, 재정역량과 인구밀도를 투입 하였다. 분석자료는 총 67개 카운티의 5개년도 패널자료를 이용하였고, 분석방법으로는 효율성 측정을 위해 자료포락분석(DEA)을, 회귀분석을 위해 패널수정표준오차모형을 채택하였다. 분석결과, 지방정부제도와 정부성과에는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미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factors that affect performance of infrastructure in Florida`s 67 county governments. To achieve the purpose, I set the dependent variable as efficiency scores from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The key independent variables are government power structure, election system, charter, and the number of commissioners focusing on institutional factors. Control variables are fiscal capacity and population density. Holding panel data with five years and 67 counties, this study employed DEA for measuring efficiency scores and Panel Corrected Standard Errors model for regression analysis. Findings show that there is a statistically strong relation between institution and performance.

      • KCI등재

        노동조합의 기능

        최낙혁(NakHyeok Choi)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7 사회과학연구 Vol.28 No.2

        Since 2011, labor policies restricting the activities of labor unions, such as the Time-off, were implemented. Before and after the policies, there were huge social controversies about the policies’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Here and now, after about 7 years later, it is meaningful for public policy studies to review the function of labor unions in terms of what Korean labor unions have done and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function of the unions since 2011. The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labor unions on work satisfaction and job stability to investigate the role of labor unions in the perspective of employees’ benefit. Analysis materials were from the personal data of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KLIPS) which covers 14 years (2002-2015), and I appended them to make a panel data-set. Utilizing Ordered Logit Model and Binary Logit Model, the study found the existence of labor union in the job and workers’ union membership positively affected work satisfaction and job stability variables. Such results were similar to the results of the other test format in which samples were divided into regular and irregular workers. Among control variables, blue collar workers were likely to be less satisfied with their jobs than other types of jobs. Also, workers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were more stable in keeping their current job compared to ones in the whole and retail sales industry and the mining industry. From the regression results, Korean labor unions seem to do function well in work satisfaction and job stability so far. In addition, the study found the positive effect of 2011 variable, which implies that the change of labor policy in 2010 has not damaged the benefit of workers, such as work satisfaction and job stability.

      • KCI등재

        U.S. State Government Capacity and Federal Grant

        최낙혁 ( Nakhyeok Choi ) 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 2017 국정관리연구 Vol.12 No.1

        본 논문은 미국 경기부양법(ARRA)하에서 배분되었던 교통관련 보조금의 획득 및 집행에 관한 연구이다. 어떤 주정부들은 다른 주들에 비해서 보다 많은 보조금을 획득했고, 보조금 집행기한 내에 더 효과적으로 집행하였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차이점이 발생한 이유를 주 정부의 역량 개념과 관련 데이터를 활용하여 설명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연구 질문은 보조금의 획득과 집행, 두 단계에 따라 두 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1)어떤 요인들이 주정부의 경쟁적 보조금 획득에 영향을 미치는가? (2)어떤 요인들이 주정부의 경쟁적 보조금과 공식보조금의 집행에 영향을 미치는가? 핵심 독립변수인 정부역량은 인적자원, 재정적 자원, 일반적 관리 능력, 관련 경험 등 4가지 요소로 구성되었다. 회귀분석을 통하여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인적역량, 재정역량, 경험 변수들이 경기부양법의 교통 관련 보조금의 획득 및 집행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임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examined transportation grants provided to states under the American Recovery and Reinvestment Act of 2009 (ARRA). Some states acquired more grants and utilized them in a timelier manner than others. This study examined why this is the case, utilizing the concept of Government Capacity and related data. Human resource and financial resource capacities were viewed as the principal drivers of success and studying this managerially controllable variables underpin the analysis. There are two research questions, aligned with the two stages: (1) what factors affect state governments in the acquisition of competitive grants? (2) what factors affect state governments in the implementation of competitive and formula grants? Government Capacity consists of four components, namely human resources, financial resources, general management, and experience. Overall, the regression test results showed that three dimensions of government capacity played a significant role to varying extents with respect to ARRA: human resource, financial resource, and experience. The study concluded that specific aspects of Government Capacity were thus relevant predictors of the acquisition and the implementation of ARRA grants.

      • KCI등재

        정부조직 칸막이 효과(silo effect) 대응에 대한 국제비교연구: 일본, 싱가포르, 중국, 대만의 이민행정 체계를 중심으로

        권향원,최낙혁 서울행정학회 2023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33 No.4

        This study focused on the ‘silo effect’, which refers to the fragmentation that inhibits cooperation and collaboration among government organizations. Moreover, the researchers reviewed the type of responses being carried out in the organizational system of major Asian countries adjacent to Korea, from a comparative perspective, paying attention to the immigration administration field.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derive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and reorganization of the Korean government organization system in the futur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each country had established a separate dedicated agency to converge the authority and function of immigration policies dispersed in each ministry, and assigned roles of planning, coordination, and connection. For example, Japan has the ‘Immigration and Residency Administration’ (an external office under the Ministry of Justice), Singapore has the ‘Immigration and Checkpoint Office’ (a foreign office under the Ministry of Home Affairs), Taiwan has the ‘Immigration Office’ (a foreign office under the Ministry of Home Affairs), and China has the ‘National Office’ which includes dedicated agencies such as the Immigration Bureau (a deputy minister level office unit).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the researchers discussed the implications for Korea’s future immigration administrative organization system and overall government organization system. 본 연구는 정부조직 사이에서 협력과 협업이 저해되는 분절성을 의미하는 개념인 ‘칸막이 효과’ 혹은 ‘사일로 효과’(silo effect)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한국과 인접한 아시아 주요 국가들은 이러한 사일로 효과를 극복하기 위하여 조직체계 상에 어떠한 대응을 수행하고 있는지를 이민행정 분야에 주목하여 비교론적 시각에서 검토하였다. 연구자들은 이러한 작업을 통해 향후 한국 정부조직 체제의 개선 및 개편을 위한 실무적인 함의를 도출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분석결과 각국은 각 부처에 분산된 이민정책의 권한과 기능을 수렴하기 위하여 별도의 전담기관을 설립하여 기획・조정・연계의 역할을 부여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가령, 일본은 ‘출입국재류관리청’(법무부 산하의 외청), 싱가포르는 ‘이민 및 체크포인트 담당국’(내무부 산하의 외청), 대만은 ‘이민서’(내정부 산하의 외청), 중국은 ‘국가이민관리국’(차관급 청 단위) 등의 전담기관을 두고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의 향후 이민행정 조직체계 및 정부조직 체계 전반에 주는 시사점을 함께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