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인삼 재배환경의 엔도설판 처리 토양 중 잔류량 변화 및 4년생 인삼의 흡수이행

        최근형,송아름,문보연,김경진,정건희,이효섭,손경애 한국농약과학회 2021 한국농약과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21 No.11

        Endosulfan은 유기염소계 살충제로서 국내에서는 담배의 땅강아지, 거세미나방, 뽕나무의 애바구미 방제용 토양 살충제로 사용되었으며 배추의 벼룩잎벌레를 구제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토양 잔류성이 길고 독성이 높아 2004년 식용작물에 등록이 금지되었으며 2009년 스톡홀름협약에서 잔류성유기오염물질(POPs)로 등록되어 2011년 국내 농약등록이 취소되었다. 그러나 대사물의 토양잔류성이 길고 환경에 따라 토양반감기가 큰 차이를 보여 현재까지도 작물 재배지에서 검출되고 있으며, 다양한 작물에서도 검출된 바 있다. 그 가운데 4년~6년간 재배하는 인삼은 토양잔류 농약의 이행우려가 높으며 인삼재배환경은 일반적인 재배환경과 달라 토양잔류농약의 동태도 다른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나 장기간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토양에 처리한 endosulfan의 인삼재배환경 중 잔류량 변화와 인삼의 연차별 흡수이행정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시험방법은 토양에 endosulfan을 2수준의 농도로 처리하고 인삼을 재배하여 4년간 토양잔류농도를 조사하고 4년생 인삼의 이행정도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endosulfan 처리 후 1년 동안은 토양 잔류농도가 감소하였으나 2년차부터 4년차까지 거의 감소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삼 중 endosulfan의 잔류농도는 2년생 인삼에서 가장 높았으며 토양 잔류농도보다 2~3배 높은 농도로 검출되었다. 그러나 3년생과 4년생으로 갈수록 인삼의 생육량이 커짐에 따라 잔류농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으나, 수확시 토양 잔류농도 대비 최대 2배의 농도로 검출되었다.. 본 시험을 통해 토양에 잔류하는 농약의 경우 인삼재배환경에서는 분해되지 않으며, 인삼 중 잔류농도는 수확시 토양 중 농도의 2배가량 검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 KCI등재

        Predicting the Invasion Pathway of Balanus perforates in Korean Seawaters

        최근형,최현우,김일회,홍재상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013 Ocean and Polar Research Vol.35 No.1

        The European Common Barnacle Balanus perforatus Brugiére (Crustacea, Cirripedia) has been introduced into the east coast of Korea, presumably via the ballast water of ships. The species has since been spreading along both the northern and southern coast to the east, most likely due to alongshore currents. We predicted the potential range expansion of Balanus perforatus in Korean waters using Genetic Algorithm for Rule-set Prediction (GARP), an environmental niche modeling technique. The results show that much of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Korea could be colonized by the spread of the nonindigenous species, but that the west coast is unlikely to be invaded. More sampling on the west coast would enhance the predictability of the model.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its kind for predicting marine nonindigenous species in Korean waters using GARP modeling.

      • KCI등재후보

        여성의 근무형태와 연령에 따른 무지 외반각도와 제1 중족족지관절 운동한계각도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최근형,박광용,변상준,박승환,Choi, Geun-Hyung,Park, Kwang-Young,Byun, Sang-Joon,Park, Seung-Hwan 대한물리치료학회 2011 대한물리치료학회지 Vol.23 No.5

        Purpose: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angle of the hallux valgus and dorsi-flexion of the 1st metatarsophalangeal joint (1st MPJ) as a physical factor that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healthy human walking.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65 female adults (130 feet) and the methods used included recording of real measurements and conducting a questionnaire. The acquired data is analyzed by the 'Simple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Repeated Measures Analysis' methods. Results: The research result shows that the left area of -0.74706 and the right area of -0.76 have a relatively high negative correlation (p<0.00). Also, after conducting the 'Repeated 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of the angles of the hallux valgus and dorsi-flexion of the 1st metatarsophalangeal joint (1st MPJ), the result also shows that the left and right areas of -0.75 have a relatively high negative correlation.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for the identification of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angle of the hallux valgus and dorsi-flexion of the 1st MPJ.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confirmed that there is a clear tendency for the average distribution rates of Hallux Valgus and Hallux Rigidus (Hallux Limitus) of women to show a higher increase in proportion to age.

      • 토양 처리 procymidone의 당근에 대한 흡수 이행 및 토양반감기

        최근형,송아름,문보연,김경진,홍준호,이상범,이효섭,손경애 한국농약과학회 2021 한국농약과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21 No.11

        Procymidone 농약은 현재 특정 12종 작물에만 사용하도록 규정되어 있으며, 그 외의 작물에는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 근채류에 대한 procymidone 농약의 MRL은 0.05 mg/kg로 설정되어 있으나 몇몇 작물에서 검출되고 있으며 근채류 특성상 토양 중 잔류된 농약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높아 우려되고 있다. 이에 근채류 중 소비량이 많은 당근 작물을 기준으로 토양 중 잔류 procymidone의 작물 이행 정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험은 야외 포장 실험과 포트 실험으로 나눠 진행하였으며, 재배 면적에 따른 procymidone의 평균 처리량을 계산하여 시험 포장과 포트에 처리하였다. 처리 후 경과 시간에 따라 토양 중 procymidone의 반감기를 산출하였다. 재배한 당근은 2차례 나눠 수확하였으며 분석 결과를 이용해 식물 흡수 이행 계수 (Plant uptake factor, PUF)를 산출하였다. 야외 포장 실험 결과, 토양 초기 농도는 2.66 mg/kg, 1차 수확 토양에서는 1.44 mg/kg, 2차 수확토양에서는 0.13 mg/kg로 검출되었다. PUF는 1차 수확에서 0.416, 2차 수확에서 0.206으로 확인되었으며 2차 수확에서 PUF가 낮아진 것은 1차 수확시기에 비해 2차 수확 시기의 지하부가 생장함에 따른 영향으로 보인다. 또한, 시험기간 중 procymidone의 반감기는 당근 재배 토양에서 25일로 확인되었다. 포트 실험 결과, 초기 토양 농도는 0.9 mg/kg로 확인 되었으며, 수확 후 PUF를 산출하였을 때 0.427~0.525 정도로 야외 포장의 1차 수확 PUF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며 포트 재배 특성상 작물의 성장량이 크지 않아 위와 같은 결과가 나온 것으로 예상된다.

      • KCI등재

        동중국해 북부해역의 동물플랑크톤 크기그룹별 생체량의 분포 특성 및 변화

        최근형,이창래,강형구,강경아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011 Ocean and Polar Research Vol.33 No.2

        Zooplankton is an important constituent in assessing ecosystem responses to global warming. The northern East China Sea is an important ecosystem for carbon cycling with a net sink of carbon dioxide. Despite their importance as a major component in carbon cycling, relatively little is known about zooplankton biomass structure and its regulating factors in the northern East China Sea. This study examined zooplankton biomass distribution pattern in the region from multiple cruises encompassing various seasons between 2004 and 2009. Results showed that zooplankton biomass exhibits less cross-shelf gradient in general with declining biomass to the eastern shelf towards the Tsushima Current Water. Sizefractionated biomass showed that the 1.0~2.0 mm size group, mostly copepods, dominated zooplankton biomass, comprising 38 to 48% of total biomass. Smaller zooplankton (0.2~1.0 mm) biomass, consisting mainly of Paracalanus spp, a particle eating herbivorous copepod, was positively related to chlorophyll-a concentration, but no relationship was established for larger zooplankton (1.0~5.0 mm). Spatially-averaged mean total zooplankton biomass was also highly related to chlorophyll-a concentration. These result suggest that the long-term trend of zooplankton biomass increase in this region is partly accounted for by the increases of phytoplankton biomass and productivity underway in the region. However, the underlying mechanisms of how sea surface warming in the study area leads to increased phytoplankton biomass and productivity remains unclear.

      • KCI등재

        국내생산 주곡작물의 Polychlorinated Dibenzo-p-dioxins, Polychlorinated Dibenzofurans와 Dioxin-like Polychlorinated Biphenyls 잔류량 및 섭취노출량 평가

        최근형,최달순,홍수명,권오경,은희수,김정한,김진효,Choi, Geun-Hyoung,Choi, Dal-Soon,Hong, Su-Myeong,Kwon, Oh-Kyoung,Eun, Hee Soo,Kim, Jung Han,Kim, Jin Hyo 한국응용생명화학회 2012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J. Appl. Vol.55 No.4

        PCDD/Fs 및 DL-PCBs는 농식품 잔류 유해물질 중 높은 생물독성 및 생물농축성으로 안전성 우려가 높아 많은 연구자들이 관심을 갖는 유해물질들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오염조사연구는 지방함유량이 높은 육류 및 수산물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다소비 농산물인 곡류를 대상으로 한 다이옥신 잔류분석 연구결과가 부족하여 식이섭취를 통한 다이옥신류 노출평가를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17종의 PCDD/Fs 및 14종의 DL-PCBs에 대하여 2010년산 쌀과 2011년산 보리에 대한 잔류 분석 및 이를 통한 한국인의 일일 섭취노출량을 조사하였다. 전국 8개 도에서 채취한 36점의 백미시료와 전남 및 전북에서 채취한 7점의 보리시료에 대한 잔류분석결과 백미 중 다이옥신류의 각 도별 평균 잔류량은 2.98-4.98 pg/g w.w.이었으며, 보리의 다이옥신류 평균 잔류량은 3.00-3.24 pg/g w.w.로 확인되었다. 쌀과 보리를 통한 국민 1인당 다이옥신 섭취노출량은 1.03 pg-TEQ/day/person와 0.0534 pg-TEQ/day/person 수준이었고, 이를 한국인 평균체중 55 kg을 기준으로 환산할 경우 Lower bound 시나리오의 경우 TDI대비 0.46와 0.03%였으며, Upper bound 시나리오의 경우 5.5와 0.18%로 국내산 쌀과 보리를 통한 다이옥신류 노출기여도는 미미한 것으로 판단된다. Dioxin contamination on agroproduct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 in food safety. Herein, we measured concentration of 17 dioxins polychlorinated dibenzo-p-dioxins (PCDDs) and polychlorinated dibenzofurans (PCDFs) and 14 dioxin like-polychlorinated biphenyls (DL-PCBs) in the main grain (rice and barley) that were produced in Korea. The 36 rice samples were collected from rice processing complex at eight provinces, and the average concentrations of each province were ranged from 2.98 pg/g wet weight (w.w) to 4.98 pg/g w.w. as total PCDD/Fs and DL-PCBs. The seven barley samples were collected from Jeon-nam and Jeon-buk provinces, and their average total concentrations of PCDD/Fs and DL-PCBs were 3.00 pg/g w.w. and 3.24 pg/g w.w. respectively. The residual amounts and toxic equivalent (TEQ) of DL-PCBs in rice and barley were higher than PCDD/Fs. The average total TEQ of rice and barley were 0.0056 pg-TEQ/g and 0.0092 pg-TEQ/g on lower bound estimation respectively. Estimated daily intake of dioxins from rice and barley were calculated 1.03 pg-TEQ/day/person and 0.0534 pg-TEQ/day/person respectively. These were estimated 0.46% and 0.03% of Korean TDI based on 55 kg body weigh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