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 일반 학생과 과학영재 학생의 인공지능에 대한 태도와 윤리의식 수준 및 관계 비교

        차현정,강훈식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2024 과학영재교육 Vol.16 No.1

        이 연구에서는 초등 일반 학생과 과학영재 학생의 인공지능(AI)에 대한 태도와 AI 윤리의식 수준 및 두 변인의 관계를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일반 초등학교의 5-6학년 학생 90명과 대학 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 소속된 초등학교 5-6학년 학생 87명을 선정한 뒤, AI에 대한 태도 검사와 AI 윤리의식 검사를 실시하였다. 독립표본 t-검증 결과, AI에 대한 태도의 전체와 모든 하위 영역에서 일반 학생보다 과학영재 학생의 평균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또한 AI 윤리의식 전체와 하위 영역 중 ‘안정성⋅신뢰성’, ‘투명성⋅설명 가능성’, ‘로봇의 권리’에서 일반 학생보다 과학영재 학생의 평균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그러나 ‘차별금지’와 ‘고용’에서는 두 그룹 간의 평균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상관분석 결과, 초등 일반 학생과 과학영재 학생 모두에게서 AI에 대한 태도와 AI 윤리의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특히 AI에 대한 태도의 5개 하위 영역은 AI 윤리의식 전체와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지만, 신뢰도가 높았던 AI 윤리의식의 5개 하위 영역 중에서는 3∼4개 하위 영역과만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AI에 대한 태도, 특히 하위 영역 중 ‘AI와 감정교류’ 및 ‘AI의 사회적 영향’과 AI 윤리의식의 상관계수는 초등 일반 학생보다 과학영재 학생에게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더 크게 나타났다. 이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compared the level and relationship in attitudes and ethical awareness toward Artificial Intelligence (AI) between elementary general and science-gifted students. For this purpose, 90 elementary general students in grades5-6 and 87 elementary science-gifted students in grades 5-6 were selected, and their attitudes toward AI and ethical awareness toward AI were tested. The results of the independent samples t-test showed that the means of the science-gifted studen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general students in the overall and all sub-scales of attitudes toward AI. In addition, the means of the science-gifted studen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general students in the overall and three sub-domains (‘stability and reliability’, ‘transparency and explanability’, and ‘robot rights’) of ethical awareness toward AI. However, the mean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wo sub-domains (‘no discrimination’ and ‘employment’) of ethical awareness toward AI.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attitudes and ethical awareness toward AI in both elementary general and science-gifted students. In particular, five sub-domains of attitudes toward AI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overall of ethical awareness toward AI and three or four in the five sub-domains of ethical awareness toward AI with high reliability.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ethical awareness and attitudes toward AI, especially the two sub-domains of ‘emotional interaction with AI’ and ‘social influence of AI’,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arger for the science-gifted students than for the general students.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사회과에 대한 초등 교사의 부정적 인식의 특징과 발생 구조

        차현정,송언근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3 사회과교육연구 Vol.20 No.2

        사회과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부정적 인식의 특징과 그것의 발생 맥락과 구조의 구명을 목적으로 하는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회과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관념적인 측면에서는 긍정적인데 반해, 실행적 측면에서는 부정적이다. 부정적 인식의 핵심은 사회과는 타 교과보다 지도하기 ‘어렵다’, ‘힘들고, 번거롭다’ 이다. 부정적 인식 발생의 핵심 요인은 두 가지이다. 하나는 교과의 내용 문제이고, 다른 하나는 자료 문제이다. 특히 후자가 중요하다. 어렵다가 교과서 내용과 관련된다면, 힘들고 번거롭다는 ‘교사의 수업 준비’라는 직접적 노력과 관련되기 때문이다. 부정적 인식 발생의 핵심 요인인 내용과 자료의 문제는 사회 교과의 본질적 특성, 즉 사회과 지식의 속성과 구성 과정, 탐구 대상의 내·외적 특성 등과 관련 깊다. 이들은 필연적으로 사회과 자료와 관련된다. 사회과에 대한 부정적 인식 극복은 사회과의 본질적 특성에 대한 정확한 이해로 부터 출발해야 하며, 그것의 핵심 중 하나는 사회과다운 자료에 대한 이해이다. This paper is on the characteristics and the sources of negative perception of the specificity, on the par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eachers’ perception of the specific material was negative in terms of implimentation, though positive ideologically. They thought the subject was “difficult” to teach, and “complicated and time-consuming” to be prepared for. That is, the negativity was traced to two areas: contents of the subject and their learning materials. Of the two the latter loomed larger as the source of negative perception because teacher’s effort is primarily on the preparation for learning materials which is complicated and time-consuming. The negative perception in two areas is in turn closely related to the nature of social studies, i.e., the nature and construction of their knowledg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inquiry objects. The negativity may be dissipated when the real nature of the social studies, especially of learning materials, is grasped by the teachers.

      • KCI등재

        초등 예비교사의 VR/AR 활용 과학 수업 계획 과정에서 나타나는 TPACK 특징 -인식적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차현정,가석현,윤혜경 한국과학교육학회 2023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43 No.3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PACK in science lesson planning using VR/AR content based on epistemic network analysis (ENA). Seven TPACK coding elements were derived inductively based on the existing TPACK framework. Then, th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discourse in science lesson planning was coded according to the seven TPACK coding elements and analyzed using the ENA Web Tool. The discourses of the two groups were analyzed and compared,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hich the researchers analyzed qualitatively, were clearly shown on the ENA graph. Based on these findings, the researchers argued that the ENA method is a useful research tool for analyzing the complex interactions of technology knowledge (TK), content knowledge (CK), and pedagogical knowledge (PK), which is different from previous TPACK research. Also, the researchers discussed the implications for the TPACK competency development of pre-service teachers by compa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wo groups’ discourse. 이 연구에서는 인식적 네트워크 분석(ENA)을 통해 초등 예비교사의 VR/AR 콘텐츠 활용 과학 수업 계획 과정에서 나타나는 TPACK의특징을 알아보고자 했다. 연구자들은 기존의 TPACK 프레임워크에기초하여 7개의 TPACK 코딩 요소를 귀납적으로 추출하였다. 그리고초등 예비교사들이 과학 수업을 계획하며 나누는 담화를 TPACK 요소에 따라 코딩하고 이를 ENA Web Tool로 분석하였다. 두 모둠의담화를 분석하고 비교하였는데 연구자들이 질적으로 분석한 두 모둠의 담화의 차이는 ENA 그래프를 통해 명확하게 드러났다. 이러한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자들은 ENA 방법이 기존 TPACK 연구와달리 테크놀로지 지식(TK), 내용 지식(CK), 교수 지식(PK)의 복합적상호작용을 분석할 수 있는 유용한 연구 방법임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두 모둠의 담화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통해 예비교사의 TPACK 역량 함양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장르와 레지스터 분석에서 나타난 중학생의 지구과학 주제 글쓰기의 언어적 특징

        차현정,김찬종,맹승호 한국지구과학회 2011 한국지구과학회지 Vol.32 No.1

        The study investigated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 students’ writing on the themes of earth science through analysis of its genre and register. Data for analysis included 7th grade and 9th grade students’ writings about ‘global warming’ and ‘classification of rock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clude: First, many students were not accustomed to writing in genre, especially exposition genre. Second, in terms of ideational meaning, the material verbs representing action or doing were more dominant than relational verbs that are related to the attribute or definition of things, and additional logical relations were predominant. Third, regarding interpersonal meaning, agents, emotions,subjective opinions appeared in the writings and students did not express their ideas conclusively and revealed feelings of doubt and uncertainty about their knowledge. Fourth, as for textual meaning, most students listed fragments of information using additional conjunctions in simple structures and were not accustomed to writing texts with organizing structures,logical patterns, cohesion, and coherence. From these results, we argued that the scientific writings should be emphasized in science learning that aims to foster scientific literacy. In addition, we discussed the necessity of improving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on scientific writing as well as setting up a specific plan in the national curriculum. 이 연구에서는 장르 분석 및 레지스터 분석을 통해 중학생들의 지구과학 주제 글쓰기의 언어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연구 자료는 7, 9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지구 온난화’와 ‘암석의 분류’ 주제 글쓰기를 실시하여 얻은 학생들의글쓰기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장르별 글쓰기에 익숙하지 않았으며 특히 논설장르 글쓰기에 많은 어려움을 보였다. 둘째, 내용과 논리관계의 특징으로 정의나 분류와 같이 한 부분을 다른 부분과관련시키는 관계적 술어보다는 행동 및 하는 것을 의미하는 현상적 술어와 부가적 논리 관계가 많이 나타났다. 셋째,상호관계적 표현의 특징으로 글 속에서 글의 주체, 글쓴이의 감정, 주관적 의견들이 많이 드러났으며, 학생들은 자신의생각에 대해서 확신을 가지지 못하고 불확실성을 드러내었다. 넷째, 텍스트 구성의 특징으로 대부분의 학생들이 부가접속사를 통해 단편적인 정보들을 나열하였으며, 체계적이며 논리적인 글을 쓰는데 익숙하지 않았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적 소양의 함양을 목표로 하는 과학 학습에서 과학 글쓰기가 강조되어야 하며 국가 교육과정차원에서 체계적인 계획뿐만 아니라 과학 글쓰기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이 향상되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 오이 (Cucumis sativus L.) 떡잎의 노쇠화 관련 유전자의 발현과 수분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차현정,김대재 충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0 과학교육연구논총 Vol.25 No.2

        This study presents that six of cucumber senescence-associated genes(SAGs) functional identification in silico, time of gene expression and possible biological roles in cucumber senescence. They are sen 4-1, sen 8-6, sen 11-8, sen 15-8, sen 053, and sen 218. The most probable biological function of the cDNA sequences was identified through NCBI-GenBank database investigation using tblastx and blastx searching module. According to the cDNA sequence information, we have designed PCR primers to the six genes for following molecular genetic study. The primers were made by 20 nucleotide length with similar GT contents for appropriate annealing temperature adjustment in PCR study. To investigate the above cucumber genes expression pattern in the cotyledon development, cucumber seeds (Baek Da Da Gi) were sown in wet vermiculite after l2hr imbibition in sterile water. Then growing green cotyledons were collected one-week interval from two week after seed germination until four weeks of cucumber development as NOT in Senescence stage (negative control). After that the following turing point of development from growth to senescence, two pairs of senescing cotyledons were selected with amount of yellow pigment as senescence stage I (50% yellow), II (70% yellow) and stage III (>90% yellow) until 42 days of cucumber development. Subsequently, total RNA purification, cDNA synthesis (reverse transcription), PCR, electrophoresis and UV gel image analysis were carried out by standard molecular biological protocols. Eventually, we have found four noble SAGs (sen 4-1, sen 8-6, sen 15-8 and sen 218) which shows strong developmental coordination in gene expression at the stage of senescence development in cucumber cotyledon. In particular, sen 218 revealed that earlier onset of the gene action in senescence development compare to ICE. The other SAGs start action from stage II to stage III which may be involved in the senescence of cucumber cotyledons. The sen 8-6 and sen 15-8 start action at the stage II of senescence development. So, the sen 8-6 may be involved in the (1-4)-beta-mannan hydrolysis of cucumber cotyledons cell membrane. The sen 15-8 may be involved in the deamination of asparagine to aspartate conversion. Finally, sen 4-1 may be involved in the dephytylation of cucumber cotyledons and leaves. Unfortunately, we did not have acceptable outcomes to the rest of cDNA clones as cucumber SAGs, so further refined study should be done more carefully in the future. In water stress study, cucumber seedlings show morphological change by water stress in this primary study. But, it also need further investigation of the gene expression level to the water-stressed cotyledons in the future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