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실과(기술·가정) 교과 역량에 대한 전문가 집단의 인식

        진의남,류상희 한국실과교육학회 2016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9 No.2

        The purpose in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n key competencies, support programs for the implementation, promotion plan of key competencies to provide basic data for implementing effectively of the key competencies. The subjects were 95 practical arts experts, 39 technology experts, 58 home economics experts. The survey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program PASW 18.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t groups were highly aware of the need and importance of the curriculum based on competenci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eed of curriculum based on competencies according to expert groups. Also, The expert groups perceived importantly 5 competencies(problem-solving skill, creative thinking skill, career and life design skill, self-management and interpersonal skill, technical system design and literacy). However, the implementing level of 5 competencies was low. The problem-solving skill was a difference between in the perception of the practical arts expert and in the perception of home economics expert. Second, the expert groups were highly aware of the need to support curriculum reconstruction, teaching, and teacher capacit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eed of support programs for the classes according to expert groups. Third, the expert groups perceived the need of content reconstruction, material development and utilizati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the class focused to key competencies. And in the difficulty that is expected in the competency based instruction the expert group showed a high response rate to the difficulty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assessment. 이 연구는 실과(기술·가정) 교과 역량의 실행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전문가 집단의 교과 역량에 대한 인식, 교과 역량의 실행 지원 방안에 대한 인식, 교과 역량의 증진 방안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 대상은 실과 전문가 95명, 기술 전문가 39명, 가정 전문가 58명이었고, 수집된 자료는 PASW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과(기술·가정) 전문가 집단은 교과 역량에 기반한 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고, 교과 역량에 기반한 교육의 필요성 인식은 전문가 집단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전문가 집단은 5개 교과 역량(문제해결능력, 창의·융합 사고 능력, 진로와 생애 설계 능력, 자기관리와 대인관계능력, 기술 시스템 설계 및 활용 능력)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으나, 수업에서 역량을 실현하는 정도는 보통 이하로 낮게 나타났다. 집단별 인식의 차이를 보면, 실과 전문가는 가정 전문가보다 문제해결능력의 실현 정도를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실과(기술·가정) 전문가 집단은 교과 역량의 증진을 위해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원, 수업 지원, 교원 역량 강화 지원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사후검정을 보면, 교과 역량의 증진을 위한 수업 지원의 필요성 인식은 전문가 집단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전문가 집단은 교과 역량 증진을 위한 수업의 주안점은 역량 중심의 내용 재구성, 자료 제작 및 활용, 교수‧학습 방법 구현이라고 인식하였고, 수업 내용 선정 및 구성 방향은 역량 중심의 실생활과 연계된 내용 선정 및 구성이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그리고 역량 중심 수업에서 예상되는 어려움으로는 교수․학습과 평가의 어려움에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 KCI등재후보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실과 '기술의 세계' 분야의 평가준거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 개발 연구

        진의남,고인규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7 實科敎育硏究 Vol.23 No.1

        이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실과교육과정에 터해 가르치고 배워야 할 내용과 그것의 성취 정도를 판단하기 위한 도구로서 ‘평가준거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을 개발하는 것이다. ‘평가준거 성취기준’이란 단위 학교의 평가 상황을 고려하여 학생 입장에서 무엇을 공부하고 성취해야 하는지, 교사 입장에서 무엇을 가르치고 평가해야 하는지에 관한 구체적인 안내로서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재구성한 것이다. ‘평가기준’이란 각 성취기준별로 학생들이 무엇을 알고, 무엇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특성을 설명하여 질적 차이를 수준(상/중/하)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 연구에서 ‘평가준거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은 교육과정 분석, 개발영역 설정, 기준안 도출, 최종안 확정의 연구 절차를 통해 개발되었다. 개발된 ‘평가준거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은 다음과 같이 4가지 측면에서 활용 될 것으로 기대된다. 첫째,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대한 이해 제고 및 교육 내용 재구성의 바탕으로 활용될 것이다. 둘째, 교수학습 관련 정보 및 학생 수준을 고려한 수업 설계에 활용될 것이다. 셋째, 단위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평가의 준거로서 성취기준에 대한 학생의 도달 정도 판단에 활용될 것이다. 넷째, 단위학교에서 평가 문항 제작 및 채점 기준 설정의 근거로 활용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chievement standards of Assessment Criteria’ and ‘Assessment Standards’ in 'The World of Technology' of Practical Arts in 2015 Revised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of Assessment Criteria' is to provide guidance on what the student should study and accomplish in consideration of the specific Assessment situation in the school. The teacher has reconstructed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to provide more specific guidance on what to teach and evaluate. 'Assessment Standards' is the level of achievement (upper / middle / lower) of the qualitative difference by describing the characteristics of what students know and can do for each Achievement standards. In this study, 'Achievement standards of Assessment Criteria' and 'Assessment standards' were developed in order of analysis of 2015 revised curriculum, establishment of development area, elicitation of standard, and confirmation of finalization(field suitability review). It is expected that the 'Assessment criteria achievement standards' and 'Assessment standards' developed will be utilized in four aspects as follows. First, it will be used as a basis for improving understanding of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and reconstructing educational content. Second, it will be used for teaching design and information related to teaching and learning. Third, it will be used to determine the student 's attainment of achievement standards as a criterion of Assessment in the unit school. Fourth, it will be used as a basis for setting evaluation items and setting scoring criteria.

      • KCI등재후보

        실과 기술 영역의 교과 역량 증진을 위한 교육과정 실행 방안

        진의남,박수진 한국실과교육학회 2016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proposing curriculum practice plan to help developing the class for promotion of academic competency in practical arts curriculum of technology field. This research derives implications and suggests a curriculum practice plan through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in domestic and foreign curriculum, curriculum reconstruction, and classroom observation and interview. Outcomes of the study are first, the process of reading me curriculum after analyzing units through core achievement standards of practical arts curriculum. Examining the textbook after confirming core achievement standard of related units with other courses and analyzing whether the curriculum reconstruction is performed to promote academic competency in practical arts curriculum of technology field. During this process, the curriculum is reconstructed through analyzing the same subject or concept, the same capability or ability, the same teaching method or strategy, and the same evaluation methods and tools. Second, the question generation activities, mind maps and games are executed as key learning strategies by selecting ‘learning types of information devices and functions’ as a learning topic for teaching practices. In order to increase core academic competency in the practical arts curriculum of technology field, the development of appropriate learning strategies for learning contents of the courses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hat is practical in schools is required. In additi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data focusing on competency that can be combined with application of learning model, curriculum of subject,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such as questions generation activities should be used. Third, the learning strategies should be selected based on major core competency in the learning process. The learning group must be formed to design classes that consider academic competency. The change in learning group should be induced from individual questions, couple questions, group questions and entire questions. Communication opportunities must be expanded by using a questions generation card. In this way, the construction is required to achieve academic competency by reflecting academic competency elements in the process of overall lesson. The academic competency evaluation is available in the course of study like teaching practice that assesses the academic competency through questioning activities of learners by using ALU (advantage, limitation, unique qualitiesting) technique. 이 연구는 실과 기술 영역의 교과 역량 증진을 위한 수업을 전개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교육과정 실행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방법은 국내외 교육과정 선행연구 분석, 교육과정 재구성, 수업 관찰 및 수업 면담 등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고, 교육과정 실행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첫째, 실과 기술 영역에서 교과 역량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실과의 핵심 성취 기준을 활용하여 단원을 분석한 후 교육과정을 읽고, 관련 단원의 핵심 성취 기준을 확인한 후 교과서를 살펴보고, 교육과정을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교육과정을 재구성한다. 이 과정에서 교과 역량을 중심으로 동일한 주제나 개념, 동일한 역량이나 능력, 동일한 교수학습 방법이나 전략, 동일한 평가 방법이나 도구 등을 분석한다. 둘째, 수업 실행 사례는 ‘정보 기기의 종류와 기능 알아보기’를 학습 주제로 선정하여 주요 학습 전략으로 이해질문, 창의질문, 입증질문, 적용 질문, 평가 질문 등의 질문생성활동, 마인드맵, 게임활동을 실시한다. 실과 기술 영역에서 교과 핵심 역량을 기르기 위해서는 질문생성활동과 같이 교과의 학습 내용에 적절한 학습 전략의 개발, 학교 현장에서 실천 가능한 교수․학습 방법의 개발, 역량 중심 학습 모형의 적용 및 역량 중심의 교수․학습 방법 및 자료 적용이 요구된다. 셋째, 기술 영역의 교과 역량 증진을 위한 교실 수업 설계를 위해서는 학습 과정에서 주요 핵심 역량에 따른 학습 전략을 선정하고, 학습 집단 구성을 고려한다. 짝 질문, 모둠 질문, 전체 질문으로 학습 집단의 변화를 유도하고 질문생성카드를 활용하여 의사소통의 기회가 확대하도록 한다. 이처럼 전반적인 수업의 과정에서 교과 역량 요소를 반영하여 기술적 문제해결, 기술 시스템 설계 능력, 기술 활용 능력 등의 교과 역량이 달성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교과 역량 평가는 ALU(advantage, limitation, unique qualities)기법을 활용하여 학습자간의 질문하는 상호작용을 통해 평가하는 수업 사례처럼 교과 역량을 수업과정에서 평가할 수 있다. 이 연구를 통해 후속 연구에 대해 제언하면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교과 역량인 기술적 문제해결능력, 기술활용능력, 기술시스템설계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단원별 다양한 교과 역량 수업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의 발명교육 내용에 대한 교육 요구도 분석

        진의남,김용익 한국기술교육학회 2011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needs in contents for invention education of trainee teachers 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survey research. The questionnaires of 153 were collected. This study used the SPSS program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rainee teachers generally agreed that invention experience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 should be given to students. 2. Trainee teachers took the ground that activities out of subject matters could be more effective than activities throughout subject matters. 3. It was identified that educational needs in contents for invention education of trainee teachers were very high. In particular, educational needs in an unfolding of teaching and learning, a way of making idea, the development of invention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 were very high. So, invention education for trainee teachers 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hould be made in near future. 4. When developing invention teaching materials for trainee teachers, such educational needs should be considered enough. 이 연구는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발명교육 내용에 대한 교육 요구도를 조사하기 위한 것으로, 3개의 교육대학교 학생 16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이 인식하는 발명교육 내용의 중요도와 현재 자신의 능력에 기초하여 교육 요구도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한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교사들은 초등학교에서 발명 체험활동이 매우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대체로 여자가 남자보다, 실과가 비실과보다, 발명관련 과목 수강자가 비수강자보다 그 필요성에 대한 인식 정도가 높았다. 둘째, 교육과정에 발명 체험활동 내용을 반영하는 방법에 대하여 ‘정규 교과를 통한’ 방법보다 ‘교과 밖의 활동을 통한’ 방법을 선호하고 있었다. 이런 경향은 여자보다 남자의 경우 더 두드러졌다. 또한, 발명교육 내용을 정규 교과에 반영한다고 할 때, 적합한 교과로 실과를 꼽았다. 이런 경향은 실과 심화과정이 비실과 심화과정 보다, 발명관련 과목 수강자가 비수강자보다 더욱 강하게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교 발명교육 목표의 설정과 관련하여, 정보와 지식 영역보다는 가치 및 태도를 강조해야 된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었다. 넷째, 예비교사들이 인식하는 발명교육 내용의 중요도와 현재 자신의 능력 차이가 컸으며, 따라서 발명교육 내용에 대한 교육요구도 또한 높게 나타났다. 특히, 발명 교수ㆍ학습의 전개, 발명 아이디어 발상, 발명 교수ㆍ학습 자료의 개발, 발명 아이디어 다듬기, 스캠퍼(SCAMPER), 지식 재산권 이해 등은 교육 요구도가 매우 높았다. 따라서 교육 요구도를 반영하기 위한 구체적인 대책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한다.

      • KCI등재후보

        2015 개정 초등실과 '기술의 세계' 영역 교육과정 개발 연구

        진의남,김용익,고인규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6 實科敎育硏究 Vol.22 No.1

        이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 연구'에서 초등실과 '기술의 세계' 영역에 국한하여 개발한 내 용을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이 연구는 문헌연구, 워크숍 및 전문가 토론회, 현장 적합성 검토, 토 론회 등 연구 과정을 수행하였다. 초등실과 '기술의 세계' 영역 개정 방향은 크게 기술적 지식 습득, 기술적 소양 함양, 기술 체제 에 대한 이해를 목적으로 기술을 활동 형태에 따라 생산 기술, 수송 기술, 정보통신로 나누어 학습 하고 이를 통해 문제 해결적 사고력의 신장, 기술의 활용 능력 강화, 프로그래밍 및 안전관련 능력 을 습득하도록 하는 것이었다. 초등실과 ‘기술의 세계’ 내용 영역은 ‘기술 시스템’과 ‘기술 활용’으로 구분하였으며, 각 영역에 해 당하는 핵심 개념과, 일반화된 지식, 내용 요소, 기능을 각각 제시하였다. 또한 내용 요소는 기술 시스템 영역에서 8개, 기술 활용 영역에서 7개로 모두 15개를 진술하였 으며, 기능 요소는 탐색하기, 계획하기, 실천하기, 조작하기, 활용하기, 적용하기, 종합하기, 평가 하기, 제안하기, 설계하기, 제작하기, 실행하기, 판단하기, 조사하기, 추론하기 등 모두 15개를 제 시하였다. 또한 성취 기준으로는 기술 시스템 영역 11개, 기술 활용 영역 9개 등 모두 20개를 제 시하였다. 2015 개정 초등실과 교육과정은 역량 중심 교육 과정으로 전환기를 이루었다는 점에 그 의의를 둘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information about the World of Technology domain of Practical Arts Based on revised Curriculum in 2015. The study was conducted by literature studies, workshops and expert forums, on-site compliance review and debate.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t was divided into a ‘Production technology’, ‘Transportation technology’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o understand the Technological system and to foster Technological literacy and Technological knowledge. Such a process was to raise Problem-solving thinking , literacy skills, programming, safety management. ‘World of Technology’ was divided into a ‘Technological systems’ and ‘Application of Technology’. Key Concepts for each area, and a generalized knowledge, Content Elements presented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Content elements of the ‘Technological systems’ area 8, ‘Application of Technology’ areas 7. All 15 were presented. The Skill elements, to plan, practice it, to manipulate, to utilize, apply, integrate, evaluate it, to suggest, to design, to production, to execute judgment below, to investigate, to deduce all such 15 the suggested. The achievement standard of the ‘Technological systems’ area 11, ‘Application of Technology’ areas 9. All 20 were presented. The revised curriculum will be able to put the significance it has turning as Key Competencies-based Curriculum. Accordingly, it is hoped to develop various types of textbooks.

      • KCI등재후보

        학교 교육에서 인성교육의 인식과 개선 요구

        진의남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2 實科敎育硏究 Vol.18 No.3

        이 연구는 초․중등학교에서의 인성교육에 대한 교사, 학생, 학부모의 인식 및 실태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개선 요구 등을 조사하기 목적으로 수행되었으며 설문 조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성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도가 교사, 학부모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낮은 관심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에 대한 제고 노력이 필요하다. 즉 학생들의 인성교육에 대한 낮은 관심도의 요인이라고 할 수 있는 내, 외적 요인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이해와 분석이 필요하다. 둘째, 학교 차원에서의 인성교육이 보다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학교 교육의 변화와 개선을 유도할 수 있는 학교장(교감)의 관심과 적극적인 참여가 매우 필요하고 또한 바람직한 인격 형성 및 인성 발달을 위해서는 가정과 지역공동체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셋째, 인성교육의 운영 및 만족도에 대한 조사 결과는 대체적으로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수준으로 갈수록 떨어지고 있으며 요구도 측면에서는 오히려 반대로 상승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이는 국내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입시 환경적 측면에서의 과도한 입시 부담이 공동체 의식, 협동심, 바른생활 습관 등을 형성할 수 있는 기회 부족으로 인한 인성교육에 대한 이해와 만족도가 저하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학교 교육에서 인성교육이 실효성을 거두기 위해서는 학교 및 학교 외 활동을 포함한 교육활동 전반을 통한 학생의 인성과 바람직한 생활습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학교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해야 할 것이다. 끝으로, 인성교육이 보다 실질적인, 실효성을 거두기 위해서는 개발 학교 단위로 적용, 활용 가능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계획, 실행될 필요가 있다. 즉 인성교육 프로그램들이 특정 환경의 학생들에게 제공된 후 그 프로그램의 활용 및 적용 효과 등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perceptions and the actual conditions and need for improvement for character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The analyses of the survey have yield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interest in character education for the students compared to the teachers, parents relatively low interest represents, and efforts are needed for this increase. In other words, character education for students in low-interest factors that can be called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for the more in-depth understanding and analysis is needed. Second, the school at the level of character education than this in order to activate the school of education changes and improvements that could lead to the principal (head teacher) of the interest and active participation is very needed and desirable character building and personality development for families and communities very important role has been recognized. Third, the character education for operating and satisfaction survey results for the most par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levels falling year and demand is rising in terms of the fact that the contrary could be found. In the national entrance examin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in terms of environmental burden of excessive entrance sense of community, cooperation, Right life habits can be formed due to the lack of opportunities for character education is poor understanding and satisfaction that can be analyzed. Fourth, the character education in order to be effective curricular activities, including the curriculum and overall educational activities through the student's personality and lifestyle, to form a desirable school curriculum should be organized ‧ operating. Finally, a more substantial character education, school effectiveness, in order to be a development application, the available character education program plan(design), needs to be executed. In other words, a character education program provided to students in a particular environment, then the program may need to more in-depth of analysis of the effects.

      • KCI등재

        실과(기술·가정) 교과에서의 인성교육 방안 탐색

        진의남,김선혜 한국기술교육학회 2012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2 No.2

        본 연구는 실과(기술·가정) 교육에서의 인성교육 내용요소를 추출․분석하여 인성교육 지도 방안을 탐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여러 학자들의 이론에 근거한 인성 및 인성교육의 개념을 조작적으로 정의하고, 일반적인 인성교육 덕목과 내용요소를 추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실과(기술·가정) 교과에서의 인성교육 내용요소 분석 준거를 설정한 후, 2009 개정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에서의 인성교육 내용요소를 추출․분석함으로써 교과 교육을 통한 인성교육의 가능성과 그 지도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그 결과 실과(기술·가정) 교과에서는 인성교육에 대한 접근이 매우 용이한 교과임이 드러났으며, 일반적인 인성교육의 내용 요소인 신뢰성, 존경, 책임, 공정성, 배려, 시민의식, 그리고 감수성과 심미성까지도 포괄하는 교육이 가능함을 탐색하였다. 따라서 학교 교육에서 실과(기술·가정) 교과는 더 이상 뒷전에 밀려나 있는 교과가 아닌, 인성교육의 선두 주자로서의 역할을 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실과(기술·가정) 교육을 통한 인성교육의 실행 근거를 확고히 하는 계기가 될 것이며, 앞으로 실과(기술·가정) 교과를 통한 인성교육의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the instructional plan on the character education by abstracting and analysing the point of character education contents at practical arts(technology․home economics) education. For this, first of all, this study define conception of 'character' and 'character education' systematically and abstracted general virtue of character education and contents. Next, after setting up analysis standard of character education contents based on this, this study discuss about the plan and the possibility of character education from practical arts(technology․home economics) education by abstracting and analysing character education contents from curriculum of practical arts education which is revised in 2009. As a result, from practical arts(technology․home economics) education, it is reveal that this education is very easy to access on character education and it is possible to educate general character education contents-reliability, respect, caring, responsibility, trustworthiness, fairness, citizenship, sensitivity and aesthetic. Thus, from school education, the practical arts(technology․home economics) education is not an education which is discriminated from behind at all. This study suggest this education should plays a role as a pacemaker of character education today. For this, this study will serve as a momentum to firmly establish basis of action of character education by educating and from now on, this will contribute to vitalization of character education by the subject practical arts educa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