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컬러와 에지정보를 결합한 조명변화에 강인한 얼굴영역 검출방법

        지은미,윤호섭,이상호 한국정보과학회 2002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29 No.11

        본 논문은 온라인 얼굴 인식에서 전처리에 해당하는 얼굴 검출방법을 다룬다. 기존의 얼굴 검출 방법에서 에지 정보만을 이용한 얼굴 검출 방법과 컬러 정보를 이용한 얼굴 검출 방법의 단점을 상호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에지 정보와 컬러 정보를 결합한 얼굴 검출 방법 및 중심 영역 컬러 샘플링을 이용한 얼굴 검출방법을 개발하였다. 즉, 사람의 얼굴 영역이 비슷한 컬러를 가진 배경 영역과 결합(Merge)되는 것을 막기 위해 먼저 적응형 에지 검출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배경과 얼굴 영역을 각각의 고립 영역으로 분할한다. 제안된 적응형 소벨(Sobel) 에지 검출기는 배경 영역과 얼굴 영역의 경계에서 항상 에지가 발생할 수 있도록 에지가 많이 검출되고 입력 영상의 밝기 변화에 강인하다. 이로 인해 얼굴 영역이 하나의 영역이 아닌 여러 영역으로 분할되어 나타날 수 있으므로, 각 영역들의 컬러 정보를 이용해 병합한 후, 최종 얼굴 영역을 MBR(minimum bounding rectangle) 형태로 검출하였다. 이때 병합된 최종 얼굴 영역 후보가 너무 크거나 혹은 너무 작으면, 중심 영역 샘플링 방법을 이용해 다시 얼굴 영역을 검출한다. 총 2100장의 얼굴 영상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실험한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을 사용해 96.3%의 높은 얼굴 영역 검출 성공률을 얻을 수 있었다. This paper describes a new face detection method that is a pre-processing algorithm for on-line face recognition. To complement the weakness of using only edge or rotor features from previous face detection method, we propose the two types of face detection method. The one is a combined method with edge and color features and the other is a center area color sampling method. To prevent connecting the people's face area and the background area, which have same colors, we propose a new adaptive edge detection algorithm firstly. The adaptive edge detection algorithm is robust to illumination variance so that it extracts lots of edges and breakouts edges steadily in border between background and face areas. Because of strong edge detection, face area appears one or multi regions. We can merge these isolated regions using color information and get the final face area as a MBR (Minimum Bounding Rectangle) form. If the size of final face area is under or upper threshold, color sampling method in center area from input image is used to detect new face area. To evaluate the proposed method, we have experimented with 2,100 face images. A high face detection rate of 96.3% has been obtained.

      • 얼굴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프로토콜 설계

        지은미 한국컴퓨터산업학회 2004 컴퓨터産業敎育學會論文誌 Vol.5 No.1

        최근 들어 개인의 고유한 생체정보인 지문, 음성, 얼굴, 홍채, 손의 형태, 정맥분포 등을 사용자 인증에 이용하려는 이른바 생체 인식 및 인증 기술에 관한 연구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생체 인증 기술 중 얼굴 정보를 이용한 시스템은 비접촉식이므로 사용자의 거부감이 없고 컴퓨터에 기본으로 탑재되는 PC 카메라를 이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비용상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얼굴 인증은 동일한 사람의 얼굴이라도 조명 변화, 표정 변화, 시점 변화, 머리 모양의 변화 등에 따라 다른 사람으로 인식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변화에 민감하지 않고 안정적인 성능을 갖는 시스템을 구현하는 것이 얼굴 인증 시스템의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사용자 정보의 기밀성 및 무결성을 제공하고 얼굴 인증시 발생하는 오 인증율(EER)을 최소화하기 위한 사용자 인증 프로토콜을 제안하였다. Consequently substantial research has been done on the development of the bio-metric recognition method as well as technical research in the field of authentication. As a method of bio-metric recognition, personal and unique information such as fingerprints, voice, face, Iris, hand-geometry and vein-pattern are used. The face image system in bio-metric recognition and information authentication reduces the denial response from the users because it is a non-contact system the face image system operates through a PC camera attached to a computer base this makes the system economically viable as well as user friendly. Conversely, the face image system is very sensitive to illumination, hair style and appearance and consequently creates recognition errors easily, therefore we must build a stable authentication system which is not too sensitive to changes in appearance and light. In this study, I proposed user authentication protocol to serve a confidentiality and integrity and to obtain a least Equal Error Rate to minimize the wrong authentication rate when it authenticates the user.

      • KCI등재

        J도 G읍 고등학생의 건강증진행위 영향 요인

        지은미,최소영 한국자료분석학회 2014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6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high school students. The study subjects were 185 high school students.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SPSS 18.0 program. The subjects scored health-promotion behavior (2.38), perceived health status (3.52), self-efficacy (2.65), perceived benefit (4.36), perceived barrier (2.36), stress (21.12), depression (12.34).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health-promotion behavior according to such general characteristics as religion. Performance in the health-promotion behavior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erceived health status, stress, self-efficacy, depression, perceived barrier, perceived benefit. The most important factor that affects performance in the health-promotion behavior of highschool students was stress. The combination of stress, self-efficacy, depression, religion, perceived benefit accounted for 50.5% of the variance of health-promotion behavior. Stress was the most powerful variance of health-promotion behavior. Therefore, health-promotion programs that decrease stress should be developed to promote a healthier behavior among high school students. 본 연구는 일부 지역 고등학생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J도 G읍에 소재하고 있는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2,3학년 185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 Program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는 4점 만점에 평균 2.38이었고, 지각된 건강상태는 5점 만점에 평균 3.52이었다. 자기효능감은 4점 만점에 2.65이었고, 지각된 유익성과 지각된 장애성은 5점 만점에 각각 4.36, 2.36이었다. 스트레스는 54점 만점에 평균 21.12였고, 우울은 63점 만점에 평균 12.34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본 연구 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스트레스(β=-0.024, p<.001), 자기효능감(β=0.307, p<.001), 우울(β=0.011, p=.001), 종교유무(β=0.109, p=.006), 지각된 유익성(β=0.098, p=.019) 순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스트레스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자기효능감, 우울, 종교유무, 지각된 유익성 순으로 나타났다.

      • 표정 분석 프레임워크

        지은미,Ji, Eun-Mi 한국컴퓨터산업학회 2007 컴퓨터産業敎育學會論文誌 Vol.8 No.3

        사람들은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표정을 통해 감정을 표현하며 살아간다. 이러한 표정을 인식하려는 시도가 몇 몇 심리학자에 의해 시작되어 과거 10여년동안 컴퓨터 과학자들에게도 관심분야가 되었다. 표정인식은 인간과 컴퓨터의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하는 여러 분야에 응용할 수있는 미래가치가 높은 분야이다. 그러나 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조명변화, 해상도, 고차원의 정보 처리 등의 어려움으로 실용화된 시스템을 찾아보기 힘들다. 본 논문에서는 표정 분석을 위한 기본 프레임워크를 기술하고 각 단계의 필요성과 국외의 연구동향을 기술하였으며 국내의 표정에 관한 연구사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국내에서 표정분석에 기여하고자 하는 연구자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Human being represents his emotion through facial expression on purpose or unconsciously. Several psychologists started the research for analysis of facial expression, and over the last decade, many computer scientists were also interested in it.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is a future-valuable research that can be applicable in many kinds of field based on man-computer interface. However, in spite of lots of study, it is hard to find any practical systems because of a variety of illumination and scale of face, and high dimensional information to be processed. In this paper, I tried to describe a generic framework for facial expression analysis, the need of each level, and international research tendency. Also, I analyzed the case study of facial expression in Korea. I expect it to be helpful for the scientists willing to make contribution on facial expression.

      • KCI등재

        의료 화상 정보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지은미,권용무 대한의용생체공학회 1994 의공학회지 Vol.15 No.2

        In this paper, MIlS (Medical Image Information System) has been designed and implemented using INGRES RDBMS, which is based on a client/server architecture. The implemnted system allows users to register and retrieve patient information, medical images and diagnostic reports. It also provides the function to display these information on workstation windows simultaneously by using the designed menu-driven graphic user interface. The medical image compression! decompression techniques are implemented and integrated into the medical image database system for the efficient data storage and the fast access through the network.

      • KCI등재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간호전문직 자아개념이 임상실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지은미,이진희 한국자료분석학회 2014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6 No.2

        This study aimed to examine nursing students' stress and satisfaction in clinical practice and self-concept of professional nursing, investigate correlations among the three variables. The participants were 436 nursing student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Scheffe'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SPSS 18.0 program. The subjects scored 3.50 points of full 5 on stress in clinical practice, 3.04 of full 5 on satisfaction in clinical practice, and 2.73 of full 4 on self-concept of professional nursing. Stress in clinical practic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ge, gender, grade and satisfaction with the major. Satisfaction in clinical practic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satisfaction with the major, personal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s, relationships with practice colleagues, meaning of nursing, and awareness and attitude of patients of nursing student. Self-concept of professional nursing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grade, application motivation, satisfaction with the major, health state, personal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s, relationships with practice colleagues, meaning of nursing, and awareness and attitude of patients of nursing studen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satisfaction in clinical practice and self-concept of professional nursing. Those findings that the higher satisfaction in clinical practice nursing students have, the higher self-concept of professional nursing becomes. The results should be reflected in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teaching for clinical practice. 본 연구에서는 간호학생이 임상 실습 시 받는 실습 스트레스, 실습 만족도를 살펴보고 전문직 자아개념과의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임상실습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더 나아가 전공 만족도를 높이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G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3년제 간호학과 두 개교와 J도에 소재한 3년제 간호학과 1개교, G도에 소재한 3년제 간호학과 1개교, 모두 4개교에서 4주 이상의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2학년과 3학년 학생 436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program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서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5점 만점에 3.5점으로 조정요인, 개인특성, 상황특성 순으로 나타났고, 임상실습 만족도는 3.04점으로 실습교과, 실습환경, 실습시간, 실습평가, 실습지도, 실습내용 순으로 나타났으며, 간호전문직 자아개념은 4점 만점에 2.73점으로 의사소통, 전문직실무, 만족감 순으로 나타났다. 간호전문직 자아개념과 임상실습 만족도는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r=.296, p<.001). 임상실습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간호전문직 자아개념과 간호학생에 대한 환자의 인식이었으며 총 설명력은 10%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중재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KCI등재

        SOA 기반 서비스 사이의 오류 데이터 정제 서비스 개발

        지은미,최병주,이정원,Ji, Eun-Mi,Choi, Byoung-Ju,Lee, Jung-Won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Vol.14 No.7

        현재까지 오류 데이터를 정제하는 기법은 여러 소스로부터 대량의 데이터를 통합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의 품질을 관리함으로써 의미 있는 정보를 추출하기 위함이었다. 급변하는 비즈니스 환경과 무한경쟁 사회에서 지속적으로 생존하려면 환경 변화에 빠르게 대처해야 한다. 최근 시스템의 요구사항이 복잡해짐에 따라 대규모의 분산 시스템을 통합 구축하기 위한 서비스 기반 구조 (Service Oriented Architecture)로 확산되고 있으며, 여기에서도 각 서비스간의 데이터 정제기법을 통한 신뢰성 있는 데이터 교환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서비스들이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되는 과정에서 이벤트를 통해 서비스 간에 전송되는 XML데이터의 품질 관리를 수행하여, 이미 통합되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데이터의 오류를 탐지하여 정제하는 것이 아니라 상호 작용하는 서비스간의 데이터 정제에 초점을 두고 SOA를 기반으로 하는 오류 데이터 정제 서비스를 개발한다. Dirty Data Cleansing technique so far have aimed to integrate large amount of data from various sources and manage data quality resided in DB so that it enables to extract meaningful information. Prompt response to varying environment is required in order to persistently survive in rapidly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and the age of limitless competition. As system requirement is recently getting complexed, Service Oriented Architecture is proliferated for the purpose of integration and implementation of massive distributed system. Therefore, SOA necessarily needs Data Exchange among services through Data Cleansing Technique. In this paper, we executed quality management of XML data which is transmitted through events between services while they are integrated as a sole system. As a result, we developed Dirty Data Cleansing Service based on SOA as focusing on data cleansing between interactive services rather than cleansing based on detection of data error in DB already integrated.

      •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셀프리더십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지은미,김은재,Ji, Eun-Mi,Kim, Eun-Jae 한국임상보건과학회 2021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Vol.9 No.2

        Purpose.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confirm the nursing professionalism, self-leadership, and clinic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an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clinical competence. Methods. This study conducted a structured-questionnaire survey with 179 nursing students to look into their nursing professionalism, self-leadership, and clinical competence. Results.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 nursing professionalism scored 3.79 on average out of 5points, self-leadership 3.79 on average, and clinical competence 3.75 on average. It was found that clinical competence ha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nursing professionalism (r=.62, p<.001) and self-leadership (r=.57, p<.001). According to regression analysis, the factors affecting clinical competence were nursing professionalism(β=.437, p<.001), self-leadership(β=.350, p<.001) and explanatory power was 46.4%. Conclusions. Given the above results, in order to improve clinic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nursing educational institutes need to find an educational plan which can contribute to increasing nursing professionalism and self-leadership.

      • KCI등재

        컬러와 에지정보를 결합한 조명변화에 강인한 얼굴영역 검출방법

        지은미,윤호섭,이상호 한국정보과학회 2002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1 No.3

        This paper describes a new face detection method that is a pre-processing algorithm for on-line face recognition.To complement the weakness of using only edge or color features from previous face detection method, we propose the two types of face detection method. The one is a combined method with edge and color features and the other is a center area color sampling method. To prevent connecting the people's face area and the background area, which have same colors, we propose a new adaptive edge detection algorithm firstly. The adaptive edge detection algorithm is robust to illumination variance so that it extracts lots of edges and breakouts edges steadily in border between background and face areas.Because of strong edge detection, face area appears one or multi regions. We can merge these isolated regions using color information and get the final face area as a MBR (Minimum Bounding Rectangle) form. If the size of final face area is under or upper threshold, color sampling method in center area from input image is used to detect new face area.To evaluate the proposed method, we have experimented with 2,100 face images. A high face detection rate of 96.3% has been obtained. 본 논문은 온라인 얼굴 인식에서 전처리에 해당하는 얼굴 검출방법을 다룬다. 기존의 얼굴 검출 방법에서 에지 정보만을 이용한 얼굴 검출 방법과 컬러 정보를 이용한 얼굴 검출 방법의 단점을 상호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에지 정보와 컬러 정보를 결합한 얼굴 검출 방법 및 중심 영역 컬러 샘플링을 이용한 얼굴 검출방법을 개발하였다. 즉, 사람의 얼굴 영역이 비슷한 컬러를 가진 배경 영역과 결합(Merge)되는 것을 막기 위해 먼저 적응형 에지 검출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배경과 얼굴 영역을 각각의 고립 영역으로 분할한다. 제안된 적응형 소벨(Sobel) 에지 검출기는 배경 영역과 얼굴 영역의 경계에서 항상 에지가 발생할 수 있도록 에지가 많이 검출되고 입력 영상의 밝기 변화에 강인하다. 이로 인해 얼굴 영역이 하나의 영역이 아닌 여러 영역으로 분할되어 나타날 수 있으므로, 각 영역들의 컬러 정보를 이용해 병합한 후, 최종 얼굴 영역을 MBR(minimum bounding rectangle) 형태로 검출하였다. 이때 병합된 최종 얼굴 영역 후보가 너무 크거나 혹은 너무 작으면, 중심 영역 샘플링 방법을 이용해 다시 얼굴 영역을 검출한다. 총 2100장의 얼굴 영상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실험한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을 사용해 96.3%의 높은 얼굴 영역 검출 성공률을 얻을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