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공도서관의 수요특성에 대한 연구

        주재홍(Jaehong Joo),이주석(Joo Suk Lee) 한국자료분석학회 2023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5 No.2

        본 연구는 국가도서관 통계시스템을 활용하여 공공도서관 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입지적 여건을 고려하여 분석대상을 서울시로 한정하였으며, 주요 변수들의 탄력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이중자연로그형태를 가정하여 수요함수를 추정하였다. 본 연구는 종속변수인 도서관의 수요를 크게 연간 도서관 방문자 수, 연간 도서 대출권 수, 연간 문화프로그램 참여자 수로 구분하여 각각의 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도서관에서 제공하는 시설 규모가 증가할수록 도서관의 수요가 증가하지만 탄력적이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문화프로그램 강좌 수가 증가할수록 문화프로그램 수강자가 탄력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지역 내 공공도서관과 공공체육시설이 많을수록 도서관 수요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서 해당 시설과 대체관계가 존재하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다만 수요의 변동은 탄력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지역 내 인구의 경우, 다른 변수들에 비해 탄력성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인구가 감소하고 있는 상황에서 추후 공공도서관 설립과 관련하여 이와 관련된 검토가 필수적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 연구 결과는 서울시 투자심사 또는 서울시 공공도서관 정책 방향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variables that affect public library demand. The analysis are was limited to Seoul in consideration of locational conditions. In this study, the dependent variable, library demand, was largely divided into the number of library visitors per year, the number of books borrowed per year, and the number of participants in cultural programs per year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each deman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as the size of facilities provided by libraries increases, the demand for libraries increases elastically. However, as the number of cultural program courses increases, the number of cultural program participants increases elastically. As the number of public libraries and public sports facilities in the region increases, the demand for libraries decreases, indicating that there is an alternative relationship with the facilities. However, fluctuations in demand were found to be inelastic.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population in the region, the magnitude of elasticity was relatively large compared to other variables, so it was found that a review related to this was essential in relation to the establishment of a public library in the future in a situation where the population was continuously declining.

      • KCI등재

        국내 대학 블렌디드 러닝의 교수설계 원리 및 요소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주재홍(Jaehong Joo), 최서현(Seohyun Choi), 김예서(Yesuh Kim), 이진주(Jinju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9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대학에서 블렌디드 러닝 적용된 수업 환경에서 각 학습 활동 및 설계 요소를 고려한 학습 환경 설계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설계 원리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방법 본 연구는 국내 대학에서 블렌디드 러닝을 통해 연구된 문헌을 중심으로 체계적 문헌고찰을 실시하여 블렌디드 러닝 학습활동 내 수업 방식 및 수업 환경 요소를 분석하였으며, 학습 활동간 전화 요소를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첫째, 대부분의 연구의 경우 설문조사, 수업설계 혹은 실험연구를 기반으로 수행되었으며, 학습 교과목의 경우 강의 및 실습이 모두 수반되는 어문학, 간호학, 예체능 등을 중심으로 연구가 실시되었다. 둘째 학습활동에 따른 설계요소 중 동영상 강의, 질의응답 및 피드백, 학습 자료 제공 등의 설계 요소가 주로 활용되었다. 마지막으로, 수업 차시간의 전환 시에 고려된 설계 요소는 제한적으로 도출되었다. 결론 국내 대학에서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 대부분의 수업은 수업 환경 및 방식을 고려한 설계요소가 제한적으로 활용됨에 따라 이를 해소하기 위한 효과적인 수업 설계를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designing a learning environment considering each learning activity and instructional design elements in a blended learning class and provide instructional design principles. Methods This study conducted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focusing on the blended learning literature at domestic universities. Specifically, our study analyzed instructional method and learning environment elements within the blended learning activities as well as conversion elements between the learning activities. Results First, most studies applied surveys, class design, or experimental research and, in learning contents, deal with the language, literature, nursing, and arts, which require both lectures and practice. Second, among learning activities, the design elements such as video lectures, questions and answers, feedback, and provision of learning materials were mainly used. Finally, when converting the class, the design elements were limitedly derived. Conclusions Given that most lessons in domestic universities have limitedly applied design elements based on learning environments and methods, we provided the direction for effective instructional design. In addition, We discussed the research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

      • KCI등재

        대학 교원의 학생평가 유형에 대한 잠재 프로파일 분석

        주재홍(Jaehong Joo),주라헬(Rachel Ju),홍소정(Sojung Hong) 사단법인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2024 대학 교수-학습 연구 Vol.1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교원이 선호하는 학생평가 방법을 유형화하고, 하위 잠재 집단 간의 차이를 탐색하여 수업 질 제고를 위한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교육개발원에서 2022년에 실시한 대학 교수·학습 과정에 관한 교수 설문조사(National Assessment of Faculty Engagement in Teaching; NAFET)에 응답한 5,213명의 교원 데이터를 활용해 인간중심 접근 방법인 잠재 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여 교원의 학생평가 양상을 살펴보았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원의 학생평가 양상에 따라 ‘지필평가 지양형’, ‘전통적 평가 지향형’, ‘전반적 학생평가 경시형’, ‘협력 중심 평가 지향형’, ‘개인 작성 평가 지향형’, ‘다면평가 지향형’의 6개 프로파일이 유의하게 식별되었다. 둘째, 본 프로파일을 예측하는 요인은 대학의 연구 및 교수학습 지원, 학과의 교육 과정 및 시스템, 교원의 연구 및 교수학습 지향성 모두 교원이 특정 프로파일에 속할 확률에 대해 유의한 효과를 가졌다. 특히 예측 요인에 대한 교원의 인식 수준이 높을수록 다양한 학생평가를 활용하는 집단에 속할 확률이 유의하게 높았다. 마지막으로, 프로파일별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선정한 학습자의 학업 역량에 대한 인식, 동료 교원의 인정, 그리고 교원의 학과 적합성 수준은 일부 집단에 한하여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수업 질 제고를 위한 교원, 학과 및 학교 차원의 역할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 연구 방향성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classify the student assessment styles preferred by university faculty and explore differences between sub-potential groups to derive intervention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instruction. This study examined faculty’s student assessment styles by conducting latent profile analysis using data from 5,213 respondents to the National Assessment of Faculty Engagement in Teaching in 2022. The main analysis yield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six profiles were significantly identified based on faculty’s student assessment styles. Second, the university’s research support and teaching and learning support, the department’s curriculum and system, and the faculty’s research orientation and teaching and learning orientation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to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each profile. In particular, a higher awareness of predictive factors increased the likelihood of belonging to a group employing various student assessment. Finally, there were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learners’ academic competency, recognition by co-faculties, and the perception of department fit when examining differences by the each profile. Based on these results, we derived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roles of faculty, departments, and university institutions in improving instructional quality. We also discussed the research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rther research.

      • KCI등재

        다문화 교육 연구를 위한 탈식민주의 이론의 역할과 가능성

        주재홍(Joo, Jaehong),김영천(Kim Youngchu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3 열린교육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 다문화” 의 이념이 효과적으로 우리 사회에 잘 적용되고 접목될 수 있는 교육적 실천 전략으로서 “탈식 민주의 담론” 을 탐구하였다. 이에 연구문제로서 우리가 접하는 다양한 텍스트들(학교교과서, 잡지, 매스컴, 의사소통, 문헌들 등)을 분석하고, 나아가 비평할 수 있는 탈식민적 분석의 준거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구의 배경적 지식이자 방법적 배경으로서 두 개의 연구영역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시도하였다. 첫째, 다문화교육 연구에서는 여러 학자들의 주장을 통하여 다문화/다문화교육의 가장 중요한 전제이자 기준은 문화적 다양성과 공존을 강조한다는 접을 논의하였다. 둘째 탈식민주의 이론에서는 다문화/다문화교육을 위한 관점과 다문화교육의 한 가지 이론적 탐구영역으로서 탈식민주의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연구의 결과로서, 다문화적 텍스트를 규명하고 비평할 수 있는 방법적 전략으로서 네가지의 탈식민 비평의 준거를 개념화시켰다: (1) 주체와 타자의 구성, (2) 포함과 배제, (3) 목소리의 침묵,(4) 재식민화의 내러티브, 이러한 개념들 또는 기준들은 단순히 어떤 문화적 메시지 또는 결과들이 서구적이라든지, 아니면 비서구적이라는지 추상적인 수준에서 폄하하는 대신에 보다 구체적인 일련의 기준들에 기초하여 서구적/비서적인 것으로 평가할 수 있게 만들 것이다. Korean educational researchers have recently attempted to theorize and practice the idea of multiculturalism, Under this new research trend, authors try to use the discourse of postcolonialsim as new theoretical base to expand and advance region of multicultural discourse in South Korea, In this effort, there is a premise that Eurocentrism has been imbedded in every aspect of our lives since Korean War, and may play negative role in accepting and applying the idea of multiculturalsim which emphsaizes the rights, interets, and respects of all races and ethnicities. Within this perspective, authors developed four criteria from postcolonial discourse and literatures as a way of discovering, analyzing, and assessing the implicit presumption and interests of Eurocentrism in our lives. in particualry, cultural tex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Construction of Subject/Other: (2) Inclusing vs. Exclusion: (3) Silenced voice of subaltern; and (4) Narratives of re-colonization. In Each critira, more specific questions have been produced and identifeid, which will enable educational researchrs to analyze historical, educational, and cultural texts such as school textbooks, mass-media, propaganda, public magagizes. Authors propose that more new criteria should be developed in the future, and also, the possible ideas of roles of postcolonialsim in advancing multicultural education in South Korea will be discussed.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지식은폐 연구동향 분석

        주재홍 ( Jaehong Joo ),송지훈 ( Ji Hoon Song ) 한국지식경영학회 2021 지식경영연구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조직 구성원의 지식은폐에 대한 국내외 연구 동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조직 구성원이 자신의 지식을 공유하지 않는 것을 넘어 의도적으로 숨기는 등의 구성원의 지식은폐에 대한 연구가 확산됨에 따라 이에 대한 연구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위해 국내외 지식은폐 관련 게재된 연구 120편을 수집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346종 578개의 키워드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설정한 데이터 표준화 기준에 따라 키워드를 코딩하여 최종적으로 86개 노드와 667개의 링크로 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설정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내외 지식은폐 관련 문헌 분석을 통해 개념적 모형을 개발하고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도출한 네트워크 구조를 비교하여 연구 동향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네트워크 중심성 분석 결과 지식공유, 창의성 그리고 성과 키워드가 연결정도 중심성, 매개 중심성 그리고 근접 중심성 모두 높게 나타났다. 둘째, 지식은폐의 이론적 기제와 관련이 있는 “심리적 주인의식”과 “개인의 정서”에 대한 에고 네트워크를 분석함과 개념적 모형과 비교를 통하여 심층적으로 변수 간 관계를 탐색하였다. 본 연구는 이상과 같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문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in the filed of individual knowledge hiding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As individuals intentionally hide their knowledge beyond not sharing their knowledge in organizations and the research on knowledge hiding steadily spreads,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regarding knowledge hiding behaviors. For keyword network analyses, we collected 346 kinds of 578 keywords from 120 articles associated with knowledge hiding behaviors. We also transformed the keywords to 86 nodes and 667 links by data standardizing criteria and finally analyzed the keyword network among them. Moreover, this study scrutinized knowledge hiding trends by comparing the conceptual model for knowledge hiding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the network structure based on keyword network analysis. As results, first, the network centrality degree, knowledge sharing, creativity, and performance was higher than others in Degree, Betweenness, Closeness centrality. Second, this study analyzed ego networks about psychological ownership and individual emotion theoretically associated with knowledge hiding and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through comparing with the conceptual model for knowledge hiding. Finally, the study suggeste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provided th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based on study findings.

      • KCI등재

        혁신지향성이 조직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임원리더십과 팀장리더십의 이중매개 효과 분석

        노윤정 ( Ro Yun Jeong ),주재홍 ( Joo Jaehong ),김선아 ( Kim Sunah ),김하은 ( Kim Haeun ),송지훈 ( Song Ji Hoon ) 한국인력개발학회 2021 HRD연구 Vol.2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혁신지향성과 조직효과성의 관계에서 임원리더십과 팀장리더십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급격한 환경의 변화와 함께 혁신지향성은 조직효과성을 증진시키고, 지속적 성장을 유도하는 주요한 요인으로 고려되고 있다. 리더십은 조직의 구성원들이 혁신지향성을 받아들이도록 하고, 이를 통해 조직 효과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다. 본 연구는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 A 대기업 제조회사에 재직 중인 서울, 경기 및 지방 사업장에 소재하고 있는 본사 및 현장 구성원 1,135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혁신지향성과 조직효과성의 관계가 정(+)적으로 유의함을 확인하였다. 둘째, 혁신지향성과 조직효과성의 관계에서 임원리더십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매개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셋째, 혁신지향성과 조직효과성의 관계에서 팀장리더십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매개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혁신지향성과 조직효과성 관계에서 임원리더십과 팀장리더십의 이중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검증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문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연구의 한계점과 이를 개선하기 위한 후속 연구에 대해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dual mediation effect of executive leadership and managerial leadership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on orientatio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ith the rapid environmental change, innovation orientation is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that promote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the sustainable growth of organizations. Leadership promotes compliance with innovation orientation so that it positively influence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we surveyed 1,135 members of a major manufacturing company in South Korea. The results are following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on orientatio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as positive.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on orientatio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executive leadership was validate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mediating effects.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on orientatio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managerial leadership was also examined as hav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mediating effects. Finally, the dual mediation effects of executive leadership and managerial leadership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on orientatio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ere reveal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study findings suggest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Research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suggestions are proposed based on the study findings.

      • KCI등재

        경험 학습 모형을 기반으로 상호작용 촉진을 위한 메타버스 플랫폼 분석 및 교수학습전략 탐색

        최서현(Seohyun Choi),주재홍(Jaehong Joo),신윤희(Yoonhee Sh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2

        목적 본 연구에서는 메타버스학습 환경에서 학습자, 콘텐츠, 교수자 관점에서의 상호작용 기능을 분석하고 이를 경험학습의 4가지 학습단계에 따라 적용될 수 있는 교수학습전략과 연결하여 제시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활용도가 높은 메타버스 플랫폼 5가지를 선정하여 플랫폼 내에서 상호작용 촉진을 위해 활용될 수 있는 기능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상호작용 유형에 따라 분류하여 메타버스 기능의 교육적 활용 방안을 도출하였다. 결과 총 10개의 메타버스 기능을 통합하여 제시하였으며, 이를 경험학습의 4단계와 각 단계에 따른 교수학습 전략과 매칭하여 경험학습의 맥락에서 활용할 수 있는 학습 전략과 적합한 메타버스 기능을 제시하였다. 결론 향후 메타버스를 활용하고자 하는 교수자가 학습 목표와 내용, 적용하고자 하는 교수학습 활동에 따라 메타버스 플랫폼과 기능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Objectives In this study, the interactive functions in a metaverse learning platform from the perspective of learners, contents, and instructors were analyzed and presented associated with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that can be applied according to the four learning stages of experiential learning. Methods To this end, metaverse platforms were selected, and functions that can be used to promote interaction within the platform were analyzed and integrated to deriv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according to their features. Results As a result, a total of 10 metaverse functions were suggested, and each function could be used in the context of each stage of experiential learning according to educational contexts,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Conclusions It was intended to present guidelines so that instructors who want to use metaverse in the future can effectively use metaverse platforms and functions according to their learning goals, contents, and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