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김학철의 <해란강아 말하라> 서술 특성 연구

        조정래 한중인문학회 2017 한중인문학연구 Vol.56 No.-

        이 연구는 김학철의 장편소설 <해란강아 말하라>의 서술적 특성을 찾아보는 데에 목적을두고 있다. 이는 ‘1950년대 장편/농민/역사소설에 대한 연구’의 한 부분으로 기획되었다. 이 작품의 서술적 특성을 살피기 위해서 이 논문에서는 환경과 갈등의 문제, 집단적 주인공과 영웅 이야기의 관계, 역사적 사실에 치중하는 서술방식 등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분석의 결과 다음과 같은 작품의 서사적 특성을 찾을 수 있었다. 첫째, 농민들의 삶의 현장인 환경의 악화를 충분히 그려내지 못해서 상황의 심각성을 드러내는 데 한계를 보였다. 그래서 갈등과 싸움이 당위성을 드러내기만 할뿐 왜 싸울 수밖에 없었는지, 그 갈등의 핵을 드러내지 못하였다. 둘째, 사회주의리얼리즘으로 창작하려 한 이 작품에서는 특정한 영웅적 인물을 주인공으로삼기보다는 집단적 주인공을 영웅시하려는 관점으로 이야기를 구성했다. 개인적 삶보다는 전체적 열망이 더 중요한 역사소설에서 볼 수 있는 서술방법이지만, 감동적인 서사로 끌어내지못하는 요인이 되었다. 셋째, 이 작품을 끌고 가는 힘은 실제 역사 사건에 대한 충실한 취재와 작가의 생생한 체험이다. 작가는 역사적 사실을 충실히 재현하는 데 치중했다. 상상력을 통한 재구성 과정이 미흡하여 역사소설이 추구해야 할 현재와 미래를 연계하는 전망을 확보하지 못했다. 이러한 특성은 이 작품이 지닌 공산주의운동에 대한 기여와 조선족의 자리매김을 추구하려는 작가의식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역사 자체가 가지고 있는 서사성을 살려내기위해 주체와 대상을 통합하는 자기정체성과 성찰력을 드러내지 못한 점이 이 작품의 아쉬운점으로 남았다. This study aims to find a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Kim Hak-chul’s novel <Say! Hai-Ran River>. It is envisioned as part of the ‘1950s/peasant/historical novel’ studies. This novel is a central conflict between the peasants of the landowner who conscripted the feudal interests and feudal exploitation of the Japanese army, but failed to portray the environmental degradation of the peoples' lives. Therefore, conflict and dispute were not expressed in the key point of conflicts. In addition, the author, who attempted to create a communist ideology, composed the story of a group of hero rather than portraying certain heroic characters as a mass-hero. Although the overall aspiration of the whole individual is a narrative method that can be seen in a more important historical novels, it has become a factor that can not be drawn into a impressive narrative. On the other hand, the author devoted himself to faithfully reproducing historical facts. Historical imagination, however, is crucial to the historical facts, which have failed to establish a vision of the present and future of the historical novel because of the lack of historical imagination. It seems to reflect the contributions of the Communist Party and the author's awareness of the role of the Koreans living in China. However, it remains to be seen that the lack of identity and self-examination of the entity to save the Narrativity of the history-itself has been revealed.

      • KCI등재

        클라이스트와 카프카의 모티프비교

        조정래 한국독일언어문학회 2004 독일언어문학 Vol.0 No.24

        In der Motivik stehen sich Kleist und Kafka ziemlich nahe. Beiden kommt es vor allem auf 'die Beziehungen zwischen Vater und Sohn , Metamorphose und Labyrinth an. In den Werken wie 『Der Findling』, 『Die Marquise von O...』, 『Michael Kohlhaass』, 『Das Urteil』, 『Die Verwandlunga』, und 『Das schloβ』 haben die oben genannten Motive gemeinsame Strukturelemente. Die Kemaussage in der Dichtung Kleists besteht dann, dass es keine absolute Erkenntnis gibt. Bei ihm wird die Welt ra¨tselhaft, der Mensch versteht Mitmenschen nicht mehr. Kafka hat seinen archimedischen Punkt gefunden, von dem aus die Welt nicht mehr so erscheint, wie der Mensch sie sieht. In diem Sinne steht Kafka auch an der Grenze der menschlichen Erkenntnis des Daseins innerhalb einer unentra¨tselbaren Welt. In den Dichtungen beider Dichter gibt es auch Verschiedenheiten. Fu¨r Kleist ist das innerste Gefu¨hl eine rettende Kraft vor dem Absurden der Wirklichkeit. Deshalb wird bei ihm mist die Einheit zwischen dem Ich und der Umwelt wiederhergestellt. In der kafkaschen Welt gibt es aber keine optimistische Perspektive. Das Gericht, unter dem seine Menschen stehen, kennt keine GM&. Er kennt keine Alternative zur Tragik. Er akzeptiert einfach Tragdc als Tragik. Denn die Schuld Kafkas Protagonisten ist immer ohne jeglichen Zweifel. In seiner Dichtungen gibt es keinen Menschen, der so Recht haben ko¨nnte wie Michael Kohlhaas oder die Marquise von 0. Wa¨hrend Kleist das Positive des Aufkla¨rungsgeistes in die Utopie hinu¨berettet, ist M a diese Zuflucht versagt.

      • KCI등재

        동북아지역의 일본 제국문화에 대한 인식과 수용 - <八田與一> 만화·애니메이션에 표현된 제국 이미지 -

        조정래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9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57

        The Empire of Japan invaded and colonized Taiwan in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aspects with its imperialistic ideology. Along with its historical concepts, it is also significant to study the imperialistic visual culture of Japan in Taiwan at that time. This thesis initially deals with not only Japanese colonialism accompanying cultural invasion but also its expansion in Japanese characteristics throughout Taiwan. Then, the thesis describes how two different <Hatta Yoichi>, a Japanese comic strip and an animation, symbolize the imperialistic images during the occupation of Japan in Taiwan. Hatta Yoichi, who is a protagonist of both titled <Hatta Yoichi> and <Pattenrai>, was a Japanese engineer in Taiwan. He planned and supervised to construct Wusantou Reservoir in 1930, which has been a symbol of the bilateral relationship between Japan and Taiwan. Besides, both two <Hatta Yoichi> depict the Wusantou Reservoir as their nostalgia, whereas Taiwanese think of it as their spiritual suppression by Japan at that time. This paper shows that new meanings have been added through the Influence on productions and consumptions of culture, making Hatta Yoichi look very different from who he was historically. 동북아지역의 일본 제국주의 문화에 관한 연구는 이미 많이 진행되었으나, 한·중·일 중심의 전문적인 연구와 달리 대만 대중문화 속에 표현된 제국 이미지와 식민문화 연구, 즉 시각예술문화 속 대만인의 사상과 문화, 일본 제국주의에 대한 인식과 표현의 분석이 부족하다. 그러므로 대만의 역사, 사회, 문화, 예술 등 다양한 관점에서 제국문화에 관해 탐구하고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본 글은 <핫타 요이치>(八田與一)관련 작품 속에 표현된 대만과 일본의 제국에 대한 인식 차이는 어떠했고, 향수적 시선과 억압적 시선이 한 텍스트 구조에서 어떻게 교차하며, 아울러 공유된 문화환경과 공간의 경계를 구별하기 어려운 경험적 기억이 이미지를 통해 어떻게 표현되고 인식되었는지 살펴보았다. <핫타 요이치>는 1930년에 완공된 대만 남부 우산터우(烏山頭) 저수지와 관개수로 시스템 건설을 계획하고 감독한 일본 엔지니어에 관한 이야기이다. 우산터우댐은 대만과 일본 양국 우호의 상징이었지만, <핫타 요이치>의 만화·애니메이션에 그려진 이미지는 일제강점시대 일본인의 제국주의에 대한 향수적 회귀를 의미할 수도 있고, 현대화와 시민의식의 자각에 따른 대만인의 억압된 역사에 대한 정신적 충격일지도 모른다. 일본 토목건축가인 핫타 요이치가 역사적으로 어떤 사람인지와는 별개로 그를 소재로 한 콘텐츠와 이미지의 생산은 대중적 소비과정을 통해 새로운 의미로 추가되고 재해석됨을 보여준다.

      • KCI등재

        에너지 R&D 주제 키워드 및 연구기관 네트워크 특성 분석

        조정래,김태윤 한국혁신학회 2022 한국혁신학회지 Vol.17 No.1

        본 연구는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하여 에너지 R&D 주제 키워드의 변화 방향 및 연구기관간의 연결 관계 특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주제 키워드 분석결과 에너지산업의 특성과 함께 정부의 에너지기술정책과 연 계된 키워드가 연결 중심성 상위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R&D에 참여하는 연구기관간의 네트워크 분석에 서는 공기업, 연구소, 대학, 대기업, 중소⋅중견기업 유형 순으로 연결 중심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에너지공 기업이 주도하는 전통적인 에너지산업의 특성상 에너지 R&D 네트워크에서도 민간부문 보다는 공공부문이 네 트워크의 중심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최근 에너지산업은 에너지전환, 그린뉴딜, 탄소중립 등의 영향으로 전력 공급의 분산화, 지역화가 점차 가속화될 것으로 보이며 이로 인해 공기업 중심의 전통적인 에너지생태계가 민간 중심으로 변화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에너지 R&D 네트워크가 에너지산업의 구조를 그대로 반영하고 있는 만큼 에너지 R&D 영역에서도 이러한 변화의 방향성에 대응한 정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tried to confirm the change direction of Energy R&D topic keyword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research institutes using network analysis. As a result of the keyword analysis of the research topic, it was confirmed that the keywords related to the government's energy technol- ogy policy along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energy industry were higher in the centrality of connection. In the network analysis between research institutes participating in R&D, it was found that the degree central- ity was high in the order of public companies, research institutes, universities, large enterprises, and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energy industry led by public energy companies, it was confirmed that the public sector rather than the private sector was at the center of the network in the Energy R&D network. In recent years, the energy industry is expected to gradually accelerate the decentralization and localization of power supply under the influence of energy transition, Green New Deal, and Carbon Neutrality. As the Energy R&D network reflects the structure of the energy industry as it is, it seems necessary to prepare policies in response to the direction of these changes in the Energy R&D a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