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반성적 사고 중심 예비 교사 교육 프로그램 적용 연구

        조덕주(Jo, Dukjoo) 한국열린교육학회 2011 열린교육연구 Vol.19 No.4

        본 연구는 예비교사로 하여금 지향하는 교사상을 토대로 자신의 실천 행위에 대해 반성적으로 사고하는 경험을 통하여 보다 명료한 교사상을 갖게 하고자 프로그램을 개발ㆍ적용한 후,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저널을 분석, 보다 바람직하고 효과적인 프로그램 개발하기 위한 시사점을 추출하고자 한 것이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은 프로그램의 구체적 활동들이 자신들의 교사상 자각에 많은 도움을 주었다고 평가하였다. 초기에 주로 막연한 학생 중심적 교사상을 가졌던 학생들이 실습 상황에서 갈등 상황을 경험하되 초기의 교사상에서 많이 변화하지는 않았으나 자신의 교사상에 따른 행동들이 구체화되고 자신을 좀 더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게 되었다. 시사점으로는 교사상 자각을 위한 활동들이 우리 실정에 적합하게 개선되어야 하고, 교직 과정의 전체적인 구조화를 통해 일관성있고 체계적인 교사상 및 관련 행위 성찰 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하였다. To enhance student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ability on their professional identity, a pre-service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and implemented into practicum courses. After the implementation, several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 of this program are proposed based on the opinion of student teachers and the analysis of journals written by these student teachers. Student teachers evaluated the activities, which are included in this program, as very effective in enabling them to be aware of their own identity as teache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journals, even though they feel conflict between their ideal teacher image and the real situation they encounter at school, their perception of their identity does not change, but they can describe their teacher image and activities more clearly from an objective point of view. This study suggests that a few activities should be changed in order to be appropriate to our cultural contexts and that the overall pre-service program should have a structure that is consistent within and across courses.

      • KCI등재

        반성적 실천 기반 교사교육 프로그램 사례 연구 : 미국 뉴욕대학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조덕주(Jo Duk Joo) 한국비교교육학회 2009 比較敎育硏究 Vol.19 No.1

        이 연구는 실제적인 강좌 안에서 반성적 실천인 양성이 어떻게 계획되고 실천되는지 살펴보고 관련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실질적인 시사점을 얻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반성적 실천인 양성을 주요 지향 방향으로 하고 있는 뉴욕주 규정 및 뉴욕대학 교사교육 프로그램과 세 가지 관련 강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반성적 실천인 양성을 위한 선행 요건인 현장 경험의 강화, 현장 경험이 갖추어야 할 성격, 반성적 실천인의 실제 구현을 위한 목표 요소의 추출, 나에서 시작하여 우리 및 사회로 이어지는 내용 구조화, 구체적이고도 다양한 교수학습 방안, 학습 공동체의 형성, 이론을 토대로 한 실천과 실천을 토대로 한 이론이 적절히 융합된 구조화된 교수학습 계획 등에 대한 구체적인 시사를 얻을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n detail teacher education program at New York University, as a way to find some realistic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eacher education program focused on reflective practitioner. The subjects of analysis are 1) registration of curricula in teacher education of New York State, 2) materials related to teacher education program of NYU(Guide for university supervisors of student teachers etc.,) 3) syllabuses of 3 courses(Inquiries to teaching and learning I, Student teaching I·II, English teachers as reflective practitioner), 4) interview records with staffs related to teacher education. This examination brings to me several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reflective practitioner; 1) field experience should be emphasized as a basis of becoming reflective practitioner and this field experience should be based on educational theories. 2)the objectives should be developed specifically and ""inquiries of my identity as a teacher"" which is emphasized in these courses could be one of the important objectives of the program. 3) content structure from ""I"" to ""society"" could be considered as a good example for the framework of the program. 4) among the various kinds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these courses, journal writing method could be the most appropriate learning method, considering the contexts of field experience in Korea, 5) formation of learning community in these courses could be the best way to form teacher community in the future.

      • KCI등재

        자서전을 활용한 교사의 교육과정 관점과 수업 행위 분석

        조덕주 ( Duk Joo Jo ),최연주 ( Heon Joo Choi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3 교육인류학연구 Vol.16 No.2

        교사로서의 전문성 신장을 위해서는 자신이 어떤 교육과정 관점을 갖게 되었는가에 대해 이해하고 이러한 관점이 실제 행위로 어떻게 들어나는가 즉 관점과 행위의 일관성 에 대한 자각과 지속적인 반성이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 이해 및 행위 분석을 위해서는 일회성의 검사가 아닌 질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연구 참여자인 두 명의 교사는 자서전 적 방법 즉, 후향, 전향, 분석, 종합에 따라 자서전적 저널을 기술하였고 연구자들은 이러한 저널과 면담 분석 등을 통해 교사의 교육과정 관점을 이해하려고 하였다. 또 관점 과 관련된 행위 분석을 위해 수업 녹화를 하고 교사의 관점이 구체적 행위를 통해 어떻게 드러나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두 교사 중 한 명은 학습자 중심적, 다른 한 교사는 사회 효율적 관점을 가지고 있음을 이해하였고 이러한 관점들이 어떤 구체적 행위를 통해 드러나는지 확인할 수 있었으며 연구 참여 과정에서 어떤 자각의 과정을 경험하는가에 대해서도 이해할 수 있었다. 앞으로는 연구 참여자들의 자각의 과정, 자 각의 내용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행해질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자각의 과정, 자각의 내용에 대한 이해의 확장을 위해서 교사 공동체의 지원에 초점을 둔 연구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o improve the professional ability as a teacher,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how he/she built his/her own curriculum perspective and how such a perspective is reflected in his/her practice. In other words, continuous reflection on the coherence of perspective and practice can help enhance the professional ability. This study used an autobiographical method for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a teacher`s curriculum perspective and analyzed how the perspective was reflected in his/her actual instructional practice. Two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wrote autobiographical journals in four steps: regressive, progressive, analytical and synthetical. Researchers analyzed the journals and interviewed the participants to understand their curriculum perspectives and video recorded their classes to observe how the perspectives were expressed in their actions. The study found that the participants had different curriculum perspectives: one had a learner-centered perspective while the other showed the one with social efficacy. The researchers also found that the teachers showed such perspectives during the class. This paper suggests the need to undertake a more in-depth study on the process and content of self awareness of the participants. It will be also necessary to conduct a study placing focus on the support of teacher community, rather than on the autobiographical journal of an individual.

      • KCI등재

        한국과 핀란드의 중학교 과학 교과서 비교 분석

        조덕주(Jo, Duk-Joo),이경희(Lee, Gyeong-Hyi) 한국비교교육학회 2013 比較敎育硏究 Vol.23 No.3

        본 연구는 국제 학업 성취도 평가에서 높은 순위를 유지하고 있는 핀란드의 중학교 과학 교과서를 한국의 과학 교과서와 비교 분석하여 시사점을 얻고자 한 것이다. 분석 대상으로 국제 학업 성취도 평가에서 한국이 낮은 점수를 보이는 생물 영역 중 핀란드와 공통 단원인 ‘진화’단원을 선정하였고, 분석 영역은 ‘내용의 구조’, ‘내용의 양과 연계’, ‘시각 자료’, 탐구문제의 성격‘이었다. 연구 결과, 첫째, 내용의 구조는 한국 교과서가 핀란드 교과서보다 중층 구조로 되어 있으며 한국이 핀란드에 비해 다양한 내용 구성 요소를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요 내용 제시의 양은 두 나라가 유사하였으며 내용의 연계에 있어 한국은 개념 중심으로 핀란드는 이야기적 서술을 하고 있다는 차이점이 있었다. 셋째, 시각 자료의 경우 한국은 주로 사진 자료를 내용 제시를 위해, 핀란드의 경우 사진과 그림 자료를 내용 제시와 내용 보조를 위해 다양하게 활용하고 있었다. 넷째, 탐구 문제의 성격을 PISA 2009 과학평가틀을 토대로 보면 한국은 ’과학적 증거 사용‘이나 ’현상에 대한 과학적 설명‘에, 핀란드는 ’내용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현상에 대한 과학적 설명‘에 보다 중점을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compares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of Korea and Finland. The unit ‘Evolution’ of science textbooks were analyzed from four perspectives; content structure. the number of main learning elements and organization of these elements, the kinds and functions of picture materials, the characteristics of inquiry questions presented in the unit.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Korean textbooks show more complex structure than Finnish textbooks and tend to include many content structuring elements such as ‘unit title, inquiry questions, research question, interview with scientist, summary whereas the Finnish textbooks show simple structure composed by title, content, simple questions. Second, there cannot be found big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learning elements presented in the unit of each textbooks, but, the organization of learning elements are different in that the Korean textbooks are organized focused on the main concepts and the Finnish textbooks are organized in storytelling style. And the Finnish textbooks tend to place emphasis on the ethical issues of environment and human. Third, in the Korean textbooks, photographs are mainly used and are playing roles of presenting main contents in the textbooks. In the Finnish textbooks, photographs and drawings are used equally and are playing supportive roles, playing roles of presenting content and encouraging students’ motivation. Fourth, inquiry questions in the Korean textbooks are more focused on discovery of evidence and scientific explanation of phenomenon. And the Finnish textbooks place more emphasis on deep understanding of content and scientific explanation of phenomenon.

      • KCI등재

        전자간증 병력 없이 분만중 뇌출혈을 초래한

        조덕주 ( Jo Deog Ju ),전병화 ( Jeon Byeong Hwa ),김성훈 ( Kim Seong Hun ),이상수 ( Lee Sang Su ),손우석 ( Son U Seog ),장연규 ( Jang Yeon Gyu ),목정은 ( Mog Jeong Eun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6 No.8

        Cerebrovascular disorders (infarction and intracranial hemorrhage), otherwis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stroke, are an uncommon and feared complication of pregnancy. Collectively, these disorders contribute up to 12% of all maternal deaths. Because of t

      • KCI등재

        한국과 미국의 대학 교양 교육에 나타난 통합의 특징 분석

        조덕주(Jo, Dukjoo),최연주(Choi, Yeonjoo) 한국비교교육학회 2012 比較敎育硏究 Vol.2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교양교육에서 통합의 특징이 얼마만큼 그리고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가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 것이었으며 주요 연구내용은 첫째, 대학 교양교육과정의 구조 및 하위영역의 특징, 둘째, 영역별 통합의 정도, 셋째, 통합의 방식 등이었다. 연구 결과, 첫째, 연구대상 대학의 교양교육 영역명은 모두 통합적 성격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고 과목명에도 그러한 경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둘째, 영역별 통합 정도에 있어 각 영역에 포함된 모든 과목이 통합 과목은 아니었다. 셋째, 통합 방식은 거미줄형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한 시사점으로서, 첫째, 학생들에게 통합적 경험을 제공하기 위하여 대학별 맥락에 따른 교양교육 구조가 마련되어야 한다는 점, 둘째, 통합교육의 도입을 수월하게 하기 위해서는 영역명부터 통합적 성격을 갖도록 해야 한다는 점, 셋째, 모든 과목을 통합과목으로 제시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 넷째, 통합의 절차는 공유형에서 거미줄형으로 나아가는 것이 현실적일 수 있다는 점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grated courses in General Education at the universities as a way to find implications for the curriculum development of General Education . The subjects of analysis were 1) the structure of General Edu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courses in General Education 2) the number of integrated subjects in each courses, 3) the ways to integrate academic fields. This results were as follows. 1) All titles of courses in General Education adopted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2) Not all the subjects which were involved in each courses have interdisciplinary characteristics 3) The webbed approach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way to integrate academic fields.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brought several implications to us for improving qualities of General Education. 1) To make it easier to integrate academic fields, it had better name titles of courses in interdisciplinary approach 2) Even though a course aims to be interdisciplinary, it is not necessary all the subjects to be integrated. 3) There is not only one way to integrate academic fields. And it is desirable to use blended approaches to integrate fields -these are the webbed approach, the shared approach and threaded approach.

      • KCI등재

        신입 및 경력 비서의 교육 개선을 위한 한국, 미국, 일본의 비서 교육 프로그램 분석

        정은영(Chung, Eun-young),조덕주(Jo, Dukjoo) 한국비서학회 2016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5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미국, 일본의 신입 비서와 경력 비서 교육 프로그램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국내 비서 교육을 위한 개선 방향을 탐색한 것이다. 분석 준거는 교육의 체계, 프로그램의 목적, 프로그램의 내용이다. 연구결과, 첫째, 비서 교육 체계에 있어서 한국의 비서 교육은 비서유형이 주로 업무비서인 반면, 미국과 일본 대학의 경우에는 비서유형을 보다 전문화・다양화하고 있으며, 경력비서의 경우도 업무수행능력 제고 및 경력개발을 위해 다양한 교육 참여 기회가 제공되고 있다. 둘째, 프로그램의 목적을 보면, 한국과 일본은 지식․기능․태도 모두를 강조하고 있는데 비해, 미국은 비서의 전문성 제고라는 목적 하에 지식과 기능이 보다 강조되고 있다. 셋째, 프로그램의 내용을 보면, 일본과 미국의 경우 교육 목적에 따라 이에 적합한 교과목 들이 제시되어 있다. 즉, 일본의 경우 인성을 중시하는 교육목적에 적합한 교과목들이 제시되어 있고, 지식․기능․태도 관련 교과목들이 균형 있게 제시되고 있으며 미국의 경우도 비서의 전문성 제고라는 목적에 적합한 교과목들이 제시되어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비서 교육 체계의 측면에서는 신입과 경력 비서 교육 체계의 다양화, 목적의 측면에서는 비서 교육의 명확한 목적 설정 및 인문적 소양의 강조, 내용의 측면에서는 목적 달성에 적합한 교과목의 제공 및 기능․태도․지식 관련 교과의 균형 있는 개설 등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ducational programs of entry-level and experienced secretaries in Korea, USA, and Japan and to explore the desirable directions of improvement of secretarial programs in Korea. A comparative analysis is conducted based on three criteria: the structures, purposes and contents of the programs. First, from the viewpoint of their structures, the secretarial education programs in the USA and Japan are more varied and have more professional characteristics than those in Korea. Second, in Korea and Japan, their purposes are well established focusing on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 in a balanced way. Specially, in Japan, professional attitudes are more emphasized than in Korea. In the USA,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skills is stressed as the major purposes of the secretarial program. Third, the adjustment of the program contents(subjects) according to the purpose is found in all three countries. That is, in Japan, many subjects are included which help to develop the attitude of a professional secretary, and, in the USA, various subjects are developed to foster their competences.

      • KCI등재

        외국의 ‘고교-대학 연계’ 방식과 실천 사례 분석

        정광희(Kwang-Hee Chung),조덕주(Duk Joo Jo) 한국비교교육학회 2011 比較敎育硏究 Vol.21 No.2

        본 논문은 학습자의 능력, 개성, 흥미의 지속적인 계발을 위해 고교와 대학의 연계가 필요하다는 인식 하에 학습형 연계, 선발형 연계, 연계 시스템 등의 분석 요소에 따라 일본과 호주의 고교와 대학 간의 연계 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한국의 고교-대학 연계에 대한 시사점을 얻기 위한 것이다. 학습형 연계의 유형은 대학이 고교로 찾아가는 형태와 고교에서 대학으로 가는 형태가 있으며 목적은 고교생의 학습능력 향상 및 진로 설정에 도움을 주는 것이다. 선발형 연계는 대학 입학 전형에의 반영 정도에 따라 소극적 및 적극적 형태가 있으며, 연계 시스템은 주로 지역의 발전을 위해 지역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는데 교육청, 교육기관, 지역의 각종협의체 및 지역의 기업 등이 총 협력하여 하나의 조직체를 구성 운영되고 있거나(일본) 대학에서 주도적으로 운영하되 대학 관련기관에서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형태를 보이고 있다(호주). 이러한 사례 등을 바탕으로 우리의 경우 지역 교육 네크워크를 구성하고 학습형 연계에서 선발형 연계로 점차 나아가는 방안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the foreign cases of the connection between high school and college education specially focused on Japan and Australia. In this study, the connection between high school and college education means cooperative relationship high schools and colleges to improve educational functions of each institutes Three dimensions of connection are identified and these are the connection for study, the connection for the admission process, and systematic connection. The results are the followings. First of all, the connection for study is to try to improve the scholastic ability and curiosity of high school students for them to adapt well in colleges. The connection for the admission process is to try to teach for the student so choose right colleges and majors through this type of connection. we need to form a social consensus to initiate this type of linkage because it has some limitations to start in the current standardized high school system. And many colleges and their affiliate institutions and high schools, a local government, local education committees, and even local companies participate in this connection and run the common project together, especially at Tokyo in Japan. We need to reestablish a relationship between high schools and colleges as educational partners and organize educational organizations in local areas and support network system to attract continuous participation from the participants.

      • KCI등재

        ALACT 모형을 활용한 반성적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전귀자(Chun, Guija),조덕주(Jo, Dukjoo) 한국열린교육학회 2015 열린교육연구 Vol.23 No.3

        이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일반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생들의 다문화적 경험이나 행위를 돌아볼 수 있도록‘반성’에 초점을 둔‘반성적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 것이다. 연구 내용은 첫째,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 수립, 둘째, 내용 영역의 구성, 셋째, 반성에 기초한 교수학습 방법 탐구, 마지막으로 이를 연계한 반성적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다. 이론적 탐색 결과를 토대로‘나에 대한 이해(정체성)’,‘나와 다른 사람들에 대한 이해와 존중(다양성)’, 편견과 차별의 지양 및 공정과 공평의 지향(사회 정의)을 주요 내용 영역으로 하여 각각 하위 5차시씩 총 15차시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각 차시별 수업과정은‘반성’을 토대로 직면하기, 돌아보기, 재구성하기, 실천의지 다지기 및 실천하기를 기본으로 하여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초등학교 고학년용 반성적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이, 이후 초등학교 저학년 혹은 중학교와 연계된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연구에 주요 토대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focusing on students' reflective thinking. The objectives, main contents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which are appropriate to this reflective multicultural program are stud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objectives of the program are established based on the concepts 'identity', 'diversity', and 'social justice'. Second, the contents of the program are identified according to the objectives, such as understanding of oneself, deep understanding and respect for another person's culture, and even-mindedness/nondiscrimination. Third,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es of reflective multicultural lessons are identified as comprising of four stages, those are 'facing on problems', 'looking back on actions', 'reconstruction of multi-cultural perception and attitude', and 'practicing the willingness of action and trial'. Finally,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15 units of reflective multicultural program are developed(5 units for each concept such as identity, diversity, and social justice) based on ALACT Model. The further studies, such as the study on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nd the development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e continuity with this program are expected to be performed for the authentic and deep change of students' multicultural recognition and attitu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