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멘토링을 활용한 교원의 전문성 향상에 관한 연구 - 미국의 PAR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정제영,정성수 한국교원교육학회 2006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3 No.2

        본 연구는 교원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으로서 멘토링이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보고, 미국에서 멘토링을 기반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PAR 프로그램의 사례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에서 적용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멘토링은 우수한 교사의 지식, 특히 암묵지(暗知, tacit knowledge) 형태로 체화되어 있는 지식과 노하우 등이 다른 교사에게 효율적으로 학습될 수 있는 방법이다. 미국의 PAR 프로그램은 동료지원(peer assistance)과 동료평가(peer review)로 구성되어 있는데 평가와 멘토링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제도라고 할 수 있다.본 연구는 미국에서 추진하고 있는 PAR의 개념, 목적, 그리고 운영사례를 분석하여, 우리나라에 주는 시사점을 결론적으로 도출하였다. PAR 프로그램이 주는 시사점은 첫째, 교원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 교원단체가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새로운 역할과 책임을 맡아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최근 우리나라에서 도입이 추진되고 있는 교원평가가 멘토링프로그램과 연계되어야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이다. 셋째, 특히 초임교사들의 교직 적응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멘토링 제도가 필요하며, 현재 일부 지역에서 추진 중인 멘토링 제도를 전국단위로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우수한 멘토를 발굴하기 위한 기준과 자격의 설정 및 인력 풀을 구성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다섯째, 이 모든 것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 요구되는 충분한 재정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과 노력이 절실하며, 아울러 국가차원 및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지원이 요구된다.

      • KCI등재

        학업 성취도에 기반한 교육의 책무성 평가에 관한 연구-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정제영,신인수,이희숙 한국교원교육학회 2009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6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교육의 책무성을 평가하는 요소로서 학생의 학업 성취도 평가를 활용하는 것에 대한 이론과 실제를 살펴보고,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학교교육의 성과를 높이기 위한 노력은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학업 성취도 평가가 학교교육의 책무성을 평가하는 주요 기제로 활용되고 있다. 미국에서는 2002년 통과된 NCLB 법률에 의해 거의 모든 주에서 학업 성취도 평가를 실시하고 있으며, 그 결과를 통해 학교교육의 책무성을 높이고자 시도하고 있다. 워싱턴 D.C.에서는 학업 성취도 평가 결과에 근거하여 21개의 학교를 폐쇄하고, 36명의 학교장과 270명의 교사를 해임하는 등 강력한 교육개혁을 추진하고 있으며, 플로리다 주에서도 학업 성취도 평가의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의 책무성을 강하게 요구하고 있다. 여러 가지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효율적으로 책무성을 평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앞으로 학업 성취도 평가의 활용도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학업 성취도 평가를 활용한 책무성 평가 체제를 안정적으로 구축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다섯 가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학교교육의 책무성을 평가하기 위한 체제에 대한 종합적인 계획이 필요하다. 둘째, 학업 성취도 평가의 목적을 올바르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학업 성취도 평가의 내용을 올바르게 구성해야 한다. 넷째, 학업 성취도 평가를 학교교육의 책무성 평가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과정과 방법에 대한 교육 주체들의 합의를 도출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섯째, 법적 분쟁의 소지를 없애기 위해서 학업 성취도 평가와 함께 교육의 책무성을 관리하는 체제를 법제화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est based educational accountability systems. In many countries, governments are trying to improve school education, and student achievement tests are the basis for evaluating educational accountability.The No Child Left Behind Act of 2001 required every state to implement a statewide test in an effort to improve the results of public school education. For instance, in the State of Florida, student test results on the Florida Comprehensive Assessment Test (FCAT) are the core factor of its school accountability system. Additionally, using test results, Michelle Rhee, Chancellor of the District of Columbia Public Schools system, has closed 21 schools, fired more than 100 workers of central bureaucracy, dismissed 270 teachers, and removed 36 principals. We can expect that the test-based accountability system will be used in Korea: therefore, five things should be considered carefully. First, we need a grand plan for evaluating an educational accountability system. Second, we need to customize the purpose of the student achievement test. Third, we should make authentic tests based on core competencies. Fourth, the testing process and its methodologies need the mutual consent of teachers, parents, and community members. Fifth, we need to develop legislation for the test and accountability system.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학교제도 개선 방안 : 개인별 학습 시스템 구축을 중심으로

        정제영 한국교육정치학회 2017 敎育政治學硏究 Vol.24 No.3

        이 연구의 목적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응하여 학교제도를 개선하는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4차 산업혁명의 도래에 따른 교육적 시사점을 3가지로 분석하였다. 첫째, 미래 사회의 변화를 예측하고 이에 맞는 미래 인재상과 그에 맞는 핵심역량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둘째, 미래 사회의 변화는 학교를 포함한 교육 시스템의 총체적 혁신을 요구한다. 셋째,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사회적 변화는 승자 독식의 구조를 가속화시킬 것으로 예상되므로 사회적 약자를 위한 교육정책을 강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4차 산업혁명이 가져올 사회 변화에 대응하는 학교제도의 변화 방향으로 “개인별 학습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개인별 학습 시스템은 학교의 역할을 재규정하는 것으로 시작하여, 교육과정, 교수․학습 과정, 평가방식, 교사의 역할 등 총체적인 전환을 요구하는 것이다. 개인별 학습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학교 자체의 변화도 중요하지만 교육제도의 변화도 중요하다. 개인별 학습 시스템이 운영되기 위한 기반이 되는 제도적 변화가 함께 이루어져야 하는 이유는 학교가 교육제도의 틀 안에서 운영되는 하위 시스템이기 때문이다. 제도적 변화의 가장 핵심적인 요소로 교육제도 운영의 철학, 학교제도, 입학제도, 학교 시설의 변화를 제시하였다. 개인별 학습 시스템의 적용 과정에서 정책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정권을 초월하여 장기적 관점에서 추진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학교제도의 전반적인 혁신을 위해서는 교사의 변화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셋째, 개인별 학습 시스템 구축 등의 다양한 실험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교육제도의 유연성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학교 시스템의 혁신을 위해서는 교육 주체의 신뢰를 얻는 정책 리더십이 필요한 것으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sign a personal learning system for the purpose of responding to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is study analyzed three educational suggestions for the fourth industry revolution. First of all, it is needed to discuss future human resources images and core competencies matching them. Secondly, future social changes call for general innovation of educational systems. Third, since the change of society is expected to accelerate the structure of the winner-take-all society,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educational policy for socially vulnerable people. Thirdly, in order to conduct various experiments such as establishment of an individual school system,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flexibility of the educational system with priority. Fourth, for innovation of the school system, this study suggest that policy leadership that gains the trust of the people is necessary. In the process of applying the personal learning system, this study try to present matters to be considered.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promote a long-term perspective beyond the regime. Second, for the overall innovation of the school system, teacher change is more important than any other things. Third, in order to conduct various experiments such as establishment of an personal learning system,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flexibility of the educational system with priority. Fourth, for innovation of the school system, this study suggest that policy leadership that gains the trust of the educational entity is necessary.

      • KCI등재

        고등학교 유형에 따른 영어 학업성취도 변화 요인 분석

        정제영,정예화,최지원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9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difference of the change of English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type of high school and to find the school factors influencing English academic achievement. For the analysis, we used the school information disclosure data from 2013 to 2016 and national grade achievement evaluation data provided by 'Edu Data Service System(EDSS)'. In order to analyze the data by year, we used panel analysis to identify the school factors influencing academic achievement by high school type.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changes of English academic achievement by high school type from 2013 to 2016 show similar patterns i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foreign language high schools, international high schools and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s; and similar patterns i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autonomous public high schools, non-equalization general high schools and equalization general high school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chool factors influencing the academic achievement by the high school type using the fixed effect model of the panel analysis, it was found that in foreign language high schools and international high schools, the lower the number of students per teacher, the higher the academic achievement of school; in autonomous public high schools, the higher the proportion of the students receiving the school meal, the higher the dropout rate, the more the level-based classes, the higher the academic achievement of school. In non-equalization general high schools and equalization general high schools, the higher the number of students per teacher, the higher the dropout rate, the more the subject classroom system, the more the English education program, the higher th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school. 본 연구는 고등학교 유형별로 영어 학업성취도의 변화 양상이 어떤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지와 영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요인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을 위해 ‘에듀데이터서비스시스템(EDSS: Edu Data Service System)’에서 제공하는 2013년부터 2016년까지의 학교정보공시자료와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자료를 활용하였다. 연도별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패널분석을 활용하여 고등학교 유형별로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요인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2013년부터 2016년까지의 고교 유형별 영어 학업성취도의 변화는 외고와 국제고, 자사고의 학업성취도가 비슷한 패턴을 보였고, 자공고 및 비평준화 일반고, 평준화 일반고의 영어 학업성취도가 비슷한 패턴을 보였다. 패널분석의 고정효과모형을 사용하여 고등학교 유형별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요인을 분석한 결과, 외고 및 국제고는 교사 1인당 학생 수가 적을수록 학업성취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자공고에서는 교사 1인당 학생 수가 많을수록, 급식비지원학생의 비율이 높을수록, 학업중단율이 높을수록, 수준별 이동수업을 실시할수록 학업성취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평준화·비평준화 일반고는 교사 1인당 학생 수가 많을수록, 학업중단율이 높을수록, 교과교실제 및 영어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할수록 학교의 학업성취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교사의 전문성 계발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의 교육환경 요인 분석

        정제영,김현주,이유진 한국교원교육학회 2014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1 No.3

        이 연구는 지역의 교육환경에 따라 교사의 전문성 계발 수준에 차이가 있다면 지역 간의 교육격차가 더욱 심화, 고착화될 것이라는 문 제의식에서 지역별 교육환경이 교사들의 전문성 계발 노력 정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우선 전국 시도의 평균 소득수준에 따라 소득수준 최상위와 최하위 지역을 선정하여 두 집단으로 나누고, 지역별로 교육환경의 격차와 교사 전문성 계발 노력 정도에 대한 차이가 있는 지에 대해 분석한 후, 지역별로 어떠한 교육환경 요소가 교사의 전문성 계발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지역의 교육환경은 교사의 학위 수준보다는 교원의 연수 이수 수준에 좀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둘째, 전체 학생수는 교사의 전문성 계발 노력 수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셋째, 교사당 역량강화비 는 교사의 연수 이수 수준과 학위 수준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역별 교육환경 특성 중 사교육 시장 발달 수준과 사회 경제적 수준이 교사의 전문성 계발 노력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는 것이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는 지역의 교육환경 차이가 교사의 전문성 계발 수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 KCI등재

        학교폭력 관련 정책에 대한 교원의 요구도 분석 : “현장중심 학교폭력 대책”을 중심으로

        정제영,김성기,김무영,이윤희,선미숙,이아진 한국교원교육학회 2015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2 No.1

        본 연구는 2013년 7월에 수립된 “현장중심 학교폭력 대책”에 포함되어 학교현장에서 시행 되고 있는 학교폭력 예방 및 근절을 위한 세부과제들을 평가하고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학교폭력예방법에 의거하여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 기본계획”을 5년마다 수 립하여 시행되어 왔고, 최근 학교폭력이 사회적 문제로 이슈화되면서 보다 근본적인 해결책 을 모색하기 위해 2012년 2월 학교폭력근절 종합대책과 곧 이은 2013년 7월의 현장중심 학교 폭력 대책이 시행되었다. 정책의 과정에서 기존 정책에 대한 다양한 평가를 통해 지속적으로 개선하려는 노력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초·중·고등학교 교원을 대상으로 학교폭력 대책의 세부과제별 인지도, 시행 정도, 효과성과 중요도에 대한 인식 수준을 조사하였다. 학교폭력 관련 정책에 대한 교원의 인식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Borich 요구도 분석과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Borich 요구도 분석과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한 분석 결과, 정책의 효 과성과 중요도가 가장 높은 과제는 CCTV 등 안전인프라 확충 및 운영 내실화, 교권 강화와 교원업무 경감, 학교폭력 피해학생 전담 치유기관 운영, 가해학생에 대한 조치 강화 등으로 나타났다. 또한 체험형 예방교육 프로그램 운영, 예방교육 전문강사 운영, ‘학생안전지역’ 지 정, 성폭력 예방 등이 적극적으로 시행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and importance of “the National Plan for Field-Oriented School Violence Eradicating” that has been implemented since July 2013. Based on the analysis, this research intends to suggest policy recommendation for improving policy. This policy evaluation is necessary to make new version of plan solving school violence problems. To this end, teacher survey was conducted during July 2013 using online system. The main contents of survey is to evaluate specific tasks in school violence policy in terms of effectiveness and importance. Using Borich’s needs assessment model and the Locus for Focus analysis tool, we showed the priorities of school violence policy. Teachers evaluated 'expansion of safety infrastructure such as CCTV’ and 'improvement of guidance and counseling condition such as Strengthening of the authority and Reduction of Teachers’ as the most positive tasks. As a result of Borich‘s needs assessment and the Locus for Focus analysis, ‘supporting treatment fee in advance’, 'improvement of guidance and counseling condition such as Strengthening of the authority and Reduction of Teachers’, 'Operation of Exclusive Healing agencies for school violence victims', ‘instant action for school violence attackers’ are necessary to be implemented more a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