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CFRP 그리드의 산성용액 침지기간에 따른 특성 평가

        정연준,팍 멩하이,신연준,양영동,권민호 한국복합신소재구조학회 2024 복합신소재구조학회 학술발표회 Vol.2024 No.04

        현재 철근콘크리트 분야에서 부재의 철근을 FRP 보강재로 대체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CFRP(Carbon Fiber Reinforced Polymer)는 특히 내화학성이 우수하여 보수 및 보강재로 큰 장점을 가지 며, RC 구조물의 보강재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CFRP 그리드의 경우 수지를 이용하여 섬유를 결합한 형 태를 가진다. 이러한 형태는 외부의 영향에 의해 수지 혹은 섬유의 손상으로 강도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CFRP 그리드의 산성에 대한 저항성을 침지기간에 따른 인장강도 변화량 및 SEM과 무게 변화를 통해 확인하고자 한다. 따라서 Ph 농도 1~3의 강산성에 CFRP 그리드를 침지시키는 방식을 통해 내 화학 실험을 진행한다. 황산( ㉸禮냥 ?을 이용하여 산성 용액을 제작한 후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은 항온장치에서 60℃의 온도로 침지기간은 30, 60, 90, 180일로 한다. 그리드의 인장강도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기간 별 시편의 수는 5개로 하며 침지시키지 않은 그리 드를 포함하여 총 25개의 시편을 실험한다. 인장실험을 통해 변형률 및 인장강도 변화를 확인한다. 그 리드의 섬유 및 수지의 변화 확인을 위해 실험진행 전 그리드의 무게를 측정 및 SEM(전자주사현미 경) 데이터 확보 후 실험을 진행한다. 기간별 침지된 그리드와 비교를 통해 기간별 섬유 및 수지의 영 향 정도를 확인한다. 본 연구에서는 산성이 CFRP 그리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인장강도, SEM, 무게 변화를 통해 연구하였으며, 이를 통해 산성의 영향을 받는 CFRP 그리드 부재의 안정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 KCI등재

        부정적분과 정적분의 관계에 관한 고찰

        정연준,이경화 대한수학교육학회 2009 학교수학 Vol.11 No.2

        There are two distinct processes, definite integral and indefinite integral, in the integral calculus. And the term 'integral' has two meanings. Most students regard indefinite integrals as definite integrals with indefinite interval. One possible reason is that calculus textbooks do not concern the mean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finite integral and indefinite integral. In this paper we investigated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concepts of definite integral and indefinite integral,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We have drawn pedagogical implication from the result of analysis. 적분과 적분 기호는 합과 미분의 역, 두 가지 의미를 지닌다. 기호와 그 의미에 기초할 때 부정적분은 정적분과 동일한 것처럼 생각될 여지가 있으며 많은 학생들이 부정적분을 구간이 결정되지 않은 정적분으로 간주하고 있다. 부정적분과 정적분의 개념 발생 과정은 현재 학교수학에서 충분히 다루어지고 있지 않다. 이는 부정적분과 정적분을 단지 기호와 그 기호를 다루는 방식에 의해서 다루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이 논문에서는 부정적분과 정적분의 개념 발생 과정과 상호 간의 관계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고, 이로부터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KCI우수등재

        공주시 도심지역 가로환경만족도 영향요인 분석

        정연준,이경환 대한건축학회 2023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9 No.9

        본 연구의 목적은 가로환경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고 이를 객관화하여 미시적 영향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가로환경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6가지 유형, 17가지 요소로 분류하고, 공간구문론과 컴퓨터비전을 이용하여 공간구조와 시각요소를 정량화하였다. 현장조사, 공간구문론, 컴퓨터비전을 통해 구축된 자료와 가로환경만족도와의 관계를 순위형로짓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범죄안전성, 교통안전성, 위요감, 유효보도폭, 전체통합도는 가로환경만족도에 정(+)의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횡단보도 밀도와 도로, 건물, 울타리 및 벽의 경관구성비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여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도심에서 다양하고 능동적인 보행활동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범죄와 교통으로부터 안전하며, 연속적이고 쾌적한 보행을 지원할 수 있는 가로경관과 보행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본 연구는 가로환경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정량화하고 미시적으로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공주시 도심권이라는 한정된 공간적 범위를 대상으로 했다는 한계가 있으며, 보다 다양한 요인들의 영향관계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how different factors impact street environment satisfaction on a small scale. There were 17 elementsidentified across four categories from past research to see what affects people’s satisfaction with their surroundings. The spatial layout andvisual elements were measured using spatial syntax and computer vision. After analyzing the connections between field survey data, spacesyntax, computer vision, and street environment satisfaction using an ordinal logit model, this analysis revealed that factors like crime safety,traffic safety, sense of danger, sidewalk width, and overall integration positively impact street satisfaction. Conversely, crosswalk density, roaddensity, building density, and the presence of fences and walls negatively affect it. From this, it’s clear that creating a street environmentthat promotes safe and comfortable walking, free from concerns about crime and traffic, is crucial to encourage diverse and active walking inthe downtown area.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quantifies and closely examines various factors influencing street satisfaction. However, it’simportant to note that the study’s focus was limited to the downtown area of Gongju City, and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understand theimpact of more varied factors.

      • KCI등재

        Monitoring the Outcomes of Systemic Chemotherapy Including Immune Checkpoint Inhibitor for HER2-Positive Metastatic Gastric Cancer by Liquid Biopsy

        정연준,라선영,정승현,이충근,권우선,윤수진,정민규,김효송,정현철 연세대학교의과대학 2023 Yonsei medical journal Vol.64 No.9

        Purpose: For precision medicine, exploration and monitoring of molecular biomarkers are essential. However, in advanced gas tric cancer (GC) with visceral lesions, an invasive procedure cannot be performed repeatedly for the follow-up of molecular bio markers. Materials and Methods: To verify the clinical implication of serial liquid biopsies targeting circulating tumor DNA (ctDNA) on treatment response, we conducted targeted deep sequencing for serially collected ctDNA of 15 HER2-positive metastatic GC pa tients treated with anti-PD-1 inhibitor in combination with standard systemic treatment. Results: In the baseline ctDNAs, 14 patients (93%) harbored more than one genetic alteration. A number of mutations in well known cancer-related genes, such as KRAS and PIK3CA, were identified. Copy number alterations were identified in eight GCs (53.3%), and amplification of the ERBB2 gene (6/15, 40.0%) was the most recurrent. When we calculated the mean variant allele frequency (VAF) of mutations in each ctDNA as the molecular tumor burden index (mTBI), the mTBI trend was largely consistent with the VAF profiles in both responder and non-responder groups. Notably, in the longitudinal analysis of ctDNA, mTBI provided 2–42 weeks (mean 13.4 weeks) lead time in the detection of disease progression compared to conventional follow-up with CT im aging. Conclusion: Our data indicate that the serial genetic alteration profiling of ctDNA is feasible to predict treatment response in HER2-positive GC patients in a minimally invasive manner. Practically, ctDNA profiles are useful not only for the molecular diag nosis of GC but also for the selection of GC patients with poor prognosis for systemic treatment (ClinicalTrials.gov identifier: NCT02901301).

      • KCI등재

        GPS데이터를 활용한 신도시 노인들의 적정 근린생활권 규모 추정 - 성남시 분당구 야탑3동을 대상으로

        정연준,박주현,이경환 한국도시설계학회 2020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21 No.1

        This study elucidates the characteristics of walking activities such as the range of activity using GPS data to examine urban design development for elderly residents. For perceived neighborhood living zone of elderly residents, a mapping survey showed an average area of 191,279㎡, expressed as “my neighborhood” based on a central facility or street. The range of daily living area derived from GPS data was 182,610㎡, and relative to the perceived neighborhood living zone, the average degree of the overlap was 32.9%, which was different from the perceived neighborhood living zone and the actual living range. An analysis of elderly walking distance based on the histogram showed their walking distance mode to be approximately 300~350 m. These results suggest a need to set the elderly daily living area to be smaller than that proposed by existing neighborhood theories. 본 연구는 GPS데이터를 활용하여 신도시에 거주하는 노인들의 보행활동을 조사ㆍ분석하고이를 토대로 신도시 노인들에게 적합한 근린생활권 규모를 추정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들은 자신이 거주하고 있는 단지와 인접단지, 주요시설, 간선도로 등을 기준으로 우리 동네를 인지하며, 노인들이 인지하는 근린생활권 규모는 평균 191,279 ㎡로 나타났다. 둘째, GPS조사를 통해 노인들의 실제 활동 범위를 도출한 결과 약 182.610㎡로노인들이 인지하는 근린생활권 범위와 큰 차이는 없지만 중첩도는 32.9%에 불과해 우리 동네로 생각하는 인지된 근린생활권 범위와 실제 활동 범위는 매우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운동을 제외한 보행통행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노인들의 보행거리 평균값은 392.06m, 중간값319.56m, 최빈값은 300~350m로 나타났다. 셋째, 분당신도시 기본계획에 적용된 근린생활권 범위는 약 502,400㎡로 노인들이 인지하는 근린생활권 범위, 실제 활동 범위와 비교할 때 매우큰 것으로 나타나 노인들의 보행특성을 반영한 근린생활권 규모는 기존 계획보다 좀 더 작은범위로 설정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중학교 수학 학습격차 분석 -2016~2020학년도 학교 성적 공시 자료를 기반으로

        정연준,한천우,오택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2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5 No.3

        본 연구는 우리나라 학생들의 중학교 내신 성적을 이용하여 수학 학습격차의 실태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학습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국 중학교의 2016~2020학년 도 성적 공시자료를 분석하여 학생들의 2학년 2학기와 3학년 2학기 수학 성적의 표준편차의 증감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3학년 2학기 수학 성적의 표준편차가 2학년 2학기의 표준편차보다 일관되게 2 점 이상 증가하여 왔으며, 특히 COVID-19로 인해 대면 수업이 축소된 2020학년도에 표준 편차의 증 가 폭이 4점 이상으로 두드러지게 확대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학습격차의 확대는 수학 저성취 집단의 고착화 및 확대 현상을 동반한다. 중학교에서 학년급이 올라가면서 저성취층에 새 롭게 편입되는 학생이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고려할 때 수학 학습격차 해소 를 위해서는 수학 저성취 집단의 고착화 및 확대 현상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장 기간 저성취층 집단에 편입되어 저성취 상태에 고착된 학생들을 위한 대응 방안이 필요하며, 저성취층 편입 기간이 길지 않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저성취층 고착화 예방 방안 , 저성취층 편입 위험 계층 을 대상으로 하는 저성취층 확대 예방 방안 등이 필요하다. 이러한 논의는 수학 학습격차 해소를 위해 서는 수학 저성취 집단을 동일한 집단으로 간주해서는 안되며, 이 학생들의 저성취 집단 편입 시기 및 편입 가능성을 고려하여 개별 혹은 집단별 맞춤형 지원 방안을 제공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atterns of learning gap in math and provide a suggestion to resolve the problem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 research adopted the view that the learning gap caused by differences in student individual competencies and family environments affects later learning, which can further deepen the learning gap. To do so, middle school grade disclosure data across the country from 2016 to 2020 were analyzed to figure out increases or decreases in standard deviation of students' math grades from the second grade to third grade by achievement grad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standard deviation of mathematical grades in the third grade has increased by more than 2 points compared to the standard deviation in the second grade. In particular, it was shown that the increase in standard deviation was remarkably expanded to more than 4 points in the 2020 school year, when face-to-face classes were reduced due to COVID-19. The increasing pattern of standard deviation in math represents that the low achievement group in math becomes permanent. As the middle students’ grade gets higher, particularity, students in the middle-achieving class are likely to transfer to the low-achieving class. With th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all students in the low-achieving class should not be considered in the same way, rather individualized support and/or program should be considered and provided in the math education to reduce learning gap in math education.

      • KCI등재

        자연수 곱셈 계산 지도에 관한 초등학교 수학교과서 비교 분석 연구 - 우리나라, 미국, 싱가포르, 일본 교과서를 중심으로 -

        정연준,조영미 대한수학교육학회 2012 수학교육학연구 Vol.22 No.2

        The algorithm of natural number multiplication is one of the basic topics of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Mastery of algorithm and understanding of the principles are important educational aims. In this paper we analyzed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of South Korea, the United States, Singapore, Japan. As a result of analysis, we found out that there are much differences in the teaching of multiplication with three numbers, ‘×10’, and ‘× tens’. We suggested some implication for the teaching of algorithm of natural number multiplication. 자연수의 곱셈 계산법은 초등학교 수학의 가장 기본적인 주제 중 하나이며, 계산법의 숙달과 계산 원리의 이해는 중요한 교육 목적이다. 이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미국, 싱가포르, 일본의 초등학교 수학교과서의 관련 단원을 분석․비교하여 곱셈 계산 지도에 대한 유용한 교수학적 시사점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 결과, 세 수의 곱셈, ‘×10’의 지도, ‘×(몇십)’의 지도에서 나라별로 차이가 나타난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하여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