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취업이행 과정의 어려움에 관한 잠재유형과 정신적 안녕감과의 관계

        전지원 대한가정학회 2023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6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 the latent profiles of the difficulties associated with the school-to-work transition (decline in confidence, mood swings, family disagreements, the burdens of familial expectations, economic hardship, and a lack of support) made by university students, (b) predictors (gender, age, grade, university location, co-residence with parents on weekdays, monthly household income, and parental educational attainment) of these profiles, and (c) how the profiles were associated with mental well-being.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11 senior or above students (164 males and 147 females) under the age of 29, who were unmarried and preparing for employme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latent profile analysis revealed three distinct profiles: the “low overall difficulties” type (25.4%), the “moderate overall difficulties” type (49.9%), and the “high overall difficulties” type (24.7%). Second, the factors that predicted each profile included gender, age, co-residence with parents on weekdays, monthly household income, and parental educational attainment. Third, the “low overall difficulties” type demonstrated the highest level of mental well-being (emotional, soci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is study was significant for examining the latent profiles of the difficulties associated with the school-to-work transition made by university students preparing for employment, while also exploring their mental well-be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actical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조양보(朝陽報)의 여성계몽 전략

        전지원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23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 No.47

        본고는 조양보(朝陽報) 가 여성교육을 강조하고 현모담론을 유포하는 방식을 전근대 여성담론의 구성방식과 비교하여 분석했다. 조양보 가 다양한 지면 구성을 활용하여 여성에 대한 기사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일정 정도의 한문 지식을 갖춘 남성 독자를 주요 독자로 설정하고 있는 잡지임에도 불구하고 여성에 대한 근대지(近代知)를 장기 연재했던 것은 사회교육 차원에서 여성담론을 유포하려는 전략으로 파악했다. 여성담론을 형성할 때, 담론을 구성하는 지식에 대해 남성이 먼저 내면화 과정을 거치는 방식, 즉 남성이 여성에 대한 지식을 선점하여 여성담론을 주도한다는 점은 전근대시기에 남성사족이 유교적 가부장제의 원리를 내포하는 텍스트인 소학 을 선제적으로 깊이 내면화하여 주도적으로 여성담론을 형성하고 유포해 나갔던 방식과 유사하다고 보았다. 여성의 지적 열등함을 근거로 여성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방식 또한 전근대시기에 음란함, 투기, 사치와 같은 부정적인 이미지를 여성의 본성으로 파악하여 열(烈)ㆍ노동 담론을 개진하는 방식과 유사했다. 조양보 에서 수록하고 있는 근대지로서 가정학(家政學)은 중역(重譯)된 자료이면서 모본이 된 자료의 극히 일부만 수록하고 있다. 중역의 과정은 모본에서 변화된 구성과 추가된 내용을 수용한 것이었다. 이때 자녀의 의식주와 교육을 담당하는 어머니로서의 역할에 대한 극히 일부의 내용만 수록한 까닭은 유교적 가부장제의 성 역할을 견지하면서 특히 어머니 역할을 강조한 근대지를 수용하고자 했기 때문이다. 이것은 전근대시기에 여성에게 요구된 어머니의 역할과도 흡사했다. 다만 전근대시기에는 가문을 위한 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로서의 모성이 유효했다면 근대계몽기에는 국가를 위한 국민 양성자로서의 모성이 강조되었고, 그 역할을 수행하는 방법을 기술할 때 조양보 에서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는 데 반해 전근대시기에는 피상적으로 당위성만 강조하는 형태로 서술되었다. 그리고 전근대시기에는 여성을 교화의 대상으로 보고 가내에서 가장과 어머니에 의해 여성담론을 내면화했다면 조양보 에서는 여성을 교육의 대상으로 보고 있다. 이를 통해 여성에 대한 지식이 전문적인 분과학문의 가치를 가지게 되었고 여성이 교육의 장으로 나올 수 있었다. 조양보 의 여성계몽의 전략과 전근대 여성담론의 비교에서 발견되는 이러한 연속과 변화의 지점이 여성의 근대적 정체성을 만들어가는 과정을 살피는 기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It compared and analyzed the way the magazine emphasized women's education and distributed modern women's discourse and the composition of pre-modern women's discourse. The Joyanbo continued to provide articles about women using a variety of composition. Although it was a magazine for male readers who could read Chinese characters, it continued to serialize modern knowledge about women, the reason was a strategy to spread female discourse to men and women. It was a way for men to preempt knowledge about women and lead women's discourse, and the same method was used in the pre-modern period. The Joyanbo emphasized the need for women's education based on women's intellectual inferiority. It is the same as creating a ‘Yeol(烈)’ and ‘labor’ discourse in the pre-modern period because women's nature is obscene and luxurious. The Joyanbo contains a newly edited collection of home economics. The new editing changed the configuration and added content. The reason why the magazine includes the newly edited home economics is that the mother's role is particularly emphasized. This was similar to the role of mothers required of women in the pre-modern period. The role of the mother included in the Joyanbo is different from the role of the mother in the premodern period. The Joyanbo emphasized the mother who raises the people for the country, but in the premodern period, mothers raising children for the family were emphasized. The way the mother's role is described was also different. The Joyanbo described specific methods for performing the mother's role. In the pre-modern period, he only emphasized the justification for playing the role of a mother. The Joyanbo emphasized educating women, which means that knowledge about women is a professional discipline, and women were now allowed out of the house for education. By comparing the Joyanbo's women's enlightenment strategy with the pre-modern women's discourse, we found continuity and change. This will be a criterion for examining the process of creating a woman's modern identity.

      • KCI등재

        <三國史記>, <三國遺事>에 나타나는 고대 여성의 권력과 형상화 양상

        전지원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2023 퇴계학논총 Vol.42 No.-

        이 글은 三國史記 , 三國遺事 를 중심으로 젠더 간 권력 분기의 형상화 양상을 분석한 것이다. 이를 통해 가부장제가 초기 문헌에서 작동되는 방식을 확인하고자 했다. 문헌 자료 중 가장 이른 시기의 시대상을 확인할 수 있는 삼국사기 와 삼국유사 에서 여성은 전반적으로 주변 남성과의 관계 속에 ‘객체화’되어 존재했지만, 여성 권력의 흔적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삼국의 여성-지배층은 건국 과정에서부터 정치․종교 영역에 있어 상당한 권력과 재산을 소유하고 있었다. 하지만 정치 권력에서는 점차 소외되어 갔던 것으로 보인다. 삼국사기 와 삼국유사 를 통해 확인한 바, 여성의 정치 권력을 축소․은폐시키고 부정적으로 형상화하는 서술 방식을 통해 드러났다. 이 밖에 여성을 피동적․수단적 존재로 형상화하는 방식이 두드러졌는데, 이와 같은 여성의 형상화 양상은 이후 전개되는 여성 담론의 기원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삼국의 여성-지배층은 정치 권력에서 점차 배제되었지만 종교계에서 권한이 건재했고 재산권 또한 상당했다. 가부장에 의해 성사되는 혼인의 구속력이나 아내로서의 역할과 신의가 강조되었지만, 혼인의 구속력이 약했고 여성도 성적 자기 결정권이 있었던 면모가 확실히 보인다. 게다가 남성을 통해 정치 영역에 있어서도 여전히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었던 바, 사실상 여성의 권력은 상당했던 것이다. 하지만 권력에 있어 ‘남성을 통해’로 물러난 이 한 발이 ‘남성에게 종속’되는 방향으로 진행되는 양상의 시발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nalyzed the shape of the power branch between genders through Samkuksagi(三國史記) , Samkukyusa(三國遺事) . This is to confirm one end of the process of forming patriarchy in our history. Women were generally ‘objectified’ in their relationships with men around them, but women also enjoyed power. The ancient female-dominant class enjoyed a great deal of power in the political and religious areas and property rights since the founding of the country. However, it seems to have gradually become alienated from political power. It was revealed through a narrative method that reduced and concealed women's political power and negatively embodied it. In addition, the way women were embodied as passive and meansal beings was prominent. These methods became the origin of the later women's discourse. The ancient female-dominant class was gradually excluded from political power, but religious power was strong and wealthy. The marriage, its role as a wife and faithfulness began to be emphasized, however, the marriage was weak and women had the right to sexual self-determination. In addition, the political influence through men was still great. However, ‘through men’ became ‘subordinate to men’, this is where the history of patriarchy begi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