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려인 강제 이주 원인과 민족 정체성

        전병국 한국러시아문학회 2010 러시아어문학 연구논집 Vol.35 No.-

        1937년 고려인들은 자신들의 터전인 러시아 극동· 연해주에서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 당하였다. 강제 이주 과정은 참혹했으며, 이주 지역은 황폐한 땅이었다. 그러나 그들은 자신들이 처한 어려움에도 절망하지 않고 근면성과 학구열을 바탕으로 놀라운 적응력을 보여주었다. 강제 이주는 고려인들이 가지고 있던 ‘한국인’이라는 정체성을 강하게 뒤흔들어 놓았다. 그리고 이 강제 이주는 한 일정한 기간에 이루어진 사건으로만 끝난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고려인들의 정체성에 영향을 준 요인이 되었다. 강제 이주는 단일한 원인이 아닌, 복합적 원인에 의해서 진행되었고, 그 원인들에 따라서 국가 정책이 각각 다르게 시행되었다. 정치적․정책적 원인에 따라 당시 고려인 지도층은 스파이라는 죄목으로 처형당했으며, 이후 이주 정착 과정에서도 뛰어난 능력과 재능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스파이의 후예라는 연좌제와 소수 민족이라는 민족적 한계성 때문에 최고위급 직급을 부여받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경제적 원인을 통해서 고려인들은 그들이 가지고 있던 근면성과 농업 기술력이 필요한 중앙아시아로 이주되었고, 그곳에서 거둔 농업적 성공은 그들을 중앙아시아 토착민보다 더 나은 대우를 받을 수 있는 정치적․경제적 위치로 올려놓았다. 강제 이주는 고려인의 민족 정체성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사건임에 틀림없다. 고려인들의 민족 정체성을 연구함에 있어서 1937년 강제 이주 사건을 정확하게 바라봐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러시아와의 외교 관계가 수립 되면서, 이제는 고려인들과의 접촉이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공산주의 70여 년간 단절된 양 국가 간의 정치․경제 그리고 문화적 환경은 한국인과 고려인 사이에 뚜렷한 경계를 만들었다. 이러한 경계들은 서로 간에 오해를 초래하고 있으며, 한 핏줄 임에도 불구하고, 타민족보다도 더 서로를 불신하는 경우도 발생시키고 있다. 이러한 불신을 깨트리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서로를 이해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고려인들의 민족 정체성을 연구하는 과정 속에서, 고려인 강제 이주 사건을 기능주의 시각으로 바라보는 국가와 민족 그리고 정체성에 대한 아시아적 예로 제시하고자 씌어졌다. 또한 흩어져 있던 강제 이주 원인들을 종합하여 각각의 원인들이 가지고 있는 특성들을 다각적 시각 아래에서 분석 하고자 하는 토대를 위해 씌어졌다. 미력하나마 이러한 노력을 통해서 보다 바르게 고려인들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앞으로 각 원인들 간의 보다 심도 있는 비교 연구를 통해서 상호 연관성을 탐구하여, 국가 정책이 고려인들의 민족 정체성에 어떻게 작용되었는지, 그리고 더 나아가서 그러한 국가 정책은 고려인 개개인에게 어떠한 영향과 결과를 주었는지 연구 하고자 하며, 이는 앞으로 후속 연구의 몫으로 남기고자 한다. It's been 73 years since the Korean Diaspora of Russia·CIS were forced to move to Middle Asia. In September, 1937, almost 170,000 of them were abruptly forced to leave behind the lands they've been living. After being forced to move into Middle Asia by the Soviet Union, they had no freedom to emigrate to any other places until a law named, "About measurements of restrictions on the legal status of residence of special emigrants", that gives the minimal right for them to emigrate, has been announced in 1956 by the supreme council of the Soviet Union. To the Korean Diaspora of Russia·CIS, this forced migration(deportation) took away everything they had until the very moment. Also it was a desperation for them since they couldn't expect any help and they had to start a new life right in the middle of a wilderness. All these desperate circumstances wobbled their identity as Korean race. The deportation of the Korean Diaspora of Russia·CIS gave an big impact on change of their identities. It was also an big incident to deport an entire race that reaches 170,000 people. It's not appropriate to think that this kind of big incidence happened only by couple of reasons. Rather, it would be right to think that there were so many reasons like political, social, cultural, economical, and several other reasons come together. These kind of various reasons have keep being influencing their politics, guidelines, and their identities even after the deportation. Nevertheless in-depth study of the reasons weren't enough. The primary goal of this paper is to find and analyze the reasons of the deportation, and it would be an basis of studying the racial identity of them which would be the ultimate goal. Recently Russia is revealing some of the informations about the history of Soviet Union that was kept secret, showing that Russia is different from the Soviet Union and is a capitalistic and democratic country. That is, in order to free themselves from Soviet Union Russia is revealing the faults and shameful history of the Soviet Union. On this basis they're revealing some of the documents about the deportation of Korean Diaspora of Russia·CIS, and this is giving clues to find out the reasons of the deportation. In addition, easier contact with the Koreans dwelling in Russia and those people living in Korea made it possible for us to find out the reasons that were hidden deep inside. After the collapse of Soviet Union in 1991 and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with Russia in 1992, contacts with Korean Diaspora of Russia·CIS have become much more frequent. 70 years of alienation of political, economical, and cultural circumstances, however, made distinct boundaries between them and Koreans. These boundaries caused misunderstanding, making them to distrust Koreans, even though they are the same races. Understanding each others must be preceded in order to eliminate their distrust. The research analyzes the possible reasons of the deportation for the basis of a better comprehension of these people.

      • KCI등재

        소련의 민족 정책과 고려인 강제 이주

        전병국 고려대학교 일본학연구센터 2011 일본연구 Vol.15 No.-

        The Korean Diaspora of Russia.CIS deportation has been progressed after complex reasons, and different reasons resulted in different policies of the country. Especially we need a closer look at the completion in Stalin national policy. He deported the Korean race to the middle east and that resulted in the confusion of the race's identity which lead to the theory of elimination of the race, in other words, revolutionary Marxism. The deportation of the Korean Diaspora of Russia.CIS in 1937 was the biggest impact on the race's identity ever. In September, 1937, almost 170,000 of them were abruptly forced to leave behind the lands they've been living. After being forced to move into Middle Asia by the Soviet Union, they had no freedom to emigrate to any other places. To the Korean Diaspora of Russia.CIS, this forced migration(deportation) took away everything they had until the very moment. Also it was a desperation for them since they couldn't expect any help and they had to start a new life right in the middle of a wilderness. All these desperate circumstances wobbled their identity as Korean race. The deportation of the Korean Diaspora of Russia.CIS gave an big impact on change of their identities. It was also an big incident to deport an entire race that reaches 170,000 people. That's why we need a closer look at the 1937's deportation. Since the diplomatic relations began, there has been frequent contact with the Korean Diaspora of Russia.CIS. But it is true that the 70 years of discontinuation in the politics, economics, and cultures between the two countries have made a definite boundaries. It leads to misunderstandings and it also makes the two countries to disbelief each other even though they're the same races. In order to crack these disbelieves the process to understand each others have to be proceeded. The paper proposes a political view of the deportation by study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deportation of Korean Diaspora of Russia.CIS and the national policies of Stalin. By these researches, we wish that there would be more sophisticated analysis of the deportation. Also we wish to figure out more economical and social reasons and compare them, in order to achieve diversified understandings of the deportation.

      • KCI등재후보

        위치정보 기반의 모바일 매쉬업 서비스 설계 및 구현

        전병국,이준동,최재홍 한국통신학회 2011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36 No.4

        최근 들어 매쉬업 서비스 및 스마트폰의 확산에 따라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매쉬업 서비스는 오픈 API를 이용하여 새로운 응용 분야를 만들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매쉬업 서비스로서 Airmap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제안된 시스템 Airmap은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의 주요 관심 대상이 되는 객체에 대해서 사진촬영과 이에 대한 정보를 부여하는 내용을 덧붙여 모바일에서 웹 서버로 저장하고 검색하는 모바일 매쉬업 애플리케이션이다. 제안된 시스템은 향후 모바일 증강현실 시스템으로도 확장이 가능하며 모바일 POI(Point of Interest) 분야에도 적용될 수 있다.

      • KCI등재

        탈(脫) 소비에트 과정에서 진행된 러시아 복지정책의 정향성 분석

        전병국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019 슬라브학보 Vol.34 No.3

        The welfare policy, one of the strongest props for the Soviet socialistic system, was regarded to be inefficient and non-market during the post-Soviet process. The Russian government restructured the welfare policy based on the welfare system, which fit the trend of the time and emphasized this change was unavoidable. If during the post-Soviet process the Russian government had wanted to claim their welfare policy was proper, its welfare policy should have put top priority on social integration rather than economic efficiency. This study starts with this question. For this study, the Russian welfare policy was analyzed using Titmuss’ Social Welfare Model Theory. On the surface, the welfare policy during the post-Soviet process contained a lot of characteristics, which might be considered as an institutional model. However, a close investigation of its execution reveals that the welfare policy was founded on a strong residual model. This finding demonstrates the welfare policy of those days was the model with considerable differences between visible aspects and invisible aspects. The important thing is the visible aspects. The strong residual model-based policy welfare displays that the Russian government’s attitude towards national welfare at that time came from economic efficiency rather than social integration. This seems to be distant from the concept of the conventional welfare policy that is based on a minimum respect for human beings. Currently, the Russian government is aiming to be the global center. In the welfare policy area, the future orientation of the Russian government must be the same as welfare states’. In terms of the welfare policy, welfare states are being oriented towards an institutional model-based achievement model. In addition, assistance should be provided to establish proper relations between the weak and the strong, between the non-mainstream and the mainstream and between the disabled and the non-disabled, perceived by the people. The government’ role is big in this domain as well. 탈 소비에트 과정에서, 소비에트 사회주의 체제의 가장 든든한 버팀목 중 하나였던 복지정책은 비(非)효율적이며, 비(非)시장적이란 평가를 받았다. 러시아정부는 시대에 맞는 복지제도를 기반으로 하는 복지정책의 재구조화를 진행하였고, 이러한 변화는 불가피했음을 역설하였다. 만일 러시아정부가 탈 소비에트 과정에서 올바른 복지정책을 시행했었다고 주장하고 싶다면, 최소한 경제효율성 보다 사회통합이 우선시되는 복지정책이어야 했다. 이 질문에서 본 연구는 출발한다. 연구 진행을 위해서 티트무스의 사회복지모형론을 이용해 러시아 복지정책을 분석 하였다. 탈 소비에트 과정에서 진행된 복지정책은 표면적인 측면에서는 제도모형으로 여겨질 수 있는 여러 특징들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실행적 측면을 면밀히 살펴보면 강한 잔여모형을 기반으로 한 복지정책이었음이 들어난다. 이러한 결과는 당시 진행된 복지정책이 보이는 측면과 숨겨진 측면이 상당히 다른 유형의 모델이었음을 알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숨겨진 측면이다. 강한 잔여모형을 기반으로 했음은 당시 러시아정부의 국민복지에 태도가 사회통합 보다는 경제적 효율성에 기인했음을 들어낸다. 올바른 복지정책의 개념, 인간에 대한 최소한의 존중을 기반으로 한 전통적 복지정책 개념과는 거리가 있어 보인다. 러시아정부는 현재 세계 중심 국가를 목표로 하고 있다. 러시아정부의 향후 목표는 복지정책 영역에서 당연히 복지국가와 동일한 방향이어야 한다. 복지국가들은 복지정책 영역에서 제도모형을 기본으로 한 성취모형으로 넘어가고 있다. 이와 더불어 국민들 사이에 존재하고 있는 약자와 강자, 비주류와 주류, 장애인과 비장애인 간의 올바른 관계성이 설정되고, 확립되도록 도와야 한다. 이 영역에서도 정부의 역할은 크다고 할 수 있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