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내시경 귀 수술의 안전성 및 유효성: 체계적 문헌고찰

        전미혜,정서강,김석현,오승하,임기정,김장락,최진욱,이병돈 대한이비인후과학회 2019 대한이비인후과학회지 두경부외과학 Vol.62 No.7

        Background and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at usefulness of the endoscopicear surgery (EES) through the systematic review. Subjects and Method We searched literatures in literature databases (MEDLINE, EMBASE,Cochrane Library, etc.). Inclusion criteria is 1) studies of patients with chronic otitismedia, otitis media with effusion, cholesteatoma, conductive hearing loss, mixed hearing lossetc. 2) studies in which a transcanal endoscopic surgery was performed; and 3) studies inwhich one or more of the appropriate medical outcomes have been reported. We excluded that1) non-human studies and pre-clinical studies; 2) non-original articles, for example, non-systematicreviews; editorial, letter and opinion pieces; 3) research not published in Korean andEnglish; and 4) grey literature. Finally, 65 articles were selected and those results were analyzed. Results The safety of the EES was reported in 61 articles. Some studies reported damagedfacial nerve or perilymph gusher but these are the complications that can arise due to the characteristicsof the disease and not due to the EES and other reported complications were ofsimilar or lower level in the intervention group rather than the microscopy group. The effectivenessof the EES was reported in 23 articles. The EES tended to show improved effects interms of graft uptake status, cholesteatoma removal, and hearing improvement although effectiveoutcomes of most studies report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ES and microscopicear surgery. Conclusion EES is a safe and effective technique and as it is less invasive than the microscopicear surgery.

      • 정보인식유형과 인수분해 학습방법-대수막대와 공식 활용을 중심으로-

        전미혜 한국수학교육학회 2014 뉴스레터 Vol.30 No.5

        본 연구는 수학 학습양식 (백희수,2009) 요인 중 인지적 학습 양식의 정보인식 유형에 따라 학습자를 시각적 학 습자와 언어적 학습자로 구분한 뒤, 각 유형의 학습자들이 인수분해 학습에서 개념을 이해하고 문제를 해결하며 일정한 시간이 지난 뒤 학습방법을 기억하는 데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인수분해 흐L습방법으로 대수막대와 공식을 활용하였으며Felder (1996)의 ξl습양식 검사지와 백희수(2009)의 수학학습양식 판별도구 중 시각적/언어적 흑L습양식에 해당하는 문항만을 이용하여 중학교 2학 년 학습자 116명(남 74, 여 42)을 대상으로 정보인식유형을 조사하고, 두 검사지 결과 모두 동일한 양식으로 나 옹 학습자를 각 유형별로 2명씩 총 4명 (시각적 2명, 언어적 2명)을 선정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사전 인터뷰 와 진단평가를 실시하고, 1차시의 준비학습과 5차시의 본 수업을 실행하였으며 모든 수업을 마친 뒤 l차 사후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일정한 시간이 지난 뒤에는 형성평가와 2차 사후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 내용은 모두 녹음되고 전사되었으며 수업 장면은 녹음 및 일부 녹화되었고, 수업 시간에는 개별 학습활동지도 이용되 었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함으로써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수분해 도입에 대수 막대를 이용할 때 정보인식유형이 다른 학습자들의 이해와 반응은 모두 이해에 도움이 되었고 쉬웠다는 긍정적 인 반응으로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둘째, 수엽 직후 인수분해 문제 해결에 대수막대와 공식을 이용할 때, 수업 초반에는 같은 정보인식유형의 학습자들 간에서도 이해와 해결과정에서 개별차가 상당히 있었으나 후반으로 갈 수록 시각적 학습자들은 대수막대를 이용한 방법을 이해하고 사용하는 것에, 언어적 유형의 힘L습자들은 공식 을 이해하고 사용하는 것에 더 능숙해지고 적극적인 모습을 보였다. 셋째, 일정한 시간이 지난 후 인수분해 문제 를 해결할 때, 대수막대를 이용한 방법을 기억하는 데에는 유형별로 차이가 없었으나 사용하는 데에는 차이가 있었다. 시각적 학습자들은 두 명 모두 대수막대를 이용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는 반면, 언어적 학습자 중 한 명은 필요시에만 사용하고, 나머지 한 명은 전혀 사용하지 않았다. 넷째, 일정한 시간이 지난 후 인수분해 문제 를 해결할 때, 공식을 이용한 방법을 기억하고 사용하는 데에는 유형별로 확연한 차이가 있었다. 시각적 학습자 들은 두 명 모두 공식을 전혀 기억하지 못해 사용하지도 못했으며, 언어적 학습자 중 한 명은 공식을 정확히 다 기억하진 못했으나 공식을 적용하는 원리를 기억해서 사용하는 모습을 보였고, 또 다른 한 명은 공식을 모두 완벽히 기억해서 이차식의 유형별로 해당 공식을 떠올려 정확하게 적용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시 각적 학습자는 시각적이고 구체적인 조작방법을, 언어적 학습자는 언어적이고 형식적인 조작방법을 더 잘 기억 하고 사용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정보인식유형에 따라 학습자마다 기억하거나 사용하는 학습방법에 째 가 있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방정식과 함수를 포함하는 수학의 여러 분야에서 중요하게 이용되 는 인수분해 학습에서 학습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정보인식유형이 다른 학생들을 고려하여 대수막대와 공식을 활용한 교수방법이 적절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말기질환 아동을 위한 환경적 지지모델(The Contextual Support Model of Music Therapy)에 근거한 음악치료사례연구

        전미혜,Jun, Mi Hye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2005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Vol.2 No.2

        Terminal pediatric patient include congenital metabolic abnormalities, chromosome aberrations, congenital anomalies, neuromuscular diseases and other incurable conditions as well as malignant tumors. One third of these diseases are cancers, and two thirds of cancers are lymphadenoma and leukemia. Terminal pediatric patient may feel fear, anger and frustration against treatment process in hospitals, lose control of themselves and stay in helplessness due to restrictions within controlled hospital environment.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hospitalized childrens behavior and music using Contextual Support Model of Music Therapya theory stating therapeutic music environments possess three elements of Structure, Autonomy support and Involvement, and increase childrens active engagement. Focused on these three therapeutic elements, this study analyzed music therapy cases of terminally ill children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behavior and music as environmental supportive medium in the environment. This study is on a single case case subject, a 10-year-old girl with acute lymphocytic leukemia. Nine sessions of music therapy activities were conducted and analyzed using qualitative method. Focusing on three therapeutic elements of Contextual Support Model, analysis of sessions was made on the basis of activities specifically designed for this study. Main music therapy activities included singing while playing musical instruments, singing while listening to music through CD player, making up songs, and searching for song lin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 in terms of Structure, music therapy suggested a direction for effective musical activities for terminally ill children by providing environments where child can sing, play musical instruments and make up songs; b) in terms of Autonomy support, music therapy encouraged childs voluntary participation by giving her chances to make choice while singing or playing musical instruments; c) in terms of Involvement, child could gain positive approval of the therapist and conduct musical activities in cooperation with the therapist. Music therapy serves as supportive medium in the environment, develops spontaneity and self-reliance in emotionally depressed children, and promotes voluntary attitudes in the restricted hospital environment. Based on the positive effects of music therapy, more studies need to be conducted with an approach to more various terminal pediatric patients. 아동에게 있어서 말기 질환의 범위는 악성종양을 비롯하여 선천성 대사이상, 염색체 이상, 선천성 기형, 신경근육계 질환, 기타 다른 불치의 상태까지 포함한다. 병원환경에서 이러한 말기 질환 아동은 질병의 치료 과정과 관련하여 공포심, 분노, 좌절감을 경험할 수 있으며 통제된 병원 환경안에서 자율성을 제한받기 때문에 통제감을 상실하고 무기력해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적 지지 모델(Contextual Support Model of Music Thterapy)을 중심으로 음악치료가 병원환경에 있는 말기질환자들의 정서 및 기능 변화에 긍정적 변화를 줄 수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환경적지지 모델 음악치료는 음악 환경의 구조적인 특성(structure), 자발성 지지(autonomy support) 그리고 참여(involvement)라는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치료적 구성 요소로 이루어진 음악 환경은 아동의 활동을 지지하고 격려하도록 도와준다. 이 세 가지 치료적 요소를 중심으로 하여 본 연구는 말기질환 아동과의 음악치료사례를 분석하여 말기 질환 아동의 행동이 환경적 지지 역할을 하는 음악 안에서 어떠한 유형으로 나타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만 10살의 급성 림프성 백혈병 여아로 총 9회의 세션을 통한 음악 치료 활동 내용을 질적 연구방법으로 사용하여 내용분석을 하였다. 내용분석은 환경적 지지모델의 세 가지 치료적 요소 중심으로 본 연구자가 설정한 행동들을 기준으로 이루어졌다. 환아와의 주 음악 치료 활동은 악기 연주하며 노래부르기, CD플레이어로 노래 들으면서 노래 부르기, 노래 만들기, 노래 가사 탐색하기 활동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환경적인 구조적 특성(Structure) 측면에서는 음악치료는 노래를 부를 수 있는 환경과 악기를 연주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주고 음악 만들기 활동을 할 수 있는 준비를 해줌으로써 아동이 성공적으로 음악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해주었다. 자발성 지지(Autonomy support) 측면에서 음악치료는 노래를 부르거나 악기를 연주할 때 여러 가지 선택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아동이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참여(Involvement)의 측면에서는 치료사가 아동에게 긍정적인 강화를 제시함으로써 아동이 긍정적으로 경험하고 공유된 활동 안에서 치료사와 상호 협력적으로 음악활동을 진행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음악치료는 환경적으로 지지 역할을 하며 정서적으로 위축되어있는 아동에게 자발성과 독립성을 개발시켜주고 병원 환경이라는 제약된 환경 안에서 자율성을 촉진시켜줄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음악 치료의 효과를 근거로 하여 입원 환경에 있는 아동들을 위한 더 다양한 접근 방법의 음악치료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연극무대에서의 공감각적 경험에 관한 연구 -미디어아트 활용을 중심으로-

        전미혜 ( Mi Hye Jeo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4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9 No.1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사회는 다양한 문화와 발전하는 과학기술로 인해 여러 차원의 시간과 공간을 가지게 되었다. 이미지의 문화가 도래하였고 예술 역시 장르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테크놀러지의 융합으로 새로운 장르를 만들어가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연극무대에서의 미디어아트의 양방향적 소통과 공감각적 특성에 주목한다. 그리고 미디어아트 활용을 통해 보는 연극이 아닌 몸으로 느끼고 경험하는 연극으로의 가능성 제시하기 위해 그 요소와 특성을 분류, 분석하고자 한다.(연구방법)연극과 미디어아트의 특성과 상관성 고찰을 통해 연출요소를 분류하고, 연극무대에서 미디어아트의 활용으로 얻어지는 공감각적 특성과 그 효과를 분류 분석한다. 그리고 앞에서 도출한 요소와 특성을 분석표를 기준으로 르베르 르빠주의 작품을 사례분석 하고자 한다. (결과)연극무대에서 미디어아트를 활용은 무대공간의 영역을 확대하여 정해진 공간, 시간, 장소 등의 연극의 제약을 극복한다. 또한 인간의 공감각 활용에 주안점을 두었을 때, 연극의 연출요소와 현장성이 극대화되어 관객의 몰입을 돕고, 여러 감각을 동시 자극해 총체적 경험연극으로 이끌어준다. (Background and Purpose) Various cultural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s in modern society have given way to multiple dimensions of time and space. Blurring the boundary between art and technology is going to create a new genre. This bidirectional communication and the synesthetic properties of media art are the focus for this paper. This paper aims to propose a new method by which to experience theater, focused on the synesthetic media art experience within the realm of the theater. (Method) This paper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ater and media art by classifying the elements of production, and analyzed synesthetic properties by using media art in the theater. The work of Robert Lepage is analyzed using profiles derived on the basis of elements and attributes. (Results) Media arts that use synesthetic experience in the theater enable a broadening of space, time, and place, and help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theater. The theatrical elements that were emphasized using the synesthetic experience helped maximize the involvement of the audience, and at the same time stimulate multiple senses, resulting in a total experience.

      • KCI등재

        정보인식 유형과 인수분해 학습방법 -대수막대와 공식 활용을 중심으로-

        전미혜 ( Mi Hye Jeon ),황우형 ( Woo Hyung Whang ) 한국수학교육학회 2015 수학교육논문집 Vol.29 No.1

        본 연구는 수학학습양식(백희수, 2009) 요인 중 인지적 학습양식의 정보인식 유형에 따라 학습자를 시각적 학습자와 언어적 학습자로 구분한 뒤, 각 유형의 학습자들이 인수분해 학습에서 개념을 이해하고 문제를 해결하며 일정한 시간이 지난 뒤 학습방법을 기억하는 데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인수분해 교수-학습방법으로는 대수막대와 공식을 활용하였으며, 시각적/언어적 학습양식을 알아보는 두 가지의 검사지를 이용하여 중학교 2학년 학습자 116명(남 74, 여 42)을 대상으로 정보인식 유형을 조사하고, 두 검사지의 결과가 모두 동일한 양식으로 나온 학습자를 각 유형별로 2명씩 선정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사전 인터뷰와 진단평가를 실시하고, 1차시의 준비학습과 5차시의 본 수업을 실행하였으며, 모든 수업을 마친 뒤 1차 사후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일정한 시간이 지난 뒤에는 형성평가와 2차 사후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함으로써 얻어진 결과를 통해 정보인식 유형에 따라 학습자마다 기억하거나 사용하는 학습방법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시각적 학습자는 시각적이고 구체적인 조작방법을, 언어적 학습자는 언어적이고 형식적인 조작방법을 더 잘 기억하고 사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방정식과 함수를 포함하는 수학의 여러 분야에서 중요하게 이용되는 인수분해 학습에서 학습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정보인식 유형이 다른 학생들을 고려하여 대수막대와 공식을 활용한 교수-학습방법이 적절히 이루어져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of students according to information recognition styles such as visual learners and linguistic learners. Two instructional methods, algeblocks and factorization formula, were utilized to introduce the factorization. Four students were participated for the study, and two of them were visual learners and the other two were linguistic learners based on learning style test. Interviews and the diagnostic tests were implemented before the instructions which were lasted for 6 sessions. After the instructions all the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and the researchers also interviewed them 5 days later.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the followings: 1. All the participants regardless of their learning style revealed that algeblocks were helpful in understanding the factorization. 2. Visual learners were more likely using algeblocks, while the linguistic learners were more enthusiastic and proficient in using formula to solve the problems. 3. Five days later, two types of learning style students revealed different tendencies. Visual learners mainly used algeblocks, and linguistic learners were not enthusiastic about using algeblocks and one of them did not use them at all. 4. Five days later, two visual learners could not remember the formula, but linguistic learners could remember the formula in somewhat different level.

      • KCI등재후보

        뇌정위 수술 보조 로봇 시스템의 안전성과 유효성: 체계적 문헌고찰

        박선영,전미혜 한국보건의료기술평가학회 2018 보건의료기술평가 Vol.6 No.2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safety and effectiveness of Robot-Assisted Brain Stereotactic Surgery with a systematic review. Methods: Electronic literature was searched using KoreaMed, Ovid-MEDLINE, Ovid-EMBASE, and Cochrane Library on 6th April 2017. Two authors screened 1218 citations. Duplicated articles of 456 excluded, the remaining 762 articles were reviewed with title and abstract. Results: A total of 8 studies were selected in this review. The device used in all studies was ROSATM. In one cohort study comparing the intervention (ROSATM) with the control (conventional stereotactic surgery), hematoma was report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six descriptive studies, one study reported hematoma 10% (10/100) and temporary nerve impairment 6% (6/100) using the ROSA; while five descriptive study did not report any complications. In one cohort, the localization precision were 1.2 mm in the intervention group and 1.1 mm in the control group; the localization success rate as 78.2% in the intervention group and 76.2% in the control group in one cohort; and the average time for surgery as 130 min for the intervention group and 352 min for the control group in one cohort. Four studies reported the localization success rate as 100%; two out of three articles reported the overall time for surgery as 56 min and 90 min, while one article reported the time as less than one hour in 50% of patients (50/100); two articles reported in epilepsy patients, the condition after the surgery was Engel level I in 66.2%, 75% patients, Engel level II-III in 25%, 26.5% patients, and Engel level 4 in 7.3% patients. Conclusion: Robot-Assisted Brain Stereotactic Surgery is a safe and accurate technique that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time for the brain stereotactic surgery. However,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generalize the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