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학의 진화 속에서 탄생한 문학적 개성 - 유리 티냐노프의 소설 미학 -

        전미라 한국노어노문학회 2022 노어노문학 Vol.34 No.3

        This article examines Yury Tynyanov's novel <The Death of Vazir-Mukhtar(Smert’ Vazir-Mukhtara)> in light of his Formalist ideas and concepts. Tynyanov is not only one of the key figures of Russian Formalism, but also a Soviet writer known for his numerous books that focus on historical fiction. His historical novel <The Death of Vazir-Mukhtar> tells the story of the final year in the life of Alexander Griboedov, the famous author of <The Misfortune of Being Clever(Gore ot ouma)>. Tynyanov's historical novel, particularly <The Death of Vazir-Mukhtar>, based on excellent knowledge of the period and a thorough study of its documents, is closely related to theoretical work that it is called a scientific novel. In approaching historical novel functioned as a hybrid text, which combined literature and history. Tynyanov artistically expresses his views on 'literary fact', which he perceives as a continuous aesthetic process of interaction between literature and non-literary facts. And also he created a greater whole, a Griboedov as 'literary personality', who could represent the 19th century and could interact with the 20th century. 본 논문은 러시아 형식주의를 대표하는 문학 이론가 유리 티냐노프(Ю. Н. Тынянов)를 창작자로서 조명하면서 그의 소설 미학을 탐구한다. 티냐노프의 작품은 ‘학문적 소설(научный роман)’이라는 용어로 설명될 정도로 그의 연구 및 이론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다. 실제 역사적 인물이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티냐노프의 소설은 ‘문학적 사실(литературный факт)’ 개념을 구체화한 결과물이다. 그는 사료에 근거하여 실존 인물의 삶을 최대한 가깝게 담아내면서도, 기록에 미처 담기지 못한 일상적 사실을 예술적 상상력으로 그려냈다. 특히, 실제 인물을 배면에 놓고 창조된 티냐노프의 소설 속 주인공은 역사와 예술, 삶이 겹치는 지점을 흥미로운 방식으로 드러내는 ‘문학적 개성(литературная личность)’에 해당한다. 그의 소설 바지르-무흐타르의 죽음(Смерть Вазир-Мухтара) 은 희곡 지혜의 슬픔(Горе от ума) 을 쓴 작가이자 외교관이었던 알렉산드르 그리보예도프(А. С. Грибоедов)의 비극적인 죽음을 다루는데, 이 소설에서 그리보예도프는 세기와 세기, 예술과 삶의 경계를 넘는 미학적 시선 속에서 다시 태어난 ‘문학적 개성’에 해당한다.

      • KCI등재

        사물과 사건 - ‘사물(вещь)’ 개념으로 형식주의-바흐친 톺아보기 -

        전미라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러시아연구소 2024 슬라브연구 Vol.40 No.1

        20세기 러시아 문예이론을 대표하는 형식주의(формализм) 이론가들과 미하일 바흐친(М.М. Бахтин) 사이의 학문적 대립은 널리 알려져 있는 사실이다. 하지만 형식주의의 발전 단계, 형식주의와 바흐친이 공유하고 있는 다른 개념들의 의미 등을 면밀히 살펴보면 형식주의와 바흐친을 대립이 아닌 또 다른 구도로재배치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하게 된다. 이 글의 주된 관심은 ‘사물’ 개념을 통해 형식주의와 바흐친이맺고 있는 관계를 보다 입체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는 데에 있다. 형식주의를 대표하는 빅토르쉬클롭스키의 저술을 살펴보면, 초기 사유에서 예술화 이전의 영역에 한정되었던 사물 개념은 후기에 접어들어 예술 질료의 차원을 넘어서게 된다. 이러한 의미 변화는 ‘사물’ 개념과 거리를 두면서 예술작품이 지닌고유한 창조적 의미를 강조한 미하일 바흐친의 ‘사건’ 개념에 가닿게 되는 지점을 만들어 낸다. Although Mikhail Bakhtin and Russian Formalists helped to shape the field of literary theory in the 20th century, Bakhtin’s disagreement with the Russian Formalists is widely known. Upon closer examination of the concepts of ‘object’ and ‘event,’ we can discover connections between Bakhtin and the Russian Formalists. The primary focus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view the relationship between formalism and Bakhtin more comprehensively through the concept of ‘object’ and ‘event’. Examining the works of Viktor Shklovsky, a key figure in formalism, reveals that unlike in its early stages, his later work demonstrates a shift in this concept as the object transcends the independent material force that is able to create new artworks. This convergence in th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object’ paves the way for exploring Mikhail Bakhtin’s concept of the ‘event’, which emphasizes the unique creative significance of artistic works while maintaining a distance from the concept of ‘object’.

      • KCI등재

        미하일 바흐친과 웨인 부스 : ‘일차적 작가’와 ‘내포 작가’ 개념 비교 연구

        전미라 한국러시아문학회 2021 러시아어문학 연구논집 Vol.75 No.-

        Данная статья посвящена изучению соотношения понятий «первичный автор» у М.М. Бахтина и «имплицитный автор» у У. Бута. При изучении этих двух понятий не трудно заметить, что «Первичный автор» Бахтина корреспондирует с нарратологической категорией «имплицитного автора». Чтобы рассматривать отношение бахтинского понятия «первичный автор» к понятию «имплицитный автор», прежде всего, необходимо подчеркнуть развитие категории «авторство» и его разновидностей в представлении Бахтина. В представлении русскго ученго понятие отдельные категории «авторства» можно условно разделить на три типа литературного авторства: 1) биографический автор (автор-человек), 2) «первичный автор» (автор-творец), 3) «вторичный автор»(повествователь). Теория автора у Бахтина характеризуется тем, что «первичный автор», являющийся творцом изображённого мира, отграничен не только от автора как биографического лица, но и от «вторичного автора» как носителя повествовательной речи. Данные характеристики бахтинского понятия также играют важную роль в определени и понятия «имплицитный автор» у Бута. Бут отметил, что «имплицитный автор» как вторая личность, возникающая в результате творческой деятельности, всегда не совпадает с автором как биографическим лицом. И также «Имплицитный автор» может выступать в качестве авторской инстанции без голоса. При определении понятия «имплицитный автор» обнаруживается эстетическая дистанция между «имплицитным автором» и «нарратором». В итоге соотношения между двумя понятиями «первичный автор» и «имплицитный автор» можно рассматривать в двух аспектах: 1) они проявляются в целом произведении. 2) они как создающие занимают промежуточное место между реальным автором и нарратором.

      • KCI등재

        가족참여 통합예술교육 <몸으로 그림책> 프로그램 개발 연구

        전미라,노정식 한국무용학회 2023 한국무용학회지 Vol.23 No.2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picture book-based integrated art education program especially for families. The purpose of the program is to increase interaction among family members and develop social competence and creativity through both play and artistic expression linked to picture books. I set out a total of five teaching-learning stages. Those being exploration, immersion, thinking, expression, and shared thinking. The program named “A Picture Book Read Through the Human Body” consists of a total of 10 sessions consisting of 60 minutes per session and targets parents and their children in the age range of 6 to 7 years old. The significance of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is as follows: First, the value of the program is to provide creative family play scenarios allowing participants to experience daily art practice. Second, this program can provide an opportunity to awaken the joy of reading. Third, this program presents leisure activities designed to overcome the stress generated in daily life by engaging in play through artistic expression, and thus transform the home environment into a more creative one. 이 연구는 그림책 기반 가족참여 통합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림책과 연계한 예술 표현놀이를 통해 가족 간 상호작용을 높이고, 사회적 유능감과 창의성을 키우는데 프로그램의 목적을 두었으며, 총 5단계 ‘탐색하기-몰입하기-생각하기-표현하기-생각나누기‘의 교수-학습 단계를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은 총 10차시로 차시별 60분으로 구성하였으며, 6~7세 자녀와 부모를 대상으로 개발 하였다. <몸으로 그림책> 프로그램의 개발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몸으로 그림책>은 가정 내 창의적 놀이문화를 제공하며, 예술교육의 본질인 ‘예술의 일상성’을 경험하는 것에 가치를 두었다. 둘째, 그림책을 읽고 신체 표현 놀이를 함으로써 책읽기의 즐거움을 일깨우는 계기를 제공할 수 있다. 셋째, 창의적인 가정환경으로 변화할 수 있는 여가 활동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형태적 특징 정보를 이용한 C.Elegans의 개체 분류

        전미라,나원,홍승범,백중환,Jeon, Mi-Ra,Nah, Won,Hong, Seung-Bum,Baek, Joong-Hwan 한국통신학회 2003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28 No.7C

        C.elegans are often used to study of function of gene, but it is difficult for human observation to distinguish the mutants of C.elegans. To solve this problem, the system, which can classify the mutant types automatically using the computer vision, is now studying. Tn previous work[1], we described the preprocessing method for automated-classification system. In this paper, we introduce shape features, which can be extracted from an acquisition image. We divide the feature into two categories, which are related to size and posture of the worm, and each feature is described mathematically We validate the shape information experimentally. And we use hierarchical clustering algorithm for classification. It reveals that 4 mutants of the worm, which are used in experiment, can be classified with over 90% of success rate. C.elegans 선충은 유전자 기능 연구에 주로 쓰이고 있으나, 변종들의 구분이 육안으로는 쉽지 않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컴퓨터 비젼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분류할 수 있는 시스템이 연구 중이며, 이전 논문[1]에서 선충의 자동 분류 시스템에 사용될 영상의 전처리 과정에 대하여 서술한 바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처리 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추출해 낼 수 있는 선충의 형태적 특징들을 제시한다. 선충의 크기와 관련한 특징과 자세에 관련한 특징으로 나누어, 각 특징의 추출 알고리즘을 수학적으로 표현하였다. 실험에서 제시된 형태적 특징 정보를 이용하여 직접 분류해 봄으로써 성능을 확인하였다. 분류 알고리즘은 Hierarchical Clustering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실험에 이용된 선충의 4 종류 모두 90% 이상 옳게 분류되었다.

      • KCI등재

        다성악 소설의 시학: ‘의사직접화법’ 개념을 중심으로

        전미라 충북대학교 러시아 • 알타이지역 연구소 2022 러시아학 Vol.- No.24

        Since its appearance of M. Bakhtin's concept of Polyphony, this concept has attracted scholarly attentions from various academic disciplines. This article, giving a general contour of literary criticism on the concept, scrutinizes the linguistic features of Polyphonic Novel, which includes a diversity of voices. Bakhtin explores not formal grammatical description(Free indirect speech as a style of third-person narration which uses the third-person pronoun and past tense with deictics indicating the present), but speech interference that could create a relationship between two utterances and between two different points of view. The concept of Speech Interference served as theoretic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speech interaction which tends toward the weakening of boundaries, permitting the infiltration of the utterance by authorial commentary, including the Double-voiced discourse. Through this examination, the major contribution of this study to the features of Polyphonic Novel, is that the essence of Polyphonic Novel lies precisely in the fact that the utterance as a ideological positions are combined in a unity of a higher order than in homophony, without being judged by an authoritative authorial discourse.

      • KCI등재

        숏폼의 시간과 흐로노토프 형식:디지털 시대의 흐로노토프 개념 다시 읽기

        전미라 한국노어노문학회 2023 노어노문학 Vol.35 No.4

        미하일 바흐친(М. М. Бахтин)의 ‘흐로노토프(хронотоп)’ 개념은 예술작품(소설)에서 재현된 시간·공간의 내적 결합을 통해 장르적 특징을 읽어내는 데에 유용하다. 흐로노토프와 관련하여 주목할 만한 사실은 처음 개념을 고안한 이후 1970년대에 「소설 속의 시간과 흐로노토프 형식(Формы времени и хронотопа в романе)」의 맺음말을 새롭게 쓰면서 흐로노토프 개념을 자신의 사유의 정점에서 다시 검토했다는 점이다. 이 과정에서 흐로노토프 개념은 단순히 작품 내부의 시간과 공간의 관계만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서술 행위로서의 사건(событие самого рассказывания)’에 참여하는 작가-창조자와 청자-독자의 관계까지 아우르게 된다. 이러한 개념적 특징은 독자-사용자의 시간이 강조되는 오늘날의 디지털 문화 환경에서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의 특징을 설명하는 데에 유의미하다. 디지털 환경에서 창작된 다양한 콘텐츠 가운데 ‘서술 행위로서의 사건’이 지닌 흐로노토프적 의미는 ‘숏폼(Short-form)’에서 가장 잘 드러난다. 숏폼은 작가-창작자, 독자-사용자가 일체감을 느끼는 사건성을 극대화하고, 사건에 참여한 독자의 현전감을 강조하면서 독자-사용자의 시간에 보다 더 중요한 의미를 부여한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