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시조와 하이쿠의 창작과 향유 방식의 비교 연구

        김정례 세계문학비교학회 ( 구 한국세계문학비교학회 ) 2007 世界文學比較硏究 Vol.18 No.-

        韓國と日本の傳統詩歌の流れをみると、いくつかの共通点が見られるが、まずは兩國ともに固有の定型詩歌の形式が數種あったこと、そしてその詩型は時代とともに短くなったことがあげられよう。また、それぞれ最後に成立した時調(45音節前後)と俳句(17音節)は、兩國における最短詩型の代表的傳統詩歌として、その熱氣に差はあるものの、今でもなお創作され續けていることである。本稿は、時調800余年、俳句500余年の長い歷史に光をあて、芭蕉を中心とした蕉門の連句と16、17世紀の朝鮮時代の時調を對象に、その創作と享受の現場に注目して、兩國の詩的コミュニケ一ションの樣相について對比し考察を試みたものである。そもそも時調と俳諧は、同時代の自然と人事、事物など身近なものを題材にして日常語でよんだ定型詩で、その當時幅廣い支持層をもっていた。また、時調は文學的な讀み物としてよりは音樂的公演物として享受されてきたし、連句は數人の連衆によって興行されていたことから、兩詩歌の創作と享受の場には集團的で遊戱的なパフォ一マンスの要素を見いだすことができる。しかしその方法はかなり異なる樣相を呈していることがわかる。まず、時調は、詩的表現として韓國語本來の線的表現である意味上の『單一焦点』をもって理性にうったえる構造をもつが、それが歌われるほどにより感性的なものに變化する。一方、連句の場合は、詩型だけでなく式目など高度に樣式化されたものがあり、連衆たちはそれぞれ詩的ペルソナになり、前句の意味をわざとずらせながら付句をつけていく中で、お互いに舞台の俳優のように演じながら感性的で非日常的な時間を악しむのである。以上のことから、『型』に拘束されることなく明るく自由にその享受層を層めていく韓國と、『型』を重んじながら連衆の和のもとに靜かにその享受層の底邊を廣めていく日本というように、異なる文化的傳統の一面をうかがうことができよう。

      • KCI등재

        여행하는 하이쿠, 개구리는 몇 마리인가 - 하이쿠적 시선의 발견과 시적 소통의 가능성 -

        김정례 세계문학비교학회 2023 世界文學比較硏究 Vol.85 No.-

        Frogs can be considered as hatred creatures for their crying habit in groups with loud noises. However, in Japanese literature, frogs have been a motif arousing poetic inspiration. Frogs appeared in about 20 songs in the ancient poetry collection ‘Manyoshu’(around 770), and were marked “Gawaz” instead of “Gaeru,” an ordinary expression for frogs. The word “Gawaz,” for frogs here was distinctly used from a “Gaeru” referring loud and hatred frogs, but a magical and poetic terminology that can bring a transition to a poetic being. This tradition continued even after Japan wrote literature in their own writing, Kana. Among Japanese poems, the most well-known work is Matsuo-basho (1644-1694)’s Haiku “Old Pond/ Frog Jumping/ Water Splashing.” In the mid-to-late 19th century, many invited Western writers were attracted by the simplicity and uniqueness of Haiku and translated them directly into their own languages. “Old pond” was the most preferred work at that time. This work could be strange and esoterically sensitive even for the Western expert writers, but the unfamiliarity and esotericity of frogs in Haiku became more famous as it was interpreted as the mystery of Japanese culture or the world of oriental dhyana(선). In this paper, we learned about the poetic sensibility of Japanese frogs that have been handed down through traditional Japanese poetry, and further examined how they differ from Koreans, and the meaning of the difference. Furthermore, this paper can be regarded as a report of poetic filed based on cultural exchange of different poetic tradition, expression and sensitiveness of South Korea and Japan. 개구리는 무리 지어 함께 우는 습성 때문에 실생활에서는 때로 혐오감을 일으키는 생물체 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일본 시가문학에서는 일찍이 고대 시가집 『만요슈(万葉集)』(770년 경)에 20여 수의 시가[일본어로는 우타(歌)라고 함]에 등장한다. 그런데 『만요슈(万葉集)』 에서는 당시 개구리를 표현하는 일상 언어인 ‘가에루’ 대신에 ‘가와즈’라고 표기했다. ‘가와 즈’는 시적인 존재로서의 개구리로의 전환을 가져오는 마법을 부리는 시적 언어, 이른바 가어 (歌語)였다. 이 전통은 일본이 자신들의 문자인 가나로 문학을 기록하게 된 이후에도 이어졌 다. 이처럼 일본 시가문학 속의 개구리는 고대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 시인들의 시적 발상을 유도하는 모티브로서 『만요슈』를 비롯하여 귀족 중심으로 향유되던 와카(和歌)와 렌가(連 歌), 그리고 그것을 패러디하는 형식으로 출발한 하이쿠(俳句) 및 센류(川柳) 등의 일본 전통 시가, 나아가 근현대시에 이르기까지 셀 수 없이 많이 읊어졌다. 그중 가장 유명한 것은 마쓰 오 바쇼(松尾芭蕉, 1644~1694)의 하이쿠 <오래된 연못/ 개구리 뛰어드는/ 물소리 첨벙>이다. 이 하이쿠는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일본 시이기도 한데, 현재 100개 이상의 영어 역 외에 중 국어, 프랑스어, 독일어, 스페인어 등 많은 외국어로 번역되었다. 한국어로는 적어도 8개 이상 의 한국어 역이 있다. 그런데 개구리는 세계의 거의 모든 곳에 분포하기 때문에 모두에게 낯익은 소재였지만, 바 쇼가 읊은 위의 하이쿠 속의 ‘뛰는 개구리’는 하이쿠의 간결함에 매혹되어 있던 서양인에게 낯설고 난해한 시적 감성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하이쿠는 당시 유행하던 자포니즘을 타고 일본에 대한 호기심을 부추기는 한편 동양적 선(禪)의 세계로 해석되며 더욱 유명해짐 으로써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하이쿠가 되었다. 그렇다면 한국에서는 이 하이쿠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을까? 본 논문에서는 이 물음을 바탕으로 일본 전통시가를 통해 전승되어 온 일본인의 개구리에 대한 시적 감성에 대해 알아보 고, 우리의 그것과 어떻게 다른지, 그 다름이 의미하는 바에 대해 고찰했다. 나아가 서로 다른 한일 양국의 시적 전통과 시적 표현방법, 시적 감성을 바탕으로 한 문화교류의 가능성에 대해 고찰했다.

      • KCI등재

        Colonic Metastasis Presenting as an Intraluminal Fungating Mass 8 Years After Surgery for Ovarian Cancer

        김정례,봉만,유미,이원애,남궁환 대한대장항문학회 2015 Annals of Coloproctolgy Vol.31 No.5

        We report a case of colonic metastasis from ovarian cancer presented as an intraluminal fungating mass mimicking primary colon cancer 8 years after surgery for ovarian cancer. A 70-year-old woman presented with constipation. She had undergone an extended total abdominal hysterectomy with bilateral salpingo-oophorectomy for an ovarian papillary serous cystadenocarcinoma 8 years earlier. Colonoscopy showed a large fungating mass 10 cm from the anal verge that was suspected to be colorectal cancer. A computed tomography scan showed a bulky intraluminal fungating mass in the rectosigmoid junction. After a lower anterior resection and a pathologic diagnosis, a diagnosis of a papillary serous adenocarcinoma due to metastasis from an ovarian tumor was made for this patient.

      • KCI등재

        『오쿠로 가는 작은 길(おくのほそ道)』의 심상지리- 시라카와 관문(白河の関)과 스카가와(須賀川)를 중심으로 -

        김정례 일본어문학회 2018 일본어문학 Vol.80 No.-

        In this article, we attempt to analyze Matsuo Basho’s(1644–1694) travel writing Narrow Road to the Interior from the perspective of the image and psychology of this work. First of all, we explore the realm and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Oku(=Mutsu), the Tohoku area in Japan where Matsuo Basho mainly stayed. In particular, we analyze Basho’s trip to Shirakawa-no Seki and Sukagawa, with our analysis being based on Basho’s description of the area in the travel writing and Sora’s Diarywritten by Sora, who accompanied Basho. Our central claim is that Shirakawa-no Seki served as a boundary with Oku, a historic place for the tribe Ezo and that it was subsequently featured as space for literature by the poets, including Basho. However, Basho traversed Shirakawa- no Eki while thinking of the ancient tradition of literature, and once he entered Oku in Sukagawa, the perspective suddenly shifted into that of the present and he attempts deep interactions with his acquaintances about the literature. The scenery of Narrow Road to the Interior, as it were, depicts the lively interactions between the people of the present time and the people at that time, based on the image and psychology of Oku(=Mutsu), which blow up the readers’ image of Oku as an “unknown and mysterious” place. Revisiting this travel writing, we will travel through the places where Basho traveled and will capture the emotions of those who lived the er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