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NS의 뉴스 콘텐츠 이용동기가 뉴스 콘텐츠 유형별 이용량에 미치는 영향 : 참여행위의 매개효과 검증을 통하여

        장지연(Ji Yeon Chang),전가영(Ka Young Jeon),유세경(Sae Kyung Yu) 한국언론정보학회 2020 한국언론정보학보 Vol.104 No.-

        본 연구는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에서 사람들이 어떠한 목적을 가지고 소셜미디어에서 뉴스를 이용하는지 이용 동기를 알아보고, 대표적 콘텐츠 유형별 이용량에 영향을 미치는 이용자 참여행위의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했다. 연구 결과, 유튜브 뉴스 콘텐츠를 이용하는 사람들은 다양성을 충족 받고자 하고, 자신과 유사한 견해를 가진 뉴스를 추구한다는 동기가 강했고, ‘좋아요’표시나 댓글 쓰기, 공유 행위 등 참여행위의 매개 효과를 검증한 결과, 유튜브 뉴스 콘텐츠 이용량에 유사견해의 추구 동기는 매개효과가 없는 직접효과만이 유의하고, 다양성 추구의 동기는 참여행위가 매개되지 않으면 이용량을 예측할 수 없는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카드뉴스 콘텐츠에서는 편리성 및 맞춤제공의 동기와 습관적 소비 동기가 요인으로 추출되었지만 이용자 참여행위는 이용량에 대해 유의한 효과 없이 이용 동기가 이용량에 모두 직접적 영향을 미쳤다. 소셜미디어에 원문 그대로 재매개되는 언론사 뉴스 콘텐츠의 경우 다른 유형과는 차별적으로 시의성 충족의 동기가 가장 중요했다. 최근에 일어난 이슈를 실시간으로 소비하고자 하는 욕구와 더불어 의견 교환 및 견해의 비교 동기 역시 유의하게 나타나 기성 매체의 콘텐츠가 소셜미디어 플랫폼에서 새로운 의미로 재가공된다는 점을 확인했다. 재매개된 언론사 뉴스 이용량에 시의성 충족의 동기는 매개효과가 없는 직접효과만 유의했고, 의견교환 및 견해의 비교 동기는 이용자 참여행위의 완전매개효과를 확인했다. 이 연구는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뉴스 콘텐츠 생산과 유통, 소비과정에서 이용자들의 이용 동기와 참여행위를 고려한 전략을 모색할 수 있도록 돕고, 소셜미디어 뉴스의 균형과 조화를 위한 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dentified the motivations for using 3 different news content types on social media platforms and verified mediating effects of user participatory behaviors that affect the usage of each news content type. Studies have shown that those who use YouTube news content have strong motivation to ‘seek for diversity’ and to ‘pursue news with similar views’. In addition, participatory actions: such as ‘like’, ‘writing comments‘ and ‘sharing‘ mediated ‘seeking for diversity’ motivation and the usage of YouTube news. However motivation for ‘pursuing news with similar views’ had no mediating effect. Card news usage showed that the motivation for ‘convenience and curation’ and ‘habitual consumption’ found to have strong positive relation, but the user participatory behavior had no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amount of use. Unlike other news contents, original news that are re-mediated via social media showed to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motivation for ‘timeliness’ and ‘exchanging opinions and comparing views’. This result confirmed that as original news content transported into social media, even if the content do not change the meaning for the usage change. The motivation for meeting ‘timeliness’ was only noted to have direct effects towards the usage without any mediated effects, but the motivation for ‘exchanging opinions and comparing views’ confirmed the complete mediating effect of user participation. The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it helped to explore strategies that took into account users’ motives and participation in the process of producing, distributing and consuming news content using social media.

      • 인천 지역 초, 중, 고등학생의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항원 양성률에 대한 조사 연구

        장지연,정수진,김순기,손병관,홍영진,홍광선,Chang, Ji Yeon,Jeong, Su Jin,Kim, Soon Ki,Son, Byong Kwan,Hong, Young Jin,Hong, Kwang Sun 대한소아감염학회 2003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10 No.2

        목 적 : B형 간염 바이러스 백신은 1983년부터 국내에서 생산되기 시작하여 1985년부터는 보편적으로 사용되면서 B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B형 간염 바이러스 백신의 항체 생성률이 낮다는 보고가 있어, B형 간염 바이러스 백신의 예방 효과에 대한 평가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저자들은 B형 간염 바이러스 백신이 보편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이후 출생한 연령층을 대상으로 인천지역의 HBsAg 양성률을 조사하여 B형 간염 바이러스 백신의 예방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인천시내의 초, 중,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1997, 1998년 2년에 걸쳐 Reversed Passive Hemagglutination(RPHA)법으로 HBsAg을 검사하였으며, 이전에 전국적으로 주로 초, 중,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RPHA법으로 조사한 19세 이하 연령군의 HBsAg 검사 결과와 비교하였다. 결 과 : 1) 1997년 초등학생은 0.7%(337/46,861), 중학생은 2.5%(381/15,026), 고등학생은 3.1%(681/21,938)의 HBsAg 양성률을 보였으며 19세 이하의 연령군 전체는 1.7%(1,404/83,984)였다. 2) 1998년 초등학생은 0.6%(257/41,946), 중학생은 2.7%(379/13,652), 고등학생은 2.4%(628/25,277)의 HBsAg 양성률을 보였으며 19세 이하의 연령군 전체는 1.6%(1,266/80,926)였다. 3) 1985년, 1990년과 1995년에 한국건강관리협회에서 RPHA법으로 전국 19세 이하 연령층에서 조사한 HBsAg 양성률은 각각 6.1%, 5.2%, 3.5%였다. 결 론 : 인천지역에서 초, 중, 고등학생의 HBsAg 양성률은 과거의 전국 조사에 비해 낮으며, 특히 초등학생의 경우 현저히 낮은 HBsAg 양성률을 보이고 있다. 이는 1997년도 및 1998년도의 초등학교 6학년 이하에서 많은 수가 출생시 B형 간염 바이러스의 예방 접종을 시작한 연령층으로 이를 HBsAg 양성률의 현저한 감소는 주로 예방 접종의 효과로 생각된다. Purpose : The incidence of hepatitis B virus infection has gradually decreased since 1983 when hepatitis B vaccine was firstly produced.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hepatitis B immunization. Methods :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children in Incheon area were enrolled in this study in 1997 and 1998. Hepatitis B virus surface antigen(HBsAg) was measured using reversed passive hemagglutination(RPHA). Results :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positive rates of HBsAg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children were 0.7%(337/46,861), 2.5%(381/15,026) and 3.1%(681/21,938) respectively in 1997 and 0.6%(257/41,946), 2.7%(379/13,652) and 2.4%(628/25,277) respectively in 1998. The positive rates of HBsAg in children under 19 years of age in 1985, 1990 and 1995 were 6.1, 5.2 and 3.5% respectively. Conclusion : The positive rates of HBsAg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1997 and 1998 has decreased compared with those of the previous studies. The majority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were given hepatitis B vaccin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hepatitis B vaccines used in Korea were effective for prevention of hepatitis B infection in school children.

      • KCI등재SCOPUS

        대학에서의 교양 영어 교육에 대한 성인학습자의 요구 분석

        장지연(Chang, Ji-Yeon) 한국영어학회 2023 영어학 Vol.23 No.-

        With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adult learners pursuing higher education, there is a growing necessity to identify their needs for college English education.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adult learners enrolled in a lifelong education college at a university in Seoul. The collected responses underwent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es. The findings indicate that a larger number of respondents considered learning English to be essential. The primary reason is that English is now a requirement, and some respondents also needed it for everyday use, employment, or job changes. Speaking and listening were chosen as the most necessary areas for learning. Most of the respondents expressed agreement with the necessity of level-differentiated classes, and over half of them supported the administration of a diagnostic test. More adult learners showed a preference for Korean instructors and instruction in Korean in contrast to native English-speaking instructors and instruction in English. The courses the respondents requested mainly centered around fundamental or practical subjects, reflecting their English proficiency levels and characteristics as adult learners. Based on the discussion of the findings, this study offers suggestions to foster effective English learning for adult college students.

      • KCI등재

        우리나라 중.노년 인구의 건강상태: 주관적 건강상태의 국가간 비교연구 시론

        장지연,부가청,Chang, Ji-Yeun,Boo, Ka-Chung 한국인구학회 2007 한국인구학 Vol.30 No.2

        본 연구는 개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판정의 국가간 차이에 주목한다. 주관적 건강상태는 기본적으로 객관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받지만, 이를 해석하는 태도나 주관적 신념의 영향을 받아 최종적으로 형성되는 판단이라고 본다. 그러므로 주관적 건강상태의 국가별 차이는 (1) 객관적 건강상태의 차이와 (2) 개인의 태도나 신념체계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 문화적 특성의 차이의 결합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2006년에 새로 구축된 '고령화연구패널조사' 자료와 유럽 3개국의 고령자조사 자료를 비교한 결과, 우리나라 고령자가 유럽의 고령자에 비하여 자신의 건강상태를 부정적으로 판정하는 경향이 강하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사실을 두 가지 방식으로 설명하였다. 첫째, 만성질환 여부나 일상생활 수행능력의 영향을 통제하고 보더라도, 우리나라 고령자의 주관적 건강상태 판정은 독일과 스웨덴, 이태리에 비하여 현저히 부정적이다. 둘째, 만성질환 여부나 일상생활 수행능력 정도와 같은 객관적인 건강상태의 수준은 주관적인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분명하지만, 그 정도는 국가마다 다르다. 우리나라에서는 만성질환이 있는 경우, 이로 인하여 주관적 건강상태를 부정적으로 평가하게 되는 정도가 다른 나라보다 심한 것으로 보인다. 그 원인이 무엇인지는 후속연구의 주제로 남긴다. This study analyzes differences of self-rated health status between Korea and three European countries. Self-rated health status is highly correlated with objective health status such as chronic diseases and ADL(Activities of Daily Living)/IADL(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but it is also influenced by individual attitude or belief about health. Therefore, differences of self-rated health status among countries are determined by the combination of (1) differences of objective health status and (2)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affecting individuals' attitude and belief. Using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KLoSA 2006)' and 'Survey of Health, Ageing, and Retirement in Europe (SHARE 2004)', we found that Korean older people are more likely to feel negatively on their health status than their European counterpart. The findings are explained in two different ways. First, how strongly the objective health status affects on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varies among countries. Korean older people with chronic diseases are more likely to evaluate their health status negatively because of the diseases than their European counterparts do. Second, after controlling the effects of the objective health condition,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of Korean older people is still lower than that of the European elderly.

      • KCI등재

        임금 불평등 변화의 요인분해: 2006-2015년

        정준호 ( Cheon Byung-you ),전병유 ( Jeong Jun-ho ),장지연 ( Chang Jiyeun ) 한국산업노동학회 2017 산업노동연구 Vol.23 No.2

        이 글에서는 2000년대 중반 이후 한국의 임금불평등을 지니계수의 변화와 이를 초래한 요인들의 기여도를 분석하였다. 자료와 임금 지표에 따라 추세가 달라지지만, 주당 35시간 미만 일하는 파트타임의 증가로 전체근로자 임금총액의 지니계수는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주는 반면, 시간당임금 지니계수와 풀타임근로자의 임금총액 지니계수는 하락하는 추세를 나타냈다. 파트타임 증가가 임금총액 기준의 불평등은 높였지만, 파트타임의 시간당임금 증가는 시간당임금 기준의 불평등을 낮추었다. 풀타임 노동자만을 대상으로, 지니계수 감소 요인을 분해한 결과, 불평등 감소에 절대적으로 기여가 큰 요인은 근속, 경력, 직종 등의 변수였고, 고용형태 변수는 불평등 감소에 미미하게 기여하는 것으로, 사업체 규모 변수는 불평등을 오히려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이나 연령, 교육 등의 변수는 불평등 변화에 유의미한 크기의 기여를 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여기에는 장기근속과 관리전문직종에 대한 임금프리미엄의 감소와 대규모사업체의 임금프리미엄 증가 등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paper analyzes the changes in wage inequality and its contributing factors since the mid-2000s. Although trends vary by data and wage indices, the Gini coefficient of the total wage of all workers shows an increasing trend due to the part-time increase of less than 35 hours per week, while the wage Gini coefficient of hourly wages and the total wage Gini coefficient of full-time workers showed a declining trend. Part-time increases have increased inequality based on total wages, but part-time hourly wage increases can be considered to have reduced hourly wage inequality. Therefore, as a result of decomposing the factor of Gini coefficient reduction only for full-time workers, factors that contributed absolutely to inequality reduction were variables such as job tenure, career, and occupation, and employment type variable has little effects, and the establishment size variable deepens inequality. The variables such as industry, age, and education did not contribute significantly to the inequality change. This is attributed to the decline in wage premiums for job tenure and management and professional jobs and the increase in wage premiums for large-scale businesses.

      • KCI등재

        여성인구변동과 노동시장

        장지연(Ji-Yeun Chang) 한국인구학회 1998 한국인구학 Vol.21 No.2

        본 논문은 지난 3001년간 여성노동시장의 변화의 추이를 출산력 감소 등 인구학적 요인의 변화의 영향을 중심으로 살펴 보았다.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에 영항을 미칠 것으로 여겨지는 인구학적 요인들로는 교육, 혼인상태, 출산 등이 중요하다. 여성의 학력 수준이 평균적으로 높아지고, 결혼을 늦게 하는 추세이며, 자녀 수는 줄어드는 추세이다. 이러한 경향이 인구의 구성에 미치는 영향은 경제활동가능인구 중 고학력 여성의 비율이 증가하고 어린 자녀를 둔 여성의 비율은 줄었으며, 기혼 여성의 비율은 큰 변화가 없는 상황이다. 이러한 인구 구성의 변화가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을 증가 시킨 것은 사실이다. 이에 더하여, 같은 인구학적 특성을 갖는 여성 집단의 노동력공급행태도 변화하였다. 고학력으로 분류할 수 있는 고졸, 대졸 여성의 경제활동참여율이 초졸, 중졸 여성의 참여율보다 빠르게 증가하였고, 혼인하여 배우자가 있는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이 미혼여성의 그것보다 빨랐다. 출산이 경제활동참여를 억제하는 정도도 줄어든 것 같다. 즉, 지난 30년간 여성인구구성의 변화나 행위양식의 변화는 여성의 경제활동의 증가를 지원하는 방향으로 변하였다. 그러나 경기가 하강국면에 접어들 때, 여성은 더 먼저 노동시장 밖으로 밀려나는 경향이 있으며, 이 때 저연령, 저학력 등 인적자본이 열세인 여성, 그리고 여성노동자의 비율이 높은 산업, 직업에 속해 있는 여성이 더욱 취약한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examines the change of female labor market structure during the last several decades, focusing the effects of demographic factors such as declining fertility and increasing educational attainment of women. Women of the recent cohort tend to postpone their first marriages, to attain higher levels of education, and to have smaller number of children than women of the old cohort. This demographic trend results in the change of the population compositions in a way that population subgroups with hisgh labor force participation have been increased. In addition, women of each population subgroup supply their labor in the market with higher rate than their old cohort counterparts. The labor force participation rate of highly educated women, and of married women has been increased faster than that of women with low education and of unmarried women. Although childbirth is still one of the most critical barrier for the women's participation, more and more women with young children tend to work for pay than ever before. In spite of the demographic change which is supportive to the increasing labor force participation, the Korean labor market have lost its female participants for the last year of the economic restructuring, reflecting demand-side factors as well as demographic factors are essential to determine the labor force participation of women.

      • KCI등재후보

        특집 : 소득불평등 심화의 메커니즘과 정책 선택

        장지연 ( Ji Yeun Chang ),이병희 ( Byung Hee Lee ) 민주사회정책연구원 2013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Vol.23 No.-

        소득불평등의 심화 현상을 노동시장 임금불평등, 인구 고령화, 가구의 노동공급, 그리고 재분배 정책의 효과성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소득불평등도를 시계열적으로 살펴보면, 1980년대 말에 불평등도가 크게 완화되었다가 1990년대 중반 이후에 다시 악화되는 추세가 발견된다. 이 시기는 1987년 노동운동이 활성화된 시점과 1997년 외환위기 시점과 각각 일치한다. 최근 15년간 소득불평등의 악화를 초래한 요인으로 가장 주목해야 할 것은 노동시장 임금불평등의 확대이다. 임금불평등의 추이는 가구소득 변화와 추세적으로 일치한다. 그럼에도 임금불평등이 가구소득불평등으로 온전히 전이되지는 않았는데, 이것은 저소득층의 적극적인 소득활동 참여에 힘입은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효과를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저소득층 여성의 노동시장 진입이 가구주의 임금불평등을 상쇄하는 역할을 하였다는 이전 연구결과가 있으나, 최근까지 관찰기간을 연장해서 살펴본 바에 따르면 그런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선진국 여성과 커다란 격차를 보이는 부분이 고소득 가구주배우자의 노동시장 참여인 것을 감안하면 향후 가구소득 불평등이 심화될 가능성은 더 커진다. 저소득층의 적극적인 노동시장 참여가 포화상태에 이르고 나면, 노동시장의 임금불평등이 고스란히 가구소득 불평등으로 이어지게 되므로 재분배 정책을 통해 소득불평등을 완화해야 할 부담은 지금보다 훨씬 더 커지게 된다.부족한 공적 소득이전을 지속적으로 확대해나가야 하는 것은 분명하지만, 계속 확대되는 임금격차를 방치한 채 소득이전을 통해 불평등을 줄여나가는 정책은 한계가 있다. The intensification of income inequality was studied based on the wage inequality of the labor market, aging of the population and household labor supply and the effectiveness of wealth redistribution policies. From a times series approach, income inequality dropped significantly in the late 80s and began to intensify after the mid 90s. The changes coincide with the activation of labor movements in 1987 and the financial crisis in 1997. During the last 15 years, the most noteworthy factor driving income equality is the increase of wage inequality in the labor market. The rise and fall of wage inequality coincides with the changes and trends of household income. Even so, wage inequality did not fully translate to household income inequality thanks to the active labor force participation of the low income classes. However, it is unlikely that such effects will continue. Labor market participation from low-income class females offset the wage inequality of household heads, but analyses of recent years show that such effects have disappeared. Considering that spouses` labor market participation of high-income household heads in Korea shows a large difference with females in developed countries, it is unlikely that household labor supply patterns will continue to mitigate inequality. Once labor market participation from low-income classes saturates, the wage inequality in the labor market will directly translate to household income inequality. Hence, redistribution policies will have to play a larger role in easing income inequality. Public income transfer must be gradually increased, but there are limits to reducing inequality through income transfer without tending to the wage gap.

      • KCI등재

        평생교육 단과대학의 교양영어 교육과정 분석: 6개 대학교를 중심으로

        장지연 ( Chang Ji-yeon ) 글로벌영어교육학회(구 호남영어교육학회) 2020 Studies in English education Vol.25 No.2

        The Korean government’s support for lifelong education for adult learners at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s growing. Unlike other types of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adult learners, the lifelong education college, established as part of the LiFE (Lifelong education at universities for the Future of Education) project, should take into account the conflicting needs of adult learners who want the college to reduce their learning burden and to provide high-quality education. To examine how the college deals with this situation, the present study analyzed the college English curricula at six universities that have carried out the LiFE project since its introduction. In particular, this study compared the college English curricula between the lifelong education college and other colleges at each university in terms of required courses, elective courses, and level-differentiated classes. The findings show that the college English curricula for adult learners in the lifelong education colleges can be classified into four types (Type 1-1, Type 1-2, Type 2-1, and Type 2-2) on the basis of their organization in comparison with the college English curricula for other college students. This classification serves as a useful guide for lifelong education colleges that will develop or reform their own college English curriculum.

      • KCI등재

        돌봄노동의 사회화 유형과 여성노동권

        장지연(Chang, Ji-Yeun) 한국여성연구소 2011 페미니즘 연구 Vol.11 No.2

        돌봄노동의 사회화는 다섯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어떤 방식의 사회화는 돌봄서비스의 생산을 주로 민간시장에 의존하게 만듦으로서, 돌봄노동의 상품화(또는 시장화)를 촉진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또 다른 특정한 방식의 사회화는 돌봄의 역할을 결국 다시 가족, 그 중에서도 여성에게 부여하여 돌봄노동의 재가족화를 낳는다. 한 사회가 가지고 있는 돌봄노동의 성격은 여성의 임금노동 접근권과 일자리의 질에 영향을 미친다. 돌봄노동의 재가족화는 돌봄에 대한 국가개입이 주로 현금지급 중심으로 이루어지는지, 현물급여(서비스)의 제공에 초점이 두어지는지에 따라 결정된다. 돌봄 관련 수당제도는 여성의 노동공급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특히나 이러한 영향은 소득계층별로 달리 나타날 수 있음에 주목하였다. 즉, 돌봄 관련 수당제도는 저소득층 여성의 노동공급을 줄일 가능성이 더 클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돌봄노동의 상품화는 돌봄서비스 일자리의 질을 악화시킨다. 돌봄서비스 제공에 있어서는 전달체계의 기본적인 틀이 공공화 되어 있는 국가들은 시장화되어 있는 국가들에 비하여 돌봄서비스 일자리의 임금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전반적인 여성노동자의 근로조건 향상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The public interventions to care work affect women’s labor participation as well as quality of care jobs in the market. We identify five different patterns of ways in which care work has been socialized. Some ways of intervention tend to reinforce the commodification of care work through producing it in the market area. Other ways of intervention has a lot of hazard to return care work to women in the families, after all. We can call it re-familization. Whether care work is re-familized or not largely depends on the ways of public supports for care: cash benefit vs. in-kind benefit. Cash benefits for women’s care work negatively affect on their labor market participation. The effects vary across family income levels. In other words, you may expect that cash benefits for care work may reduce female labor supply in lower income classes. The marketization of care service provision may worsen the quality of care jobs while the public provision tends to increase the wage level of care jobs.

      • KCI등재

        복지국가에 대한 페미니스트 관점의 기여와 한계

        장지연(Jiyeun Chang) 한국사회학회 2004 韓國社會學 Vol.38 No.3

        복지국가이론에 대한 페미니스트의 기여는 남성편향적인 시각으로 볼 때는 포착되지 않는 시민권 개념의 배제적인 성격을 드러내었다는 데서 가장 큰 의의를 발견할 수 있다. 페미니스트 시각은 복지국가 위기의 원인을 진단하는 데서나 이에 근거하여 복지국가의 재편을 논의하는 맥락에서도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이러한 중요한 기여에도 불구하고 페미니스트 복지국가이론의 구성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한계를 극복하여야 한다. 첫째, 페미니스트 이론가들은 복지국가를 들여다 보는 분석틀, 즉 유형화의 기준으로 ‘성별분업 정도와 양식’에 주로 의존하고 있는데, 이때 ‘누가 보살핌노동을 담당하느냐’에 집중한다. 보살핌노동의 가치인정(보상)의 문제가 모델의 핵심이슈가 되었을 때 ‘차이’전략과 ‘평등’전략의 대립에서 해결책을 찾기는 어려워진다. 두 번째 페미니스트 복지국가론의 한계는 이들의 유형화가 연역적 방식으로 도출된 이념형을 제시하는 데 그치고 있다는 데 있다. 성에 대해 미분화된 분석틀을 수정하는 포괄적인 분석틀은 다음과 같은 차원을 분석적으로 구분하면서 이론의 완결성을 기할 수 있다. 첫째, 유급노동과 무급보살핌노 동의 구분이다. 노동시장에서의 임금노동 그리고 가정에서의 무급보살핌노동은 동시에, 그러나 분석적으로 구분해서 다루어져야 한다. 둘째, 시민권적 권리의 차원이 접근권과 자유, 즉 적극적 권리와 소극적 권리로 구분되어 살펴질 필요가 있다. 적극적 권리는 유급노동이나 보살핌노동에 참여할 수 있는 권리를 표현하고자 하는 개념으로 올로프(Orloff)의 ‘유급노동에의 접근권’개념의 확대적용이다. 유급노동에 접근할 수 있는 권리는 ‘노동권’으로, 무급의 보살핌노동에 대한 권리는 ‘부모권’ 또는 ‘양육권’으로 명명하였다. 소극적 권리는 유급노동이나 무급양육노동을 강제적으로 하지 않을 수 있는 권리를 표현하고자 하는 차원이다. 유급노동, 즉, 시장의 힘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는 정도가 ‘탈상품화’로 개념화되고, 무급보살핌노동, 즉, 가부장제의 힘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는 정도는 ‘탈가족화’로 개념화할 수 있다. Feminist theorists contribute to the theorization of welfare states in terms of the extension of the concept of citizenship by revealing its gender-biased perspective. Feminist perspective provides important insights to find causes of crisis and to rebuild welfare states. In spite of the contribution, feminist theories also need to overcome their limits. First, feminists depend on the ‘modes of gender division of labor’ as the analytical framework, that is, classification tool of welfare states typology, and focus on ‘who is responsible for care-work.’ If we regard social value of the unpaid care-work as the primary issue, it is very difficult to find attractive solution between ‘difference’ and ‘equality’ strategies. The second limit of the feminist welfare state theory is its inductive theorizing for the new welfare state typology. The unbiased and comprehensive framework includes the following dimens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paid and unpaid labor. We need to identify the social right for wage labor in market from the social right for care work in family. Second, we can distinguish ‘free for’ right and ‘free from’ right, that is, active and passive rights. I specify the active right to approach to paid market labor as ‘labor right’ and the right for unpaid care work as ‘parental right.’ We can conceptualize the passive rights of not-doing work against their will as de-commodification and de-familization. The former identify how individuals are free from compulsory market force, and the latter identify how individuals are free from the patriarchal force in fami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