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직장-가정간 갈등이 삶의 만족 및 직무 태도에 미치는 효과에 있어서의 성차:우리나라 관리직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장재윤,김혜숙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03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9 No.1

        Based on the gender role perspective, this study explored the differential effects of work-family conflict(WFC) on the life satisfaction and job attitudes(job satisfaction and involvement) between men and women by analysing the data collected from about 240 married government officers including both sex.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men and women had the higher level of WIF(work interfering family) than that of FIW(family interfering work), and that FIW of women was higher than that of men.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WFC(WIF and FIW) had differential effects on the life satisfaction and job attitudes between men and women. Specifically, WFC of women had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life satisfaction and the job involvement, However WFC of men had no significant effects on them. 본 연구에서는 5급 이상의 남녀 관리직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직장-가정간 갈등(WFC)이 삶의 만족 및 직무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성 역할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조사 대상자들의 인구통계변인의 효과를 제거한 후 직장-가정 갈등(WIF) 및 가정-직장 갈등(FIW)이 삶의 만족 및 직무 태도(직무 만족 및 직무 관여)에 미치는 영향을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조사하였다. 결과에 의하면, 남녀 집단 모두 WIF가 FIW보다 더 높은 수준을 보였고, 여성 집단은 남성 집단보다 유의하게 더 높은 FIW 수준을 보였다. 그리고 WFC(WIF 및 FIW) 수준이 삶의 만족 및 직무 태도에 미치는 효과에 있어 성차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남성집단에서는 WFC 수준에 따른 삶의 만족 및 직무 관여 수준에서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지만, 여성집단에서 WFC 수준에 따라 삶의 만족 및 직무 관여에 큰 차이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우리 나라 직장 여성들의 직장-가정간 균형을 위한 방안들에 논의하였고, 그리고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 연구 방향에 대해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대학 4학년생의 구직 행태에서의 성차

        장재윤,신현균,김은정,신희천,하재룡,장해미 한국심리학회 2004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23 No.2

        본 연구에서는 구직 활동 중인 대학 4학년생 2,530명을 대상으로 직업에 대한 가치관, 전공몰입, 취업장애요인 지각, 진로미결정, 직업탐색 활동, 구직 자기효능감, 구직 스트레스 및 정신건강 등 구직과 관련된 다양한 변인들에 있어서 성차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예상했던 대로 여러 영역에서 성차를 보였으며, 전반적으로 남학생에 비해 여대생들이 진로와 취업과 관련해 더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여대생이 남학생에 비해 진로미결정 비율이 더 높았고, 직업탐색 활동이 덜 적극적이었다. 취업장애요인으로 남녀차별, 외모나 키와 같은 신체적 문제를 더 많이 지각하였다. 또 구직 효능감이 낮았고 자존감과 정신건강, 구직 스트레스 등도 더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의 의미, 본 연구의 의의 및 후속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gender differences in job-seeking variables such as work values, major commitment, perceived barrier factors in employment, career indecision, job-search behavior, self-efficacy of job-seeking, job-seeking stress, and mental health in 2,530 college seniors.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on several aspects as expected. That is, female students had more difficulties in job seeking behaviors than male ones.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rates of career indecision and less active job-seeking behavior than male ones. Female students perceived more gender discrimination and physical problems such as appearance and height as barrier factors in getting a job than male ones. Female students experienced lower self-efficacy of job-seeking and more job-seeking stress and mental health problems than male ones. Finally, meanings of these result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자율적 동기화의 매개 효과 및 고/저 수행집단간의 차이분석

        장재윤,최한별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07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20 No.2

        본 연구는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의 자율적 동기화(자기결정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고, 객관적인 수행자료에 근거하여 고수행자와 저수행자를 구분하여 두 집단간 심리적 임파워먼트 및 자율적 동기화 수준에서의 차이를 밝히고자 하였다. 조사 대상자는 국내 K 생명회사의 212명의 재직자들이었으며, 인사고과 자료에 근거하여 상하위 20%의 종업원을 선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고수행자집단이 저수행자집단보다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3요소(유능성, 결정성, 의미성), 자율적 동기화, 및 조직몰입 모두에서 유의하게 더 높은 수준을 보였다. 또한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3요소 각각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자율적 동기화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부분매개효과를 보인 의미성을 제외하고는 모두 자율적 동기화의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고수행자집단과 저수행자집단간에 매개효과의 차이가 있는 지를 추가적으로 살펴보았는 데, 의미성에서 두 집단간에 차이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분석결과의 의미를 자기결정감이론의 맥락에서 논의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Robust Deep Age Estimation Method Using Artificially Generated Image Set

        장재윤,전승혁,김재홍,윤호섭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7 ETRI Journal Vol.39 No.5

        Human age estimation is one of the key factors in the field of Human–Robot Interaction/Human–Computer Interaction (HRI/HCI). Owing to the development of deep-learning technologies, age recognition has recently been attempted. In general, however, deep learning techniques require a large-scale database, and for age learning with variations, a conventional database is insufficient. For this reason, we propose an age estimation method using artificially generated data. Image data are artificially generated through 3D information, thus solving the problem of shortage of training data, and helping with the training of the deep-learning technique. Augmentation using 3D has advantages over 2D because it creates new images with more information. We use a deep architecture as a pre-trained model, and improve the estimation capacity using artificially augmented training images. The deep architecture can outperform traditional estimation methods, and the improved method showed increased reliability. We have achieved state-of-the-art performance using the proposed method in the Morph-II dataset and have proven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be used effectively using the Adience dataset.

      • KCI등재

        일상재구성법(DRM)을 통해 살펴본 남녀직장인과 주부의 삶의 질

        장재윤,유경,서은국,최인철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07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quality of life in terms of how individuals experience various activities and emotions in daily life using the Day Reconstruction Method (DRM). The DRM, which combines features of the time-diary method and the Experience Sampling Method, assesses how people spend their time and how they experience the various activities in different settings of their lives. The participants were composed of three groups: working men, working women, and housewives. In order to minimize recall biases, participants were asked to systematically reconstruct their activities and experiences of the preceding day. In general, the three groups showed no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life satisfaction. The participants reported the most happiness when they spent time with their spouse/partner and when they did eating. Eating, working, and talking were the most frequent daily activities and participants overall experienced positive emotions more than negative emotions. As for the daily emotion experiences by time periods, working men and women groups experienced most happiness during the lunch time and after work; on the contrary, the working time was reported as the most tiring and stressful time of the day. Implications of measuring life satisfaction using the DRM were discussed.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활동과 정서 경험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일상재구성법을 이용하여 직장인 남녀와 전업 주부의 삶의 질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일상재구성법은 사람들이 하루 시간을 어떻게 사용하고 어떤 장면에서 얼마나 다양한 활동을 하고 정서를 경험하는지 평가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회상편향을 줄이기 위하여 시간대별 일기쓰기와 경험표집법을 결합한 방법으로, 연구 참가자들로 하여금 전날 자신의 활동과 경험을 체계적으로 재구성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 결과, 세 집단은 삶의 만족도에 있어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각기 경험하는 활동과 정서에 있어서는 차이가 있었다. 전체적으로 사람들이 가장 많이 하는 활동은 ‘일하기’, ‘먹기’, ‘대화하기’였으며 전체적으로 부적 정서보다는 정적 정서를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강한 행복을 경험하는 경우는 '배우자와 함께 할 때'와 ‘먹을 때’ 라는 응답이 나왔으며, 시간에 따른 정서 경험을 살펴본 결과, 직장인 남성과 여성은 점심시간과 퇴근 후에 가장 행복했으며, 업무시간에 가장 피곤하고 긴장과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통해 한정된 자료만을 수집할 수밖에 없었던 기존의 연구 방법에서 벗어나 실용적인 자료를 수집하여 연구하였으며, 각 집단 별 경험하는 사회적 활동과 정서의 특성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집단 간 차이를 이해하고 의사소통을 도울 수 있는 계기를 만들게 된 연구의 의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 버려지는 캔을 활용한 태양 온풍기 제작과 집열 효과 및 온도 변화 분석에 관한 연구

        장재윤,김민선,이정욱,김경수 한국환경교육학회 2016 한국환경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16 No.6

        우리 학교는 환경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환경 수업시간에 환경프로젝트를 계획하던 중 자판기앞에 버려진 음료수 캔을 발견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지속 가능한 사회를 위해 버려진 캔의 새로운 활용 방안으로 태양열 온풍기를 제작하였다. 또한 캔을 활용하여 제작된 태양열 온풍기의 집열 효과를 알아보고자 온도 변화를 분석하였다. 먼저, 환경 교실을 데우기 위해 필요한 태양열 온풍기의 크기를 정하고, 이에 필요한 캔을 모았다. 태양열 온풍기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폴리카보네이트, 스티로폼, 반사 단열재를 이용하였다. 완성된 태양열 온풍기를 이용하여 기온과 온풍기 열풍 유입구의 온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열풍 유입구의 온도가 월등히 높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 학교를 친환경적으로 난방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 태양열 온풍기의 효율을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