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건강보험중 구강요양급여의 청구 및 심사에 관한 치과의사의 견해

        장용석,안용우,박준상,고명연,Chang, Yong-Seog,Ahn, Yong-Woo,Park, June-Sang,Ko, Myung-Yun 대한안면통증구강내과학회 2005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Vol.30 No.2

        The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how dentists in private dental clinic thought on the present claim and review of dental insurance to reflect it in future establishing dental insurance policies. 1,465 dentists who were running own dental clinic in Pusan Metropolitan City and the south part of Kyungsang province were surveyed in February, 2004. A total of 406 copies of finished questionnaire were finally retrieved and analyz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About insurance claim affairs : Most of the subject of insurance claim was by dentist himself or dental hygienist(nurse). Agency claiming was carried under 20% of total insurance claim. 2. The degree of attendance on insurance lecture : The degree of attendance on insurance lecture was relatively low. 3. Filing a protest against insurance claim : Filing a protest against insurance claim was reavealed about half-and-half for "have been" or "have not been". 4. Private clinic dentist,s opinion about the regulations affecting review of dental insurance : Private clinic dentists opinion about current guide for insurance review of dental fee was“the guidance is difficult and unfair cutback of claim fee may be carried”. 5. The affairs about 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 About 70% of private clinic dentists have dissatisfaction on 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6. Standpoint of private clinic dentists about issuance of receipt for dental fee : About 70% of private clinic dentist have an difficulty in issuance of receipt for dental fee. 7. The affairs about change insurance noncoverage treatment to insurance coverage treatment : Most of private clinic dentists hoped that insurance coverage about full mouth scaling, pit and fissure sealant, fluoride application. But they do not hoped that insurance coverage about geriatric denture, prothodontic treatment except precious metal, photopolymerization resin treatment.

      • KCI등재

        북,중관계의 성격과 중국의 부상에 대한 북한의 인식

        장용석 ( Yong Seok Chang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2 통일과 평화 Vol.4 No.1

        이 글은 중국에 대한 북한의 대응전략을 이해할 수 있는 기초로서 협력과 의존, 자주와 갈등이 교차되는 탈냉전기 북·중관계의 성격과 부상하는 중국에 대한 북한의 인식을 살펴본다. 먼저 탈냉전기 북한과 중국의 관계는 혈맹이라기보다 전략적·비대칭적 협력관계로 볼 수 있다. 동맹의 기초인 전략적 이해관계와 안보위협에 대한 평가가 달라졌기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북한은 중국의 부상에 따른 동아시아 지역 질서의 변화와 미·중간의 경쟁을 주목하면서 자신의 지정학적 가치를 부각시킨다. 북한은 또한 부상하는 중국이 대국이자 지배주의자로서 자신의 체제와 정권에 야기하는 위험성을 끊임없이 경계하면서 중국에 대한 불신을 표출하고 자주성을 강조한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North Korea-China relationship. Specifically, it examines the ways in which their national interests in cooperation, dependence, autonomy, and conflict are intermingled, and it looks into North Korea`s perception of rising China in the post-Cold War period in an attempt to grasp North Korea`s policies toward China. Because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strategic interests and comprehensive threat assessment of the two countries, the North Korea-China relationship is no longer characterized as that of conventional blood allies but is rather a kind of strategic and asymmetric partnership. Paying attention to the changing regional order in East Asia as well as the rivalry between China and the U.S., North Korea plays up its geopolitical location to a strategic point. North Korea, wary of the increasing risks against its regime due to China`s continual rise as a dominant power, has been showing distrust toward rising China and emphatically asserting its autonomy.

      • KCI등재

        가평지역 잣나무 풍매차대검정림 (風媒次代儉定林)의 가계별 (家系別) 생장과 생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정동준(Dong Jun Chung),신만용(Man Yong Shin),장용석(Yong Seok Chang),전상근(Sang Keun Chon) 한국산림과학회 2001 한국산림과학회지 Vol.90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growth by family for open-pollinated progeny stand of Korean white pine in Gapyung site. Average growth performance of total 25 families for 18 years old progeny stand in this study site showed 5.9m in mean height, 8.9㎝ in mean DBH, 12.0㎡ in basal area per hectare and 46.5㎥ in volume per hectare, respectively. By the analysis result of growth performance for all 25 families, family No. 20 showed the most excellent growth and middle in family No. 10. On the other hand, family No. 3 represented the worst growth among the 25 families. The change of seasonal photosynthesis rate by increasing luminous intensity was the same tendency as the growth pattern of all 25 families and showed the same results in all four seasons. In the seasonal analysis, the photosynthesis rate was increased as the season has changed from winter to summer. Chlorophyll contents was also increased from winter to summer. Especially, family No. 20 which is the best in growth performance has more chlorophyll contents than the others. In addition, family No. 20 was also better than other families in the weight of assimilation tissue(g), length of needle(㎝), width of needle(㎝), and number of Stoma. However, in water utilization rate, family No. 3 which is the worst in the growth performance showed the best result that is reverse tendency compared with the photosynthesis rate. The changes of water utilization rate represented to be increased as the season has changed from winter to summer.

      • KCI등재

        초등교사와 발달장애 쌍둥이 형제 사이의 친밀한 관계 형성 및 그림을 매개로 한 보살핌에 관한 사례 탐구

        장용석 ( Chang Yong-sock ),전영국 ( Jun Young-cook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8 교사교육연구 Vol.57 No.3

        이 연구의 목적은 미술을 전공한 어느 초등학교 교사가 통합학급을 맡아서 발달장애 증세를 보이는 쌍둥이 형제들을 지도한 경험(관계형성, 지도의 어려움, 극복해가는 과정 등)을 탐색함으로써 그들이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는데 있다. 우리는 경기도 벽지에 소재한 소규모 초등학교에서 2014년 9월부터 2016년 2월까지 통합학급을 맡았으며 쌍둥이 형제의 학교활동에 관한 자료(그림, 미술작품, 학교 문서, 동영상, 사진 자료 등)를 틈틈이 수집하였다. 또한 그는 자신의 기억을 토대로 자전적 메모를 작성하였고 공동연구자가 진행한 면담을 통하여 추가로 질적 자료를 보완하였다. 우리는 질적 사례 연구의 일환으로 자료 분석을 한 결과 C교사의 사례에서 다음과 같은 주요 양상을 포착하였다. 미술을 전공하였던 C교사는 미국 유학 후에 초등학교에 복귀한 후에 쌍둥이 형제(특히 동생 양이)를 만나면서 힘든 시간을 보내었다. 그러나 농촌 벽지에 위치한 소규모 초등학교의 여건 속에서도 그들과 점차 동병상련의 관계형성을 하면서 먼저 그들과 친하게 지내면서 그들의 마음을 열고자 노력하였다. 통합교실에서의 수업은 일반학생들과 C교사가 서로 배려하는 가운데 진행되었다. 쌍둥이 형제가 수업에 거의 참여하기 어려웠던 현실적인 상황을 알아차리고 나자 C교사는 그들에게 그림을 그리도록 안내하기, 역할 맡겨주기, 야외체험 학습에 동행하기 등의 구체적인 활동을 제공하면서 그들이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가도록 보살펴 주었다. 전반적으로 C교사의 사례는 말이나 문자를 이용하지 못하는 장애 아동들의 입장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고자 마음으로 다가가는 관계 형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미술활동을 통하여 자신을 표현하고 세상과 소통할 수 있게 도와주는 것이 필요함을 일깨워주었다. 또한 통합교실에서 쌍둥이 형제에게 또래 교수자의 역할을 맡아서 도움을 제공하였던 여학생들은 성적 향상 등 기대하지 않았던 혜택을 받게 되었다. 끝으로 이 사례는 발달장애 학생들을 배려하면서 가르치고자 하는 통합교육 담당자들이 향후에 추구해야 할 실제적인 부분을 통합적 관점에서 제시하였다. This paper aimed at investigating 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s as a whole by focusing on the participant’s efforts and inner struggles such as building intimate relationships with intellectually disabled twin brothers and teaching them in an inclusive classroom in order to explore better directions for them. We adopted a qualitative case study to interpret several types of data including photos, self-recalled memos, video clips, interviews were collected between Sep 2014 and Feb 2016. The qualitative data interpretation revealed several major aspects from the participating C teacher’s case. After studying art education in the U.S.A, he came back to an elementary school where he met the twin brothers and had hard times with them. However, even though the school was quite small and located in a rural and agricultural area, he tried to approach twin brothers with an open heart and to build intimate relationships with them; for example, going outside to shop, cleaning out the younger brother’s poo and taking showers together, etc. In his inclusive classroom where the teaching was carried out with the caring from both teacher C and the students, he could not help but let the twins go due to their lack of number understanding and literacy capability. Later he found alternatives with the hope of their changes toward better states; encouraging them to draw things on their own, assigning certain roles to them and going along with them for experiential activities in other places. Overall, teacher C’s case implied that it was very important for us to first build intimate relationships with intellectually disabled children while trying to understand their perspectives as a whole, and help them communicate with the world via art drawings that expressed their inner feelings, states, etc. Also it was noticed that the girl students who used to help the twin brothers by taking the role of ‘peer teacher’ took benefits of improving their marks in an inclusive classroom. At the end, this case study suggested future directions for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to seek several practical ways of taking care of intellectually disabled children from a holistic point of view.

      • 모양 영상 검색을 위한 효율적인 색인구조와 검색방법

        장용석(Yong-Seok Chang),김성재(Seong-Jae Kim),최병걸(Byung-Geol Choi),안철웅(Cheol-Woong Ahn),김승호(Sung-Ho Kim) 한국정보과학회 1999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Ⅱ

        본 논문에서는 대규모 영상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모양 영상에 대한 검색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해싱기법을 변형한 색인구조와 검색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색인구조는 이진 모양영상(binary shape image)의 불변 모멘트 집합(invariant moments set)을 특징벡터로 사용하여 다차원으로 구성된다. 이 색인구조를 기반으로 제안된 해싱을 변형한 검색방법은 기존의 방법들에 비해 검색공간을 줄임으로써 검색속도를 높인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색인구조와 검색방법을 1000개의 이진 모양 영상들에 적용해본 결과 검색공간이 전채 공간의 10% 미만으로 줄어드는 효과가 있었다.

      • KCI등재

        학교 텃밭(정원)의 교육적 활동을 위한 이론적 고찰 및 미술교육에서 적용 방안

        장용석(Chang Yong Soc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4

        이 연구의 목적은 공공장소에 있는 텃밭(정원)과, 미국 공립학교의 커리큘럼을 탐 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미국에서 시행되었던 교내 텃밭의 역사와, 현재 미국의 텃밭이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에 관한 연구를 기초로 하여 교내 텃밭의 시 행이 제공하는 효과와 이점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사례 대상은 미국의 공 립 학교나 공공기관의 텃밭이다. 공공기관에서 시행한 “The Edible Schoolyard”와 “The Garden Project” 등의 텃밭 활용의 구체적 사례와, 텃밭 관련 프로그램을 경험 한 학생, 선생님, 그리고 부모님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등의 연구를 조사하 였다. 예시로 든 사례의 종합적 분석을 통하여 공공기관에서 텃밭 교육을 시행하기 위한 전략, 텃밭 교육 시행이 제공하는 이점 및 사람들에게 미치는 영향, 텃밭 교육 을 시행하는 데 마주칠 수 있는 난제들, 텃밭 가꾸기와 환경의식 증진의 상관관계 등의 주제를 다룬 연구들의 비교 분석을 하였다. 이를 통하여 교내 텃밭 활용이 사 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총체적인 이해와 예술교육으로서의 가치 및 이에 관한 후 속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use of gardens in America, especially those in public spaces, and schools. For this research, the effects and advantages of using gardens in school will be identified by reviewing researches conducted on the history of gardens in America, and how they are used. The examples studied in this research are all from public institutes and schools. “The Edible Schoolyard,” “The Garden Project” are some examples of such garden-based projects. Surveys conducted on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were also investigated to figure out specific use of gardens. By comprehensive investigation of the studies of examples, the strategies implemented by the public institutes, benefits of garden-based education and the efficacy of such program, problems that need to be overcom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awareness and gardening are explored to gain general understanding of gardening in public schools. In addition, the research is to suggest that a garden can be used for art education. Many educational researches on gardening have been focused on science, farming, and dietetics. However, a garden is a place where many art educational achieve purposes can be achieved. From the research of vast areas of gardening, suggestions and guidance made for future research is necessary.

      • KCI등재
      • Ethernet PON에서의 ONU 개수 변화에 따른 망 효율 극대화를 위한 OPNET 시뮬레이션 모델의 설계 및 구현

        장용석(Yong-Seok Chang),엄종훈(Jonghoon Eom),류상률(Sang-Ryul Ryu),김승호(Sung-Ho Kim) 한국정보과학회 2002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1A

        Ethernet PON(Passive Optical Network)은 지금까지 연구되고 있는 가입자 망 가운데 인터넷 트래픽에 가장 적합한 모델이다. 본 논문에서는 Ethernet PON의 성능분석을 위해서 OPNET을 이용하여 Ethernet PON 시뮬레이션 모델을 설계 및 구현한다. 또한, 이 모델에 대한 End to end Ethernet delay, Queuing delay, Throughput과 Utilization 분석을 통해서 하나의 OLT(Optical Line Termination)가 수용할 수 있는 최적의 ONU(Optical Network Unit) 개수를 산정하고 Ethernet PON을 설치할 때 망의 효율을 극대화 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 KCI등재

        학교 정원, 식물, 환경을 이용한 생태 미술 교육 프로젝트 연구

        장용석(Yong Sock Ch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세 가지 개념, 햅틱(Haptic), 프레리(Freire)의 비평적 교수학, 존 듀이(John Dewey)의 “경험으로서의 예술”을 이용하여 생태미술 교육 프로젝트를 개발, 제시함에 있다. 햅틱(Haptic) 감각은 촉각으로 해석 할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햅틱(Haptic)을 단순히 촉각뿐만 아니라 공간, 움직임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종합적 감각을 의미한다. 이 생태 미술 프로젝트는 햅틱(Haptic) 감각을 이용하여 어린이들이 시감각(visual sense)적 미술에서 더 나아가 직접 사물을 만져보고 공간을 느끼고 탐구하며 자신과 자연과의 관계에 대해 깊이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작품의 완성과 결과물 보다는 미술작품의 제작과정에서 미술을 “경험”하고 “느끼는” 미술교육에 중점을 두었다. 그리고 미술작품이 원래 의도와 다르게 만들어지고, 예상과 다르게 진행되더라도 그 대안을 모색하거나 다른 방식을 찾아 그 작품의 의미를 만들어 가는데 목적이있다. 이 생태 미술 교육은 교사에 의한 지식 전달 수업이 아닌 어린이 스스로 문제를 탐구하고, 해결책을 고민하여 자신의 힘으로 지식을 구성하는 과정이다. 이를 통하여 어린이들이 세상에 대해 스스로의 안목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생태미술 교육 프로젝트는 학교 정원이나 자연환경을 이용하였다. 따라서 학생들은 학교 안의 자연을 자세히 관찰하고 탐구며, 평소 무심히 지나쳤던 학교안의 생물들에 대해서 깊은 관심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관심이 지역사회에 대한 애정으로 발전하여 지역 사회 발전의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Children are aware of ecological problems. In fact, when asked recently what the biggest problem is in the world today, almost 50% of children cited ecological problems. This research is conducted to encourage art education as an instrument to address higher concerns about ecological problems and to actively find solutions to the problems suggested. The concept of the haptic?multi-sensory perceptual system (Lee, 2010) in visual culture, Freire’s concept of critical pedagogy, John Dewey’s “art as experience,” and ecology art will be investigated to accomplish the objective of creating an art project in which children can enthusiastically engage. To the children engaged in the project created with the concept listed above, the process will not only elicit a sense of awareness of ecological problems and their solutions, but also a chance to develop social commitment, spiritual growth, and intellectual growth as well.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provides various ecology art education projects using school gardens, plants, and environments to develop a sense of haptic, critical thinking, caring for the nature, and empathy for others.

      • KCI등재

        시각 장애인을 위한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보지 못하는 것을 보다’

        장용석(Chang, Yong Sock) 한국미술교육학회 2020 美術敎育論叢 Vol.3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 장애인들을 위한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이다. 특히 감각(haptic)을 기르는데 중점을 두었다. 과거 미술교육에서는 시각(視覺, visual sense)을 전제로 한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그 이후 시각 문화(visual culture)가 미술교육에 도입이 되었다. 그리고 근래에는 미술의 영역이 시각을 넘어 다른 감각(촉각, 청각, 후각)을 미술에 포함하고 있다. 이런 개념을 포함 것이 material culture 이다. 이 material culture에서 미술의 개념은 시각을 넘어 다양한 영역과 감각을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이 ‘확장된 미술 개념’을 기반으로 미술교육에서도 시각적 능력이 다소 부족하거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시각 장애인들을 위한 미술교육도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그 필요성이 인정되고 있다. 같은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시각 보다는 ‘촉각’, ‘청각’을 위주로 한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기존의 미술교육 프로그램은 정상안인(正常眼人: normal eyes) 미술교육자나 화가들의 입장에서 만들어진 것들이 많았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실제 시각 장애인과 장애인 교사들의 경험과 요구를 반영하여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미술교육 프로그램은 시각 장애인들을 위해서 개발되었지만 일반 학생들에게도 충분히 적용 가능하고 교육적 의미가 있다. 앞으로 예술교육에서는 장애가 더 이상 걸림돌이 되지 않고 장애인을 위한 많은 프로그램과 교육이 활성화되기를 희망한다. The object of this article is to make art education programs for the blind. In the past, most art education programs were made based on the visual sense. After that, visual culture was introduced into art education. The field of art has recently embraced other senses (tactile, auditory, and olfactory) in visual arts. This includes the concept of material culture. This material culture contains not only the concept of (visual) art but also various fields and senses. In this way, art education for the visually impaired, which lacks visual ability or difficulties in arts education, is accepted and recognized as a necessity based on the extended (visual) art concept . In the same context, this study developed an art education program focusing on tactile and auditory rather than visual sense. Previous art programs were made from the standpoint of art educators and painters who are normal. However, in this study, we developed the program reflecting the experiences and needs of teachers and students who are blind. In fact, the art program was applied to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nd confirmed its educational effects. This art program was developed for the visually impaired but it is also applicable to general students and has educational significance. In the future, I hope that disability will no longer be a stumbling block in art education and that many programs and education for the disabled will be revitaliz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