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려시대 魚子文 금속공예품 연구

        임지윤 한국미술사학회 2011 美術史學硏究 Vol.271272 No.271272

        魚子文기법은 금속표면에 끝부분이 둥글게 움푹 파인 釘을 망치로 두드려 작은 음각 圓文을 표현하는금속공예기법이다. 이 기법은 기원전부터 고대 서아시아 등에서 보이기 시작하여 중국을 거쳐 한국으로 전래되었다. 어자문기법은 7세기 이전까지 금속기의 부분 장식으로 이용되다가 唐代 金銀器에서 주문양을 돋보이게 하는 바탕 장식[地文]으로 성행하였다. ‘魚子’는 작은 원문을 수없이 늘어놓은 모습이 물고기 알처럼보인다 하여 붙여진 명칭으로, 일본 正倉院文書의 기록(760)에 근거하여 현재 보편적으로 불리고 있다. 어자문기법은 삼국시대에 문양의 일부, 또는 테두리를 장식하는 연주문 형태로 고급 威勢品과 金銅小形佛 등에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바탕 장식으로 사용된 시기는 唐과 활발한 교섭을 하였던 7세기 전반 경으로, 왕실사찰에서 출토된 舍利器에서 정착되어 가는 초기단계를 볼 수 있다. 통일신라시대에 어자문은 경주를 중심으로 제작된 불교공예품과 일부 장식품에 본격적으로 시문되었다. 고려시대에 어자문기법은 삼국·통일신라 공예기술의 전통을 기반으로 北宋·遼 등과의 대외교섭을 통해 11세기에서 12세기에 전성기를 이루었다. 특히 11세기에 요와의 밀접한 관계는 어자문 금속공예품의 제작에 상당한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더불어 고려전기에 官匠의 제도화를 토대로 한 官營手工業의 체계적인 생산체제는 어자문 금속공예품의 발전에 큰 원동력이 되었을 것이다. 고려시대 어자문 금속공예품은 왕실과 귀족층 등으로 수요가 확산되면서 기명류·화장용구·장신구 등의 일상공예품에 폭넓게 제작되었다. 어자문기법은 대표적인 주문양 기법인 線彫기법과 打出기법 등과의 결합에 따라서 시문수법에 영향을 받는다. 선조기법과 함께 장식된 어자문기법은 선조기법과 대등하게 음각된 원문 하나하나가 육안으로 분명하게 확인된다. 어자문기법의 유형은 성기거나 불규칙적인 유형과 치밀하고 정연한 유형으로 나눌 수있다. 전자는 통일신라 말의 경향을 이어 제작된 고려 초의 불교공예품에서 자주 보이며, 후자는 화장용구와 장신구 등이 해당된다. 高浮彫 타출기법과 결합된 어자문기법은 빽빽하게 타출한 꽃문양의 사이마다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깨알 같이 시문되었다. 어자문은 凹凸의 차이에 따른 빛의 반사와 광택효과로 금속질감에 변화를 주어, 화려함을 더하고 주문양의 입체감을 더욱 강조하였다. 이처럼 금속공예품의 全面을 가득채운 고부조 타출기법과 질서정연하고 빈틈없는 어자문기법의 조합은, 요대 금은기에서도 볼 수 없는 고려만의 독자적인 특징으로서 늦어도 12세기를 下限으로 성행하였다고 생각된다. 본 논문은 고려시대 어자문기법 연구의 始發點으로서, 한국에 전래된 어자문기법의 전개과정과 그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고려시대 어자문 금속공예품의 우수성과 독자성을 살펴보는 데 의의가 있다. The ring-matting technique is a metalworking technique consisting in hammering a burin with a hollow round head onto the surface of a metal item to create small ring-matted patterns in intaglio. This technique was used since before the beginning of the Common Era, and was brought from ancient West Asia to China, then to the Korean peninsula. Ringmatting was used until the early 7th century, only in small areas of a metal item. Since then,the technique had come to be popularly used in Tang China, to create background patterns in gold and silver items. The‘Eoja(魚子)’means literally‘fish roe’for ring-matted patterns, as the small round circles densely gathered together are reminiscent indeed of fish roes. This name, appearing in a record held in Japan’s Shosoin (760), is currently in use also in China and Japan. Ring-matted patterns first appeared in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small areas of an item or as a bead band at the edges of an item. Initially, they were mostly seen on prestige items and small gilt-bronze Buddhist sculptures. The ring- matting technique was later used to create background patterns from the early 7th century when there was active artistic interaction between the Three Kingdoms and Tang China. Early examples of ring-matted background patterns are seen in sarira reliquary items, discovered in Buddhist temples protected by the royal house. During the UnifiedSilla period, the ring-matting was popularly used for decorating Buddhist craft items and some other ornamental items. Meanwhile, we know from the Shosoin record of ring-matting artisans during Nara-period who specialized in ring-matting active but also seemed to be highly considered in the Unified Silla. The Three Kingdoms-period and Unified Silla technique of ring-matting was transmitted to the ensuing period of the Goryeo, and reached its heyday in the 11th to 12th century, helped by the exchange with the Northern Song and Liao. The close ties formed with the state of Liao in the 11th century appear to have had a particularly important influence on the production of ring-matted metal craft items in the Goryeo. Meanwhile,the government artisan system, put into place in the early Goryeo, enabled a more systemic production of craft items; another major contributing factor to the thriving of ring-matted metal crafts. As the demand for ring-matted metal items grew in the royal house and among aristocrats, this metalworking technique was now applied to everyday items like vessels,grooming tools, and accessories. The ring-matting technique was later coupled with other major metalworking techniques such as chasing and repousse. When the ring-matting technique is used together with chasing, each of the ring patterns in intaglio is clearly cut, as distinct as the grooves created through chasing. There are two types of ring-matted patterns: sparse and irregular patterns and densely-gathered and regularly-shaped patterns. Patterns of the former type are mainly seen in late Unified-Silla metal items and also quite frequently employed in early-Goryeo Buddhist craft items. Patterns of the latter type, meanwhile, are often seen in grooming tools and accessories. Ring-matted patterns, when coupled with high-relief repousse patterns, look like tiny granules, densely filling the spaces between repousse floral patterns. Concave and convex ring-matted patterns reflect light in different manners. The lustrous effect produced by ring-matting helps create variation in the texture of a metal item,while adding brilliance to the overall surface design and depth to main motifs. Metal items with high-relief repousse patterns and even ring-matted patterns covering the background completely were only produced in the Goryeo period and uniquely characterize Goryeo metalwork. Such combination was not seen, for instance, in gold and silver items of the Liao state. The popularity of the combination of ring-matting and repousse methods appea...

      • KCI등재후보

        중등 교사의 정서조절이 교사 직무스트레스, 소진,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임지윤,도승이 대한사고개발학회 2014 사고개발 Vol.10 No.1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teachers’ emotional regulation on job stress, burnout, and teacher-efficacy were explored. The emotional regulation research area has been investigated mainly for students and teacher’s emotional regulation gained researchers' attention recently. A survey of 434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in the Seoul, Kyunggi, and Incheon regions was selected for this study. The control variables are sex, length of career experiences, class teacher or not, appointment or not, public vs. private school, middle school vs. high school variables. From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teachers’ emotional regulation had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s on job stress, burnout, an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teacher-efficacy. Further implications for this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중등 교사의 정서조절이 교사의 직무와 관련한 심리적 요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려는 데 목적이 있다. 정서조절의 경우 학습자의 정서조절이 주로 연구되었으나 교사의 정서조절은 교사의 학교현장에서의 안녕감과 연관되어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변인이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정서조절이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소진,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중․고등학교 교사 43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선행 연구를 기반으로 설정한 연구가설은 교사의 정서조절은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교사의 소진을 부적으로 예측하고 교사효능감을 정적으로 예측할 것으로 기대하였다. 중등교사의 정서조절을 독립변인, 인구통계학적 변인을 통제변인으로 설정하였고, 교사 직무스트레스, 교사의 소진, 교사효능감이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가설 설정대로 중등 교사의 정서조절은 교사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을 부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였고, 교사효능감을 유의하게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과 후속연구에 대한 제안이 이루어졌다.

      • KCI등재

        조선 후기 공예품에 보이는 螭龍文 고찰

        임지윤 한국대학박물관협회 2014 고문화 Vol.84 No.-

        Among late Joseon Dynasty Artifacts, there was a new form of animal pattern that was hard to find previously. The animal has a thin body, long tail split into two branches, and four legs. It especially appears to be made of the white porcelain in 19th century of the Joseon dynasty. Looking through the origin of the pattern, this pattern is not only a kind of the hornless dragon in Ancient Chinese legends but also of an auspicious animal of the ocean. According to the records, it is generally called ‘the hornless dragon(螭龍)’. The hornless dragon pattern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dragon of the ancient Chinese and was regarded as being of auspicious existence. However, as time went by, this perception lessened gradually. It commonly adorned artifacts, attire, and buildings during the Qing Dynasty. When the Joseon dynasty had a frequent interchanges with Qing dynasty in 18th century, it was suggested that it arrived with the imported goods from China. Relics decorated with the hornless dragon pattern are woodcrafts and white porcelain and so on, which were used by the loyal family and literary noblemen as the central them during 18-19th century. Artifacts for the royal family were the seals, armchairs withwith dragon patterns, frames for folding paintings, and palanquins. Whereas common artifacts for the literary noblemen were white porcelain stationary, incense holders, teapots. The hornless dragon pattern can be categorized into two forms; a single dragon and a symmetrical pair of dragons. The symmetrical pattern was strictly controlled and used primarily in royal artifacts, while the single pattern was freely decorated on white porcelain for literary noblemen in various type. At that time, in the Joseon dynasty, there was a trend of ‘Collecting Classical Works(Godongseohwa;古董書畵)' and stationary-making. As part of this trend, it was adopted to the white porcelain stationary especially related with water. At this time, putting the clouds and water waves design around the hornless dragon with few exceptions, the hornless dragon was expressed like a ascending dragon. Or by expressing the verse and the plum and bamboo design, it was expressed the symbolic meaning of entering government service and retirement of the literary noblemen. The composition of the decorations is original and is distinguished from the Chinse ones of the same age. 조선 후기 공예품에는 이전 시기에 찾아보기 힘들었던 새로운 형태의 동물 문양이 장식되어 눈길을 끈다. 이 동물의 외형은 얇은 몸체와 두 갈래로 나뉜 긴 꼬리, 네 개의 다리를 지닌 형태로, 특히 19세기 조선 백자에 집중적으로 나타난다. 이 동물 문양의 연원을 살펴보면, 중국 고대 전설 속에 등장하는 뿔이 없는 용의 일종이자 바다에 근거지를 둔 神獸로서, 중국 문헌기록에 근거하여 현재 보편적으로 ‘螭龍’이라 불리고 있다. 이룡문은 일찍부터 중국 고대인들에게 용과 밀접한 관계가 있고 상서롭고 신비스러운 존재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시간이 갈수록 점차 그 상징의미가 줄어들면서 淸代 이후까지 오랫동안 여러 공예품과 복식, 건축 등에 폭넓게 장식되었다. 청대에 성행한 이룡문은 청과 조선과의 교류가 활기를 띠는 18세기 이후, 조선에 물밀 듯이 수입된 청 문물과 함께 유입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룡문이 장식된 조선시대 유물은 18~19세기에 왕실과 문인사대부를 중심으로 사용된 목공예품과 백자 등이 남아있다. 왕실 대상 공예품은 印章, 龍交椅, 삽병틀, 가마 등이 있으며, 문인사대부 대상 공예품은 백자 文房用具와 향꽂이와 찻주전자 등이 있다. 이룡문의 장식구성은 크게 두 마리가 한 쌍을 이루는 대칭형과 한 마리만 등장하는 단독형으로 구분되며, 공예품의 종류와 사용대상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대칭형은 주로 왕실용 공예품에서 정해진 양식에 의해 비교적 엄격함을 유지하였고, 단독형은 문인사대부용 백자에서 훨씬 자유롭고 다양한 유형으로 장식되었다. 이룡문은 특히 물과 관련된 백자 문방용구에 즐겨 채택되었는데, 그 배경은 당시 조선에서 유행하였던 古董書畵 취미와 문방용구 제작의 증가를 들 수 있다. 이룡문의 주변에는 구름과 파도문 등이 거의 빠짐없이 나타나 昇天하려는 장면이 묘사되었고, 詩句나 매죽문 등이 함께 장식되어 문인의 出仕와 隱逸의 상징의미가 반영되었다. 이러한 장식구성은 동시기 중국에서는 볼 수 없는 조선만의 독창적이고 특징적인 표현이다.

      • KCI등재

        INT 기반 네트워크 이상 상태 탐지 기술 연구

        임지윤,남석현,유재형,홍원기 한국통신학회 2019 KNOM Review Vol.22 No.3

        Network anomaly detection is a technology that collects information about flows on a network and detects malicious attacks occurring in a network in real time. In-band Network Telemetry (INT) technology provides more detailed information in real time, that is not provided by existing networks, such as hop latency and queue occupancy.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method to implement an anomaly detection system with higher performance by using INT as an input feature of machine learning and verify it through experiments. 네트워크 이상 상태 탐지는 네트워크 상의 플로우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네트워크에서 발생하는 악의적인 공격을 실시간으로 탐지하는 기술이다. 실시간으로 패킷 단위의 세부적인 네트워크 정보를 제공하는 INT (In-band Network Telemetry) 기술을 이용하면 네트워크 홉 단위 지연 (hop latency)과 큐 점유율 (queue occupancy) 등 기존 네트워크에서 제공하지 않는, 보다 세부적인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 가능하여 네트워크 이상 상태 탐지에 활용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INT를 이용하여 추출한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머신 러닝의 입력 특징으로 사용하여 더 높은 성능을 가진 이상 상태 탐지 시스템을 구현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이를 실험을 통해 검증한다.

      • KCI등재

        예술계 고등학생의 소명의식과 부정적 진로조언 수용성: 확인편향의 매개효과와 행동활성화 체계 및주관적 성적의 조절효과

        임지윤,하유진,신용환,이창환,손영우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11 No.1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 between calling and career decision making process. This study aims toexamine whether confirmation bias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calling and career-related advicereceptivity and whether BAS and subjective grade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alling andconfirmation bias. In this study, data were gathered from 218 amateur high school musicians in Busan,Korea. Our results indicated that (a) calling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and also a significant predictor ofconfirmation bias and, (b) calling lowered career-related negative advice receptivity, and confirmation biaspartially mediated this relationship (c) both BAS and subjective grade moderated the relation betweencalling and confirmation bias. The authors discuss the findings in terms of the implications andlimitations. 본 연구는 고등학생들의 소명의식과 진로에 대한 부정적 진로조언 수용성의 관계를 심도 있게 연구함으로써 소명의식이 높은 학생들은 어떠한 태도로 진로를 선택하고 추진해 나가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첫째 소명의식과 부정적 진로조언 수용성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고, 둘째, 소명의식이 부정적 진로조언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확인편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셋째 소명의식과 매개변인인 확인편향 간의 관계를 행동억제체계(BIS) 및 행동활성화체계(BAS)와 주관적 성적이 조절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국내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예술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218명의 응답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소명의식은 진로에대한 부정적 진로조언 수용성에 부적인 영향을, 확인편향에는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소명의식과 부정적 진로조언 수용성 간의 관계를 확인편향이 부분매개 하였다. 마지막으로, 행동활성화체계와 주관적 성적은 소명의식과 확인편향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그리고 추후 연구과제 필요성에 대해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