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가정전문간호사의 업무량과 직무만족도

        임민영,황원주,Yim, Min-Young,Hwang, Won Ju 한국가정간호학회 2017 가정간호학회지 Vol.24 No.1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workload of home healthcare nurses and their job satisfaction. Methods: The research was conducted on 87 home healthcare nurses in nationwide medical institutions. Results: Number of visits was correlated with direct nursing hours. The monthly average number of visits was 108.84 ; the average number of patients was 45.66; the average daily working hours were $8.95{\pm}0.95$, of which $5.43{\pm}1.06 $ were indirect nursing hours, and $3.57{\pm}1.05$ were direct nursing hours. The average nursing time by severity condition was 22.25 minutes for group 1 patients, 28.04 minutes for group 2, 34.97 minutes for group 3, and 42.88 minutes for group 4. Of possible scores out of 5 for the job satisfaction of home healthcare nurses, their satisfaction was low for their welfare ($2.68{\pm}1.12$), workload ($2.90{\pm}0.88$), and enough time to work ($2.98{\pm}0.90$). Conclusion: The severity of patient's conditions influenced the workload of home healthcare nurses. Although workload did not correlate significantly with job satisfaction, it is necessary to devise a measure for manpower so that home healthcare nurses can secure sufficient nursing hours when they visit clients.

      • KCI등재

        초등학교 컴퓨터교육에서 검색과 정렬 알고리즘 학습가능성에 관한 연구

        임민영,정상목,한병래 한국정보교육학회 2006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0 No.3

        초등학교 컴퓨터교육은 컴퓨터 사용기능을 익히는 것도 중요하지만 컴퓨터는 어떤 방법을 이용하여 계산을 하는지에 대한 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통해 다른 문제를 해결해 낼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것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자료구조의 검색과 정렬 알고리즘 학습내용을 재구성해 교수․학습 방법을 설계해 이를 지도해 보고 이러한 학습내용이 초등학교 학생들은 이해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사전․사후 동형 검사지를 통해 지적인 영역을 평가하고, 수업 후의 소감문을 통해 정의적인 영역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자료구조 중 검색과 정렬 알고리즘이 초등학생에게 가르쳐 질 수 있음을 확인하고 초등학교 컴퓨터교육의 학습요소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Computer education is important to learn functions of computers, and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 ability such as high-power intelligence ability, originality, and positive thoughts on the future. In other words, not only is it important to learn functions to calculate using computers but also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principle of the way computers calculate and enlarge other abilities to solve other problems through understanding of the principle.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teach search and sort of data structure to a primary-school children. In addition its purpose is to desig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teach according to the methods and find out whether primary-school children can understand the contents. Intelligent field was assessed through equivalent test before and after the test and emotional field through students' impressions after a lesson. The test showed that search and sort algorithm of data structure could be taught to children. That is, it presented the learnability of search and sort of data structure as a learning element of elementary school computer education.

      • KCI등재

        제주도 남부 해역에서 채집된 Ptereleotris evides (망둑어목: 청황문절과) 한국 첫기록

        임민영,권혁준,김진구 한국수산과학회 2023 한국수산과학회지 Vol.56 No.4

        A single specimen (30.35 mm standard length) of Ptereleotris evides was collected from the southern coast of Jejudo Island, Korea, in September 2017 during a skin diving outing. Ptereleotris evides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slightly elongated body, six spines on the 1st dorsal fin, one spine and 25 soft rays on the 2nd dorsal fin, 22 pectoral fin rays, one spine and four soft rays on the pelvic fin, one spine and 25 soft rays on the anal fin, and no disc in pelvic fin. This species differs from the congeneric species, P. hanae and P. heteroptera in having no elongated rays on the caudal fin and a black spot at the ventral margin of the caudal peduncle, respectively. Molecular analysis results based on mitochondrial DNA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COI) sequences showed that our specimen almost corresponded to P. evides (99.82%) sequences from registered at the NCBI. As this is the first record of P. evides in Korean waters, we propose a new Korean name for it, “Ga-mak-cheong-hwang-mun-jeol”.

      • KCI등재

        현대미술에서 프레임 확장 -디지털 미디어 미술을 중심으로-

        임민영 예술과미디어학회 2023 예술과 미디어 Vol.22 No.2

        The term frame, which is widely used throughout society, refers to a "formative frame" located at the edge of an image or at the boundary of an area other than a work and a work in the field of art. Until now, people have mainly thought that in art, frames play a secondary role in protecting works and distinguishing images from the outside. However, as various forms of work appear using various media in contemporary art, frames also become diver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frames, focusing on Digital Media Art, which well represents th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art in a newly emerged form. Through this, we will ultimately look at the concept, role, and formal changes of frames in contemporary art. Digital Media Art emphasize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viewer and the work. In such art, there is a limit to defining a frame simply as a frame or sculpture stand. In contemporary art, which is difficult to clearly distinguish the essence and non-essence, the inside and outside of art, and the image and frame, the frame has a dual property that provides a boundary and a passage. The frame creates a boundary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work of art, reveals the boundary, and at the same time connects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work of art. In this study, the role and meaning of the frame, which was recognized as a secondary element in the field of art, are examined by placing it at the center of art.

      • 공시지가 현실화 정책에 관한 쟁점 고찰

        임민영 한국행정학회 2022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2 No.1

        부동산 공시가격 현실화 계획은 부동산 투기 억제, 불로소득 환수, 부적정한 부동산 보유세 부담을 바로잡는 조세정의 실현 등의 목적으로 추진되어 왔다. 그럼에도 오늘날 공시가 격은 실제 시장가격과의 괴리로 인해 학계·시민단체 등으로부터 공시가격 수준의 적정성에 대한 비판을 지속적으로 받아오고 있다. 이에 정부는 2020년 11월 부동산 공시가격 현실화 로드맵을 발표함으로써 2030년까지 현실화율을 90%까지 제고하겠다고 선언하였다. 그러나 부동산 공시가격을 시가 수준으로 조정하는 것이 과연 바람직한 것인지에 대한 비판적 논의도 여전히 존재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공시가격 중 토지에 관한 공시지가를 중심으로 현실화에 대한 주요 쟁점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공시가격 현실화 정책의 목적 적합성을 중심으로 적정가격 산정에 대한 쟁점, 조세 형평성 평가 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공시지가 현실화 정책 결정에 정책적 함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그림책에 나타난 세시풍속으로서의 크리스마스 이미지 분석

        임민영,이정민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2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22 No.10

        이 연구는 한국에서 외래 축제이자 새로운 세시풍속으로 자리잡고 있는 크리스마스가 유아에게 어떠한 이미지와 메시지로 전달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유아들이 크리스마스 풍습을 쉽게 접할 수 있는 그림책에서 크리스마스의 세시풍속 모습이 어떠하며, 이 때 등장인물들의 역할이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했다. 국내 주요 서점 판매량 및 어린이 도서 협회의 추천 목록을 참고하여 총 46권의 그램책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했다. 연구자들이 반복적으로 그림책을 읽고 토론을 통해 범주를 도출하고, 그림책의 텍스트와 그림을 장면 단위로 옮겨 적은 후 질적인 방식으로 코딩하였다. 연구 결과, 그림책에서 크리스마스 때 트리 등 장식으로 일상과 구별되는 분위기를 연출하고, 산타클로스라는 신성한 인물에 대한 의식을 지내면서, 가족, 이웃, 친구들과 식사를 하거나 편지나 선물을 주고받으며 어울리고, 아이들이 산타클로스의 선물을 받고 기뻐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유아에게 크리스마스가 보다 의미를 갖는 세시풍속이 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바바라 크루거의 사회 참여적 미술 연구 -1980~90년대 작업을 중심으로-

        임민영 한국기초조형학회 2021 기초조형학연구 Vol.22 No.5

        Barbara Kruger, widely known as a feminist artist, is working on art with a tendency to participate in society to criticize various social issues, including gender discrimination. She dealt with the issue of women who are discriminated against in a male-centered society by revealing the way women's images are mainly reproduced by patriarchal perspectives in the early stages of artistic activities. She gradually interpreted the essential cause of gender discrimination as irrationality in social power relations. So she expressed a sense of problem with society as a whole, including race, clas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in artworks. Nevertheless, existing research and attempt to interpret only female attention her art in art criticism. On the other hand, relatively, there was a lack of research that viewed her work as socially participatory ar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at Kruger's art work is an art with a tendency to participate in society starting with women's problems and a wide range of social problems. With this purpose, I would like to analyze its content and formal characteristics and study its significance, focusing on her works in the 1980s and 1990s. In terms of content, Barbara Kruger's work begins with a feminist discourse and expands its perspective to social issues, revealing absurdities in power relations through works. In terms of form, strategic methods were used in the production techniques and exhibition methods to show a sense of criticism toward society. She mainly modified and used the mass media image and used advertising techniques. She also tried to provide viewers with the possibility of open interpretation by exhibiting art in a special way. Through this study, it can be seen that Barbara Kruger's art is meaningful in increasing the social role of art by revealing the problems that our society must solve together and allowing viewers to actively interpret the work. 여성주의 미술가로 널리 알려진 바바라 크루거는 성차별을 비롯해 다양한 사회 문제를 비판하는 사회참여적 경향의 미술 작업을 하고 있다. 그녀는 작업 활동 초기에 주로 여성 이미지가 가부장적 시각에의해 재현되는 방식을 드러냄으로써 남성 중심 사회에서 차별받는 여성문제를 다루었다. 그러다 점차성차별의 본질적인 원인을 사회적 권력관계의 불합리로 해석하고 인종, 계급, 빈부 차이 등 사회 전반에 대한 문제의식으로 주제를 확장해 나갔다. 그런데도 기존 다수 연구와 비평에서 크루거 작업을 여성주의 미술로 한정 지어 해석하려는 시도가 많았고, 상대적으로 사회 참여적 미술로서의 연구는 부족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크루거 작업이 여성문제를 시작으로 광범위한 사회 문제를 주제화하는 사회 참여적 경향의 미술임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1980-90년대 작품을 중심으로 그녀의 작업이내포한 내용적, 형식적 특성을 분석하고 그 의의를 고찰하고자 한다. 내용면에서 바바라 크루거 작업은 여성주의 담론에서 시작해 사회적 이슈로 시각을 넓혀 가면서 권력관계 속 부조리를 작품을 통해폭로하는 과정을 보인다. 형식면에서는 사회를 향한 비판 의식을 나타내기 위하여 작품 제작 기법과전시 방식에서 전략적 방법을 사용했다. 크루거는 주로 대중매체 이미지를 변형시켜 차용하고 광고 기법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제작 방식은 주제를 대중들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기존 재현 방식에 대한비판의 수단이기도 하다. 또한 확장된 형식의 전시 방식을 선택함으로써 관람자에게 열린 해석의 가능성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결과적으로 바바라 크루거의 미술 활동이 우리 사회가 함께해결해 나가야 할 문제를 드러내고, 관람자가 작업에 능동적으로 참여하게 함으로써 미술의 사회적 역할을 증대시키는데 그 의의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