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Mihai Eminescu의 神話詩, <Memento Mori>에 나타난 Dacia의 신화

        이호창(Lee, Ho-Chang)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04 동유럽발칸연구 Vol.13 No.1

        루마니아 민족은 혈통적으로나 문화적으로나 카르파치아 산맥과 다뉴브강 주변의 토착민인 다치아(Dacia) 민족과 이들을 정복한 로마 민족의 영향을 가장 많이 보존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다치아는 로마에 의해 정복된 후 역사의 뒤편으로 사라져 버렸다. 그러나 다치아는 역사 속의 고대 민족으로서가 아니라 ‘루마니아 정신의 고향’이며 ‘민족의 동질성을 느끼게 하는 상징’으로 아직까지 루마니아인들의 가슴 속에 자리 잡고 있다. 루마니아의 민족시인 미하이 에미네스쿠(1850-1889)도 다치아의 세계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으며 다치아의 신화적 시간과 공간 그리고 전설적 인물들에게서 강렬한 시적 영감을 받아 장편 신화시<Memento Mori 죽음을 상기하라 1872>를 집필하였다. 이 신화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다치아의 역사와 루마니아 민족 기원 전설을 살펴보아야 한다. 다치아인들은 자몰세(Zamolxe)라는 신의 가르침을 따라 영원불멸을 믿으며 천혜의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삶을 살고 있었다. 그러나 다치아인들은 서기 106년, 로마 트라이얀 황제의 대군에 의해 수도 사르미제제투사(Sarmigezetusa)를 함락 당하고 마지막 왕 데체발(Decebal)이 자결한 후 로마에 완전히 정복당하게 된다. 전설에 의하면, 다치아가 로마에 정복당할 당시 다치아의 왕 데체발에게는 도키아라는 딸이 하나 있었다고 한다. 로마 황제는 도키아의 미모에 반해 청혼을 하지만 도키아는 그를 피해 산으로 도망을 간다. 추격하는 로마 황제에게 막 붙잡힐 순간 도키아는 자몰세 신에게 도와 달라는 기도를 올리고 자몰세는 그녀를 돌로 만들어 준다. 이 신화에서 도키아는 다치아의 정신을 상징한다. 다치아는 비록 로마에 의해 멸망을 당했지만 루 마니아의 정신은 도키아와 마찬가지로 돌처럼 굳어져 루마니아인들의 가슴 속에 영원히 남아 있다는 것을 상징하고 있는 것이다. 에미네스쿠는 <죽음을 상기하라>에서 자신만의 새로운 시적(詩的) 신화를 창조해 내었다. 이 시에서 다치아는 태초의 자연인 동시에 죽음 후에 돌아가야 할 영원(eternitate)의 세계로 그려져 있으며, 도키아는 절대적 공간인 다치아의 모든 생명을 돌보는 달의 요정으로 등장하고 있다. 자몰세는 다치아를 침범한 로마와 로마의 신 제우스에게서 다치아를 지켜내기 위해 싸우지만 다치아는 결국 그들에게 짓밟힌다. 이 신화시에서 에미네스쿠가 가장 하고 싶었던 이야기는 삶은 덧없는 것이며 영원함은 오직 죽음뿐이라는 사실이다 이러한 사상은 다치아로부터 이어 내려오는 루마니아의 . 고유한 정신 세계에서 큰 영향을 받았다고 볼 수 있다. 에미네스쿠와 마찬가지로 다치아인들도 삶을 고난으로 보고 죽음을 악으로부터의 해방이라고 여기고 있었기 때문이다. Romania is descended from Dacia and Roma. Spirituality of Dacia is handed down to Romanian ethos and Dacia's mythology became one of the most important motif of romanian literature. Romania national poet, Mihai Eminescu created a fantastic myth about Dacia in his posthumous poem <Memento Mori>. To understand Eminescu's myth related with Romanian ethos, we have to see real history and mythology of Dacia. Dacian's God, Zamolxis, Dacian's last king, Decebal and his daughter Dochia are most remarkable personages in history and mythology of Dacia. Dacia's native population moved into the region about the seventh or the sixth century BC. By the first century BC the Dacians were the leading tribe of region. The Dacians raided parts of Romania and Moesia as the warrior Decebalus took leadership of Dacia some time between 65 and 86 BC. Traianus began his battles in March 101 and finished in AD 106 declaring Dacia a province of the Roman Empire. The degree of Romanization in Dacia was extensive. Dacia was Romanized but it retained their traditional cattle driving and agricultural practices. Due to the influx of colonists and other Roman citizens populating the newly declared province, however, changes were happening. Zamolxis (Saitnoxis) was the Supreme God of the Getae (or Dacians), a Thracian people inhabiting a territory including today's Romania. The scholars have interpreted Zamolxis as a Sky-god, a god of the dead, a Mystery-god, etc. This deity had neither temples nor representations. He was worshipped on the hills and the top of the mountains, the supreme place for worshipping being one of the highest peaks of the Carpathians. The Getae are the most valiant men, not only because of their stamina, but also because Zamolxis, whom they worshipped, had taught them to be so. They think death is just an abode change; for that reason, they are ready to die rather than embark upon a journey. Dochia was a very beautiful girl in myth about Dacia. Roman emperor Traianus wanted her as a wife, but she didn't want to be wife of one's country's enemy. She ran before Traianus to the mountain and at that very moment to be caught by him, she prayed to Zamolxis to help her. Zamolxis made her a rock to escape from Traianus. Dochia symbolize spirit of Dacia ; Dacia was conquered by Roma, but spirit of Dacia is remain as a rock. In <Memento Mori> of Mihai Eminescu, Dacia is archaic and fairy-like immense garden in whichcosmos and nature make perfect harmony. It symbolize lost eden and the absolute space to where the poet want to go for eternal rest. Dacia remain the original homeland of Romanian people's.

      • KCI등재

        상수 공정시간을 갖는 라인 생산 시스템에서 CONWIP과 간반의 성능 비교

        이호창(Hochang Lee),서동원(Dong-Won Seo) 한국경영과학회 2011 한국경영과학회지 Vol.36 No.2

        We compared a CONWIP(constant work-in-process) system with a kanban system in a production line with constant processing times. Based on the observation that a WIP-controlled line production system such as CONWIP and kanban is equivalent to a m-node tandem queue with finite buffer, we applied a max-plus algebra based solution method for the tandem queue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wo systems. Numerical examples with 6 workstations were used to demonstrate the proposed analysis. The numerical results support the previous studies that CONWIP outperforms kanban in terms of expected waiting time and WIP. Unlike the kanban case, sequencing workstations in a CONWIP does not affect the performance of the system.

      • KCI등재

        상수 공정시간을 갖는 간반 라인 생산 시스템의 성능 평가

        이호창 ( Ho Chang Lee ),서동원 ( Dong Won Seo ) 한국생산성학회 2010 生産性論集 Vol.24 No.4

        Kanban pull system uses card sets to tightly control work-in-process (WIP) between each pair of workstations. Total system WIP is limited to the summation of the number of cards in each card set Production occurs at a workstation only if raw material is available and the material has a card authorizing production. This paper showed that kanban-controlled line production system is equivalent to a m-node tandem queue with finite buffers. A max-plus algebra based solution method for the tandem queue was used to find the kanban system performance measures. A numerical example of kanban system with 6 workstations was used to demonstrate the analysis. Two optimization problems were solved: one that determines the minimum number of kanbans with given quality of service levels and one that determines the maximum throughput with given number of kanbans. We also analyzed how sequencing workstation affects the performance measures. The line production system where workstations arranged in decreasing order of their processing times was found to be the best configuration in terms of sojourn time and WIP level. Further studies on non-saturated demand case are needed.

      • KCI등재
      • KCI등재

        신화를 통해 살펴본 신과 인간과 대자연의 신성한 관계

        이호창(Lee, Ho-Chang)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1 동유럽발칸연구 Vol.26 No.1

        세속화되기 이전의 고대인들은 우주가 실재적이고 살아 있는 신성한 유기체라는 것을 항상 느끼고 있었으며 인간의 실존적 위치는 우주라는 전일적 유기체의 일부로서 존재할 때에 비로소 가치를 지니게 된다는 점을 알고 있었다. 우주는 만물의 존재를 유지하게 하는 질서와 리듬에 따라 움직였다. 심지어 신들 조차도 이 질서에 복종해야 했다. 신들은 인간을 포함한 모든 대자연과 더불어 우주 만물의 신성한 생명력을 갱신하고 유지 시키는 역할을 맡았다. 그들에게는 우주 전체가 성현이었으며 우주의 각 개체들 중 어느 하나 신성하지 않은 것이 없었다. 그렇기에 그들은 주변의 모든 것으로부터 성스러움을 느끼며 사는‘종교적 인간(homo religious)’일 수밖에 없었다. 고대인들이 성스러움을 항상 느끼며 살아갔다는 사실은 그들이 남겨 놓은 신화들, 의례들, 성상들 그리고 수많은 종교적 상징들을 통해 알 수 있다. 그 중에서 그들이 느끼던 성스러움을 발견하기 위해 우리가 가장 먼저 주목해야 할것은 태초의 거인이나 괴물이 살해당한 뒤 그 신체가 해체 되면서 그 과정 속에서 천계와 동·식물과 인간이 생겨났다는 신체화생의 내용을 가진 창세신화들이다. 세계 곳곳에서 전해지고 있는 수많은 창세 신화들 중에서 이런 내용을 가진 신화들로는 중국의 반고, 북유럽의 이미르, 바빌로니아의 티아마트, 인도의 프루샤, 이란의 가요마르드 등에 관한 신화들을 예로 들 수 있다. 위 신화들에서 공통으로 이야기되고 있는 태초의 우주적 거인이나 대양 괴물의 죽음과 신체의 해체는 사멸이 아니라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이 대자연이 생명력을 지닌 유기체로 탄생되었음을 의미한다. 또한 태초의 존재의 시신이 질료가 되어서 대자연의 각 개체들이 새롭게 생겨나게 되었다는 이야기는 대자연의 근원적 일체감을 표현한 것이다. 다시 말해, 대자연의 각 개체들은 태초의 존재인 신의 신체를 질료로 삼고 있으며 신의 신체에서 분화되어 나온 것이기에 이 우주의 근원은 원래 한 몸, 즉 하나의 신성한 유기체라는 것이다. 이러한 신체화생 신화들이 전하는 의미들, 즉 첫째로 전 우주는 신의 몸에서 분리되어 각 개체로 독립된 듯 보이지만 결국은 하나의 신성한 유기체라는 사실, 둘째로 죽음은 사멸이 아니라 생명력의 전이이자 외형의 변화일 뿐이라는 사실, 셋째로 죽음은 우주 창조의 근원에게로 회귀하고 재통합되는 것이라는 사실 등은 단지 신화로만 머물렀던 것이 아니라 때로는 철학적 사상으로, 때로는 종교나 윤리 덕목으로 계승되었다. 각 사상이나 종교들이 신체화생 신화들에서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다는 증거는 찾을 수 없지만, 중요한 것은 우리 인류가 영적으로 황폐해지고 폭력이 극심해지는 역사적 위기의 순간마다 종교적 인간이었던 고대인들의 지혜, 즉 우주가 신성한 하나의 유기체라는 생각을 회복해 왔다는 사실이다. Ancients were feeling that the Cosmos was real and living sacred organism. They were knowing that human's existential position was valuable just when human being existed as a part of the Cosmos. For them, whole cosmos was bing hierophany, and each individual of the nature was sharing same divinity. Such being the case, ancients were homo religious who were feeling sacredness in all nature. We can understand, with the help of myths, rituals, icons, and numerous religious symbols of ancients, that they were living with awareness that gods, the natural world and human beings are derived from one single sacred organism, In this paper we pointed at their cosmogonic myths which include following contents : Cosmos was born through sacrifice of 'primordial cosmic giant' like Pangu, Ymir, Prusha, Gajomard or 'oceanic monster' like Tiamat. Such myths tell us that each individual of the whole nature are differentiated from one primordial god which became essential element of all of us for vitality, therefore each piece or part of the whole nature is fundamental like a cell of one single sacred organism. Also such myths elucidate us thatdeath is not the end of existence, but just a transference of vitality to others, or a transformation of appearance, because primordial god gave us body and vitality through his dismemberment sacrifice. Teachings of such myths was not remained as just interesting tales but transmitted to some significant philosophical ideas, religions and ethics. Even if it is hard to prove that ideas and religions are inherited directly from the myths mentioned above, important thing is that some great wise men have remembered wisdom of ancients that all individual share same divinity with the Cosmos and all of us are a part of one single sacred organism, in all the moments when human spirituality had decayed.

      • KCI등재

        CSJ 개발을 위한 캐리어 파이프의 변형해석

        이양(Lee, Yang-Chang),이준성(Lee, Joon-Seong),이호정(Lee, Ho-Jeong),류정현(Ryu, Jeong-Hyu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1 No.1

        본 논문은 초고압 전력케이블의 접속재 개발을 위한 연구결과로써, 접속시스템의 핵심기술인 고절연 고무슬 리브의 현장 접속 작업의 용이성을 위한 Carrier Pipe의 구조해석과 주요부의 전기적 특성과 전계의 집중을 완화하기 위한 수치해석 등을 실시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평가하려 한다. 절연설계 및 전계완화 해석에 의한 검증과 접속재의 수축거동 해석에 의한 Carrier Pipe의 최적화된 형상으로 두께가 최소 9mm이상을 갖는 Carrier Pipe가 필요하며, 전 기적 전계완화 해석결과 고절연 고무슬리브의 중앙매립전극 경계면으로써, 접속재 수축거동 해석 결과와도 일치함을 검증할 수 있었다. This paper represents the results of study on Extra High Voltage Power Cable Connection System Development. The purpose is to evaluate structural safety by numerical analysis for the relaxation of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and by structural analysis of Carrier Pipe for easy installation of High Insulating Rubber Sleeve in the field, which is core technique of conn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thickness of Carrier Pipe needs at least 9mm by optimization analysis of deformation behavior and insulating design & relaxation of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The result of contraction behavior of the connection part can be demonstrated with the same result of electric field relaxation analysis at the boundary of the electrode inserted into the insulating rubber sleeve.

      • KCI등재

        영상 중요도 정보에 기반한 스타일 전이 기법

        이호창(Hochang Lee),윤경현(Kyunghyun Yoon) 한국정보과학회 2013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40 No.2

        스타일 전이 기법은 참조 영상에 나타나는 질감/색상과 같은 스타일을 결과 영상에 반영하는 기법이다. 기존의 스타일 전이 기법 연구들은 색상이나 질감 중 하나의 특징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었으며, 두 가지 특징을 동시에 반영한 연구는 활발히 연구되지 않았다. 또한 스타일 전이를 위해 후보 픽셀 집합을 구할 때 단순히 임의의 픽셀들로 구성하기 때문에 때때로 안 좋은 결과 영상을 생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참조 회화 작품의 색상과 질감 정보를 동시에 반영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때 참조 영상의 스타일을 효과적으로 반영하기 위해 영상의 중요도 정보를 이용한다. 우리는 참조 영상과 대상영상의 중요도를 고려하여, 중요도가 유사한 영역간에 스타일이 반영될 수 있도록 하였다. 우리의 알고리즘은 색상과 질감을 동시에 반영하기 때문에 기존 연구에 비해 참조 영상의 느낌을 잘 전이할 수 있었다. 또한 임의의 픽셀을 기반으로 후보 집합을 구성하는 것이 아닌, 중요도 정보를 추가로 반영하기 때문에, 영역별로 보다 명확하게 특징을 반영할 수 있었다. Style transfer re-renders a target image with texture or color taken from parts of a source image that is matched locally to the target image. Existing style transfer techniques are largely divided into two part, color and texture, and many researches of them are proposed for expressing non-photorealistic rendering based on style transfer techniques. However, most of previous researches are focused only one part (color or texture) and don’t consider both color and texture information. Additionally they construct candidate pixel set for transfer by random access approach. So they sometimes make unnatural result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style transfer technique that takes into account the both color and texture of the source image. Our method uses image saliency values to construct a candidate set for transfer style of source effectively. We consider saliency of target and reference image, and then match the style to region with similar saliency value. Different from previous works, we consider both color and texture information. So we can express more similar result from source image. Also we can express more realistic effect per each region because we construct candidate set based on image saliency information.

      • KCI등재

        즈부러토룰(Zburătorul ; 夢覽, 夜來者)과 관련된 신화와 문학에 대한 분석

        이호창(Lee, Ho-Chang)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동유럽발칸연구소 2004 동유럽발칸연구 Vol.12 No.2

        성애의 감정은 인간의 이성으로 통제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오래전부터 사람들은 성애의 감정에 초자연적인 힘이 관여하고 있을 것이라는 믿음을 가져왔다. 루마니아 민간전승에서도 이러한 믿음을 발견할 수 있으며 많은 문학 작품들 속에는 이런 저런 방식으로 인간의 성애에 개입하는 여러 초자연적인 존재들이 주인공으로 자주 등장한다. 그중 본 논문에서 다루게 될 즈부러토룰(Zburătorul)은 사춘기 소녀들에게 난생처음 성에 대한 갈망을 느끼도록 만드는 짓궂은 존재로, 즈부러토룰이 이상적인 남성의 모습으로 변신하여 사춘기 소녀의 성몽(性夢) 속에 들어가 성 관계를 맺고 사라지면 그 소녀는이성에 대한 그리움과 열망으로 심한 가슴앓이를 겪게 된다고 믿어지고 있다. 신화학자인 로물루스 불커네스쿠(Romulus Vulcănescu)에 의해 악령(daimon)으로 분류가 되긴 하지만, 즈부러토룰은 사람의 육신을 해치거나 사악한 마음을 품게 만드는 등의 부정적 활동을 하는 존재는 아니다. 사회 기능상의 측면에서 분석해 보면, 오히려 긍정적인 역할이 발견된다. 한 소녀가 생리적 사춘기를 보내며 즈부러토룰로 인하여 성애의 감정을 알게 되었고 성욕을 절제하는 고통을 느끼면서 사랑의 가슴앓이를 심하게 치렀다는 것은 이제 그녀는 어린 소녀가 아니라 성숙한 여성으로 거듭났다는 것을 의미한다. 남성을 아동적인 놀이의 동무가아니라성적결합(性的結合)의상대자로받아들일준비를해야할시기가왔다는것이다. 이는한소녀가 부모의 보호를 받는 어린이에서 아이를 낳고 가정을 돌봐야 할 성인 여성으로 성장했음을 알려주는 징후이며,개인적인 차원에 지나지 않았던 자기의 존재 가치와 위상이 사회적이고 국가적인 것으로 격상되었음을 의미한다. 동시에진정한사회의일원으로받아들여지게되었다는것을상징하기도한다. 그러므로즈부러토룰에의해 겪게되는가슴앓이는일종의무형적(無形的) 입사식(入社式; Ritual de Iniţiere ; Rite of Initiation)으로볼수 있으며 소녀에게 성애를 느끼게 만드는 즈부러토룰은 사악한 목적으로 소녀들을 괴롭히는 악귀가 아니라 입사 시험관이라 할 수 있다. 이 신비로운 존재에 관한 이야기는 제오르제 컬리네스쿠(George Călinescu)에 의해 루마니아의 4대 신화중하나로평가 받고있으며 , 미하이에미네스쿠(Mihai Eminescu)의시<컬린(이야기의단편들) Călin (file dinpoveste)>, <샛별 uceafărul>, 바실레알렉산드리(Vasile Alecsandri)의시<스부러토룰Sburătorul>, 이온헬리아데러둘레스쿠(Ion Heliade rădulescu)의시<스부러토룰Sburătorul> 등, 19세기루마니아낭만주의문학가들의여러 작품에 중요한 모티브를제공하였다. 그중 러둘레스쿠의 시 <스부러토룰>은 즈부러토룰을만나고 난 뒤 겪게 되는 한 소녀의 안타까운 가슴앓이를 가장 사실적이며 섬세하게 그려내고 있으며, 에미네스쿠의 시 <컬린 (이야기의 단편들)>은 즈부러토룰과 나눈 순수한 사랑의 이야기를 동화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In Romanian folklore and literature, we can meet many kinds of mysterious being which are intervene in human’s erotic sentiments. The most important one among them is called ‘Zburătorul’. It’s character is very similar with Eros in Greek mythology and Incubus in occidental tales. The ‘Zburător’ is a kind of dragon or serpent, he transforms himself into a very attractive man, then intrudes into dreams of girls at puberty to make love with them. There are a lots of romanian literary works inspired by this ‘Zburător’. One of the most important literary work related with ‘Zburătorul’ is ballad titled <Sburătorul> by Ion Heliade Rădulescu. In this ballad, writer described minutely pathetic mental agony of a little girl’s, named Florica, who is aware of her sexual feelings by ‘Zburătorul’. Mihai Eminescu also composed several poems motived by ‘Zburătorul’ like <Călin, file din poveste>, <Luceafărul> The majority of the romanian scholar says that ‘Zburătorul’ is a demon, a nightmare and an evil spirit. But this creature is not a completely negative being. We can not find any story in which ‘Zburătorul’ injures human’s body or he converts man into devil. On the contrary, when it tries to analyze mythical symbols from the side of social function, the affirmative role of Zburătorul’ is discovered. The fact that one young girl was known the erotic sentiment in the period of physiological adolescence as a result of aggression of ‘Zburătorul’ means that this girl recognizes the characteristic role as the woman and she goes to establish her identity as the woman. From that reason, the mental agony of girls caused by ‘Zburătorul’ could be considered as a formlessness rite of passage from girlhood to womanhood, that is ‘initiation of girls’.

      • 루치안 블라가의 신화시극(神話詩劇), 에 나타난 사상과 상징

        이호창(Lee,Ho-Chang) 한국동유럽발칸학회 2004 동유럽발칸학 Vol.6 No.1

        블라가의 '신화시극(神話詩劇 teatru mitic ?i poetic)'들 중에서 첫 번째로 발표된 작품인 는 루마니아의 고대 신화이자 종교였던 자몰세와 그의 사상에서 영감을 받고 이를 재구성하여 신과 인간과 우주의 관계를 철학적으로 조명하고 있는 작품이다. 블라가가 고대 신화 속의 자몰세를 자신의 신화시극 속에 불러들인 것은 현세의 불합리한 가치관들을 극복할 수 있는 초월자의 모습을 표현할 모형으로 삼기 위함이었다. 블라가는 자몰세의 삶에 독창적인 사건들을 가미하고 새로운 주변 인물들을 등장시킴으로 인류 역사를 전반적으로 암시하는 풍부한 상징들을 더했으며 그 속에 인류가 나아가야 할 바를 제시하는 새로운 사상들을 내포시켜 놓았다. 이 작품에 등장하는 각각의 인물들은 특정한 개인인 동시에 인간 사회 각 집단의 특징을 상징하는 인물들이기도 하다. 자몰세는 인간과 자연이 진정으로 소통할 수 있는 길을 찾기 위한 정신적 여정에 나선 목마른 시인인 동시에 존재의 절대 가치를 찾아내기 위해 끊임없이 고민하는 철학자의 모습으로 그려지고 있다. 마그사제는 자신의 권력만을 추구하려는 현대의 정치 권력가들 또는 보편종교의 배타적 성직자들과 다를 바 없는 모습을 지니고 있다. 마그사제의 친구인 주술사는 권력가들의 기득권을 유지시키기 위한 이념적 체계를 만들어 내거나 그것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어용 지식인들을 나타낸다. 양치기는 지배 이데올로기의 대변자 역할을 하는 언론매체들의 모습과 유사한다. 보초서는 병사는 신념을 행동으로 옮기는 실천가나 사회 운동가를 상징하는 인물이다. 게보스는 비록 곱사등이라는 신체적 결함을 타고 났지만 세속적인 가치관들로부터 해방된 삶을 누리는 진정한 자유인이라 할 수 있다. 이 신화시극은 이들 등장인물들을 중심으로 두 개의 축을 이루는 갈등구도가 서로 엮이면서 사건들이 진행된다는 특징을보인다. 갈등구도 중의 하나는 마그사제를 중심으로 야기되는 자몰세와 인 간들 사이의 갈등에서 찾을 수 있으며 다른 하나는 자몰세가 스스로 겪고 있는 내면적 고뇌에서 발견할 수 있다. 자몰세와 인간들 사이의 갈등은 정신 중심의 가치관과 물질 중심의 가치관의 대립, 탈세속적 이상(理想)과 세속적 지배이데올로기의 대립 구도로 나타나고 있다. 자몰세의 내면적 갈등은 절대가치에 대한 끝없는 동경에서 출발하여 결국에는 그 절대가치를 위해 숭고한 희생을 치르는 것으로 막을 내린다. 이 작품은 복잡한 사회 속에서 물질적 가치관의 노예가 되어가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삶의 총체적 가치를 되새길 수 있는 자기성찰의 계기를 제공 할 수 있을 것이다. Lucian Blaga was an eminent writer, but at the same time he was a famous philosopher.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lluminate thoughts and symbols included in his first ‘mythological poetic drama’, inspired by Geto-Dacian's supreme god, named Zamolxe and his religion. In this drama, ancient Zamolxe is reborn as a new character, like a poet who is on his mental journey to find a way through which human being and nature can communicate Stating “God is dead”, Nietzsche expressed the gloomy of present age when we are neglecting “the absolute value”. In a similar way Blaga said in his philosophy-essay, “The destiny of our age is very tragic, because we need to have a new religion but we can not find a new god for this religion anywhere”. Blaga's work was inspired by a myth of the ancient people of Dacia but it is basically a mirror which reflects our tragic ages. For us who have become slaves to the material values in complex societies, this work gives us an opportunity of self-examination, that is to contemplate the whole value of life. In addition, myth of “The Great Blind”, spoken by Zamolxe, which regards god, human and nature as one absolute existence, will make us to reflect on the absolute value of human that he should b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