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개인적 및 사회적 혜택이 공유가치 서비스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플랫폼 이용 용이성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이혜정,서주환 한국마케팅관리학회 2022 마케팅관리연구 Vol.27 No.2
Currently, Creating Shared Value (CSV) service market, which not only solves social problems but also provides various benefits to consumers and service providers, is drawing attention. CSV is growing rapidly by expanding its scope to a variety of consumer goods and services such as clothing, bicycles, children’s toys, books, and office space, as well as accommodations and vehicles. In this study, we analyze factors that affect the intention to reuse CSV services with high potential in the future. Based on previous studies, this study examined two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to use CSV services in terms of value: the characteristics of CSV services (convenience, economy, security) and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eco-friendly, altruistic, and innovative). In addition, the effects of these independent variables on reuse intention were analyzed by mediating personal and social benefits perceived by consumers. From September 1 to September 6, 2021,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a domestic survey agency, and the final 473 surveys were analyzed by collecting from users ages 20–59 with experience with CSV services nationwid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26.0 and AMOS 26.0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service convenience, economy, security, and consumer tendencies including eco-friendliness, altruism, and innovation all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onsumers’ personal and social benefits. In addition, personal and social benefit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use intention. Moreover, the group with a large ease of the moderator variable platform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convenience of the service, as a result of which personal benefits were affected. This study will help marketers of CSV services and operators who want to enter CSV services in the future to build a successful business model. 최근 사회적 문제를 해소할 뿐만 아니라 소비자 및 서비스 제공자에게 다양한 이익을 제공하는 공유가치 서비스 시장이 주목받고 있다. 숙박 및 차량뿐만 아니라 의류, 자전거, 아동 장난감, 도서 및 오피스 등 다양한 분야로 영역을 확장하며 급격한 성장을 이루고 있다. 공유가치 서비스 이용의도에 대한 영향요인을 공유가치 서비스 품질의 특성 (경제성, 편의성, 보안성)과 소비자의 심리적 특성(친환경 성향, 이타주의 성향, 혁신 성향) 두 가치 측면에서 접근하였으며, 지각하는 개인적 및 사회적 혜택을 매개하여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2021년 9월 1일부터 2021년 9월 6일까지 국내 유명 설문기관을 통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전국에서 공유가치 서비스 경험이 있는 만 20세에서 59세 이용자를 대상으로 최종 473부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와 AMOS 26.0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SEM)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공유가치 서비스 품질의 경제성, 편의성, 보안성과 소비자 심리적 특성인 친환경 성향, 이타주의 성향, 혁신 성향 모두 소비자의 개인적 및 사회적 혜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두 변수들은 이용의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미쳤다. 뿐만 아니라 조절변수인 플랫폼 이용 용이성이 큰 집단(높은 플랫폼 이용 용이성)과 공유가치 서비스의 편의성은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로서 개인적 혜택에 영향을 미쳤다. 아울러, 본 연구는 공유 가치 서비스의 마케터 및 향후 공유가치 서비스에 진입하려는 사업자들에게 공유가치 서비스 시장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하는 목적이다.
이혜정 국가안보전략연구원 2011 국가안보와 전략 Vol.11 No.2
Is America declining? This question has arisen (again) in the wake of the 2008 financial meltdown, and dominated the agenda of both practitioners and academics of international relation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wo-fold:analyzing and empirically evaluating the controversies over America’s decline. This paper identifies two main issues of imperial overstretch and imperial denial, focusing on the competing viewpoints of Paul Kennedy, Niall Ferguson and Joseph S. Nye Jr; and examines the state of America’s military and economic power by drawing upon the Obama administration’s policies.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국제체제에서 미국의 힘과 위상의 변화는 학계의 이론화는 물론 실천가들의 미래 예측의 주요한 대상이었고, 그 노력은 미국쇠퇴론을 둘러싼 논란으로 나타났다. 미국 쇠퇴론은 부침을 거듭했다. 미국 쇠퇴론은 1960년대 이래 미국의 지속적인 상대적 하락으로 1980년대 후반에 정점에 이르렀다가, 냉전의 종언과 9/11 테러 이후 쇠퇴하였고, 최근 미국 발 세계금융위기를 계기로는 다시 부상하였다. 이 글은 케네디, 퍼거슨과 나이의 논의를 바탕으로 미국 쇠퇴론의 주요한 쟁점을 대외정책 목표의 과대팽창과 재정 및 인력 동원의 내부적 한계의 두 가지로 정리하고, 군사와 경제의 분야에서 이들 과대팽창과 내부적 한계의 현황 및 그에 대한 미국의 정책적 대응을 검토한다.
공격성과 비행에 관한 연구 - 남녀 차이와 변화를 중심으로 -
이혜정,김범준,위슬아 한국여성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Vol.20 No.4
Through longitudinal approach,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transition of aggression and juvenile delinquent behavior during teenage years and the effect of aggression on juvenile delinquency. Particularly, forms of aggression and gender difference are investigated. 2,280 8th grade students and 2,108 10th grad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 showed, in terms of aggression, 10th grade students have lower aggressive tendencies compared to the 8th grade students. Correlation between aggression and Juvenile delinquency showed that not only aggression has positive effect on delinquency, but also middle school students with higher aggressive tendencies tend to show higher level of delinquent behavior as they proceed to high school education. We have found tha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domains; as the level of aggression rises, so does the frequency of delinquent behavior. In terms of gender, female students have higher aggressive tendencies compared to male students regardless of the grade level difference.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discussed.
이혜정 한국하이데거학회 2007 현대유럽철학연구 Vol.0 No.15
문】생명 의료 윤리학에서 도덕적 갈등과 충돌이 일어날 때 해결하는 방법은 전통적으로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연역적 방법, 다시 말해서 하향적 모델이고, 다른 하나는 귀납적 방법, 즉 상향적 모델이다. 그러나 주지하듯이 연역적 방법론이건 귀납적 방법론이건 이 방법론들은 생명 의료 윤리의 문제를 다루는 데 충분하지 못하다고 인정되어 왔다. 그래서 그 대안으로서 롤즈의 반성적 평형의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본 논문에서는 생명 의료 윤리 중에서도 특히 생식 윤리를 다루고자 한다. 생식 윤리는 생식 또는 출산과 관련된 문제를 다루는 윤리이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피임, 불임, 인공수정, 체외수정, 냉동배아를 포함한 도덕적 지위, 태아의 유전진단, 대리모, 어머니됨의 분절화 등의 도덕적, 윤리적 문제를 다룬다. 양육은 남자건 여자건 누구나 할 수 있지만 출산은 아무리 의료 과학 기술이 첨예하게 발전하다해도 여전히 여성의 몫으로 남아 있다. 따라서 여성주의 방법론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의식 고양으로서의 방법론, 절충적 방법론으로서의 여성주의 윤리학을 제시해 본다.1. 문제 제기 A Study on feminist methodology in reproductive ethics Lee, Hye-Jung When we experience moral conflict in biomedical ethics, there is two traditionally as method to solve it. On the one hand is deductive method, that is, top-down model, on the other hand is inductive method, that is, bottom-up model. But it does not enough these methods to deal with biomedical ethics. Therefore it has been studied the method of reflective equilibrium in Rawls. In this article I deal with reproductive ethics. To put it concretely, reproductive ethics deals with matters related to reproduction or childbirth, that is, contraception, sterilization, Artificial Insemination, IVF, frozen embryo, genetic screening, surrogacy etc. Anyone can bring up, reproduction is still a allotment of women, however sharply medical technology develops. Therefore it is required feminist methodology. In this article I present feminist methodology as consciousness-raising, eclectic methodology.
1970년대 고등교육을 받은 여성의 ‘공부’ 경험과 가부장적 젠더규범
이혜정 한국교육사회학회 2012 교육사회학연구 Vol.22 No.4
This study is focusing on how women's ‘study’ experiences affect their lives as women in South Korean society through an analysis of women's oral life histories. The women were university students in South Korea in the 1970s. The twelve interviewees of this study include women who experienced open opportunities of higher education and a closed structure of the labor market in previous generations. Their collective experience elucidates particular characteristics and social meanings of Korean women's higher education. This study reveals four important characteristics from the women's lives. First, the women's ‘study’ experiences inculcated them with dreams of different lives from other women by providing them with a strong desire for self-achievement. Second, the dominant gender norms influenced the interviewees in their educational experiences, but it did so in a multitude of ways that is different for each interviewee. Third, the self-achieving desire and the role of caring within the family caused contradictions and conflicts in their lives. It is because the desire demanded a self-oriented lifestyle, while the role of caring demanded their responsibility toward other members of the family. Women's ‘study’ experiences make it possible for women to interpret the world independently and to have ambition in their lives beyond dominant gender norms. Their desire, strategies and practice of self-achievement cracked the dominant gender norms. In particular, the women's ‘education fever for their daughters’ is an application of a gender norm that is totally different from the gender norm they internalized. This suggests a changing social meaning of women's higher education. 이 연구는 1970년대 고등교육을 받은 여성 12명의 구술 생애사 분석을 통해, 여성의 ‘공부’ 경험과 한국사회에서 ‘여성’으로 살아가는 과정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 연구의 구술자들은 여성에게도 열려있는 고등교육 기회와 대졸 여성에게는 닫혀있는 노동시장 구조를 경험한 세대이다. 이 연구는 이 여성들의 어린 시절과 초ㆍ중등교육 경험, 대학 진학 과정과 대학 교육 경험, 대학 졸업 후 진로 선택 과정을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이 여성들이 경험했던 내용과 더불어 스스로의 삶을 어떻게 이해하고 해석했는가를 함께 분석했다. 여성들의 구술 생애사 분석의 결과, 다음과 같은 점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먼저, 구술자들의 ‘공부’ 경험은 이 여성들이 주변의 여성과는 다른 삶을 꿈꾸게 했고, 자기성취 욕구를 갖도록 만들었다. 당시의 지배적인 젠더규범은 이 여성들의 삶에서 결혼과 출산, 가족 내 여성 역할을 우선적인 것으로 규정했지만, 이들의 초,중등학교와 대학에서의 ‘공부’ 경험은 젠더규범의 규정력을 넘는, 다른 삶을 지향하게 했다. 두 번째, 그럼에도 여성의 고등교육과 결혼을 둘러싼 당시의 지배적인 젠더규범은 구술자들의 교육 경험과 진로 선택에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작동했다. 그러나 이 젠더규범이 모든 구술자들에게 일률적이거나 일방향적으로 영향을 미친 것은 아니었다. 일부 구술자들은 이 젠더규범에 반하여 자율적인 선택을 했다. 이러한 자율적인 선택이 이후에는 일종의 삶의 전략과 자기성취 실천으로 이어졌다. 세 번째, 고등교육을 받은 여성으로서 이 여성들은 한편으로는 지적이고 예쁜 ‘여대생’으로서 중산층 여성성을 구성하기도 했지만, 한편으로 가부장적 사회의 권력과 질서에 순응하지만은 않는 주체적인 여성으로서의 정체성을 구성하기도 했다. 1970년대 고등교육을 받은 이 여성들의 ‘공부’ 경험은 ‘중산층 여성’ 혹은 ‘여성운동가’, ‘전문직 여성’과 같은, 일관된 여성 정체성이 아니라 이중적이고 복합적인 여성 정체성을 구성하는 자원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 연구는 여성들의 ‘공부’ 경험과 삶의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여성 고등교육의 사회적 의미를 경제활동 참여 중심으로 보았던 기존의 관점이 간과했던 부분을 조명할 수 있었다. 특히 구술자들의 ‘공부’ 경험에 주목함으로써 여성 고등교육의 의미를 경제적인 차원 혹은 가부장적 젠더규범의 작동 과정으로 축소하지 않고 보다 풍부하게 분석할 수 있었다. 1970년대 고등교육을 받은 여성들의 ‘공부’ 경험은 세계와 자아를 주체적으로 해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당시의 젠더규범을 넘어서는 삶의 포부를 갖게 했다. 그리고 젠더규범에 균열을 내는 실천과 행위성을 가능하게 했다.
청소년의 디지털 성폭력 피해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디지털 세계의 폭력적 젠더 질서 속에서 살아남기
이혜정,김수아,박진아 한국여성학회 2022 한국여성학 Vol.38 No.3
This article examines the adolescents’ experiences of sexual violence in digital media space in the context of gender order. It employs a narrative inquiry to analyze the stories of four youths who experienced digital sexual violence. This study found the following: First, the digital media space is space where youths are at risk of gender-based violence, while simultaneously is a space to form identities, build relationships, resist and learn. Second, the research participants objectify their experience of digital sexual assault as a socio-structural problem, an attack on feminists, or something raunchy and unpleasant. It is a survival strategy they employ to minimize the damage of the violence. Third, only those with available resources and networks can objectify their experience, whereas those disconnected from the discourse cannot. Fourth, digital sexual violence develops into a source of fear when it poses physical threats offline. On these accounts, adolescents‘ survival strategies in a digital space tend to be inadequate to provide safety from violenc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gender order in digital space needs to be carefully considered to address the issue of digital sexual violence in adolescents. They also imply that institutional and policy-related efforts are required for our society to imagine adolescents as subjects who can express their sexuality. 본 연구는 청소년의 디지털 성폭력 피해 경험을 디지털 미디어 공간의 젠더 질서라는 맥락 안에서 살펴보기 위해 디지털 성폭력 피해 경험이 있는 청소년 4명의 이야기를 내 러티브 탐구 방법론을 활용하여 분석했다. 그 과정에서 발견한 것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들에게 디지털 미디어 공간은 젠더 폭력의 위험성이 있는 곳임과 동시에 정체성을 형성하고 관계를 만들며 저항과 학습을 하는 장소이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온라인 공간에서 살아남기 위해 자신의 디지털 성폭력 경험을 사회구조적 문제로 객관화하거나 페미니스트에 대한 공격 혹은 더럽고 불쾌한 일로 여김으로써 폭력으로부터의 손상을 최소화하고자 했다. 셋째, 이러한 생존 전략으로서의 피해 경험 해석은 자원과 네트워크가 있을 때만 가능하며 고립된 조건에 있었던 청소년에게는 어려운 일이었다. 넷째, 청소년들의 적극적 해석을 통한 생존 전략에도 불구하고 디지털 성폭력이 오프라인에서의 신변의 위협으로 연결될 때, 이는 두려움과 불안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청소년들이 온라인 공간에서 살아남기 위해 선택한 전략들은 스스로를 젠더 폭력의 위험으로부터 안전하게 지키기에는 불완전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청소년 디지털 성폭력 문제의 해결을 위해 온라인 공간의 젠더 질서에 대한 풍부하고 깊이 있는 고찰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그리고 이는 청소년들이 성적 주체로서 상상하고 실천할 수 있는 사회로 나아가기 위한 제도적, 정책적 노력이 필요함을 함의하는 것이기도 하다.
e-PBL 에서 튜터의 수행 향상을 위한 스캐폴딩 가이드라인 개발 연구
이혜정,장선영 한국열린교육학회 2010 열린교육연구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caffolding guideline for improving tutor's performance in e-PBL. In other to develop a scaffolding guideline, students' difficulties and scaffolding types according to each step of e-PBL phases were drawn out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and tutor interview. Scaffolding guideline consists of (1) student difficulties in e-PBL, (2) scaffolding types to decrease student's difficulties, (3) scaffolding strategy to provide learner with scaffoldings, and (4) specific message examples as a practical information. These were verified by ten experienced expert tutors and six novice tutors. Practical application of this guideline could be suggested for further investigation. This scaffolding guideline is expected to improve tutor's performance and make e-PBL successful. 웹환경의 장점을 활용하여 학습자의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수방법으로 e-PBL이 주목받고 있다. e-PBL에서 학습자들은 문제를 해결하면서 다양한 어려움을 겪게 된다. 학습자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튜터가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도움이 스캐폴딩(scaffolding)이다. 학습자가 성공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기 위해서 e-PBL 과정에서 학습자의 어려움을 파악하고 이에 적절한 스캐폴딩을 제공하는 일은 튜터의 중요한 역할 증 하나이다. 그러나 e-PBL에서 튜터 경험이 적은 초보자 튜터의 경우 학습자에게 적절한 스캐폴딩을 제공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헌 분석 및 튜터 인터뷰를 통해 e-PBL에서 학습자들이 겪는 어려움을 범주화하고, 이러한 학습자의 어려움을 해결하기에 적절한 스캐폴팅 제공 전략 및 메시지 예를 포함한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개발된 스캐폴딩 가이드라인은 학습자 어려움, 스캐폴딩 유형, 스캐폴딩 전략 이렇게 세 범주를 중심으로 구체적인 예시와 실제적인 실행전략이 포함되었다. 본 연구에서 재발된 스캐폴딩 가이드라인은 튜터의 수행 향상 및 학습자의 문제 해결력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군복무 학점인정제도 도입에 대한 헌법적 검토- 군복무자 지원제도의 요건에 대하여 -
이혜정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2018 고려법학 Vol.0 No.91
Recently, there was a media report that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signed an agreement with some universities to recognize the military service period as credits. The credits recognition of military service comes from the necessity of rewarding many soldiers for their disruption in school, as they take a break from university and are conscripted into the military. However, it has been controversies because the additional points system of the military service, which was abolished by the Constitutional Court’s decision in 1999, has similar characteristics and conflicts. In this paper, it was judged on how the additional points system of military service is the same and different from the credits recognition system of military service and whether the credits recognition of military service is appropriate as a support system for military service. The credits recognition of military service is not unconstitutional. Because it is not a direct enforcement to universities because it is carried out by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the universities and it does not deprive women and disabled people of opportunity as in the case of the additional points system for the military service. However, it may be a bit problematic in that the government’s responsibility to prepare the system to ensure fairness of its military duty is indirectly handing over into universities. And It is considered to be ineffective because the number of soldiers who can benefit from the system is too small and the level of benefits is small.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ir disruption in school, I think it is essential to provide conditions for continuing to study during the military service rather than recognizing the military service itself as credits. There is already a system called e-learning system (the Cyber lecture of university) that can continue studying in the military. Therefore, universities, governments and the military should work together to enable the e-learning system. 최근 국방부가 일부 대학들과 군복무 기간을 학점으로 인정하기 위한 협약을 체결하였다는 언론보도가 있었다. 군복무 학점인정제는 많은 군인들이 대학을 휴학하고 입대하는 현실에서 그들의 학업단절에 대한 보상 취지에서 필요성이 제기된 것이다. 그러나 1999년 헌법재판소의 위헌결정으로 폐지된 군가산점제와 제도의 성격, 갈등 양상 등이 유사하다는 점에서 논란이 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군복무 학점인정제가 군가산점제와 어떤 점에서 같고 어떤 점에서 다른지, 군복무 학점인정제가 군복무자 지원제도로서 적합한지를 판단하였다. 군복무 학점인정제는 대학의 자율적인 참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대학에 대한 직접적인 강제가 아니고, 군가산점제의 경우처럼 군복무자에 대한 혜택이 여성 및 장애인의 기회를 박탈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위헌의 소지는 없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국방 의무의 형평성 확보를 위해 제도를 마련해야 할 국가의 책임을 간접적으로 대학에 떠넘기고 있다는 점에서 다소 문제가 될 수 있고, 군복무자 지원제도라고 하기에는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군복무자의 범위가 너무 적고, 혜택의 정도도 미미하다는 점에서 실효성은 없는 제도라고 판단된다. 군복무자들이 겪는 학업단절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군복무 자체를 학점으로 인정하는 것보다 군복무 중 학업을 계속할 수 있도록 여건을 마련하는 것이 본질적인 해결책이라고 생각한다. 이미 군복무에 따른 학업단절문제를 해소하고 군대에서 학업을 계속할 수 있도록 e-러닝 시스템(대학원격강좌)이라는 제도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e-러닝 시스템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대학과 정부, 그리고 군대가 함께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