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신병리의 근원력으로서 프로이트의 리비도와 불교의 갈애 비교

        이충현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22 철학사상 Vol.86 No.-

        The human tendency to desire something has often been regarded as the fundamental cause of suffering. Freud and Buddhism also consider human desire as the source of suffering, and explain the mechanism of psychopathology through libido and taṇhā as the root force that drives the human desi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Freud’s psychoanalysis and Buddhism understand and utilize the concept of the root force (Libido and taṇhā) to deal with suffering. First, the study discusses how these two concepts are defined in them. Second, the study reviews how these two concepts relate to the mechanism of their pathology. The study also suggests as a solution to cope with suffering. Third, the study confirms that the two ideas similarly point out that the root force can be sublimated, just as positive desire exists. However, the study is distinguished in that the subject of sublimation of taṇhā is not found in Early or Abhidharma Buddhism, which only views taṇhā as an object of extinction and is discussed only in Mahayana Buddhism with the idea of ‘Defilements which is awakening.’ 인간의 욕망은 종종 인간 고통의 본질적 원인으로 간주되곤 한다. 프로이트와 불교 역시 쾌 혹은 만족을 추구하는 인간의 욕망을 고통의 근원으로 보고 이를 이끄는 힘 혹은 에너지로서 리비도 및 갈애를 통해 정신병리의 기제를 해명한다. 본 연구는 프로이트의 정신분석과 불교가 고통을 다루기 위해 욕망의 근원적 힘의 개념[리비도, 갈애]를 어떻게 이해하고 활용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두 사상에서 해당 개념이 어떻게 정의되는지 살펴보고 이것이 병리의 기제와 어떻게 연관되며 고통에 대한 대처방안으로 무엇이 제시되는지 검토할 것이다. 또한 욕망에도 긍정적 욕망이 존재하듯 욕망의 근원력 또한 승화되어 바르게 활용될 수 있음을 두 사상이 유사하게 지적하고 있음을 확인한다. 다만 근원력의 승화란 주제는 갈애를 소멸의 대상으로만 보는 초기 및 아비달마 불교에서는 찾아볼 수 없고 대승 불교에 와서야 논해지는 것임을 구별한다. 대승 불교는 ‘번뇌즉보리’의 사상을 통해 번뇌의 승화 기제를 나름대로 설명함으로써 이에 대한 해명에 어려움이 있는 정신분석과 차이가 있음을 논하며 마무리한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The effective Use of Live and Recorded Videm on Satellite TV and the Internet in FLT/L

        이충현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2004 멀티미디어 언어교육 Vol.7 No.1

        The use of satellite TV (STV) and the Internet is now available to some extent at all levels, particularly in higher education, due to development in technology and rapid expansion in their use in today's society. Live and recorded videos on STV and the Internet are now familiar in foreign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FLT/L) and seems to be the center of teachers' and students' interest. However, it is worth noticing that the most important consideration in using the technologies in FLT/L does not lie with their technical aspects, since technology develops and changes rapidly, but in the question of which technology can deliver which media, and how. Their effective use in FLT/L is related to their role and content, and how they can be integrated into the foreign language classroom. The purposes of this paper are, therefore: 1) to reconsider the positive features and limitations of video in the language classroom; 2) to discuss the effective use of video on STV and the Internet; 3) to suggest a model of teaching method and techniques in the use of video for the communicative language classroom.

      • SCOPUSKCI등재

        Collagen Gel을 이용한 사람의 고환 조직배양에 관한연구

        이충현,이상철,이선주,손준웅,장성구,김진일,채수응,Lee, Choong-Hyun,Lee, Sang-Cheol,Lee, Sun-Joo,Sohn, Joon-Woong,Chang, Sung-Goo,Kim, Jin-Il,Chai, Soo-Eung 대한생식의학회 1993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20 No.1

        A recently developed collagen gel culture technique has been applied to study on growth in tissue of human testicular tissue. Minimum Eagle's medium supplemented with amino acid, 10% Fetal Bovine Serum and 0.1mM non-essential amino acid are emploid. Tissue fragments on collagan gel are fixed at time intervals for the histologic findings of testis. The mature spermatids are maintained for 2 weeks and can be observed until four weeks. But the rate of glucose consumption is increased contrary to histologic findings.

      • KCI등재SCOPUS
      • KCI등재SCOPUS
      • KCI우수등재

        개념의 실체화에 대한 치유기제로서 용수와 아도르노의 ‘부정(否定)’ 비교 연구

        이충현 불교학연구회 2018 불교학연구 Vol.57 No.-

        Dialectics of Western philosophy have been often compared with Nagarjuna’s thought. It’s mainly due to Hegel’s dialectic asserting that the relation between ‘These’ and ‘Antithese’ is not just oppositional but also connected each other. Nagarjuna also emphasizes that all things are dependently originated in Mūlamadhyamakakārikā (MMK). This study compares Nagarjuna’s logical negation in MMK with Adorno’s dialectical negation in Negative Dialektik, by focusing on suffering. These two philosophers share common insight on the causes and cure mechanism of suffering. This study points out two causes of suffering: one with conceptualization caused by differentiation on object, and the other with the substantialization of conceptions. It also indicates cure mechanism as the right negation, which has two traits: one is the concrete reasoning that necessarily but naturally leads to negation of substantial conceptions, and the other the self-awareness and self-reflection that will be enlarged by realizing the error of conventional and substantial conception. However, two thinkers have a large difference about the extinction of suffering. Nagarjuna targets even the thinking of differentiation as the thing to be negated and reflected, while Adorno insists never to give up thinking. Since Adorno’s dialectics begin with the solid premise, separating of the subject and the object, in his aspect, the individual’s suffering is related to the social problems, and therefore it is impossible for the individual completely to resolve his suffering in the world, not Utopia totally free and lack of suppression. Contrastively, Nagarjuna sees the relation of the subject and the object temporal and originating dependently. So his thought opens the possibility for extinction of suffering even under the world with lots of suppression and discomfort through the acquisition of the sincere realization for emptiness. 서구 변증법과 용수 사상은 종종 비교 연구되어 왔다. 특히 대립하는 정과 반이 매개되어 상호연관성을 지닌다는 헤겔 변증법은 공성이 곧 연기임을 주장하는 용수 사상과 비교된다. 본 논문은 헤겔 변증법을 계승하면서도 부정을 강조한 아도르노의 『부정변증법』과 용수의 『중론』을 고통의 문제를 중심으로 비교해보고 있다. 고통이란 주제에 천착했던 두 사상가는 서로 다른 시대와 문화권에 서 있음에도 불구하고 고통의 원인과 치유기제에 대한 통찰을 공유하고 있다. 두 사상의 비교를 통해 고통의 원인으로 개념을 구성하는 개념화의 문제와 구성된 개념을 실체적으로 받아들이고 사용하는 개념의 실체화 문제를 구분해보고 치유기제로서 부정이 강조됨을 확인할 수 있다. 치유기제로서의 부정에는 반대를 위한 부정이 아닌 사안을 잘 알아보는 구체적 사고를 통해 자연히 도출되는 부정의 성격과 오류를 인식함으로써 생기는 자각적이고 반성적인 부정의 성격이 강조된다. 두 사상가는 부정이 치유기제가 될 수 있다는 통찰을 공유하지만 고통의 소멸에 대해서는 입장차가 크다. 아도르노는 사고의 오류로 인해 야기되는 고통을 치유하는 길로 오직 끊임없는 사유를 통해 부정하는 길을 제시하지만 용수는 이와 더불어 마음의 작용이 사라지면 사고의 대상도 사라지는 연기의 측면을 강조하면서 사고의 틀 자체도 부정의 대상에 포함시킨다. 더불어 용수는 진리인 공성의 참된 이해가 현실적으로 가능하다고 보기에 아도르노와 달리 완전한 자유가 실현되지 못한 시대 속에서도 개인의 고통이 해결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놓는다. 개별적 삶의 방식이 강화되고 정보가 무차별적으로 쏟아지는 오늘날 많은 이들이 혼란과 불안을 느낀다. 점점 더 개념을 실체화하며 이기적이고 병리적인 사고방식에 익숙해져 간다. 따라서 개념의 실체화를 고통의 문제에 핵심으로 보고 치유기제로서 참된 부정을 행하는 두 사상가에 대한 비교연구가 이 시대 고통의 무게를 덜어내는데 의미 있는 작업이 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