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누리과정 및 생활주제 간 연계 방안 탐색 연구

        이재창(Lee Jae Chang),홍후조(Hong Hoo J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9

        본 연구에서는 문서체계상으로나 활용상 분리된 측면이 있다고 지적받아온 누리과정과 교사용 지도서 생활주제를 서로 연계 짓는 방안에 대해 탐구하였다. 우선, 누리과정과 생활주제 각각의 구조를 파악하였고 이후 누리과정과 생활주제 중 무엇에 더 중점을 두고 서로를 연계시킬 것인가라는 연계방안을 탐구하였다. 연계방안은 누리과정을 상위에 두고 생활주제를 하위에 둔 후 이들을 서로 연계하는 하향식(Top-down) 연계방식과 반대로, 생활주제를 중심으로 누리과정을 연계하는 상향식(Bottom-up) 연계방식이 가능할 것으로 보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누리과정과 생활주제를 상하의 문제가 아니라 좌우의 문제로 보고 이들을 횡적으로 연계하는 병렬식(Parallel) 연계방식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리고 하향식 연계방식에는 Tyler의 합리적 교육과정 개발 모형, 상향식 연계방식에는 특정한 모형보다는 생활주제중심교육, 병렬식 연계방식에는 Taba의 단원개발 모형이 배경 또는 근거가 되는 모형으로 적합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후 유아교육 현장에 권장하거나 추후 개발될 새 유아교육과정에 적용할 지침들을 탐색적으로 추출하였다. 본 연구는 후속적으로 이루어질 현장교사의 연계방안 실제 적용 및 검증 사례연구 등 실증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서의 의미가 있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ways of linking the topics of the Nuri-Curriculum and the teachers’ guidebooks which have been pointed out to have separate aspects in terms of the document system and application. First, we investigated the structure of Nuri-Curriculum and life theme. Afterwards, we researched which one to put emphasis on between the Nuri-Curriculum and life theme, and ways to link them with each other. For the linkage plan, two kinds seemed possible: the top-down linkage method that puts Nuri-Curriculum on top and life theme at the bottom before linking them to each other, or the bottom-up linkage method that puts life theme at the center then links the Nuri-Curriculum. Lastly, it was concluded that it would be possible to use a parallel linkage method of linking Nuri-Curriculum and life theme by seeing it as a left-and-right problem rather than an up-and-down problem.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yler’s rational curriculum development model for the top-down linkage method, current life theme-oriented education rather than specific model for the bottom-up linkage method, and Taba’s unit development model for that parallel linking method were models that were suitable as the background or basis. Each background model was then directly applied to the Nuri-Curriculum and the life theme. In this process, the guidelines to be applied to the new curriculums to be developed or recommended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were explored. In this study, the method of linking the Nuri-Curriculum and life theme was logically approach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ories. This is meaningful as a basic data for empirical studies in the future for the practical application and verification of linkage methods and case studies for field teachers.

      • KCI등재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5개 영역 및 교사용 지도서 생활주제 간의 관계성에 대한 연구

        이재창(Lee Jae Chang),홍후조(Hong Hoo Jo),김기은(Kim Ki 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생활주제 중심 교육이 누리과정에서 제시하는 5개 영역과 어떠한 관계에 있는지 점검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생활주제나 5개 영역 모두 통합교육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단순히 생활주제 명칭과 5개 영역 명칭 간의 임의적인 연결로는 관련성을 타당성 있게 밝혀낼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본 연구진은 문헌연구(내용분석)과 2015년 5월부터 2016년 2월까지 교사용 지도서의 생활주제에 속한 각각의 ‘활동’들이 5개 영역 중 어떠한 영역과 가장 관련성이 높은지를 빈도분석을 통해 파악하였다. 이는 생활주제에서 편중되게 다뤄지는 영역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함이었다. 분석 결과, 생활주제와 누리과정 각론 내용체계, 연령별 생활주제의 영역 관련 활동 과 누리과정 각론의 세부 내용 모두 관련이 없거나 미약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를 통해 5개 영역과 생활주제는 관련이 없으며 이를 조사하기 위하여 분석단위로 활용한 관련 영역 활동 의 편중 정도 역시 누리과정 각론에서 비롯된 것이 아님이 밝혀졌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누리과정 5개 영역과 생활주제의 활용적인 측면에서의 관련성을 조사하는 질적 연구를 통한 후속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고 둘째, 생활주제와 5개 영역 간의 관계에 대한 보다 다양한 후속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언을 하였다. 끝으로, 교사용 지도서뿐만 아니라 누리과정 각론에서의 영역 간 내용체계 편중 현상도 바로잡을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5 categories of national Nuri-Curriculum and Daily theme-based teaching methodology from Nuri-Curriculum teather s guidebooks. The curriculum is processed under integrated education. Therefore it is hardly compare to match between two elements by titles and also it is not distinguishable validity exist on two items. Research team analyzed class activities of 32 Daily theme-based Nuri-Curriculum in teachers guidebooks from May 2015 to February 2016. The research focused on which categories are closely related with each class activities in order to examine the balance of 5 categories in Daily theme. The research performed with literature review methods and frequency analytical methods. The study found daily themes, subjects and activities from the Nuri-Curriculum teachers guidebooks have not been developed under Nuri-Curriculum general guidance nor object, category and content of particular guidance. Therefore the study confirmed that 5 categories are not related with daily theme. And class activity which used item to compare the relationship between 5 categories and daily theme, is also not following the Nuri-curriculum general guidance nor particular guidance. Thereby, the study suggest that first, additional qualitative research which investigates relationship between 5 categories and Daily theme on practical level is needed. The second, additional research which investigates relationship between 5 categories and Daily theme by various curriculum development theories is needed. The third,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the daily theme under national Nuri-Curriculum guidance.

      • KCI등재

        도덕과 교과서 시범 단원 분석 연구

        최혜미(Choi Hyemi),홍후조(Hong Hoo-Jo),임재일(Lim Jaeill),이재창(Lee Jaechang),한진호(Han Jinho),백경선(Baek, Kyeong-s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 5학년 도덕과 ‘핵심성취기준 중심의 교과서 시범 단원’을 2015개정 교육과정의 맥락에서 논의되는 ‘참고서가 필요 없는 학습 완결형 교과서’와 ‘핵심성취기준에 따른 내용 적정화 교과서’라는 관점에서 분석 논의한 것이다. 나아가 시범 단원 교과서가 도덕과 본래의 역할과 기능에 적합한지 검토하여,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도덕 교과서 개발에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시범 단원은 교과서 본문, 참고서, 문제집 기능이 갖추어진 학습 완결 형 교과서로 평가되었으나, 교사가 자율성을 발휘하기 어렵고 학생의 상호작용이 담 긴 활동이 부족하다고 지적되었다. 한편 핵심성취기준은 ‘단원’ 수준에서 모두 포함 되었고 심동적 영역의 비중이 인지적·정의적 영역보다 상대적으로 높았지만, 각 ‘장’ 수준에서는 일부 핵심성취기준이 분명하게 드러나지 않거나 편중되어 있어 이를 교정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도덕과는 학습자의 실천역량 강화가 중요한 교과이므로 체계적인 내 용 전개와 실천역량 함양을 위한 핵심성취기준 중심의 학습 완결형 교과서 형태로 구성될 필요가 있다. 모든 교과에 동일한 교육과정 총론 기준을 적용하기보다 교과 맞춤형 기준을 제시해야 바람직한 교과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emonstration unit ‘core achievement standard-based ethics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 5th grade within the framework of ‘the textbook completion learning system without requiring supplementary materials’ and ‘textbook reductioning of educational content by core achievement standards’ reviewed in a context of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urther, we tried to get implications about appropriate of ethics textbook development by looking over whether or not the demonstration unit is suitable for original role and function of ethic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demonstration unit was evaluated to expanded completion textbook equipped the function of text of textbook, reference book, workbook, but pointed out to insufficiency of educational interaction between the teacher and students, students and students. Second, though including ‘core achievement standards’ and being of great importance to psychomotor domain than cognitive domain and affective domain relatively in unit, some core achievement standards which are invisible in each chapter or focus on certain chapter should be modified. In conclusion, ethics should construct by core achievement standards-centric expended textbook for systematic developing content and cultivation of practical competency. It will be desirable textbook by suggesting customized standard according to nature of subject than applying general curriculum standard to all subject.

      • KCI등재

        자유학기제 연구학교의 교육과정 특성 분석: 2013 자유학기제 연구학교 보고서 분석을 중심으로

        김미진 ( Mi Jin Kim ),이재창 ( Hoo Jo Hong ),임재일 ( Jae Chang Lee ),홍후조 ( Jae Ill Lim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4 교육과정연구 Vol.32 No.2

        본 연구는 2013년 1학년 2학기에 전국 42개의 연구학교들이 자유학기제를 시범 적용을 한 후 제출한 보고서를 바탕으로 그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공통과정에서 필수교과의 시수를 전체 시수의 64.4%로 대폭 감축하였고 자율과정의 시수를 증배하였다. 특히 창의적 체험활동에 해당하는 시수를 대폭 증배하여 자율과정을 운영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유학기제의 운영 모형을 중점 활동별 운영 모형과 교육과정 연계에 따른 운영 모형들 중 어떤 것을 채택하였는지, 그리고 핵심 특성인 자율과정을 학교별로 어떻게 구성하였는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중점 활동별 운영 모형은 예술·체육 중점 모형이 가장 많았고, 자율과정은 예술·체육 활동의 시간 비중이 가장 컸으며, 진로탐색 활동, 동아리활동, 학생 선택프로그램 순으로 적었다. 교육과정 연계에 따른 운영 모형은 학교의 정규 교육과정만으로 운영한 학교는 42.9%, 방과후학교와 연계하여 운영한 학교는 47.6%, 토요 프로그램과 연계한 학교는 2.4%, 방과후학교와 토요 프로그램 모두와 연계한 학교가 7.1%로 나타났다. 대다수 학교들이 예술 체육 수업을 확대 강화하는 선에 그치고 있으나, 자유학기제는 중학교 교육을 획기적으로 바꿀 수 있는 여지가 있었다.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자유학기제 실시에 있어 학생의 선택권 확대, 학교중심 교육과정의 재구성, 공통과정과 자율과정의 연계, 준고교(junior high school)가 아니라 본래의 중학교(middle school)로서 정체성 회복 등을 논하였다. Reports after the execution of a Free Learning Semester(FLS) in 42 pilot schools were analyzed, focusing on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school curricula. The results showed that time devoted to basic subjects from common courses decreased and that time for optional courses had increased. In this paper, the optional course from each school was examined to determine which activities the schools stressed and if the schools had tried to connect between their FLS and after school or Saturday programs. Time spent on common courses was reduced to 64.4%, and that spent on optional courses was weighed in favor of arts/sports, career exploration, club activities, and the optional program, in that order. In addition, 42.9% of schools operated the FLS only within the school curriculum; 47.6% of schools operated it linked with an after school program; 2.4% of schools operated it connected with a Saturday program; and 7.1% of schools operated it connected with both. Our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needs should be assessed and their choices should be expanded when the curriculum is developed; second, school-based curriculum development should be encouraged and carried out; third, connections within and without the FLS should be considered; last, the educational identity of middle schools should be settled by executing a FLS in an appropriate way.

      • KCI등재

        자유학기제 연구학교의 수업과 교육활동의 특징 분석

        이재창,홍후조,김미진,임재일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4 교과교육학연구 Vol.18 No.4

        본 연구에서는 2013년도에 실시한 자유학기제 연구학교 42개교의 운영 보고서를 분석함으로써 시험이 없는 교육의양상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자유학기제는 첫째, 공통과정 기본교과 수업방식의 대부분이 학생주도적인 활동으로이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진로탐색 활동이 다양화되고 심화되었다. 셋째, 자율과정은 주입식 교육에서 벗어나 다양한 활동을 제공하고 있었다. 넷째, 학교는 지역사회와의 인적․물적 자원과 연계 지도 인프라 구축을 통해 연계 지도를 하고 있었다. 반면, 자유학기제의 여러 가지 문제점도 발견할 수 있었다. 우선, 자유학기제의 차별화된 교육활동은 중학교 1학년내, 그리고 학년 간의 교육계획에 있어서 혼란을 야기하고 있었다. 또한, 자유학기제 해당 학생들에게만 편중된 교육을 제공하여 타 학년과의 위화감과 소외감도 조성하고 있었다. 그리고 진로탐색 활동의 경우 지적인 탐색과 진로 검사와상담 ,체험을 통한 체득 등 탐색하고 체득하는 활동에만 편중되어 있었다. 끝으로, 자율과정의선택 프로그램 활동, 동아리 활동등 다양한 범주들이 중복되고 비체계적이라는 문제가 발견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해결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첫째, 교육과정 계획 단계부터 운영에 이르기까지 교사들이 공동으로 연구하여 자유학기제를 운영하는 학기와 일반 학기의 격차를 줄여야 한다. 둘째, 자유학기제 시행으로 인한 긍정적인 효과들을 타 학년에도적용할 필요가 있다. 셋째, 진로윤리교육의 확대를 통해 균형 잡힌 진로탐색 활동 전개를 주문하였다. 넷째, 자율과정 중 성격과 내용 면에서 서로 중복된 범주들을 체계적으로 정비하여야 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였다 This research analyzed the reports on Free Semester System of 42 pilot schools, which do not have any assessment, in order to inspect the new ways of instructions and educational activit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basic subjects instructions on common courses were student-centered activities. Second,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were diversified and enhanced. Third, optional courses provided various activities which fitted students’ interests and needs. Fourth, all of the educational necessities were provided for the pilot schools by the local community. However, Free Semester System’s new curriculum causes some confusion in the operation of educational plans, not only for first grade students but also second and third grade students. nbalanced new educational experiences among Free Semester System students and other grade students cause a sense of incongruity and alienation. In addition,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put too much emphasis on intellectual exploration, career-test and career-counselling, and career related experience. Finally, optional courses programs were often redundant and required organization. uggestions to solve these problems are as follows; First, School staffs should build the school curriculum together from planning to management in order to decrease the gap between Free Semester System and general semester system. Second, the positive effect of Free Semester System should be applied to other grades to solve the sense of incongruity and to increase the quality of education. Third,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need to be balanced by increasing the learning of vocational ethics. Fourth, optional courses have to be re-arranged to be more systematic. If additional research is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suggestions made by this research, Free Semester System will regain the authentic educational role of middle school, which is different from that of junior high school, and will play a role as the bridge of lementary school’s basic education and high school’s career-based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