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망 분리기반의 정보보호에 대한 고찰

        이은배(Eunbae Lee),김기영(Kiyoung Kim) 한국정보보호학회 2010 情報保護學會誌 Vol.20 No.1

        정보 통신의 발전으로 인하여 모든 장소에서 인터넷, 인트라넷을 적용하여 외부와의 업무 연속성을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환경은 계속적인 기업 내의 정보 유출에 대한 위험으로 내부 정보보호를 위해업무 영역과 개인 영역으로 구분된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이를 위한 망 분리는 IT기술의 발전으로 물리적인 망 분리에서 가상화를 접목한 논리적 망 분리가 제시되고 있다. 업무 환경의 보호를 위한 망 분리에 대한 다양한 방안과 그 에 대한 장단점을 소개하도록 한다.

      • KCI등재

        체제적 학교혁신을 위한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이은배 ( Eunbae Lee ),강지혜 ( Jihye Kang ),이지연 ( Ji-yeon Lee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9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5 No.2

        본 연구는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관계자들의 인식과 요구를 토대로 체제적 학교혁신의 주요 영역을 구체화하고, 단위학교별 학교혁신 현황 및 과제를 진단할 수 있는 측정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미래교육 및 학교혁신과 관련된 문헌분석,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방문조사 및 교사간담회, 혁신미래교육과 관련된 국내·외 전문가 초청 간담회 등을 통해 학교관계자의 요구와 단위학교의 현실적 맥락을 고려하여 진단도구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진단도구는 거버넌스, 조직운영, 교육과정 및 평가, 교원전문성, 교육공간 및 테크놀로지, 학생자치, 외부환경의 7대 혁신 영역과 31개의 영역별 과제들로 구성되었으며, 인천광역시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1,317명의 관리자 및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진단도구로서의 신뢰도와 타당성은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진단도구는 일반학교와 혁신학교에서 모두 적용가능하며, 혁신의 주체인 단위학교 관계자의 인식에 기초하여 체제적이고 미래지향적 학교혁신을 위한 발전방향 및 운영과제 설정을 지원하기 위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 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n instrument to assess the current state and identify critical areas of school innovation that represent the needs of faculty and to drive systemic change. Through literature review, field visits, one-on-one in-depth interviews an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the teachers, principals, and superintendents; expert consultations; and discussions among the researchers, we identified seven domains (school governance, organizational management, curriculum and assessment, professional development, learning space and technology, student autonomy, and community relations) and 31 corresponding items. We administered the survey to 1317 school personnel (from both traditional and innovative pilot schools) and verifi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instrument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with the second-order model.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instrument can serve as an alternative to assess the state of innovation for both traditional and innovative pilot schools of all grades. Perceptions and opinions of school personnel, who are expected to play a leading role from the needs assessment stage, can be revealed through the instrument. To cultivate systemic change in schools, it is imperative to identify needs in all seven domains, including learning space and technology, which have been previously neglected. The study concludes with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for using the instrument for systemic school innovation and future schools.

      • KCI우수등재

        University Instructors Beliefs and Practices Toward Student-Centered Learning : 대학 교수자의 학습자 중심 수업 관련 신념과 실천

        이은배(Lee, Eunbae) 한국교육학회 2021 敎育學硏究 Vol.59 No.7

        본 연구는 학습자중심 수업에 대한 대학 교수자가 말하는 교수 신념과 행위를 탐색한다. 다양한 분야의 미국 학부 과정 교수자 네 명과의 심층 인터뷰에 대한 주제 분석을 통해 학부 교수자의 교수자와 학생의 역할에 대한 인식, 학습자중심 학습에 대한 신념과 행위, 학습자중심 수업을 실천을 방해하는 요소들을 조사하였다. 더불어, 인터뷰 참여자를 대상으로 성인학습원리척도를 적용하여 학습자중심 수업에 대한 교수 스타일을 측정하고 명시된 신념 및 실천과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학습자 중심 학습에 관한 진술된 신념, 이해 및 실천의 불일치, 학습자중심 수업을 방해하는 요소를 발견하였다. 교수자들은 학생들이 자신의 학습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한다고 믿었고 학생들의 개인적인 관심과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선택권을 제공하였다. 또한, 편안하고 협력적인 학습 커뮤니티를 만들기 위해 노력했다. 그러나 그들은 학습 과정과 평가에 학생들을 포함시키는 교수 행위는 부족했다. 이 밖에도 초심자와 경력자의 차이가 발견되었다. 연구 결과는 학부 수업이 교수자중심에서 학습자중심으로 전환되는 데 있어 필요한 기초 자료로 이용될 것이라 기대되어진다. This study explores undergraduate course instructors’ stated beliefs and practices toward student-centered learning. In-depth interviews with four undergraduate course instructors in a variety of disciplines in the United States revealed their beliefs about the roles of instructors’ and students’ as well as student-centered learning. Also, the instructors’ teaching styles are measured and compared with their stated beliefs and practices. Through thematic analysis and deductive and inductive coding, this study identified incongruity in stated beliefs, understanding, and practices of student-centered learning and the reasons impeding SCL. Instructors believed that students should be responsible for their own learning and they practiced to provide choices to address diverse students interests and needs. They made an effort to create a supportive and collaborative learning communities. However, they lacked in including students in the learning process and assessments. In addition, the differences between novice and expert instructors are highlighted. Findings from the study should inform the movement of shifting undergraduate classrooms from teacher-centered to student-centered.

      • KCI등재

        박물관 디지털학습 설계를 위한 게이미피케이션 교수설계 모형 개발 연구

        이은배 ( Eunbae Lee ),최서연 ( Seoyeon Choi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20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6 No.1

        박물관 교육에서 관람객의 개별화된 수요에 맞춘 스마트 기술을 활용하는 디지털 학습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가 중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박물관 교육자들이 디지털 학습을 설계해야 하는 필요성이 높아지는 반면, 비교수설계자가 쉽고 재미있게 체계적으로 박물관 디지털 학습을 설계할 수 있는 모형이 부재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박물관 교육자들이 디지털 학습을 설계하는 데 유용한 설계모형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주의, 맥락적 학습모형, 자기결정성이론, 게이미피케이션, 체제적 교수설계 이론과 연구를 종합하여 설계 원리와 모형, 도구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모형은 교육자 두 명이 설계자와 학습자의 역할로 보드게임을 하며 Define-Decide-Design 3단계에서 상호작용을 반복하며 디지털학습 프로그램을 설계한다. 박물관 교육자를 대상으로 4점 리커트 척도를 이용하여 설계 모형과 도구에 대한 사용성 평가를 실시한 결과, 타당성(M=3.42, SD=.67), 유용성(M=3.75, SD=.45), 보편성(M=3.33, SD=.49), 용이성(M=3.33, SD=.49) 측면에서 모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본 연구는 첫째, 박물관 디지털 학습 설계를 위해 정의하기, 선택하기, 설계하기의 과정을 거치면서 설계자와 학습자가 반복적으로 상호작용하며 수정해 나가는 과정이 중요하다는 점, 둘째, 게이미피케이션을 교수설계과정에 적용함으로써 게이미피케이션의 확장성을 보여주었다는 점, 셋째, 박물관 교육에서 디지털 기술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이해가 주요한 역량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museum to expand digital education that integrates smart technologies to meet the individualized needs of visitors. As a result, museum educators are expected to design digital learning programs, while they may lack knowledge and experience in instructional design and digital technologi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systemic design model for museum digital learning. Drawing from gamification, constructivism, constructionism, contextual learning model,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systemic instructional design models and prior research, this study suggest ten design guidelines. We applied gamification to the instructional design process to enhance access and motivation and provided premade digital learning activities per competency and theme. In this model, two museum educators play roles of an instructional designer and a learner and repeat the interaction of diverging ideas, providing feedback, and making decisions through the stages of Define-Decide-Design. The result of usability testing using a four-point Likert scale indicates that validity (M = 3.42, SD = .67) and usefulness (M = 3.75, SD =. 45), universality (M = 3.33, SD = .49) and ease of use (M = 3.33, SD = .49) were all positive. This study poses three significances. First, it is important to interact between the designer and the learner and repeatedly modify instructional decisions through the process of defining, deciding, and designing. Second, applying a gamification model shows a great potential to instructional design. Third, the understanding of digital technology and its application to education is a prerequisite for those who design museum digital learning.

      • 분산환경에서의 비즈니스 정보 시스템 아키텍처 분류

        이혜선(HyeSeon Lee),이은배(Eunbae Lee),고현희(HyonHee Koh),박재년(JaeNyon Park) 한국정보과학회 2004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1B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는 소프트웨어 시스템 구축시 설계단계의 첫번째 부분으로 소프트웨어 개발시 중요시되고 있다. 아키텍처 설계시는 비즈니스 목표나 품질요구사항, 도메인의 특징과 개발 환경등 여러가지 사항을 고려해야하고 설계된 아키텍처를 검증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성숙한 아키텍트가 아닌 경우 개발하고자 하는 시스템의 아키텍처 설계나 검증이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비즈니스 정보시스템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아키텍처를 도출, 분류해보고, 품질 속성 만족 여부를 분석함으로써 비즈니스 정보 시스템 구축시 아키텍트들에게 아키텍처 참조 모델을 제공하고자 한다.

      • KCI등재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교사가 인식한 학교혁신 현황 및 과제: 중요도-수행도 차이분석을 중심으로

        이지연 ( Ji-yeon Lee ),권나영 ( Na Young Kwon ),강지혜 ( Jihye Kang ),오정현 ( Jeonghyeon Oh ),이은배 ( Eunbae Lee ) 한국교육공학회 2019 교육공학연구 Vol.35 No.S

        본 연구는 미래사회에 대비하기 위한 학교혁신의 구체적인 내용과 전략을 설정하기에 앞서 지금까지 혁신학교를 중심으로 이루어져온 공교육 혁신의 현황과 과제, 일반학교로의 확산을 위한 시사점을 살펴보기 위해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교사의 학교혁신에 관한 인식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인천광역시교육청 관내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 1,35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중요도-수행도 분석기법(IPA)을 적용하여 설문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운영, 교원전문성, 교육과정 및 평가, 학교문화, 공간 및 테크놀로지의 5대 학교혁신 영역별로 비교해보았을 때, 전반적으로 일반학교보다 혁신학교에서 학교혁신의 중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혁신과제들을 활발하게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간 차이가 가장 두드러진 영역은 학교운영과 학교문화로 나타났다. 셋째,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의 모든 학교급에서 행정적 지원과 교사협의를 위한 시·공간적 여건 조성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으며, 집단 연수, 수업공개 및 협의와 연구결과 및 실천 활동 공유에 대한 인식은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넷째,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모두 교육과정 및 평가 영역의 중요도와 수행도가 다른 영역에 비해 높게 조사되었으며, 이러한 경향은 일반학교에서 더욱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공간 및 테크놀로지 영역에서는 서로 다른 수업규모로 진행되는 다양한 학습활동을 수용할 수 있는 유연하고 가변적인 공간이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의 모든 학교급에서 공통적으로 중요한 학교혁신요소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미래 교육혁신의 방향을 설정하고 학교급과 유형에 따라 차별화된 추진전략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investigates current status and issues of the Korean public school system to determine the goal and strategies for school innovation in preparation for rapidly changing future. We compared 1350 innovative pilot school and regular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n five areas(governance, professional development, curriculum and assessment, school culture, and space/technology) using an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method.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from innovative pilot schools reported higher importance-performance perceptions in all areas of innovation than regular schools teachers. Second, pilot school teachers perceived their school governance and culture as high importance-performance, while regular school teachers perceived them high importance but low performance; thus priorities should be placed on creating democratic organizational systems and participatory culture. Third, all teachers perceived facilitating time and space for voluntary collaboration was more necessary than compulsory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classroom observation. Fourth, curriculum and assessment appeared to be perceived high importance-performance, particularly more in regular schools. Finally, adjustable classrooms conducive to accommodating a variety of activities and capacities are desired by all school types and grades. This study concludes with implications for providing directions and guidance for public school innovation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한미 대학생 소비자의 충동구매성향 비교연구 : 자기조절학습과 자기조절소비를 중심으로

        황진주(Jinjoo Hwang),이은배(Eunbae Lee) 한국IT서비스학회 2019 한국IT서비스학회지 Vol.18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impulsive purchasing tendency of Korean and U.S. college students. In particular, the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elf-regulated learning and self-regulated consumption on college students impulsive buying tendency. A total of 680 valid samples were obtained from online self-reported surveys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Both self-regulated learning and self-regulated consumption (self-control and self-supervision) were higher in US college students than Korean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did not influence impulsive purchasing tendency. However, the impulsive purchasing tendency increased as the level of self-supervision among self-regulated consumption decreased. When purchases were made in stores, impulsive purchasing tendency increased in both South Korea and the U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decrease the impulsive purchasing tendency by fostering self-regulated consumption capacity of college students through consumer education.

      • KCI등재

        학교혁신 영역별 변화에 대한 혁신학교 및 일반학교의 초·중·고등학교 교사와 관리자의 요구 분석: 인천광역시 사례를 중심으로

        강지혜 ( Jihye Kang ),이지연 ( Ji-yeon Lee ),이은배 ( Eunbae Lee ) 한국교육공학회 2020 교육공학연구 Vol.3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 부장, 관리자를 아우르는 학교 관계자가 학교혁신을 실천하기 위한 변화를 요구하는 영역을 학교 유형, 직급, 학교급에 따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8년 가을 인천시교육청 관내 일반학교 및 혁신학교 교사, 부장교사, 관리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내용 중 주관식 문항에 응답한 429명의 의견(1,256개)을 연구자 3인이 4차례 교차분석을 실시하여 9개 학교 혁신영역과 38개 세부항목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와 시사점을 선행연구와 비교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학교혁신을 실천하기 위하여 변화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영역은 학교운영, 학교문화, 교원전문성, 교육과정, 수업, 평가, 테크놀로지, 공간재설계, 정책의 9대 영역으로 조사되었으며, 가장 변화가 필요한 혁신영역은 학교운영(24.28%), 교원전문성(17.28%), 공간재설계(16.40%), 학교문화(15.05%), 교육과정(9.55%), 정책(7.56%), 평가(4.54%), 수업(3.03%), 테크놀로지(2.31%) 순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교사들이 변화가 필요하다고 인식한 학교 혁신영역의 세부항목은 학교유형별, 학교급, 직급별로 교육목표에 따라 차이가 나타남을 카이검정을 통해 밝혀냈다(p<.01, p<.001). 일반학교에서는 학교업무정상화, 혁신학교에서는 공간재설계에 대한 요구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교의 경우에는 교육청 또는 국가차원의 제도적 지원의 필요성에 대한 요구가 있는 반면, 고등학교의 경우에는 교수학습 방법 및 전략이나 입시제도에 대한 요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급에 따라서는 교사, 부장, 관리자 직급별로 가장 변화가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영역이 모두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는 학교업무 정상화가, 부장은 노후 시설 개선 및 공간 확충이, 관리자는 평가패러다임에서 변화가 가장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결과에 따라 학교유형, 학교급, 직급별에 따라 차별화된 전략과 지원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While South Korea strives toward school innovation in the past decade, teachers’ and administrators’ collective voice on what areas of school require further change was rarely heard. This study aims to shed light on the needs for change for school innovation. Research methods include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and the constant comparison method among three researchers on 1258 responses on open-ended questions in an online survey from 429 teachers and administrators. Responses were categorized into nine areas and 38 specific needs, including school governance (24.28%), professional development(17.28%), space reconfiguration(16.40%), school culture(15.05%), curriculum(9.55%), education policy(7.56%), assessment(4.54%), and instruction(3.03%), technology (2.31%). Further analysis included the chi square test to compare results among school types, school level, and personnel ranks. The highest demands were the focus on teaching and learning in traditional schools and space redesign in innovative schools. Middle school demanded institutional support from the government, whereas high school requested changes i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college entrance systems. By ranks, teachers expressed the need for undivided focus on teaching, supervisors for improved facilities and space, and administrators for the change in the assessment paradigm. This study can help establish school innovation goals and distribute resources to make focused and immediate impact in the needful directions.

      • KCI등재

        인공지능의 교육적 활용을 위한 윤리 지침 개발

        박연정 ( Yeonjeong Park ),정종원 ( Jongwon Jung ),노석준 ( Seak-zoon Roh ),이은배 ( Eunbae Lee ) 한국교육공학회 2023 교육공학연구 Vol.39 No.0

        Within the domain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and its potential contributions to humanity, concurrent concerns and uncertainties about AI or AI-enabled robots are evident. This research identified a crucial gap, specifically the lack of comprehensive exploration into ethical considerations and the absence of precise guidelines for AI application within educational contexts.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bridge this void by devising ethical guidelines tailored for pivotal educational stakeholders. They include program designers and developers, researchers, instructors, and learners actively engaged in integrating AI for educational purposes. To accomplish this objective, ethical considerations for AI application in education were derived through an analysis of prior research on established AI ethics, organizing specific definitions. An initial draft of ethical guidelines, customized for relevant stakeholders in the educational sphere, was developed. The validation involved a two-step Delphi survey encompassing four distinct groups. This iterative survey effectively eliminated redundancies in ethical considerations and refined them to align with the perspectives of pertinent practitioners, interpreting specific ethical considerations. The study culminated in the identification of six overarching areas ―transparency, justice and fairness, nonmaleficence, responsibility, freedom and autonomy, and coexistence―along with 28 components (e.g., transparency, fairness, safety, privacy, sustainability, solidarity, etc.) comprising the ethical guidelines for the educational use of AI. The proposed guidelines furnish a comprehensive framework for ethical practices in the integration of AI into educational sett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