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마트 파렛트 기반 부품공급시스템의 운영 효율성 증대를 위한 PDA 시스템

        이영두,구인수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10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10 No.4

        모듈화된 부품을 이용하여 완성된 제품을 만드는 제품완성업체는 효율적인 부품공급시스템을 통해 부품공급업체로부터 적시에 조립라인에 부품을 공급받기를 원하며 이종부품에 대한 결품이 발생하지 않기를 기대한다. 스마트 파렛트 기반 부품공급시스템은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수작업에 의한 과다한 이종부품확인 시간을 소비하는 기존의 바코드 기반 방식의 단점과 RFID 기반 방식이 가진 전송거리 제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안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파렛트 기반 부품공급시스템이 가진 제한된 전력 문제를 보완하고 운영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PDA 시스템을 제안하고 실제 구현하였다. Products companies, which manufactures finished goods with modular parts, will expect that the proper parts should be delivered to assembly line not only just in time (JIT) but also just in sequence (JIS) and also expect that faulty goods will not be produced due to the delivery of wrong parts. In order to satisfy the above requirements, recently Smart Pallet based Parts Delivery system (SPPD) was proposed. SPPD system can overcome the drawback of bar code based part delivery system in which much time for checking proper and in sequence parts is wasted due to labors' working in hand as well as the drawback of RFID based part delivery system in which recognition distance of RFID is very limited. In the paper, a PDA system is proposed and further implemented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SPPD's operation as well as to manage the limited power of smart pallets efficiently.

      • KCI등재후보

        위 종양의 내시경적 점막절제술 후 출혈의 위험인자

        이영두,서향은,전성우,이명권,이동석,권기태,조창민,탁원영,권영오,김성국,최용환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5 Clinical Endoscopy Vol.30 No.6

        Background/Aims: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EMR) has been widely used for treatment of gastric mucosal tumors because of its relative safety and minimal invasiveness. However, the bleeding after EMR has been regarded as a major complication. Herein, we assessed the bleeding rates and risk factors related to bleeding after EMR.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medical records of two hundred and fortynine patients with 283 lesions who underwent EMR for flat adenoma (78.8%), hyperplastic polyp (4.9%), and early gastric cancer (16.3%) from January 1999 to August 2003. Bleeding during EMR was defined as an immediate bleeding while bleeding on follow-up day endoscopy after EMR was considered as an delayed bleeding We evaluated risk factors related to bleeding using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is. Results: Bleeding after EMR occurred in 99 patients (35%). Immediate bleeding occurred in 31.8% and was more frequent in the case of beginners, upper part of the stomach or EMR prcedures using needle knife. Delayed bleeding occurred in 7.1% and was more frequent in the case of flat or depressed lesions, or occurrence after the incidence of immediate bleeding. Risk factors related to EMR bleeding were experience of operator (beginner vs. expert, p= 0.001), anatomical location (upper vs. lower, p=0.018), and methods of procedure (needle-knife vs. snare or band, p=0.001). Conclusions: We concluded that experience of operator, anatomical location, and method of procedure were the risk factors related to bleeding after EMR. 목적: 내시경적 점막절제술은 비교적 안전하고 비침습적인 시술로서 위점막종양의 진단 및 치료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치료의 적응증이 확대됨에 따라 시술 후 합병증도 증가할 수 있다. 저자들은 점막절제술의 가장 흔한 합병증인 출혈의 빈도와 출혈과 관련된 위험인자를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원에서 내시경적 점막절제술을 시행받은 249명 환자의 283개 병변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병변은 편평선종이 78.8%, 과형성용종 4.9%, 조기위암 16.3%였다. 출혈군과 비출혈군간의 출혈 위험인자분석과 더불어 시술 중 생긴 출혈을 조기출혈, 시술 다음날 시행한 추적내시경 검사상의 출혈을 지연출혈로 정의하여 빈도 및 위험인자를 단변량 및 다변량 분석하였다. 결과: 출혈의 빈도는 99예로 35%였으며, 조기출혈이 31.8%, 지연출혈이 7.1%였다. 출혈의 위험인자는 초심자(p<0.001), 상부위(p=0.019), needle-knife를 사용한 경우(p<0.001)였고 조기출혈의 위험인자 역시 초심자(p<0.001), 상부위(p=0.011), needle-knife를 사용한 경우(p<0.001)였다. 지연출혈의 경우 육안적 소견이 편평하거나 함몰된 경우(p=0.010)와 조기출혈이 있었던 경우(p=0.023)였다. 다변량 분석을 통한 출혈의 위험인자는 초심자(p=0.001), 상부위(p=0.018), needle-knife를 사용한 경우(p=0.001)였다. 결론: 내시경적 점막절제술에 있어 출혈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시술자의 경험이 중요하며 병변의 위치, 시술방법에 유의하여 시술하여야 하겠다.

      • KCI등재

        블루투스 스마트 기반의 내비게이팅 시스템

        이영두,잔 사나 울라,구인수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17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17 No.1

        블루투스 스마트로 알려진 Bluetooth Low Energy(BLE)는 초저전력으로 동작하도록 설계되어 BLE 기반 디 바이스들은 그 구성에 따라 하나의 코인셀(coin cell)로 몇 년간 동작이 가능하다. 또한 BLE는 수신신호세기 정보를 기반으로 두 BLE 디바이스 사이의 근사적 거리를 추정 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하여 실내 또는 실외의 근거리 영역에서 GPS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정밀도의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BLE를 이용한 실 제 내비게이션 테스트 베드를 구성하고 실외 근거리 영역에서의 동작을 검증한다. 검증 실험에서 BLE 기반의 비콘들 은 고정된 위치에 설치되어 주기적으로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UUID) 전송하며,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는 이 를 수신하여 거리값을 추출하고 UUID를 셀룰러 또는 와이파이 망을 통해 데이터베이스로 전송한다. 데이터베이스는 해당 UUID에 바인딩된(binding) 관련 정보를 사용자 디바이스에 피드백하고, 이를 수신한 사용자 디바이스는 추출된 거리값과 함께 주변 정보 및 지도상에서 사용자 위치를 더욱 정밀하게 표시하는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논 문을 통하여 BLE 기반의 내비게이팅 응용이 실현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이러한 시스템이 실내 내비 게이션으로도 충분히 구현될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Bluetooth Low Energy (BLE), also known as Bluetooth Smart, has ultra-low power consumption; in fact, BLE-enabled devices can run on a single coin cell battery for several years. In addition, BLE can estimate the approximate distance between two devices using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RSSI) feature, enabling relatively precise navigation in indoor and small outdoor areas where GPS is not an option. In this paper, an experimental setup is presented in which BLE is used for navigation within a small outdoor area. BLE-based beacons are installed in fixed positions, which periodically transmit a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UUID). A smart device receives the UUID and sends it to a database server using cellular or Wi-Fi technology. The server returns fixed posi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UUID codes, and the smart device uses that information to compute its current position based on relative signal strengths, and display it on a map. These results demonstrate the successful application of BLE technology for navigation in small outdoor areas. This system can be implemented for indoor navigation as well.

      • KCI등재

        중학교 기술·가정 주생활영역 활동자료에 대한 교사의 인식

        이영두,조재순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08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0 No.3

        Activity materials in textbook could facilitate students' oriented self-help learning.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characteristics of activity materials in the housing area of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and teacher's perception of them.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53 middle school teachers who had ever taught the housing unit in any of 6 textbook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umber of activity materials were differ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s such as type of materials, feature of non sentence materials, and type of activity, depend on authors as well as textbooks. In general, teachers interests in the materials were higher than those of students even the trends of the interests were the same. Adequacy of activity contents and related knowledge of teachers were higher than adequacy of level. Teachers thought time and extra search beyond class were barrier to full the interests of students. Further research is suggested to find out whether higher interests in the materials are related to the higher activating rate of them.

      • KCI등재

        중학교 교사의 기술·가정 주생활영역 활동자료 활용실태

        이영두,조재순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08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0 No.4

        The year of 2007 Reformed Curriculum encourages various activity materials in the textbook facilitate students oriented self-help learning.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how much the activity materials in housing area of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are practiced in the class and why they are used or not use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53 middle school teachers who had ever taught the housing unit in any of 6 textbooks. The analyses indicated that the most frequent teaching methode was lecture based on the textbook and internet data focused on the figures and contents of the individual textbook. The average rate of practicing the activity materials was differ by textbook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s such as type of materials, feature of non sentence materials, and type of activity. The main two reasons to practice the activity materials were it's adequacy to class goals and application to everyday life. Low interests of students and shortage of time were the two main reasons why not used the materials. Textbook writers should consider these reasons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of activity materials practiced in the class by the teachers in order to meet the goals of the reformed as well as current curricul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