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세파클러 375 mg 서방정의 생물학적 동등성

        이신화,윤민혁,최경업,권광일 한국임상약학회 2003 한국임상약학회지 Vol.13 No.1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bioavailability of SR TAB (test drug, cefaclor 375 mg/Tablet) with that of Ceclor SR IAB (reference drug) and to estimate the pharmacokinetic parameters of cefaclor in healthy Korean volunteers. The bioavailability was examined on 24 healthy volunteers who received a single dose (375 mg) of each drug in the fasting state in a randomized balanced 2-way crossover design. After dosing,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for a period of 7 hours. Plasma concentrations of cefaclor were determined using HPLC with UV detection. The pharmacokinetic parameters were calculated with non-compartmental pharmacokinetic analysis. The ANOVA test was utiliz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 log-transformed , log-transformed , and . The ratios of geometric means of between test drug End reference drug were , respectively. The of test drug and reference drug was confidence intervals of mean difference of logarithmic transformed were log0.90-log1.04 and log0.91-log1.13, respectively. It shows that the bioavailability of test drug is equivalent with that of reference drug.

      • KCI등재

        북한인권문제에 대한 국제법적·전략적 접근의 중요성과 도전

        이신화 법무부 2023 統一과 法律 Vol.- No.55

        Efforts to improve North Korean human rights mainly target the nation’s residents, defectors, overseas workers, and prisoners of war (POWs) during the Korean War, and abductees and detainees of both Korean and foreign nationalities. The ‘Arduous March’ in the late 1990s in North Korea stimulated a global interest surge in these issues, fostering UN-led initiatives for international legal solutions. Utilizing international law to address North Korean human rights violations reinforces the universal application of human rights norms, and offers a framework for responding legally to these infringements. Since 2003, annual UN resolutions on North Korean human rights underline the global consensus on the urgency of improvements. Notably, the February 2014 report of the UN Commission of Inquiry (COI) on North Korea delineated the accountability of North Korean leaders, including Kim Jong-un, recommending their referral to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ICC). Despite signifying a shift international perception of North Korean human rights, this referral’s failure due to the veto of China and Russia, both permanent members of the UN Security Council, showcased international law’s limitations. Yet, an international legal approach enables ‘like-minded countries,’ including liberal democratic allies such as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o morally justify their responses to North Korean human rights violations and serves as a deterrent to further transgression. By emphasizing the gravity and urgency of the issue, and the potential for international intervention, this approach significantly contributes to the promotion of universal human rights. From a strategic perspective, the entwined complexities of North Korea’s nuclear and human rights issues often relegate the latter to secondary importance. The Kim Jong-un regime is externally invested in bolstering its nuclear and missile prowess while internally reinforcing its autocracy through population control. This focus has resulted in the majority of resources being allocated to military buildup, thereby exacerbating the hardship of North Korean ordinary people. It is critical to underscore that human rights improvements, while challenging, could also serve as potential opportunities for North Korea. Therefore, for a trustworthy, comprehensive agreement with North Korea to materialize, human rights must transition from a peripheral concern to a ‘mainstreaming’ topic within global and regional security dialogues. This shift necessitates a carefully crafted strategy ground in universal values and norms, coupled with continuous international pressure and collaboration. South Korea must also consistently integrate human rights considerations into its North Korean policy, irrespective of changes in leadership or characteristics of the political regime. In this context, this paper delineates and dissects the primary North Korean human rights issues, underscoring their significance from both international legal and strategic perspectives. Despite the urgency and importance of these human rights issues, the paper discusses the inherent challenges in finding resolutions, and outlines prospective tasks for both South Korea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 addressing this critical problem. 북한인권 개선을 위한 주요 대상은 북한 내 주민들, 탈북자들, 해외노동자들, 그리고 국군포로(POW) 및 전시와 전후 납북·억류자들을 포함한다. 1990년대 말 ‘고난의 행군’ 이후 북한인권 이슈에 대한 세계적인 관심이 늘었고, 이에 따라 유엔이 주도하는 국제법적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노력이 진행되어 왔다. 국제법을 통한 북한인권문제 접근은 인권 규범의 보편적 적용을 재확인하는 중요한 과정이며, 국제 인권법은 인권침해에 대한 법적 대응을 가능하게 한다. 2003년 이래 매년 유엔에서 채택되고 있는 북한인권 결의안은 북한인권 개선의 필요성에 대한 국제적 공감대를 보여주고 있다. 특히, 2014년 2월 유엔 북한인권조사위(COI)의 보고서는 김정은 등 북한 지도자들의 책임규명(accountability)을 명확히 하였고, 이들을 국제형사재판소(ICC)에 회부할 것을 권고하였다. 이는 북한인권문제에 대한 국제사회의 인식변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모멘텀이었지만,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중국과 러시아의 거부권 행사로 ICC 회부가 실패하였다는 점은 국제법의 한계를 보여준다. 그러나, 북한인권문제에 대한 국제법적 접근은 한국과 미국 등 자유 민주주의 동맹국을 포함한 ‘유사입장국들’이 도덕적으로 타당한 대응을 할 수 있게 하며, 북한의 추가적인 인권침해를 제한하는 예방적 효과를 제공한다. 결국, 이러한 방식은 문제의 심각성과 즉각적인 대처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보편적 인권의 확립에 대한 국제 개입 가능성을 제시함으로써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다. 한편, 전략적 시각에서 볼 때, 북한의 핵과 인권문제는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으나, 인권문제는 종종 부차적 이슈로 여겨져 왔다. 김정은 정권은 대외적으로 핵과 미사일 능력을 강화하며, 대내적으로는 주민 통제를 통한 일인 지배를 공고히 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더욱이, 이 정권은 군사력 강화에 자원 대부분을 소비하여, 북한 주민들은 생계 곤란에 시달리고 있다. 인권 개선은 북한 정권에게 도전일 수 있지만, 동시에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북한과의 신뢰할 수 있는, 종합적인 합의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인권문제를 글로벌 및 지역적 안보 논의의 ‘주류화’할 주제로 삼아야 한다. 이를 위해, 보편적 가치와 규범에 기반한 신중한 전략, 그리고 국제사회의 지속적인 압박과 협력이 필요하다. 한편, 한국은 리더십이나 정권교체와 무관하게 일관되고 원칙적인 방식으로 인권문제를 대북정책에 통합해야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고는 북한인권문제의 주요 이슈들을 규명하고 분석하며, 이 이슈들이 국제법적 또는 전략적 관점에서 왜 중요한지를 강조한다. 또한, 북한인권문제의 시급성과 중요성에 비해 해결방안 모색이 어려운 이유, 그리고 이 문제에 대한 한국과 국제사회의 향후 과제를 논의하고자 한다.

      • KCI등재

        유엔 다자주의 틀에서의 강대국 정치: 안보리 결의안과 미-중 안보경쟁

        이신화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18 동서연구 Vol.30 No.1

        The UN Security Council is the only body whose decisions are legally binding on its members. However, the security function of the Security Council was highly limited due to the veto during the Cold War. Although its status and functions have been reevaluated since the end of the Cold War, the United Nations has been constantly raising the question of its effectiveness and relevance, failing to overcome the structural limitations of the international order centered around the great powers and national selfishness among member countries. This study examines the political dynamics of the great powers in the Security Council and evaluates the UN’s ‘security role’ in the realpolitik that continues even in the post-Cold War world. It also analyzes the adoption and rejection of the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s as dependent variables to discuss how the adoption of the resolution has been determined by the ideological confrontation between the US and the USSR, the weakening of ideological factors and the change in the relative power distribution of the great powers. Finally, the study looks into the changes in China's voting behavior, which has historically been a passive stance in the Security Council. The study shows how the US-China competition, which is becoming more visible in various fields, has a correlation with the decrease in the number of resolutions adopted by the Security Council, as well as discusses what strategic implications we can draw from this correlation. 유엔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는 그 결정이 회원국들에 대해 법적 구속력을 갖는 유일 한 기구이다. 그러나 냉전기 유엔은 강대국의 전횡에 휘둘려 그 임무를 제대로 수행 하지 못하였고, 안보리 내 미-소 주도의 거부권 행사로 인해 유엔의 안보기능은 매우 제한적이었다. 냉전 종식 이후 그 위상과 기능이 재평가 되기 시작했지만, 탈냉전기 유엔도 강대국 중심의 국제질서와 회원국들 간 국가이기주의라는 구조적 한계를 극복 하지 못한 채 그 효과성과 적실성 문제가 끊임없이 제기되어 왔다.본 연구는 안보리 에서의 강대국의 정치적 역학관계를 검토함으로써 냉전종식 이후에도 계속되고 있는 현실주의적 힘의 정치 속에서 유엔의 안보역할을 평가하고자 한다. 안보리 결의안 채 택및부결건수의증감을종속변수로상정하고, 냉전기미-소의편가르기식이념대 립과 탈냉전기 이념요소의 약화 및 강대국들의 상대적 힘의 분포 변화 등에 따라 결 의안 채택 여부가 어떻게 결정되어왔는지 조사할 것이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는 역 사적으로 안보리 내에서 소극적인 입장을 견지해온 중국 투표행태의 변화양상을 파악 하고, 다방면에서 더욱 가시화되고 있는 미-중 경쟁 관계가 안보리 결의안 채택 건수 의 감소와 어떤 상관관계가 있으며 향후 어떠한 전략적 함의를 갖는지 논의하고자 한 다.

      • KCI등재후보

        유엔과 보호책임 (Responsibility to Protect)

        이신화 국가안보전략연구원 2010 국가안보와 전략 Vol.10 No.4

        The term “responsibility to protect”, known as R2P or RTP, is a concept that redefined sovereignty as responsibility rather than control or previledge. It emerged as a viable normative framework that combine sovereignty with intervention by adding the concept of responsibility. The shift from the “right to intervene” to R2P has garnered broad support from the states, the United Nations, the academic community and as well as from the civil society. The UN’s dilemmas begs the question of how to incorporate the idea of respecting state sovereignty, necessity of humanitarian intervention, and “responsible”responses to crime against humanity altogether in its mission. This reflects why the “lessons learned from the past” have failed to avoid recurring problems of UN peacekeeping operations, why its authority has been frequently ignored when humanitarian military intervention was initiated mainly by strong powers. Concerning R2P, what is different from humanitarian intervention? What are the legal and moral grounds for R2P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What are the limitations and difficulties when applying the concepts and principles of R2P to the real world situations?To entertain these questions, this paper discusses the origin, concepts,development, and controversies of R2P. Citing the cases of Sudan’s Darfur crisis,Russia’s South Ossetian incursion, and Myanmar cyclone, the paper examines whether a broader scope or concept of R2P is useful and viable. In conclusion, it is noted that the concept and measures of R2P, whether or not it will be an ideal alternative to the current, controversial practice of humanitarian military intervention, should be further elaborated in legal, normative, and operational manners. At this time, it is realistic to restrict R2P’s scope to four crimes, as advocated by the UN Secretary-General and most member states. In a longer term, however,it would be ultimately beneficial to devise effective ways to expand and apply R2P to countering complex emergencies and to promoting the securitization process of humanitarian issues. For this, UN leadership and the political flexibility of member states are required. 보호책임(Responsibility to Protect:R2P)은 인도적 개입에 대한 국제사회의 논란이커지는 가운데, “주권은 책임”이요, “인권은 개별국가의 주권을 넘어설 수 있는 가치”라는 새로운 규범을 지구촌에 정착시키고 전 지구적인 인식변화를 유도하는 “첫걸음”이라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R2P에 대한 개념과 원칙 및 이행방안을 둘러싼 국가별다양한 입장과 국제사회의 찬반론을 고려하여 이를 어떻게 발전시켜야 하는가에 대한진지한 학문적, 정책적 노력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은 반인도적 범죄나 인권유린을 막기 위해 유엔을 중심으로발전한 R2P의 기원과 개념, 전개과정 및 주요 쟁점 등을 살펴보았다. 특히 R2P는 국제사회가 인도적 위기상황에 대응 혹은 개입하는데 있어 어떠한 규범적, 법적 근거를제공하는가? R2P는 기존 인도적 개입이 가진 한계를 극복한 것인가? 유엔이 인정하는 R2P의 범주에 따라 이를 실제상황에 적용할 시 어떠한 한계점이 있는가? 등의 질문에 답하기 위해 수단 다르푸르 인종학살 사례, 러시아의 남오세티아 개입과 전쟁,미얀마 사이클론 시 군사정부의 국제사회 지원거부 등의 사례연구를 통해 R2P가 실제상황에 적용될 시 어떠한 효율성과 한계가 있는지 고찰하였다. 결론적으로 대량학살, 인종청소, 전쟁범죄, 반인도적 범죄 등 4대 범죄에 국한된 협의의 R2P는 수단 다르푸르나 미얀마 사이클론 사태와 같은 상황이 발생했을 시 민간인보호에 한계가 있다. 하지만 R2P의 범주를 넓힐 경우 광의의 R2P 의제들이 주관적이고 모호한 개입을 불러일으킨다는 비판을 받아, 유엔이 합의한 협의의 R2P 개념을 행동으로 옮기기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마저 무산될 수도 있다. 따라서 협의의 R2P를 원칙으로 하되, 특수한 상황이 발생했을 시 R2P 개념의 발전적 적용에 대한 국제사회의 합의를 이끌어낼 수 있는 유엔의 리더십과 회원국들의 정치적 융통성이 수반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