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괭이갈매기의 주야간 행동권 차이에 관한 연구

        이승해,박종현,정인용,유정칠,이후승 한국조류학회II 2023 한국조류학회지 Vol.30 No.2

        In this study, we aim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diurnal and nocturnal habitat use of the Black-tailed Gull (Larus crassirostris), a dominant seabird species on the Korean Peninsula, by tracking its movements using global positioning system devices during the breeding and non-breeding seasons. Specifically, we analyzed the potential differences in diurnal and nocturnal home range by comparing land cover types and overlap rates. The results revealed significant monthly variations in diurnal and nocturnal habitat usage across land cover types from the breeding to wintering seasons. During the breeding months of May and June, the utilization ratio of bare land and grassland was higher at night. In contrast, during the non-breeding (from August 2022 to February 2023), pre-breeding (March 2023 and April 2023), and post-breeding (July 2022) seasons, the utilization of coastal wetlands was higher during the day, whereas the marine areas were used more at night. Furthermor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overlap rates during the chick-rearing period in the breeding season (May 2022 and June 2022) compared to the pre-breeding (March 2023 and April 2023) and post-breeding (July 2022) periods. This suggests that fitness differences in the breeding life-history of the Black-tailed Gull, including egg-laying, incubation, chick-rearing, and fledging, are associated with variations in diurnal and nocturnal primary home ranges. Through this study, for the first time, we confirm that the Black-tailed Gull strategically creates diurnal and nocturnal home range differences to maximize fitness according to the season. This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temporal variability in studies of avian home ranges.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바닷새의 우점종인 괭이갈매기의 주야간 행동권 차이를 알아보고자 번식기와 번식 후 이동을 GPS 장치를 이용하여 추적하였다. 특히 주야간의 행동권 차이를 비교함에 있어 토지 피복유형과 중첩률을 통해 주야간 행동권의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번식기부터 월동기까지 월간 주야간 행동권의 토지 피복유형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번식기인 2022년 5월과 2022년 6월에는 나지와 초지의 이용 비율 야간에 더 높았다. 비번식기(2022년 8월부터 2023년 2월)와 다음 해 번식 전 기간(2023년 3월, 2023년 4월) 그리고 번식 직후(2022년 7월)의 경우 연안습지 이용 비율은 주간에 더 높았고, 해양수의 이용비율은 야간에 더 높았다. 또한, 새끼가 부화 후 성장하는 번식기(2022년 5월, 2022년 6월)와 번식 전 기간(2023년 3월, 2023년 4월) 번식 직후(2022년 7월)의 중첩률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는 산란-부화-성장-이소의 번식생활사에 따른 괭이갈매기의 적합도의 차이가 주야간 주된 행동 공간의 차이와 연계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괭이갈매기가 시기에 따라 적합도를 극대화하기 위해 전략적으로 주야간의 행동권에 차이를 발생시키는 것을 처음으로 확인하였으며, 이는 조류의 행동권 연구시 시간에 의한 변동성을 고려할 것을 보여준다.

      • KCI등재후보

        조선시대 회격·회곽묘 출토 삽(翣)에 대한 고찰

        이승해,안보연,Yi, Seung Hae,An, Bo Yeon 국립문화재연구원 2008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1 No.2

        Sap(?, a funeral fan) is a funeral ceremonial object used in association with a Confucian ceremonial custom, which was crafted by making a wooden frame, attaching a white cloth or a thick paper onto it, drawing pictures on it, and making a holder for a handle. According to Liji(Records of Rites), Sap was used since the Zhou Dynasty, and these Chinese Sap examples are no big different than the Korean Sap examples, which were described in Joseon Wangjo Sillok(Annals of the Joseon Dynasty), Gukjo Oryeui(the Five Rites of the State), and Sarye Pyeollam(Handbook on Four Rituals). This study explored Sap excavated in lime-filled tombs and lime-layered tombs of aristocrats dating back to Joseon, as well as their historical records to examine Sap's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ir examples, manufacturing methods, and use time. The number and designs of Sap varied according to the deceased' social status aristocrats used mainly one pair of 亞-shaped Bulsap, and a pair of Hwasap with a cloud design depicted on it. A Sap was wrapped twice with Chojuji paper or Jeojuji paper, and for the third time with Yeonchangji paper. Then, it was covered with a white ramie, a hemp, a cotton, a silk satin, etc. Bobul(an axe shape and 亞-shape design) was drawn on both sides of Sap, and a rising current of cloud was drawn at the peripheral area mainly with red or scarlet pigments. Sap, which were excavated from aristocrats'lime-filled and lime-layered tombs, are the type of Sap which were separated from its handle. These excavated Sap are those whose long handles were burnt during the death carriage procession, leaving Sap, which later were erected on both sides of the coff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excavated relics can be inferred by examining them. The excavated relics are classified into those with three points and those with two points according to the number of point. Of the three-point type(Type I), there is the kind of relic that was woven into something like a basket by using a whole wood plate or cutting bamboo into flat shapes. The three-point Sap was concentrated comparatively in the early half of Joseon, and was manufactured with various methods compared with its rather unified overall shape. In the meantime, the two-point Sap was manufactured with a relatively formatted method; its body was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rectangle or a reverse trapezoid, and then its upper parts with two points hanging from them were connected, and the top surface was made into a curve(Type II) or a straight line(Type III) differentiating it from the three-point type. This manufacturing method, compared with that of the three-point type, is simple, but is not greatly different from the three-point type manufacturing method. In particular, the method of crafting the top surface into a straight line has been used until today. Of the examined 30 Sap examples, those whose production years were made known from the buried persons'death years inscribed on the tomb stones, were reexamined, indicating that type I was concentrated in the first half of the $16^{th}$ century. Type II spanned from the second half of the $16^{th}$ century to the second half of the $17^{th}$ century, and type III spanned from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to the first half of the $18^{th}$ century. The shape of Sap is deemed to have changed from type I to type II and again from type II to type III In the $17^{th}$ century, which was a time of change, types II and III coexisted. Of the three types of Sap, types II and III re similar because they have two points; thus a noteworthy transit time is thought to have been the middle of the $16^{th}$ century. Type I compared with types II and III is thought to have required more efforts and skills in the production process, and as time passed, the shape and manufacturing methods of Sap are presumed to have been further simplified according t 삽(?)은 유교 예법에 따른 상장례(喪葬禮) 도구로 나무로 틀을 만들고 그 위에 백포(白布)나 두꺼운 종이를 붙여 그림을 그린 후, 자루를 달아 들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례기(禮記)"에 따르면 삽은 주대(周代)부터 사용되었던 것으로 기록되어 있는데, 우리나라의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이나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사례편람(四禮便覽)"에 나타난 삽의 용례와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 본고에서는 현존하는 조선시대 사대부가의 회격 회곽묘에서 발견되는 삽의 발굴 사례 및 문헌 기록을 통해 그 용례와 제작방식, 시기에 따른 유물의 특징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삽은 신분에 따라 사용하는 개수와 그리는 문양이 다른데, 사대부가에서는 주로 '아(亞)'형의 불삽 1쌍과 구름 문양을 그린 화삽 1쌍을 사용하였다. 삽의 크기는 너비가 2자[척(尺)], 높이 2자[척(尺] 4치[촌(寸)]로 만들었는데 초주지나, 저주지로 두 번 싸고, 세 번째는 연창지로 쌌다. 그리고 나서 백저포, 마포, 무명, 공단 등으로 덮었다. 그 양면에 보불을 그리고 구름 변아(邊兒)에 운기를 그리는데 대개 주사 또는 진사를 사용하였다. 사대부가 회격 회곽묘에서 출토되는 삽은 광중에 부장된 것으로, 삽자루와 분리된 형태이다. 즉, 출토되는 삽은 발인행렬시 삽을 매달았던 5자 길이의 삽자루는 태워 없애고, 관의 좌우에 세워 넣은 것이다. 출토 유물의 검토를 통해서도 제작과정을 유추할 수 있다. 출토된 유물은 각(角)의 개수에 따라 각이 3개 달린 것과 2개 달린 것으로 대별된다. 먼저 각이 3개 달린 것(유형 I) 중에는 나무 통판을 사용하거나 대나무를 납작하게 갈라, 바구니처럼 엮은 것도 있다. 각이 3개인 삽은 비교적 조선 전기에 집중되어 있으며, 전체적인 형태에 비해 그 제작방식이 다양한 편으로 생각된다. 반면 각이 2개 달린 삽의 경우에는 비교적 정형화된 제작방식이 보인다. 직사각형이나 역사다리꼴로 몸통부분을 만든 후, 2개의 각이 달린 삽의 윗부분을 연결한 형태이다. 다만 상단면을 곡선(유형 II) 또는 직선(유형 III)으로 처리하는 것이 다르다. 이러한 제작방식은 각이 3개 달린 것에 비해 간단하며, 제작기법 상의 차이는 크지 않다. 특히 상단면을 직선으로 처리하는 방식은 오늘날까지도 사용되고 있다. 분석에 사용된 30건 중 묘주의 몰년, 즉 삽의 제작 연대가 명확한 것만 선택하여 분석한 결과, 유형 I은 16세기 전반에 집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어 유형 II는 16세기 후반부터 17세기 후반, 유형 III은 17세기 전반부터 18세기 전반까지 고르게 분포하고 있다. 요컨대 삽의 형태는 유형 I에서 유형 II로, 다시 유형 II에서 유형 III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17세기는 변화의 시기로 유형 II III이 혼재되어 있다. 유형을 크게 3가지로 구분하였으나 유형 II III은 각이 2개인 측면에서 그 형태가 유사하다고 볼 때 주목할 만한 전환기는 16세기 중반이라고 볼 수 있다. 아마도 유형 I은 유형 II III에 비해 제작 과정상 공이 더 많이 들어갈 것으로 생각되며, 후대로 내려올수록 경제성의 원리에 따라 삽의 형태 및 제작방법도 간소해진 것으로 보인다. 상장례의 간소화 경향은 "선조실록(宣祖實錄)"에 예장(禮葬)이 몇 차례 중지되는 사건들을 통해 임진왜란 이후에 가속화된 변화로 볼 수 있다. 삽의 경우 이미 16세기 후반부터 간소화되고 있었으며, 심지어 18세기에는 삽을 따로 제작하지 않고 구의(柩衣) 및 관(棺)에 직접

      • KCI등재

        IoT 환경에서 모바일 기반 빅데이터 처리 및 모니터링 기술

        이승해,김주호,신동윤,신동진,박정민,김정준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18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18 No.6

        현재 이슈가 되고 있는 4차 산업혁명에서 다양한 빅데이터 기술들을 통하여 기존의 느린 속도 보다 빠른 분석 결과를 즉각적으로 받아 볼 수 있고, 모바일과 웹에서 실시간 모니터링을 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IoT 기기인 Raspberry Pi를 이용하여 다양한 비정형 센서 데이터를 생성하고 센서 데이터를 실시간 수집하고, 수집한 데이터를 여러 개의 노드를 이용해 분산 저장한 뒤 저장된 센서 데이터를 가공, 정제 처리하여 분석 모델 및 알고리즘을 통해 분석 결과를 시각화하여 출력한다. 이러한 방법들을 이용한 진행은 IoT를 이용한 빅데이터 및 모바일 관련 분야에서 필요한 고급 인력을 양성 및 데이터를 효율 적이고 빠르게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하여 연구결과의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hich has become an issue now, we have been able to receive instant analysis results faster than the existing slow speed through various Big Data technologies, and to conduct real-time monitoring on mobile and web. First, various irregular sensor Data is generated using IoT device, Raspberry Pi. Sensor Data is collected in real time, and the collected data is distributed and stored using several nodes. Then, the stored Sensor Data is processed and refined. Visualize and output the analysis result after analysis. By using these methods, we can train the human resources required for Big Data and mobile related fields using IoT, and process data efficiently and quickly. We also provide information that can confirm the reliability of research results through real time monitor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