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숙인(李淑仁) 한국국학진흥원 2009 국학연구 Vol.14 No.-
이 글은 감성의 범주를 통해 조선유학을 비판하고 그 재구성을 모색한 것이다. 먼저 공감이나 소통의 토대가 되는 감성이 조선유학의 이론체계에서는 어떻게 배치되어 있는가를 리기론理氣論과 성정론性情論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유학의 체계에서 감성 및 감정은 시비ㆍ선악의 판단을 흐리게 하여 궁극적으로 본연의 성을 왜곡시키는 부정적인 것으로 인식되었다. 따라서 조선유학의 주류 전통은 이성의 확립에 의미를 두고서 기氣에 대한 리理, 정情에 대한 성性의 절대적 우위를 주장함으로써 감성의 범주를 배제시켰던 것이다. 다음으로 감성의 범주를 통할 때, 기존에 합의된 바의 선악 및 도덕의 개념은 재정의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즉 조선유학의 체계에서 선악善惡 및 도덕의 개념은 천리天理라고 하는 가부장주의적 질서개념과 분리될 수 없었다. 이 구조에서 의리와 명분은 무거운 반면 인정과 욕망은 가벼운 것이었는데, 그것은 만나고 이해하고 느끼고 반응함으로써 구성되는 삶의 과정을 방치하는 결과를 낳았다. 우리의 삶이 이념과 규칙에 의해 지배되는 것만이 아니라면 삶을 구성하는 다양한 요소 및 작용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런 점에서 도덕적 선을 아버지 상징 질서의 확립에 두었던 것은 유학의 이론적 전개에 나타난 하나의 측면임을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 조선유학의 새로운 구성은 공감이나 연민, 배려와 인정, 일상성과 친밀성 등의 감성적 체험에 대한 이해와 그 재개념화를 요청한다. This paper attempts to criticize and reconstruct the Joseon Confucianism by the category of emotion. I analysed how the category of emotion, a base of empathy and communication, is positioned in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Joseon Confucianism, focusing on Igi-ron(理氣論) and seongjeong-ron(性情論). In my view, the mainstream of Joseon Confucianism stressed the establishment of reason by excluding the category of emotion. In Joseon Confucianism Li(理) was absolutely superior to gi(氣), and reason(性) to emotion(情). The category of emotion demanded the dominant notion of morality to be redefined. In Joseon Confucianism the conception of morality could not be separated from the patriarchal notion of order, that is, cheolli(天理). Therefore, for the reformulation of Joseon Confucianism, we need to understand and re-conceptualize world based on the emotional experience, for example, empathy, passion, ordinariness, and intimacy.
李淑娟(이숙연) 한국중어중문학회 2016 한국중어중문학회 우수논문집 Vol.- No.-
Previous studies on Taiwan Indigenous Literature are mostly from the perspective of postcolonial counter-discourse. In this way, The spiritual tradition of the indigenous culture is ignored and considered superstitious. However, this paper uses the perspectives of poetics and mythology aesthetics to analyze ‘The Eyes of The Sky’(written by Rapongan Syaman), ‘The Spirit of Yushan’(written by Husluman),and ‘Palisia Tongku Saveq’ (written by Neqou Soqluman). In the beginning of ‘The Eyes of The Sky’, Rapongan Syaman changes the narrator of the myth ‘Flying Fish’ from human to a fish. Here, a question arises regarding anthropocentrism. In ‘The Spirit of Yushan’, Vava put the indigenous’ oral statement tradition in writing which vitalized Chinese literature. Also, Vava recreated the vanishing culture of the Indiginous in the abstract world of literature. In ‘Palisia tongku saveq’, Neqou Soqluman added some elements of fantasy to the myths of the indiginous which created a new genre in Chinese literature.
이숙인(李淑仁) 한국국학진흥원 2014 국학연구 Vol.0 No.24
이 글은 근대초기 여성 개념의 변화를 ‘전통 여성’의 변형과 재구성의 측면에서 조명하였다. 한국사회 여성의 근대화는 외부 세력 혹은 외부지식에 의한 일방적인 계몽으로 설명되곤 한다. 즉 ‘서구 여성’ 개념이 ‘전통 여성’ 개념을 배제시키고 주변화함으로써 여성 근대화가 이루어졌다는 것이다. 여기서 외부의 지식이 유입되면서 일어난 내부의 변화나 외부 지식과의 소통을 통한 자기 재구성의 과정이 배제되었다. 그런데 ‘서구 여성’ 개념에 의해 변형되고 재배치된 ‘전통 여성’ 개념은 복합적인 ‘근대 여성’ 개념을 생성시키는 동력이었다. 개항기ㆍ개화기ㆍ근대계몽기 등으로 불리는 근대초기의 ‘전통 여성’은 ‘서구여성’과의 비교를 통해 비판되고 부정되는 경향이었다. 개화의 창에 비친 서구 여성의 이미지는 사실은 조선이 ‘보고 싶은’ 것이었고 ‘되고 싶은’것이었다. 개화파 인사들의 주도로 이루어진 ‘서구 여성 알리기’는 ‘문명’의 서구와 결점투성이 ‘미개한’ 조선을 확인시키는 방식이었다. 그런데 이와 함께 유입된 여권의식은 조선의 지적 문화적 기반 위에서 재구성이 일어난다. 즉 남녀의 권리가 동등하다는 진리를 유교전통의 음양이론을 통해 이해하고, 여성 권리를 자립이나 독립보다는 상호의존이나 협력을 통해 인식하는 ‘내외논內外論’적 재구성이다. This paper researched the change of concept of women in terms of the transformation and reconstruction of “traditional women” in early modern Korea. It tended to be explained that Korean women were modernized only by western knowledges and countries. They argued that modernization of Korean women was possible by replacement of the notion of traditional women by the concept of western women. This explanation tends to miss the self-reconstruction process of traditional women by communication with western knowledges. It is true that the concept of “traditional women” transformed by notion of “western women” was the motor which produced concept of “modern women.” In early modern Korea, the conception of traditional women were criticized by comparison with western women. Factually the image of western women in civilizing discourses was invented by Korean society. It was a means of contrasting the “civilized West” and the “primitive Korea.” But the women’s rights consciousness was reconstructed by Korean intellectual and cultural background. In other words, the truth of gender equality was understood by the theory of yin and yang(陰陽論), and also women’s rights was reconstructed by interdependence and cooperation rather than autonomy and independence.
이숙재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1993 교육연구 Vol.27 No.-
우리나라에서도 아동의 놀이에 관련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주로 놀이와 아동발달의 관계나 놀이를 촉진시키는 여러 가지 요인의 분석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으며 놀이자인 아동의 입장에서 놀이의 개념을 분석한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동 스스로가 인지한 놀이의 개념을 알아보기 위하여 아동의 시각을 통해 심층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LC-MS/MS를 이용한 벌꿀 중 grayanotoxin 분석법 연구 및 실태조사
이숙연(Sook-Yeon Lee),최윤주(Youn-Ju Choi),이강봉(Kang-Bong Lee),조태용(Tae-Yong Cho),김진숙(Jin-Sook Kim),손영욱(Young-Wook Son),박재석(Jae-Seok Park),임성임(Sung-Im Im),최희정(Hee-Jung Choi),이동하(Dong-Ha Lee) 한국식품과학회 2008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0 No.1
본 연구는 야생꿀을 비롯한 벌꿀, 벌집채꿀 등 국내산 및 수입산 꿀의 안전관리를 위한 grayanotoxin(GTX)의 시험분석법 확립 및 실태조사를 위하여 수행하였다. GTX 표준품 Ⅰ, Ⅱ, Ⅲ는 LC-MS/MS로 분자량을 확인한 후, 시판품인 III를 제외한 Ⅰ과 Ⅱ는 NMR을 이용하여 구조를 확인하였다. 총 111건(국내산 벌꿀 25건, 국내산 야생꿀 21건, 벌집채꿀 13건, 수입산 벌꿀 44건, 수입산 야생꿀 8건)의 벌꿀시료는 메탄올을 사용하여 벌꿀-메탄올 용액을 만들어 tC18 cartridge에 loading 한 후, 여과된 액을 동량의 증류수로 희석하여, 이온화장치로 ESI를 장착한 triplequadrupole LC-MS/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LC의 용리액은 1% 포름산이 첨가된 “메탄올-물”을 사용하는 것이 10분 이내의 분석시간대에 나타나는 피크의 모양과 감도가 우수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본 방법을 이용하여 검체 중의 GTX Ⅰ, Ⅱ, Ⅲ의 함유량을 조사한 결과 총 111건 중 수입산 야생꿀 3건(2.7%)에서 GTX Ⅰ, Ⅱ, Ⅲ가 검출되었고, 수입산 야생꿀 1건에서 GTX Ⅰ, Ⅲ가 검출되었다. GTX Ⅰ의 검출량은 최소 3.13 ± 0.00 mg/kg에서 최고 12.93 ± 0.01 mg/kg으로 나타났고 GTX Ⅱ는 0.84 ± 0.01 mg/kg, 0.92 ± 0.00 mg/kg, 1.08 ± 0.01 mg/kg의 함량을 나타내어 GTX Ⅰ에 비해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GTX Ⅲ는 최소 0.25 ± 0.01 mg/kg에서 최고 3.29 ± 0.74 mg/kg으로 함량에 큰 차이를 보였다. 본 방법을 이용한 총 111건의 벌꿀 시료의 GTX분석시 수입산 야생꿀 4건에서만 GTX가 검출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비휘발성 또는 극성 때문에 GTX 분석시 GC 및 GC-MS에서 분석이 어려운 벌꿀시료를 대상으로 전처리 시간의 단축을 모색함과 동시에 LC-MS/MS를 이용한 시험분석법을 개발할 수 있었고, 모니터링을 통하여 네팔, 터키 등 특정 지역의 야생꿀의 섭취를 제한하는 과학적 근거를 마련할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stablish analysis methods, and evaluated for grayanotoxin in domestic/foreign honey and wild honey. The molecular weight of grayanotoxins Ⅰ, Ⅱ and Ⅲ, excluding grayanotoxin Ⅲ that has been commercialized, were analyzed by LC-MS/MS. Then, the molecular structure of grayanotoxins Ⅰ and Ⅱ were analyzed by NMR. A total 111 samples (25 Korean honey, 21 Korean wild honey, 13 Korean honeycomb honey, 44 foreign honey, 8 foreign wild honey) were examined to determined whether or not each sample contained grayanotoxins Ⅰ, Ⅱ, and Ⅲ. The honey samples were mixed with methanol and loaded into a tC18 cartridge, the filtrate was diluted with water, and the mixture was then analyzed by ESI triple-quadrupole LC-MS/MS. Grayanotoxins were only found in the foreign wild honey and were not detected in Korean honey, Korean honeycomb honey, or Korean wild honey. Three of the samples contained grayanotoxin Ⅰ, Ⅱ, and Ⅲ, and one sample contained only grayanotoxins Ⅰ and Ⅲ. The lowest level for grayanotoxin I was 3.13 ± 0.00 mg/kg, and the highest level was 12.93 ± 0.01 mg/kg. The levels of grayanotoxin Ⅱ were 0.84 ± 0.01 mg/kg, 0.92 ± 0.00 mg/kg and 1.08 ± 0.01 mg/kg, respectively. The lowest level of grayanotoxin Ⅲ was 0.25 ± 0.01 mg/kg and the highest level was 3.29 ± 0.74 mg/kg. Through this study, safety management for foreign wild honey has been enabl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