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치 수직선 토론에 드러난 초등학생의 인지 갈등 양상

        이세미,박창균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24 초등교육연구논총 Vol.40 No.1

        이 연구는 가치 수직선 토론에 드러난 초등학생의 인지 갈등 양상을 분석하여 가치 수직선 토론이 지니는 교육적 가치를 탐색하고 나아가 토론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가치 수직선 토론에서 초등학생의 인지 갈등 양상은 어떠한가? (1) 인지 갈등 상황은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는가? (2) 인지 갈등 상황별 학생들의 반응 양상은 어떠한가? 위와 같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초등학생들의 가치 수직선 토론에서 토론 전, 후 활동지와 최종 글쓰기 자료, 토론 후 설문 자료, 특이 사례 인터뷰 자료를 분석했다. 이와 같은 연구 방법을 통해 얻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치 수직선 토론에서 드러난 초등학생의 인지 갈등은 신념과 외부 지식의 갈등과 신념 간의 갈등 상황으로 구분된다. 둘째, 신념과 외부 지식의 갈등 상황에서는 ‘신념 조정’, ‘외부 지식 조정’, ‘반작용적 강화’와 같은 반응이 나타난다. 셋째, 신념과 신념의 갈등 상황에서는 ‘수용’이나 ‘갈등 지속’과 같은 반응이 나타난다. 넷째, 가치 수직선 토론에서 학생들은 총 9가지 인지 갈등 양상(대체, 혼란, 갈등 지속, 논리적 수용, 비논리적 수용, 반작용적 강화, 무시, 배제적 방어, 수용적 방어) 중 ‘무시’나 ‘배제적 방어’와 같은 폐쇄적 반응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다섯째, ‘코로나 백신 의무화’와 같이 삶에 깊게 관여된 논제로 진행한 토론에서는 ‘반작용적 강화’와 ‘무시’ 반응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연구 결과가 토론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토론 교육의 지속적인 적용을 통해 신념에 충돌하는 외부 지식에 의도적으로 노출되는 상황을 제공함으로써 학습자의 폐쇄적 사고 태도를 개방적 태도로 발전시키도록 해야 한다. 둘째, ‘누가 더 자신 있고 유창하게 말하는가?’를 평가하는 말하기 위주의 토론 지도에서 벗어나 ‘누가 상대편의 주장을 잘 듣고 객관적으로 논리를 평가하고 판단하는가?’와 같이 듣기의 중요성도 강조하는 토론 지도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인지 갈등을 유발하는 외부 지식을 제공하여 충돌 상황을 조정하는 과정에서 비판적으로 사고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넷째, 토론의 논제는 공감할 만한 것이면서 평소 생각해 본 적이 있을 정도의 친숙함이 느껴지는 논제이되 다양한 이해 관계자의 관점에서 볼 수 있을 만큼의 객관성을 가질 수 있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gnitive conflict patter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vealed in the value continuum discussion, explore the educational values of value continuum discussion, and further clarify implications for discussion education. The research problem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What is the pattern of cognitive conflict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value continuum discussion? (1) How does the cognitive conflict situation appears? (2) What is the reaction pattern of students in each cognitive conflict situa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research problems, activity papers and final writing materials, questionnaire data after discussion, and special case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before and after discussion in the discussion of the value continuum lin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esearch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research method are as follows. First, the cognitive conflic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vealed in the value continuum line discussion is divided into conflicts between beliefs and external knowledge and between beliefs. Second, in the context of conflict between beliefs and external knowledge, reactions such as 'conciliation of beliefs', 'coordination of external knowledge', and 'reactive reinforcement' appear. Third, in a conflict situation between beliefs and beliefs, reactions such as 'acceptance' or 'conflict continuation' appear. Fourth, in the value continuum line discussion, students show distinctive closed reactions such as 'ignorance' or 'exclusionary defense' among a total of nine cognitive conflict patterns (substitution, confusion, conflict continuation, logical acceptance, illogical acceptance, counteractive reinforcement, neglect, exclusionary defense, and receptive defense). Fifth, 'reactive reinforcement' and 'ignoring' reactions are evident in discussions conducted on topics deeply involved in life such as 'COVID vaccine mandate'.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earch results for the direction in which discussion education should proceed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continuous application of discussion education, learners' closed thinking attitudes should be developed into an open attitude by providing situations that are intentionally exposed to external knowledge that conflicts with beliefs. Second, a discussion map tha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listening, such as "Who listens to the other person's arguments well and evaluates and judges logic objectively?" should be made, away from the speech-oriented discussion map that evaluates "Who speaks more confidently and fluently?" Third, it is necessary to provide external knowledge that causes cognitive conflict so that they can think critically in the process of coordinating conflict situations. Fourth, the topic of discussion should be relatable and familiar enough to be considered from the perspective of various stakeholders, but it should be able to have enough objectivity to be seen from the perspective of various stakeholders.

      • 청년의 부채부담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소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세미,이지연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한국복지패널 학술대회 논문집 Vol.9 No.-

        본 연구는 청년 가구의 부채부담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소비지출의 매개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KOWEPS)의 제10차 자료 중 20~39세인 청년 가구주 413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청년 가구주의 부채부담은 삶의 만족도와 부(-)적 관계가 있고, 소비지출과는 정(+)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청년 가구주의 부채부담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 대하여 소비지출이 완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종합하면 청년 가구주들의 부채부담과 소비가 늘어나는 상황은 삶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청년층의 부채 비중을 낮추고, 교육 및 주거와 같은 주요 가계소비를 낮출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기업특수적 숙련 특성이 제품혁신에 미치는 영향 -유형별 조직혁신의 조절효과 분석-

        이세미 한국직업능력연구원 2022 직업능력개발연구 Vol.25 No.2

        This study identified the effect of firm-specific skill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 on product innovation, and analyzed the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innovation typ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irm-specific skill characteristics and product innovation. As a result of panel regression analysis using data from the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HCCP, 2009-2017), it was found that firm-specific skills had a negative impact on product innovation,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 activities that introduced the changes in the way work is done, in the knowledge management method, and in relationship with external organization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product innovation. Also, Changes in knowledge management method affec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irm-specific skill characteristics and product innovation. Companies with firm-specific skills can reduce the negative impact on product innovation by changing the knowledge management metho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investment in education and training for general skills, and to pay attention to organizational innovation methods related to sharing learning the knowledge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특수적 숙련 특성 및 조직혁신이 제품혁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기업특수적 숙련 특성과 제품혁신 간 관계에서 유형별 조직혁신의 조절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인적자본기업패널(HCCP) 2009~2017년 자료를 활용하여 패널회귀분석을 한 결과, 기업특수적 숙련 특성은 제품혁신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업무수행방식의 변화, 지식관리방식의 변화, 외부 조직과의 관계 변화와 같은 조직혁신 활동은 제품혁신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네 가지 조직혁신 활동 중에서 지식관리방식의 변화는 기업특수적 숙련 특성과 제품혁신 간 관계에서 조절변수로서 작용하였다. 이는 기업특수적 숙련을 가진 기업은 지식관리방식의 변화를 통해 제품혁신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혁신을 위해서는 기업특수적 숙련보다는 일반 숙련(general skills)에 대한 교육훈련 투자를 늘리고 정보와 지식 공유 및 학습 방식과 관련된 조직혁신 방법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 젊은 아버지들의 자녀양육에 대한 경험연구

        이세미 서울여자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2007 학생생활연구 Vol.20 No.-

        본 연구는 아버지들이 자녀양육에 대한 경험이 어떤 것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시도된 것으로, 이를 위해 유아동기 자녀를 둔 30대 아버지들의 자녀양육의 경험과 그 의미가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유아동기 자녀를 둔 30대 남성 3명의 가정을 방문하여 참여관찰과 심층면접을 실시하고, 그룹면담의 시간을 가졌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아버지가 생각하는 자녀양육에는 아버지의 역할과 어머니의 역할이 분리되어 존재하였다. 자녀양육에서의 아버지의 역할은 경제적, 정서적, 신앙적인 부분이 있었으며, 아내를 지원함으로써 간접적으로 양육에 참여하는 것도 아버지의 역할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2. 아버지들은 자녀양육에서의 어려움을 자녀와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에 대한 부분, 가장으로서 사회생활을 영위하고 싶은데서 오는 어려움, 아내와의 자녀양육에 대한 가치관의 차이에서 오는 어려움이었다. 아버지들은 자녀양육을 함에 있어서 아내의 칭찬과 격려를 바라는 부분이 많은데 실제로 그런 경우는 드물어 더욱 자녀양육에 소홀해지게 된다고 하였다. 3. 아버지들은 자녀양육을 보육기관에 의탁하기 보다는 아내나 가까운 피붙이가 맡아주기를 바라고 있었고, 이를 위한 전반적인 사회의 인식이 바뀌어야 한다고 하였다. 또한, 아버지에 대한 아내의 정서적 지원이 있다면 더욱 즐겁게 양육에 참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하였다. This report has conducted to investigate how father feels about bringing up his children, and describes what is the meaning of having experience and how the experience can affect his children. So I had visited 3 families which consist of 30's fathers and young children, 3 fathers were interviewed with the methods such as focus group meeting, interviewed in depth and monitoring.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1. Most of fathers have thought that roles of upbringing their children are divided. Father's role has recognized that it could be done if they take part economic, emotional part, that is, they have thought they have been taking part indirectly in nurturing by assisting wives. 2. Difficulties that fathers face are below . Direct Connection with children. . Want to live socially as a head of the family . Difference of views between husband and wife Although most fathers hungry wife's attention and praise, but real is not making up these needs. As a result, fathers are getting show indifference to their children. 3. Most fathers want their baby to be treated by relatives than nursery. In order to change prejudiced father has, people are saying that public attitudes should be changed and they also think that if wives pay more attention to husbands and help emotionally, they could meet a chance to grow their children with deligh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