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샛별 노동법이론실무학회 2023 노동법포럼 Vol.- No.40
택시 근로자의 임금체계를 둘러싼 논쟁은 무려 1960년부터 2023년현재까지 계속되는 중이다. 교통부와 서울시와 같은 지자체들은 택시근로자의 안정적인 생활 보장과 도로교통의 안전을 위해 정액사납급제나 업적급제 등을 꺼내 들었다. 하지만 궁극적으로 실현하고자 하는 것은 택시 근로자의 월급제였다. 장시간 근로를 하는 택시 근로자들에게 시간에 따른 보상을 하고자 한 것이다. 마침내 1994년, 「자동차운수사업법」 개정으로 인해 ‘전액관리제’ 가 들어오게 된다. 택시 근로자는 하루 운송수입금을 전액 사업주에게 납부하고, 사업주는 매달 시간에 따른 기본급을 근로자에게 지급해야 하는 것이다. 그 뒤 2008년에 신설된 「최저임금법」 제6조 제5 항은 택시 근로자의 최저임금 비교대상에서 생산고에 따른 임금을 제외하였다. 2020년 1월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개정 및 시행되었고, 2021년 1월 「택시발전법」 제11조2에서는 택시 근로자의 소정근로시간이 1주 40시간을 넘도록 규정하였다. 이 모든 법 개정 및 조항의 신설은 결국 ‘전액관리제’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한 노력이었다. 2019년, 실제 근로 시간 단축 없는 소정근로시간 단축 합의는 최저임금법 제6조 제5항에 위반하여 무효라고 판시한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과 2023년, 최저임금법 제6조 제5항의 합헌성을 재확인한 헌법재판소 전원합의체 결정도 ‘전액관리제’의 도입 취지를 되새기고 있다 그런데도 여전히 ‘전액관리제’ 정착은 요원한 일로 보인다. 소정근로시간 등을 둘러싼 택시운송사업주와 택시 근로자 간 법정 공방이끊이지 않는다. 택시운송사업주들은 ‘전액관리제’ 도입은 사업장 경영난을 가중하는 원인이라고 지목한다. 하지만 무엇보다 ‘전액관리제’의정착과 시행이 번번이 좌초되는 가장 큰 원인은 노사 불신이다. 택시운송사업주들은 사업장 밖에서 이루어지는 업무에 대해 지휘 감독을행사하는 데 한계가 있어 근로자의 업무 태만 등을 제지할 방법이 없다고 호소한다. 택시 근로자들은 그동안의 여러 번 변형된 형태의 월급제를 경험하면서 ‘전액관리제’ 자체에 대한 불신이 쌓였다. 택시 근로자들의 경우, 그동안 변형된 형태의 ‘전액관리제’가 아닌진정한 의미의 ‘전액관리제’ 아래에서 일정액 이상의 안정적인 고정급여를 받게 된다면, 전면 시행을 꺼릴 이유가 없다고 생각한다. 사용자측의 우려는 택시요금 결제 시스템의 자동화, GPS 택시 앱미터기 도입 등 기술 발전으로 해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택시운송사업주는택시 근로자의 근태를 관리하거나 요금 수납 등을 누락 없이 관리할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름만 변경된 사납금 체계 유지를 고집하는 것은 점점 더 설득력을 잃어갈 것이다. ICT 기술 진보와더불어 긴 시간 제정되어 온 각종 법률 규정의 마련 등은 더이상‘전액관리제’ 시행을 늦출 수 없음 말하고 있다. Over the past 50 years, discussions have consistently revolved around strategies to protect the wages of taxi workers. Initially, the wage structure for taxi workers was based on a "piece-rate wage system." This system created instability in the lives of taxi workers, fostered intense competition among them, and was identified as a leading cause of increased traffic accident rates. Efforts to protect the wages of taxi workers were made in response to these circumstances. However, these discussions did not yield concrete results. To safeguard the livelihoods of taxi workers, the government and local authorities proposed the introduction of a "full monthly salary system." This system was legislated in August 1994 and implemented from September 1997. However, there was no legal basis to compel taxi business owners to adopt this system. Taxi business owners cited operational difficulties and their inability to effectively manage the attendance of taxi workers as reasons to avoid implementing the "full monthly salary system." Consequently, the establishment of this system has faced prolonged challenges. Efforts towards the substantial implementation of the "full monthly salary system" have persisted. Amendments to the "Minimum Wage Act" excluded "wages based on productivity" for taxi workers from the scope of the minimum wage. Modifications to the "Passenger Automobile Act" provided a specific legal basi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full monthly salary system.“ Courts have also played a role in supporting the "full monthly salary system." The Supreme Court's Grand Bench declared that any agreement that shortens regular working hours without altering actual working hours is null and void as it violates mandatory regulations. The Constitutional Court ruled that the special provision excluding "wages based on productivity" for taxi workers from the minimum wage range is constitutionally sound. However, debates surrounding the "full monthly salary system" persist. Therefore, this paper discusses strategies for the smooth implementation of the "full monthly salary system." It begins by emphasizing the necessity of protecting taxi workers' wages in the form of a monthly salary. Subsequently, it delves into the historical context to understand the efforts made and the reasons for repeated failures in implementing this system. Finally, it outlines the direction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full monthly salary system" for taxi workers.
택시업계 임금 청구 소송으로 살펴본 ‘소정근로시간’의 의미
이샛별 노동법이론실무학회 2024 노동법포럼 Vol.- No.41
강행법규를 잠탈할 의도를 가진 소정근로시간 단축 합의 효력은 인정할 수 없다는 2019년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 이후, 택시 업계에서는 임금 청구 소송이 줄을 잇고 있다. 논란의 핵심은‘소정근로시간’을 해석하는 노사 간 시각 차이다. 택시 근로자들은 소정근로시간과 택시를 운행하는 전체 실근로시간 사이에 괴리가 크다는 것을 문제 삼는다. 반면 택시운송사업주는 소정근로시간은‘실 근로시간’, 즉 ‘택시 근로자가 실제로 승객을 태우고 운행한 시간’이라고 주장한다. 이는 종전부터 계속되어 오던 노사간의 불신을 그대로 드러낸다. 이에 따라 기존엔 크게 논란 되지 않았던 소정근로시간의 의미도 주목받기 시작했다. 지금까지의 주된 고용형태는 ‘시간급제’였다. 시간급제에서 소정근로시간은 크게 논란의 여지가 없었다. 시간을 기준으로 급여를 받는 시간급제에서 소정근로시간의 의미는 비교적 명확했기 때문이다. 현행 근로기준법에서 소정근로시간은 ‘1일 8시간, 1주 40시간’을 초과할 수 없다는 한계를 가지며 이를 초과한 근로는 예외적이고 특별한 것으로 취급받는다. 즉, 이 때의 소정근로시간은 시간급제 근로자를 장시간 근로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기준으로 기능한다. 하지만 소정근로시간은 도급제 근로자의 처우를 개선하는 문제에서는 조금 다른 의미를 갖는다. 시간급제 근로자와 달리 도급제 근로자는 기본급이나 고정급의 정함이 없다. 이와 같은 임금 체계의 속성은 도급제 근로자의 불안정한 생활 수준을 초래할 가능성이 높다. 도급제 임금 형태를 유지해오던 택시 근로자 사례가 대표적이다. 안정적인 수입원을 보장받지 못했던 택시 근로자들은 장시간 근로와 낮은 임금수준에 시달렸고, 이는 과속 운전 및 택시 서비스의 질 저하로 이어졌다. 문제를 해결하고자 정부 및 각종 지자체는 법 개정 등을 통해 택시 근로자의 완전 월급제, 즉 전액관리제를 도입하기에 이른다. 이 과정에서 2008년엔 생산고에 따른 임금은 최저임금 비교대상 산입범위에서 제외한다는 최저임금법 제6조 제5항 특례조항이 도입되었다. 이에 따라 택시운송사업주들은 근로시간에 따라 택시 근로자들의 최저임금을 보장해야 했다. 그 후, 택시운송사업주들이 소정근로시간을 단축하여 최저임금을 지급하자 2019년 대법원 전원합의체는 이를 잠탈할 의도를 가진 소정근로시간 단축은 무효라고 판시하였다. 급기야 택시발전법에서는 제11조2를 신설하여 택시근로자의 소정근로시간을 1주 40시간 이상이 되도록 정했다. 이런 배경을 고려해본다면, 기존 도급제 근로자의 ‘소정근로시간’을 정하는 일은 ‘일정액 이상의 안정적인 수입원’을 보장하기 위한 성격이 더 크다고 볼 수 있다. 하급심 판결에서도 소정근로시간 단축 합의 효력을 두고 결과는 엇갈리고 있다. 택시 업계의 소정근로시간 단축 합의 효력을 긍정하는 일부 하급심에서 보는 소정근로시간은 노사가 자율적으로 합의해야할 대상이다. 따라서 근무형태 및 운행시간 변경을 동반하고, 소정근로 단축에 관한 노사 합의가 있었다면 그 합의 효력을 긍정하였다. 이러한 일부 하급심의 판단은 택시 근로자 임금체계에 소정근로시간을 적용하게 된 배경을 도외시 한 해석이라고 생각한다. 나아가 일부 하급심은 이미 오래전 금지된 사납금제를 전제로 소정근로시간 단축 합의를 긍정하기도 한다. 이처럼 소정근로시간을 전액관리... Following the 2019 Supreme Court en banc decision that agreements to reduce the prescribed working hours with the intention of circumventing mandatory laws are not valid, the taxi industry has seen a series of wage claim lawsuits. The crux of the controversy lies in the differing interpretations of "prescribed working hours" between labor and management. Taxi workers argue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screpancy between the prescribed working hours and the total actual working hours spent operating taxis. On the other hand, taxi business owners assert that prescribed working hours refer to the "actual working hours," that is, the time taxi workers actually spend transporting passengers. This reflects the longstanding mistrust between labor and management. As a result, the meaning of prescribed working hours, which was not previously a major point of contention, has started to attract attention. Until now, the predominant form of employment has been the hourly wage system. In this system, there has been little controversy over the meaning of "prescribed working hours" since the significance of these hours was relatively clear, with wages paid based on time worked. Under the current Labor Standards Act, prescribed working hours are limited to "8 hours per day, 40 hours per week," and any work exceeding these limits is considered exceptional and treated as such. Thus, at this time, prescribed working hours function as a standard to protect hourly wage workers from long hours of labor. However, the concept of "prescribed working hours" holds a slightly different meaning in the context of improving the conditions of contract-based workers. Unlike hourly wage workers, contract-based workers do not have a fixed basic or guaranteed salary. This characteristic of the wage system can lead to a higher likelihood of unstable living standards for contract-based workers. The case of taxi workers who have been maintaining a contract-based wage system is a prime example. Taxi workers, who were not guaranteed a stable source of income, suffered from long working hours and low wage levels, leading to speeding and a decline in the quality of taxi services. To address this issue, the government and various local governments have introduced a full salary system, that is, a managed salary system for taxi workers, through legislative amendments. During this process, in 2008, a special provision was introduced in Article 6, Paragraph 5 of the Minimum Wage Act, excluding wages based on productivity from the scope of comparison for minimum wage determination. Consequently, taxi business owners were required to guarantee the minimum wage to taxi workers based on working hours. Later, when taxi business owners reduced prescribed working hours to pay the minimum wage, the Supreme Court en banc in 2019 declared such reductions of prescribed working hours with the intention of circumventing this requirement as invalid. Subsequently, the Taxi Development Act was amended to establish Article 11-2, setting the prescribed working hours for taxi workers to at least 40 hours per week. Considering this background, it can be argued that the regulation of "prescribed working hours" for contract-based workers is primarily aimed at ensuring a stable source of income above a certain amount. Decisions at the lower court level regarding the effectiveness of agreements to reduce prescribed working hours have been mixed. Some lower courts, which affirm the effectiveness of such agreements within the taxi industry, view prescribed working hours as a subject for autonomous negotiation between labor and management. Accordingly, if there was an agreement between labor and management on the reduction of prescribed working hours, accompanied by changes in work patterns and operating hours, such agreements were affirmed. This interpretation by some lower courts overlooks the background as to why prescribed working hours were applied to the wage system of taxi workers. Fur...
관람체험이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에 관한 구조적 고찰 - 클래식공연을 중심으로
이샛별 한국예술경영학회 2016 예술경영연구 Vol.0 No.40
Many previous studies of classical performances have been conducted on actor's stage-psychology, audience activation plan, cultural policy and cultural phenomena. These studies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phenomenological approach for classical performances. Classic performances are experiential products in a marketing point of view and have more influenced by viewing experiences of audiences than other performance sectors. In other words, in the classical performances, viewing experiences of audiences are very important in deciding viewing evaluations and behaviors. However, previous studies have only presented existence‧ non-existence or importance of viewing experiences and hardly have demonstrated viewing experiences and intention of audience's behaviors. In addition, there are a lot of studies examined on the performances in terms of (experiential goods) but, most of them have mainly been studied festivals, dance and sport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provide implications in art management perspective by specifically examining the relationship among viewing experiences, enjoyment, trust, commitment and viewing intention targeting audiences who have experience of watching classical performances for recent six months. Hence, total 343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from June 15, 2016 to July 15, 2016. In this study, demographic and viewing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s. In the ratio of gender, male 146 people the ratio of (42.6%) was higher than female 197 people the ratio of (57.4%). In the ratio of age, audiences between 20 and 30 years of age 148 people showed the highest ratio of (43.1%) and in the education, university students/graduates 219 people showed the highest ratio of (63.8%). In the income, the range from 5 million to 10 million 103 people won showed the highest ratio of (30.0%) and in the residential areas, Busan 245 people showed the highest ratio of (71.4%) and Gimhae 30 people showed the second highest ratio of (8.7%). In the audience group, professional artists 136 people showed the highest ratio of (39.7%) and non-professional artists 105 people showed the second highest ratio of (30.6%) and lastly, general audiences 102 people showed the lowest ratio of (29.7%). In the viewing genre, orchestra 222 people showed the highest ratio of (64.7%). In the concentration, string music 104 people showed the highest ratio of (30.3%) and in the viewing frequency, frequency of 6 times or over 111 people showed the highest of (32.4%). In this study, the testing results of hypothesis are as follows. Firstly, viewing experienc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a enjoyment. Secondly, the jo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both trust and commitment. Thirdly, the trust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commitment. Fourthly, both trust and commitment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viewing intention. Therefore, in this study, all hypotheses have been adopted.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erives viewing experiences perceived by the audiences and provides the implications for appropriate art management in order to lead to positive viewing behaviors. 지금까지 클래식공연에 대한 많은 선행연구들은 배우(예술가)들의 무대심리, 관객활성화 방안, 문화정책연구, 문화현상연구 등과 관련하여 진행된 것들이 대부분이다. 이 연구들은 클래식공연에 대한 현상학적인 접근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시사점을 내리고 있다. 예술마케팅 관점에 있어서 클래식공연은 서비스상품이다. 또한, 관람체험을 통해생성된 관객들의 주관적인 감정으로 관람에 대한 평가가 좌우되는 경험재라 할 수있다. 즉, 클래식공연의 관람체험은 관람평가와 관람행동을 결정짓는 데에 있어서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그 간의 연구들은 관람체험의 유‧무 또는 중요성만을 제시할뿐, 관람체험과 관객들의 행동의도에 대해 구체적으로 논증한 연구들은 매우 부족하다. 뿐만 아니라, 경험재라는 관점에서 공연을 접목한 연구들은 많지만, 주로 축제, 무용, 스포츠 등에 편중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6개월 간 클래식공연을 관람한 경험이 있는 관객들을 대상으로 관람체험과 즐거움, 신뢰, 몰입, 관람의도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예술경영 관점에서 시사점을 내리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6년 6월 15일~7월15일까지 총 343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본 연구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관람특성은 다음과 같다. 성별은 남성 146명(42.6%), 여성 197명(57.4%)으로 남성보다 여성이 높게 나타났다. 연령은 20~30세 미만148명(43.1%)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학력은 대학교 재/졸 219명(63.8%)이 가장높게 나타났다. 소득은 500~1,000만원 미만 103명(30.0%)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거주 지역은 부산 245명(71.4%), 김해 30명(8.7%)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관람집단은 전문예술인 136명(39.7%), 아마추어 예술인 105명(30.6%), 일반관객 102명(29.7%)으로 나타났으며, 관람 장르는 오케스트라 222명(64.7%)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세부 전공은 현악 104명(30.3%)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관람 빈도는 6번 이상 111명(32.4%)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람체험은 즐거움에 통계적으로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즐거움은 신뢰와 몰입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뢰는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신뢰와 몰입은 각각 관람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모든 가설들이 채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관객들이 지각하는 관람체험을 도출하고, 긍정적인 관람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예술경영 관점에서 시사점을 내리고 있다.
이샛별,권오성 노동법이론실무학회 2022 노동법포럼 Vol.- No.36
This paper defines the concept of wages through the latest judgment review. First, this article examines the fixedness standard of ordinary wages. Until now, the Supreme Court has determined that regular bonuses with ‘incumbent condition’added are not ordinary wages. This is because it does not meet the fixedness standard of ordinary wages. This paper examines whether there are any problems with these Supreme Court arguments. Second, this article examines the concept of “contract workers” and the minimum wage protection measure for platform workers. This paper reviews the definition of contract workers under the Labor Standards Act through recent precedents as well as how to guarantee the minimum wage of workers whose working hours are not predetermined. Lastly, this article examines whether performance bonus can be considered average wages. Until now, the Supreme Court has judged that performance bonuses are not average wages. However, the recent lower court ruling has overturned the Supreme Court’s judgement. This paper reviews whether the performance-based bonus provided to workers according to the company’s performance can be considered to be wages under the Labor Standards Act. The Supreme Court has judged performance bonus based on the legal ground of average wage law. This article examines whether there is any problem with such judgement of the Supreme Court. 그동안 대법원은 근로기준법 시행령 제6조에서 정하는 정기적·일률적 요건뿐 아니라 ‘고정성’ 요건을 추가하여 통상임금 판단기준으로 삼았다. 법문에 없는 추가적 요건은 근로자가 받는 보수 중 일부를 통상임금에서 배제하는 결과를 낳았다. 대표적인 예로 재직 조건이 붙은 정기상여금이 있다. 대법원은 재직 조건이 붙은 정기상여금이 통상임금 요건 중 고정성을 결한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대법원은 정기상여금의 통상임금성을 부정해온 입장이다. 최근 하급심에서 재직 조건이 붙은 정기상여금의 통상임금성을 긍정하는 판결들이 잇따라 나오고 있다. 하지만 하급심 판단도 여전히 ‘고정성’ 요건 토대 위에서 재직 조건이 부가된 정기상여금의 통상임금성을 판단하고 있다. 이런 판단은 임금 지급 방식에 따라 통상임금 요건을 결정한다. 결국, 사용자에게 통상임금 판단을 맡기게 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따라서 통상임금 ‘고정성’ 요건을 재정립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일률성’은 소정근로시간과 그에 따른 급여로부터 도출되는 일정한 비율이란 뜻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고정성’은 임금 지급 방식에 따라 통상임금성을 판단하게 되는 위험이 존재하므로 법원이 말하는 ‘고정성’ 요건은 통상임금 판단기준에서 제외할 필요가 있다. 근로기준법 제47조는 도급근로자에 관한 규정을 두고 있다. 최근 대법원이 정수기 수리기사들이 근로기준법상 도급근로자에 해당하기 때문에 이들이 받은 수수료는 통상임금에 해당한다고 판시하였다. 이러한 판결로 인해 거의 논의 되지 않았던 ‘도급근로자’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건당 수수료를 받는 플랫폼 노동자도 근로기준법 제47조 ‘도급근로자’ 개념에 포섭하여 시간당 임금을 산정하여 이들의 임금 수준을 보호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근로기준법상의 도급근로자는 소정근로시간이 정해진 것을 전제로 한다. 소정근로시간의 정함이 없는 플랫폼 노동자의 경우, 현행 법제 하에서는 정수기 수리·설치 기사들처럼 근로시간에 기반한 통상임금을 구할 방식이나 실익이 없다. 또한, 소정근로시간의 정함이 없는 플랫폼 노동자들의 보수 수준 유지 방안은 근로기준법상 ‘도급근로자’와 다른 틀에서 논의되어야 한다. 대법원은 매년 경영실적에 따라 지급되는 경영성과급에 대해 ‘계속적·정기적으로 지급’되고, ‘사용자의 지급의무’가 있으면 ‘근로의 대가’에 해당한다고 보았다. 이런 판단기준은 평균임금 법리에 터 잡아 경영성과급의 ‘임금성’을 평가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경영성과급을 둘러싼 논의가 주로 퇴직금 분쟁인 것을 고려한 판단기준이라고 생각된다. 이러한 기준에 대해 ‘지급여부 확정성’은 통상임금의 요건인 것이지, 평균임금 판단기준으로 삼는다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는 비판이 있다. ‘계속적·정기적 지급’ 역시 지급 방식에 따라서 근로의 대가성을 판단하고 있다는 점에서 비판을 받는다. 최근 하급심에서는 경영성과급의 평균임금성에 대해 엇갈린 판결들이 나오고 있다. 그러나 경영성과급의 임금성을 긍정하는 판결들도 평균임금 법리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경영성과급의 임금성을 판단하고 있다. 경영성과급이 계속적·정기적으로 지급되었는지 등 그간 지급형태를 따져 임금성을 판단하는 게 아닌 경영성과급 자체가 근로의 대가성을 가지고 있는지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샛별,허연재,조준현,이지윤,권영호,조수민,신동진,이종희,김태헌,강주원,박노봉,송유천,고종민,박동수 한국육종학회 2019 한국육종학회지 Vol.51 No.4
Rice stripe virus (RSV) is one of the major constraints in rice production which is transmitted by the small brown plant hopper, Laodelphax striatellus. Identifying new resistance genes from diverse sources is important for rice breeding programs to enhance resistance level and/or to overcome the breakdown of resistance gen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novel source of resistance against RSV. We used 5 RSV resistant varieties which do not harbor Stv-b i . Presence of known genes on RSV resistance was identified with InDel7 marker for Stv-b i , two Indel (Sid primer set) markers for Stv-b, and DNA sequence analysis for OsSOT1. We revealed that two varieties, 02428 (IT236925) and Tung Ting Wan Hien 1 are the novel resistance sources of RSV.
이샛별,양병일,이상호 대한신경치료학회 2016 신경치료 Vol.20 No.1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muscle strengthening program of lower extremity for 8 weeks on the balancing and gait in stroke patients to provide the effectiveness of therapeutic interventions and understandings of stroke patients. Methods The subjects were 14 patients who were diagnosed hemiplegia from stroke in over past 6 months. 14 subjects were randomized into 7 control group and 7 study group. The subjects in the study group received not only physical therapy but also muscle strengthening program of lower extremity for 8 weeks. However, no additional intervention was applied to the subjects in the control group. FRT, BBS, TUG, and 6MWT was perform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for comparison. Results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FRT in the study group. The range of arm extension increased from 12.8㎝ to 19.4㎝ in the study group(p=.018, p<0.05) which was significant. Second, the scores in BBS showed increase in the study group but without significance(p=.727, p>0.05). Third, there were changes in the time of completion for TUG test. The time in the study group decreased from 44.3 sec to 39.5 sec(p=.064, p> 0.05) and the one in the control group increased from 27.8 sec to 28.8 sec(p=.761, p>0.05). Forth, both groups showed decrease in the completion distance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in 6MWT. Lastly, there was substantial amount of positive correlated(p<0.01) between BBS and FRT which were to evaluate the balance among the tests of FRT, BBS, TUG, and 6MWT. Conclusion The muscle strengthening program of lower extremity for 8 weeks appears to show positive effects in the enhancement of balancing ability. Also, we could understand that the enhancement of balancing ability has correlated to the enhancement of gait as well.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considered that the complex approach in the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the stroke patients including the muscle strengthening program of lower extremity will help the effective recovery of balancing and gait of stroke patients.
이샛별 한국노동법학회 2025 노동법학 Vol.- No.93
This study aims to propose compensation protection measures for piece rate workers as well as individuals receiving piece rate compensation. Those receiving such compensation are paid based on specific tasks or performance. However, the existing wage-based legal and institutional protection mechanisms fail to adequately safeguard them. The current Labor Standards Act classifies wage systems into hourly wages and piece rate wages. Article 47 stipulates regulations for the wage protection of piece rate workers. Additionally, Article 6, Paragraph 1, Clause 6 of the Enforcement Decree specifies the method for calculating the ordinary wage of piece rate compensation. Article 5, Paragraph 3 of the Minimum Wage Act also states that if it is inappropriate to determine the minimum wage based on hourly rates for those receiving piece rate compensation, the minimum wage may be set based on production or performance-based units. However, discussions and institutional measures to ensure income protection for those receiving piece rate compensation remain insufficient. With the advancement of ICT technology and the growth of digital platform labor, the number of individuals receiving piece rate compensation has increased. Despite this, their income protection system remains inadequate. In particular, platform workers and freelancers often fail to be recognized as employees under the Labor Standards Act, leaving them in a legal blind spot. As a result, their compensation levels lack legal protection. Therefore, this study discusses income protection measures for individuals receiving piece rate compensation from three perspectives. First, wage protection measures for cases where working hours can be clearly identified. Second, wage protection measures for cases where working hours are difficult to determine. Third, protection measures for those receiving piece rate compensation but not recognized as employees. To achieve this, the study analyzes the meaning of “piece rate” and compares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s to derive effective protection meas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