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공간통계기법을 이용한 도로교통기반의 온실가스 관한 연구 -대구광역시를 대상으로-

        이상우,이승욱,이승엽,홍원화,Lee, Sang Woo,Lee, Seung Wook,Lee, Seung Yeob,Hong, Won Hwa 한국공간정보학회 2014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22 No.1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의 주요도로를 대상으로 공간통계기법을 이용하여 도로교통 온실가스 배출량을 신뢰성있게 예측하여 추정된 배출량으로 행정구별에 따라 도로교통에서 발생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첫째, 주요도로의 교통량 관측지점에서 실시간으로 조사한 교통량을 이용하여 관측지점에서 발생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였다. 둘째, 일반 크리깅(Universal Kriging)기법을 이용하여 공간적 상관성에 의해 미 관측지점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신뢰성 있게 추정하기 위해 적합한 베리오그램 모델링을 설정하였다. 이에 교차검증을 통하여 적합한 베리오그램 모델과 크리깅 기법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셋째, 검증된 크리깅 기법으로 미 관측지점의 도로교통에서 발생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예측하여 행정구별로 도로교통 온실가스 배출량을 추정하여 산정하였다. 그 결과, 도로교통 온실가스 배출량을 행정구별로 보면 북구가 약 $291,878,020kgCO_2eq/yr$로 가장 많은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reliably predict the traffic green house gas emission in Daegu with the use of spatial statistical technique and calculate the traffic green house gas emission of each administrative district on the basis of the accurately predicted emission. First, with the use of the traffic actually surveyed at a traffic observation point, and traffic green house gas emission was calculated. Secondly, on the basis of the calculation, and with the use of Universal Kriging technique, this researcher set a suitable variogram modeling to accurately and reliably predict the green house gas emission at non-observation point suitable through spatial correlation, and then performed cross validation to prove the validity of the proper variogram modeling and Kriging technique. Thirdly, with the use of the validated kriging technique, traffic green gas emission was visualized, and its distribution features were analyzed to predict and calculate the traffic green house gas emission of each administrative district. As a result, regarding the traffic green house gas emission of each administration, it was found that Bukgu had the highest green house gas emission of $291,878,020kgCO_2eq/yr$.

      • $Ar/N_2 및 Kr/N_2$혼합가스의 교류절연파괴 특성

        이상우,김인식,이동인,이광식,김이국,Lee, Sang-Woo,Kim, In-Sik,Lee, Dong-In,Lee, Kwang-Sik,Kim, Lee-Kook 대한전기학회 2001 전기학회논문지C Vol.50 No.12

        In this paper, the ac breakdown characteristics of pure Ar, Kr and $N_2$ gas with gas pressure range of 58.8-137.3[kPa] under uniform and non-uniform fields were investigated, and the measured values were compared with those In Ar/$N_2$ and Kr/$N_2$ gas mixtures with pressure varying. Summarizing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breakdown voltages of Pure $N_2$gas, under uniform and non-uniform fields, were increased about 4.8 and 1.1 times than those of pure Ar gas, and about 4.4 and 1.2 times than those of pure Kr gas, and the ac breakdown voltage increased with the pressure increasing. The breakdown voltages of Ar/$N_2$ gas mixtures were decreased with decreasing the mixture ratio of Pure $N_2$ gas. In case of Ar(85%)/$N_2$ (15%) and Ar(70%)/$N_2$ (30%) gas mixtures comparing to the pure Ar gas, the breakdown voltages under uniform field were increased about 1.8 and 2.2 times, and under non-uniform field were increased about 1.1 and 1.3 times at the pressure of 101.3[kPa]. Also, in case of Kr(85%)/$N_2$ (15%) and Kr(70%)/$N_2$ (30%) gas mixtures comparing to the pure Kr gas, the breakdown voltages under uniform field were increased about 1.7 and 2.0 times, and under non-uniform field were increased about 1.0 and 1.2 times. Corona inception voltage of Kr(70%)/$N_2$(30%) gas mixtures under non-uniform fields were increased about 1.28 times than those of Ar(70%)/$N_2$ (30%) gas mixtures. In case of practical incandescent lamps, luminous and lifetime of Kr(70%)/$N_2$ (30%) gas mixtures were increased about 1.15 and 1.21 times than those of Ar(70%)/$N_2$ (30%) gas mixtures.

      • KCI등재

        소형 연료전지 연계형 DC GRID 부하 특성

        이상우,이상철,권오성,배준형,박태준,강진규,이동하,Lee, Sang-Woo,Lee, Sang-Cheol,Kwon, O-Sung,Bae, Jun-Hyung,Park, Tae-Joon,Kang, Jin-Kyu,Lee, Dong-Ha 한국태양에너지학회 2012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Vol.32 No.suppl3

        In recent years, understanding the dynamics of DC distribution system has become critically important due mainly to the increasing needs for the interconnection of DC distributed generators and the (DC-based) electric vehicle (EV) charging systems. In this pap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DC grid system connected to the compact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PEMFC) has been studied. In particular, the voltage and current transient phenomena were measured by varying the load of the DC grid system. Also, the voltage and current ripple were measured at the different load conditions. Our experimental results clearly manifested that the study contributes to the establishment of fundamental method to characterize the small DC grid system including distributed generation.

      • KCI등재

        천수만 해역에서 장마기 담수 방류가 플랑크톤에 미치는 영향

        이상우,박철,이두별,이재광,Lee, Sangwoo,Park, Chul,Lee, Doobyoul,Lee, Jaegwang 한국해양학회 2014 바다 Vol.19 No.1

        반폐쇄적인 천수만에서 장마기 동안 짧은 기간에 대량의 담수가 집중적으로 유입될 때 발생할 수 있는 플랑크톤 생태계의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장마기 전 후, 2012년 6월 27일부터 9월 1일까지 약 열흘 간격으로 수온, 염분, chlorophyll a 농도, 영양염 농도와 동물플랑크톤의 분포를 조사하여, 이들 각 변수간의 관계를 파악해 보았다. 담수 방류 후 영양염 농도는 약 2배 이상 증가하였고, 그 결과로 나타나는 chlorophyll a 농도 증가는 수 일이 소요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동물플랑크톤의 경우는 먹이생물인 식물플랑크톤의 증가에 따른 개체수 증가라는 긍정적인 면과 염분 충격으로 인한 사망이라는 부정적인 면이 동시에 나타나는 것으로 여겨졌다. 급격한 염분 하강으로 인한 동물플랑크톤의 사망률은 최고 40%까지 나타났으나, 사체의 빠른 침강으로 신뢰할 만한 사망률 추정에는 한계가 있었다. The impact of freshwater discharge on plankton was investigated in a semi-closed Cheonsu Bay during the rainy season. Field observations for environmental factors (seawater temperatures, salinities, chlorophyll a concentrations and nutrient concentrations) and zooplankton sampling were carried out from June 27 to September 1, 2012 at about 10 days interva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asured parameters and estimated values of zooplankton abundance were examined. After freshwater discharge, nutrient concentrations increased up to about twice and resultant increase of chlorophyll a followed within about 10 days. Both positive and negative impacts on zooplankton were observed. Positive one was the numerical response of zooplankton on this increased food supply, and negative one was the increased mortality caused by sudden changes in salinity. Maximum mortality of copepods was found to be up to 40%, although fast sinking of carcass made it difficult to estimate reliable mortality caused by salinity shock.

      • KCI등재

        물리화학적 처리를 이용한 군부대 사격장 내 중금속 오염 토양의 정화

        이상우,이우춘,이상환,김순오,Lee, Sang-Woo,Lee, Woo-Chun,Lee, Sang-Hwan,Kim, Soon-Oh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21 지하수토양환경 Vol.26 No.5

        This study evaluated the feasibility of combined use of physical separation and soil washing to remediate heavy metals (Pb and Cu) contaminated soil in a military shooting range. The soils were classified into two types based on the level of heavy metal concentrations: a higher contaminated soil (HCS) with Pb and Cu concentrations of 6,243 mg/kg and 407 mg/kg, respectively, and a lower contaminated soil (LCS) with their concentrations of 1,658 mg/kg and 232 mg/kg. Pb level in both soils exceeded the regulatory limit (700 mg/kg), and its concentration generally increased with decreasing soil particle size. However, in some cases, Pb concentrations increased with increasing soil particle size, presumably due to the presence of residues of bullets in the soil matrix. As a pretreatment step, a shaking table was used for physical separation of soil to remove bullet residues while fractionating the contaminated soils into different sizes. The most effective separation and fractionation were achieved at vibration velocity of 296 rpm/min, the table slope of 7.0°, and the separating water flow rate of 23 L/min. The efficiency of ensuing soil washing process for LCS was maximized by using 0.5% HCl with the soil:washing solution mixing ratio of 1:3 for 1 hr treatment. On the contrary, HCS was most effectively remediated by using 1.0% HCl with the same soil:solution mixing ratio for 3 hr. This work demonstrated that the combined use of physical separation and soil washing could be a viable option to remediate soils highly contaminated with heavy metals.

      • KCI등재

        반응표면법을 이용한 안전밸브의 최적화

        이상우,신대영,변철웅,Lee, Sang-Woo,Shin, Dae-Young,Byun, Cheol-Woong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7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Vol.20 No.5

        소화시스템에 사용되는 고압의 소화가스 저장용기에는 저장용기의 파손을 막아주는 안전밸브가 있다. 이러한 안전밸브의 내부에는 원형 박판의 파열 판이 들어 있는데, 저장용기의 내압이 위험수준에 도달하면 파열 판이 파손하여 내압을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안전밸브의 설계인자는 파열 판의 두께, 안전밸브의 유로 직경, 플라스틱 패킹 링의 내부 직경 그리고 파열 판을 고정하는 볼트 안쪽의 필렛 반경이 있다. 이중에서 파열 판의 두께는 0.2mm로 고정을 하였다. 요인배치법을 사용하여 주효과를 결정하였고 회귀방정식을 유도하였다. 이러한 회귀방정식은 추후 안전밸브의 설계에 있어서 기초 설계 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도록 실험 결과와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검증실험 및 회귀방정식에 의한 결과의 오차는 약 $2{\sim}5%$ 정도인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반응표면법을 사용하여 기밀테스트 압력인 25MPa에서 파열할 수 있는 안전밸브의 최적 모델을 결정하였다. High pressure storage of the agent gas in fire suppression system was composed of tank, main valve and safety valve, which prevents the fracture of the high pressure storage. The safety valve has circular thin plate as fracture plate that was destroyed over fracture pressure. When inner pressure of the storage is reached the fracture pressure, the safety valve discharges gas and degrades simultaneously the inner pressure of the storage. There are design variables such as flow path diameter, inner diameter of the plastic packing ring, thickness of plate and fillet radius. In this variables, thickness of plate is set to be a value of 0.2mm. The main effect of variables on the inner pressure, has been decided using factorial design and statistical analysis. Therefore, the relation of variables are expressed by regression equation. It is disclosed results that the difference of fracture pressures between the equation and experiment has $2{\sim}5%$. Finally,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 the optimal design of the safety valve could be decided with safety pressure of 25MPa, where the fracture occurs on circular thin plate.

      • KCI등재

        Review of Issues and Problems in Using Landscape Ecology Indices

        이상우,윤은주,이인성,Lee Sang-Woo,Yoon Eun-Joo,Lee In-Sung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004 韓國造景學會誌 Vol.32 No.5

        경관생태지수는 녹지의 이질성(Heterogeneity)을 계량화하기 위하여 제안되고 발전되어 왔다. 지난 수십년간 많은 연구에서 경관생태지수가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그 효용성이 인정되었지만, 경관생태지수의 사용에 따른 많은 문제점들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경관생태지수 사용에 따른 고려사항과 문제점들을 기존 연구들을 통해 고찰하고, 이를 기초로 적절한 응용방법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으로, 지수의 문제점을 내재적인 문제들과 응용상의 문제들로 구분하여 논의하였다. 지수 자체의 내재적인 문제로는 녹지구조와 기능과의 관계, 녹지구조의 측정 및 대표, 그리고 지수들의 불안정성 등을 들 수 있으며, 응용상의 문제점들로는 지수 선택, 스케일 변화와 피복 분류과정에 개입된 문제, 해석상의 오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최소화하는 방안으로는 첫째, 가설에 입각한 연구가 필요하며, 둘째, 측정하고자 하는 녹지의 공간적 특성을 명확히 규정하여야 하고, 셋째, 변위가 예측 가능한 지수를 사용해야 하고, 넷째, GIS나 인공위성 자료의 축척을 변화시키지 말아야 하며, 마지막으로 다섯째, 피복분류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분류상 오류를 최소화해야 한다는 점이다.

      • KCI등재

        Gun-type Nozzle의 분무입자(噴霧粒子) 미립화(微粒化)에 관(關)한 연구(硏究)

        이상우,Lee, Sang-Woo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1978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Vol.5 No.1

        Gun-type nozzle에 있어서 입자(粒子)의 미립화(微粒化)를 개선(改善)코저 절선속도(切線速度)를 증가(增加)하는 방법(方法)의 일환(一環)으로 Screw 중자(中子)를 제작(製作) 장치(裝置)한 Nozzle로 실내(室內)에서 분무실험(噴霧實驗)한 결과(結果) 다음과 같은 결론(結論)을 얻었다. 분무입자(噴霧粒子)의 직경(直徑)이 클수록 분무도달거리(噴霧到達距離)는 컸으며 Screw중자(中子)를 장치(裝置)하였을 때가 장치(裝置)하지 않았을 때에 비(比)하여 분무입자(噴霧粒子)의 미립화(微粒化)는 현저히 양호(良好)하였고 분무도달거리(噴霧到達距離)는 분구(噴口)가 소구경시(小口徑時)에는 거의 차이(差異)가 없었으나 분구(噴口)가 증대(增大)함에 따라서 현저히 짧아졌다. 최고(最高) 도달거리(到達距離) 지점(地點)부터 1~2m의 분무도달거리(噴霧到達距離)에 있어서는 기류부유이동(氣流浮遊移動)의 현상(現象)으로 분무입자(噴霧粒子)가 작아졌다. In order to improve atomization of droplet of sprayers, gun-type nozzle equipped with swirl screw which could increase tangential velocity had been us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 The larger diameter of atomized droplet was, the longer it reached. Tile atomizing phenomenon while using swirl screw in the nozzle was more efficient. There was little difference of travelling distance in the both nozzles when the small diameter of disk hole was used, but thetravlling distance of the nozzle with swirl screw was evidently getting shorter with the increase of the hole diameter compared to that of the nozzle without swirl sorew. The size of sprayed particles was getting smaller owing to the phenomenon of air movement the one to two meters travelling distance of droplet from maximum travelling point.

      • KCI등재

        호기성환경에서 비소의 지구화학적 거동에 미치는 미생물의 영향 및 오염 복구에의 적용 가능성

        이상우,김경웅,이종운,Lee, Sang-U,Kim, Gyeong-Ung,Lee, Jong-Un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1 자원환경지질 Vol.34 No.4

        높은 함량의 비소로 오염된 지역으로부터 분리해 낸 토착미생물들이 비소 지구화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Arsenite는 arsenate에 비하여 더욱 높은 미생물 성장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Arsenate를 함유한 배양액에 분리된 미생물들을 24시간 동안 배양한 결과, arsenate의 함량이 높을수록 미생물들의 성장은 감소하였으며 150mM 이상의 arsenate 조건에서는 성장이 확연히 중단되었다. 그러나, 동일 배양액에서 4일간에 걸쳐 추가 배양한 결과 미생물들의 성장이 다시 관찰되었으며 이는 미생물들이 비소를 해독하고 성장을 유지할 수 있도록 그들의 생화학적 기능을 조절하였음을 의미한다. 분리된 것 중 두 종의 미생물을 arsenate를 함유한 배양액에서 20시간 가량 배양한 결과, arsenate를 arsenite로 환원시켰음이 관찰되었고 이는 해독기제에 의한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동일조건의 배양액에서 4일간 추가 배양한 결과 총 용존 비소함량의 감소가 관찰되었다. 미생물은 자연조건에서 비소의 화학종 결정에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특성은 비소로 오염된 지역의 복구에 유용하게 사용되어 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The effects on arsenic geochemistry of indigenous microorganisms isolated from an area contaminated with high concentration of arsenic were investigated. Arsenite exerted higher inhibitory effects on the microbes' growth than arsenate. During incubation of the microbes in an arsenate-spiked medium over 24 hours, decrease in microbial growth was observed as arsenate content increased. Arsenate of 150 mM or over apparently inhibited cell growth. However, further incubation for up to 4 days in the high arsenate concentration medium resulted in cell growth, implying that the microorganisms adjusted their biochemical functions to detoxify arsenic and maintain growth. Two types of microbes were observed during 20 hours to reduce arsenate to arsenite in solution through a detoxification mechanism. As well, decrease in the total arsenic content occurred over a 4-day incubation with the same microbes in an arsenate-spiked medium.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microorganisms can influence arsenic speciation in natural settings and this may be applied to efficient bioremediation of arsenic-contaminated sites.

      • KCI등재

        고속철도 소음의 물리적특성과 역사주변의 외부소음 평가

        이상우,구재오,한찬훈,Lee, Sang-Woo,Goo, Jae-Oh,Han, Chan-Hoon 한국음향학회 1996 韓國音響學會誌 Vol.15 No.4

        최근 각종 교통소음 공해의 심각성과 주민들의 생활의 질에 대한 요구는 나날이 높아 가는 추세이다. 따라서 소음영향평가 및 소음조절 방안수립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고찰 및 실측을 통하여 선진 외국의 고속열차에 대한 소음의 물리적 특성을 규명한 후, 국내에서 최초로 건설되는 고속철도 전용역사인 C 종합역사를 대상으로 외부환경 소음도를 평가하였다. 이는 향후 국내 고속철도 개통에 따른 소음영향의 제반 문제점 및 개선방향과 역사 건물 실내외의 소음방지 대책을 수립하는데 주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With the increase in discomfort of living by serious traffic noise pollution, the desire of relieving from discomfort is boosted up more than ever. For this reason, the researches o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ient and noise pollution control are highly required. This research was aimed to analyze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noise caused by high-speed train in foreign countries by literature survey and field data. And with the attained results, the exterior noise level around Chon-An station, the first station planned for the high-speed train in this country, was estim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might be used as a tool for predicting the unavoidable noise, lessening the noise impact caused by the high-speed train, and preparing the noise prevention measures for the interior space and the exterior around st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