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인 이민자의 미국사회로 통합과 차이나타운(Chinatown)의 역할

        이민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16 중소연구 Vol.39 No.4

        This paper compares the differing modes of Chinese immigrant integration into American society before and after 1943. Three key questions are raised: First, why did Chinese choose to go to the United States and how did they enter? Second, how did changes in American immigration policy impact their adaptation into American society? Third, what roles did Chinatowns play in the settlement of Chinese immigrants in America? The research concludes first, that Chinese adaptation was closely related to the existence of Chinatowns. Chinese immigrants who entered the United States after 1943 were “integrated” into American society. In the course of integration, Chinatowns remained a bastion of Chinese culture.  Second, economic resources, educational level, and professional advancement have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differing adaptive modes of Chinese immigrants. Early Chinese immigrants demonstrated an “isolated” adaptation to American society due to their lower educational level and working-class background. On the other hand, more recent Chinese immigrants have entered the United States with economic and cultural capital, enabling them to be “integrated” into mainstream American society with their high income-level professions based upon this capital. 이 논문에서는 중국인 이민자의 미국사회 적응방식의 차이를 1943년 전후 이민자로 구분하여 비교했다. 핵심 질문은 다음 세 가지이다. 첫째, 중국 이민자들은 왜 미국 이민을 선택했고, 어떤 경로를 통해 미국으로 입국하게 되었는가? 둘째, 미국의 중국인 이민정책의 변화가 중국인 이민자들의 미국사회 적응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 셋째, 중국인 이민자가 미국사회에 정착하는 과정에서 차이나타운(Chinatown)은 어떤 역할을 했는가?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인의 미국사회 적응방식과 차이나타운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새로운 중국인 이민자(1943년 이후 미국으로 입국한 중국인)들은 미국사회로 ‘통합’되고 있다. 통합과정에서 차이나타운은 중국문화를 유지하는 근거지 역할을 하며 발전하고 있다. 둘째, 중국인 이민자의 적응방식의 차이에는 경제력, 교육수준, 전문직 진출 등이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초기 중국인 이민자들은 저학력 육체노동자였기 때문에 미국사회에 ‘고립’되어 적응했다. 새로운 중국인 이민자는 경제․ 문화적 자본을 가지고 미국으로 입국했다. 이런 자본을 바탕으로 고소득 전문직에 취업한 중국인들은 미국 주류사회로 ‘통합’되고 있다.

      • KCI등재

        이민 전·후의 연결망이 결혼이민자여성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우울도와 삶의 만족도를 중심으로

        이민 한국보건사회학회 2010 보건과 사회과학 Vol.0 No.27

        This study aims to examine if and how family and co-ethnic networks before and after immigration are associated with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marriage immigrant women in Korea. Data analyzed are from a survey in which 810 marriage immigrant women residing in Gyeonggi province participated. Depressive symptoms and life satisfaction are outcomes to captur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immigrant women. In the findings, immigrant women who had co-ethnic networks in Korea prior to immigration are likely to have greater depressive symptoms. Also, analyzing the effects of post-immigration networks, strong tie with spouse and family members are beneficial to psychological well-being. Co-ethnic networks after immigration, however, do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ve symptoms but have an advers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at 10% level. Finally, the findings show that timing of co-ethnic networks matters. Immigrant women who have co-ethnic networks before arriving in Korea or at both time points (i.e., before and after immigration) are more likely to have depressive symptoms than those who do not have any co-ethnic networks before and after immigration. Also, immigrant women who have co-ethnic networks at both time points are likely to have lower level of life satisfaction than their counterpar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imply that co-ethnic networks/ties are not always beneficial to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uggest that further in-depth research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co-ethnic network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immigrant women in Korea should be conducted. 본 연구의 목적은 이민 전과 후에 형성된 한국 내 연결망이 결혼이민자여성의 심리적 안녕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 데 있다. 분석 자료는 경기도가족여성개발원이 2006년에 수집한 ‘경기도내 국제결혼이민자가족에 대한 조사: 외국인 부인 가족’이며 응답자는 경기도에 거주하는 총 810명의 결혼이민자여성이다. 심리적 안녕감은 우울도와 삶의 만족도로 측정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는 다변량 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분석 결과는 본국출신 동료와의 연결망이 결혼이민자여성의 심리적 안녕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민 전에 한국 내에 존재하였던 본국 출신 동료와의 연결망은 우울도와 정적 관계를 가졌으며 이민 후 한국 내에 형성된 본국 출신 동료와의 연결망은 삶의 만족도와 부적 관계를 가지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본국 출신 동료와의 연결망 효과를 이민 전후의 시점에 따라 구분하여 분석해 본 결과, 이민 전 혹은 이민 전후에 모두 본국 출신 동료이민자와의 연결망이 있다고 응답한 여성들이 연결망을 전혀 갖지 않은 여성에 비해 우울도가 높았다. 반면 이민 전후에 모두 본국 출신 동료와의 연결망이 있는 여성들은 동료와의 연결망이 전혀 없는 여성들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낮은 삶의 만족도를 가졌다. 본 연구는 본국 출신 동료이민자와의 연결망 혹은 연계(co-ethnic tie)가 결혼이민자여성의 심리적 안녕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상식적인 예상을 벗어나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이민 후, 즉 조사시점의 연결망뿐 아니라 이민 전의 연결망효과에 대한 좀 더 깊이 있는 연구와 조사가 필요함을 함의한다.

      • KCI등재

        중국 발전모델의 특징 - 동아시아 발전 모델과의 유사성과 차이점 분석

        이민자(李民子)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08 신아세아 Vol.15 No.1

          그동안 중국 국내외에서 개혁기 중국 경제발전 방식은 기존 경험과 얼마나 유사하며, 다른가라는 논쟁이 제기되었다. 중국 발전모델은 동아시아 발전모델의 또 다른 한 형태라는 주장이 제기된 바 있다. 그러나 2004년 베이징 컨센서스(Beijing Consensus) 개념이 제기된 후, 새로운 ‘중국 발전모델’의 출현에 관한 논의가 주목받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중국 발전모델을 ‘동아시아 발전모델’과 비교하여 그 유사성과 차이점을 분석함으로써 중국 발전모델의 적실성 혹은 실체를 밝히고자 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중국 발전모델은 동아시아 발전모델과 유사성을 지님과 동시에 동아시아 발전모델로는 설명할 수 없는 중국적 특수성이 있다. 따라서 동아시아 모델과의 유사성 및 중국적 특수성이 공존하는 혼합적 발전 방식이 바로 ‘중국 발전모델의 특징이라 설명했다.   There have been debates over Chinese economic development pattern whether it is similar with former development pattern of other countries or not. Some scholars contended that Chinese development model is another version of East Asian development model. Since the concept of "Beijing Consensus" was presented in 2004, however, scholars have given attention to the new Chinese Development Model.<B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 between Chinese Development Model and East Asian development model. The findings are Chinese Development Model has its own particularity which cannot be explained by East Asian Development model although it has some similarity. Consequently, Chinese Development Model is a mixed model where Chinese distinctiveness and general aspect of East Asian Development model coexist.

      • KCI등재

        시진핑 집권 1기 반부패운동의 정치적 목적

        이민자(Minja LEE)(李民子)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17 신아세아 Vol.24 No.1

        반부패운동은 시진핑(習近平) 주석과 왕치산((汪岐山)이 주도하는 중앙기율검사위원회가 중심이 되어 추진되고 있다. 이 논문은 시진핑 집권 1기 반부패운동에 담긴 다양한 정치적 목적을 사례분석을 통해 설명했다. 반부패운동의 정치적 목적은 다음 세 가지로 정리될 수 있다. 첫째, 중앙수준에서 반부패운동은 성역 없는 조사를 통해 시 주석의 정치적 반대세력을 제거함으로써 당 중앙 및 시진핑 주석으로 권력을 집중하기 위한 것이다. 둘째, 지방수준에서는 지방 관료에 대한 통제와 공산당의 통치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 즉, 지방 관료에 대한 부패 감찰을 통해 당의 기강을 확립하여 당 중앙의 통제를 강화하고, 2017년 19차 당대회를 앞두고 문제 있는 지방 관료를 시진핑 세력으로 교체하여 차세대 리더십을 조정하려 한다. 공산당의 통치 정당성을 훼손하는 지방 관료의 부패척결은 국민의 지지를 확대하기 위한 통치전략이다. 셋째, 개혁에 걸림돌이었던 정치적 야심가를 제거하여 개혁을 심화하기 위한 체제정비가 진행 중이다. 즉, 당 기율을 위반하고 당을 분열시키는 정치적 야심가를 제거하여 개혁에 대한 저항을 약화시키려 한다. 특히 시장을 왜곡하는 석유방(石油幇)과 같은 기득권 세력을 공격하는 이유는 시장이 자원 분배에서 주도적 역할을 하여 지속적 경제성장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반부패운동은 경제개혁을 방해해 온 국유기업 부문의 기득권을 해체하는 수단이 되고 있다. This paper offers a case study of the comprehensive political purposes of the Anti-Corruption Campaign of the Xi Jinping(習近平) regime. The Central Discipline Inspection Commission (CDIC), steered by President Xi Jinping and Chairman Wang Qishan, has been driving the Anti-Corruption Campaign. The political purposes of the Anti-Corruption Campaign are first, it aims to eliminate Xi s political rivals, which would increase the centralization of power in the Chinese Communist Party (CCP) and Xi. Second, the campaign intends to consolidate the Party s domination. Rebuilding party discipline by investigating local officials gives the Party stronger control, and replacing corrupt local officials increases the Party s power before the 19th National Party Congress in 2017. Third, the campaign is justified as “an eradication of politically ambitious people” and “deepening reforms.” Enhancement of the Party s domination through the eradication of “politically ambitious people” who break party discipline is a veiled attack on political rivals. Attacks against vested interests groups, like the Oil Gang (石油幇, Shiyoubang), that distort the market, deepen reforms which in turn supports economic development.

      • KCI등재

        중국 호구제도 개혁과 농민공(農民工) 2세의 시민화

        이민자(李民子)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15 신아세아 Vol.22 No.1

        시진핑(習近平) 정부가 신형도시화 정책을 제시한 후 호구제도 개혁이 급물살을 타고 있다. 연구 목적은 호구제도(戶口制度) 개혁이 ‘농민공(農民工) 2세’의 시민화에 어떤 새로운 변화를 가져오는지 설명하는 것이다. 호구제도 개혁에 따라 농민공 2세가 도시에서 시민화 되는 과정을 ‘분할된 통합(segmented incorporation)’이라는 용어로 설명했다. 이 개념을 통해 농민공 2세가 도시에서 호구에 인하여 시민으로 완전히 통합되지 못하고 중국정부가 허용하는 제한된 영역에서만 시민으로 대우받는 상황을 보여주었다. 첫째, 호구제도 개혁에도 불구하고 대도시 농민공은 특정 허용된 영역에서만 시민 대우를 받는‘분할된 통합’이 나타나고 있다. 예컨대 농민공 자녀는 대도시에서 공립학교 입학으로 제도적으로는 통합되었지만, 현지 사회의 문화적 저항으로 인해 ‘공간적 격리(spatial segregation)’를 겪고 있다. 둘째, 농민공 자녀는 대도시에서 대입 시험에 응시할 수 없는 ‘제도적 배제’를 경험하고 있지만, 2014년부터 일부 도시에서 농민공 자녀에게 대입시험 응시자격을 허용한 것은 ‘분할된통합’이라 볼 수 있다. 셋째, 외자기업에서 주로 일하는 농민공 2세는 집단저항과 연대파업을 통해 제도적 차별에 저항하며 노동자로서 권리를 찾아가며 시민으로 정착을 시도하고 있다. The household registration system (hukou) has been rapidly reformed since the Xi Jinping administration announced a new urbanization policy. This article attempts to explain the institutional and cultural incorporation of second-generation migrant workers in the reformed hukou system in China. It argues that the hukou system still represents a critical social boundary in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foreign factories where second-generation migrant workers are working. Despite the reforms, second-generation migrant workers are unable to be full residents in big cities such as Beijing and Shanghai. They can only be accepted as “full residents” in the limited sphere that the Chinese government has permitted. This paper applies the term “segmented incorporation” to characterize differences between urban residents and migrants.

      • KCI등재

        중국 농민공의 계층분화와 주변화 - 불법 이농민에서 도시빈민으로

        이민자(李民子)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07 신아세아 Vol.14 No.2

          중국 베이징(Beijing)의 동향촌(同鄕村: migrant community) 농민공에 대한 기존연구에 의하면, 농민공은 이질적인 다양한 사회계층으로 구분되며, 그 중 경제적 상층은 이미 주류사회에 진입하여 시민화되고 있다.<BR>  그러나 이 논문에서는 동향촌 밖 농민공의 도시적응방식의 특징에 관한 연구를 통해 "주변화," "도시빈민화"라는 측면에서의 농민공의 동질성을 보여주었다. 이 논문의 문제의식은 "동향촌 밖에" 거주하는 농민공들이 2000년대 호구제도 개혁, 차별정책 폐지라는 제도 변화에도 불구하고 왜 시민화에 실패하는지이다. <BR>  농민공들이 도시에서 장기거주할지라도 도시 주류사회로 진입하여 "시민"으로 동화 혹은 통합되지 못하고 "주변화(marginality)" 되는 이유를 다음 4가지 요인을 중심으로 설명 했다. 첫째, 제도 개혁의 한계: 농민공과 시민 간의 차별정책이 일부 폐지되고 있으나 여전히 "농업 호구"로서 시민과 불평등, 둘째, 경제적 빈곤: 이중적 노동시장에서 시민이 기피하는 3D 업종에 종사하며 도시 빈민화, 셋째, 고립된 거주 공간" 도시 외곽의 농민공 집중거주지(城中村: village in the city)에 거주, 넷째, 사회적 빈곤: 사회, 문화적 차별로 인한 고립된 사회관계 등이다. 특히 농민공이 주변화 되는 이유는 위 4가지 요인 중 호구제도 자체의 제약보다는 단위제도(單位制度)로 인해 발생한 경제적 빈곤, 고립된 거주공간, 사회적 빈곤이 더 강하게 영향을 미친다.   According to the former research on Chinese peasant migrants in the Beijing migrant community, peasant migrants has been divided into multiple social classes, and their upper class has been integrated into major citizenry. This paper focuses on the adapting pattern of the peasant migrants outside Beijing migrant community, finding that they has been marginalized and become urban poor.<BR>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is that the peasant migrants has failed in being integrated into major citizenry because of the following four reasons. First, the peasant migrants are still under the control of unfair Hukou System although many discrimination policies has been abolished, that is, the limitation of system reform. Second, the peasant migrants became urban poor, working on 3D jobs in the dual labor market, i. e., economic poverty. Third, most peasant migrants inhabit suburb village in the city, i. e., isolated living area. Fourth, the peasant migrants suffer cultural and social discrimination, i. e.. social poverty. Among these factors, the latter three factors, generated by Chinese Danwei System, have had more serious impact on the marginalization of the peasant migrants.

      • KCI등재

        친구는 많을수록 좋은가? 친구 연결망의 크기가 중학생의 친구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

        이민아(李旼娥),신철균(申鐵均),강정한(姜政漢)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아시아교육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중학생의 친구 연결망이 긍정적 친구관계 및 상호협조의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친구 연결망의 속성에 따라 영향이 다른지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총 2,465명의 중학교 1학년생을 대상으로 수행된 설문결과 조사를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사용하였으며, 친구 연결망의 속성을 (1)응답자가 친한 친구라고 지목한 학급 내·외 학생의 수, 즉 외향연결 친구수(outdegree)와 (2)응답자를 친한 친구라고 지목한 학급 내·외 학생의 수, 즉 내향연결 친구수(indegree)라는 두 가지 방식으로 구분하여 측정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내향연결 친구수의 수가 증가할수록 응답자의 긍정적 친구관계와 상호협조의 수준이 높아졌다. 그러나 내향연결 친구수를 통제한 상태에서 외향연결 친구수는 긍정적 친구관계와 상호협조에 역U자형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응답자가 생각하는 친구 연결망의 크기가 증가하면 긍정적 친구관계와 상호협조의 수준이 증가하다가 중간 수준을 넘는 크기의 연결망은 다시 긍정적 친구관계와 상호협조의 수준을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친구 연결망의 속성에 따라 친구관계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다는 사실과 중학생 본인이 생각하는 친구 연결망의 크기가 과도하게 증가하면 오히려 친구관계에 대한 부담과 긴장을 증가시켜 관계의 질이 떨어질 수 있음을 함의한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associations between friendship networks and quality of friendship (Positive relationships with friends and cooper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analyze if and how friendship networks have independent and different effects on the quality of friendship depending on its characteristics. We analyzed survey data from 2,465 students from 22 middle schools in Korea collected in 2015. Respondents reported their friends’ within their class and in their school. For each student, we measured two friendship network size variables by generating the number of friends that a respondent reported (i.e., outdegree), and the number of schoolmates who claimed him/her as a friend (i.e., indegree).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the indegree of friendship network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associated with both positive relationships and cooperation with friends, which means that the quality of friendship increased as the size of friendship indegree increased. In contrast, outdegree of friendship network had significant, but non-linear effects on positive relationships and cooperation with friends. The quality of friendship increased as the size of friendship outdegree increased, but excessive size of outdegree reduced the quality of friendship. This study suggests that friendship networks have differential effects depending on by whom friendship networks are reported, and the too many friends that an ego recognizes might have harmful effects on the quality of friendship.

      • KCI등재

        자치시대 NGO의 네트워크화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이민창(李敏彰),김정부(金楨富) 한국지방자치학회 2002 韓國地方自治學會報 Vol.1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auses of a recent phenomenon, the network formation among Korean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NGOs). Utilizing the transaction cost approach(TCA), this study examines the level of transaction costs between the NGOs and their main resources of voluntary professionals on the one hand, and demanding citizens on the other hand, the two determining factors in the choice of the NGOs' organizing type. On this basis, this study tests whether the change in the level of the transaction costs has an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networking of the NGOs through the analysis of a survey on the staff members of the NGOs. The test results are: 1)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the supply-side transaction cost and the network formation between 1995 and 2000, and these two variables are negatively correlated, 2) the demand-side transaction cost reveal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1995 and 2000, and does not confer any meaningful relationship with the network building. The latter suggests that the uncertainty and complexity of environment are effectively controlled through the accumulation of expertise in related issue areas.

      • KCI등재

        중국의 외국인직접투자(FDI)와 중국식 발전모델

        이민자 (李民子 LEE Min-Ja)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09 신아세아 Vol.16 No.2

        중국 경제개혁의 특징은 ‘외국인 직접투자(FDI: Foreign Direct Investment)’를 중심으로 수출주도형 경제발전을 추진하여 고도성장에 성공한 것이다. 중국 FDI에 관한 기존연구는 경제발전의 시각에서 순기능과 역기능을 설명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그러나 2001년 이후 중국의 FDI 정책이 변화되고 있는데 그 이유는 무엇이며, 이런 FDI 정책 변화를 ‘중국식 발전 모델’의 시각에서 어떻게 볼 수 있는지, FDI가 중국의 사회․정치적 변화의 차원에서 어떤 함의를 지니는지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어졌다. 이 논문은 1992년부터 2001년 WTO 가입 이전까지 FDI 의존적 발전, 2001년 이후 FDI 개방 확대, FDI 우대정책 폐지 및 관리 강화라는 정책변화를 ‘중국식 발전모델(Beijing Consensus)’의 시각에서 연구한다. 핵심 문제의식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동아시아국가들이 차관 의존적 발전을 한 것과 달리 중국은 1992년 이후 왜 FDI 의존적 발전방식을 선택했는가? 둘째, 2001년 이후 FDI 정책 변화의 핵심 내용은 무엇이며 왜 이런 변화가 발생했는 가? FDI 정책 변화는 ‘중국식 발전모델’의 시각에서 어떻게 해석할 수 있는가? 셋째, 중국정부의 FDI 정책이 중국의 민주화를 지연시키고 공산당 통치체제 유지에 기여했는가? 이런 의문들에 대한 해답을 찾는 과정을 통해 중국의 ‘경제개혁 심화’와 ‘공산당체제 유지’를 중국식 발전모델의 특징으로 설명하고 있다. Chinese economic reform has successfully accomplished high growth of economy by adopting export promotion policy on the basis of foreign direct investment(FDI). Studies about Chinese FDI policy, until now, have focused on good and bad effects on economic development. There has not been enough research on the cause of Chinese FDI policy change after joining WTO in 2001, its relations to Chinese development model, and the influence of FDI policy on socio-political change. This study focuses on Chinese FDI policy change on the basis of Beijing Consensus: i. e., FDI dependent development from 1992 to joining WTO in 2001, open-door policy for FDI after 2001, and the abolition of preferential policy for FDI and intensification of management. I raised four questions in detail. First, why China chose FDI dependent development after 1992 while other East Asian countries chose foreign loan dependent development? Second, what was the contents of main change of FDI policy after 2001 and the meaning in terms of Chinese development model, and what was the reason? Third, did Chinese FDI policy change contribute to sustain the governing of communist party and to delay democratization? Answering these questions, I explained Chinese ‘strong economic reform’ and ‘the sustenance of communist party system’ as the special feature of Chinese development model.

      • KCI등재

        중국식 민주와 공산당 체제의 공존

        이민자(李民子)(LEE Min-Ja)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13 신아세아 Vol.20 No.3

        In order to understand the limitation of political reform in Xi Jinping administration, I have compared Chinese-Style Democracy with Western Democracy and clarified the distinction. The reason that Chinese government criticizes Western liberal democracy, representing a multiparty system, a free election and separation of the three branches of government, and emphasizes ‘Chinese-Style Democracy’ is to justify one-party rule of the Communist Party. ‘Democracy within the Party’ is pushed forward with strategic intentions that the Communist Party solidifies its ruling foothold and expands its support base and ultimately ensures stability of Community system and justifies the Community system. In conclusion, ‘Chinese-Style Democracy’ and ‘Democracy within the Party’ is a strategy of the Communist Party’s long-term seizure of power that delays ‘liberal political democrat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