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중국어 인물지칭어 감정표현의 의소(義素)

        이명아,한용수 한국중국언어학회 2016 중국언어연구 Vol.0 No.62

        In order to understand the internal composition and semantic relations of Chinese terms of address used for expressing positive/negative emotions, this research compared and analyzed the semantic features of Chinese terms used in addressing a person. The scope of the research is modern Chinese terms of address used for expressing positive/negative emotions, including partials from archaic Chinese and neologisms used to address a person, which serve as comparison material to interpret semantic changes over time.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In most cases, Chinese terms of address contain positive connotations when the addressee meets the appropriate standards of competence, physical appearance, virtue, etc. In the opposite case, they have negative connotations. However, the feature [FINANCIAL STRENGTH] is usually used with a negative connotation regardless of the person`s standards, indicating the general population`s negative attitude towards someone with [+FINANCIAL STRENGTH]. The relationship between Chinese semantic features of feminine and masculine terms of address and the expression of positive/negative emotions is also related to societal demands and standards for men and women. Especially, [COMPETENCE] is considered a crucial social standard for men, and [PHYSICAL APPEARANCE] has greater importance than [COMPETENCE] for women. [SEXUAL PURITY] is a semantic feature often related to the expression of emotions about women, in which [-SEXUAL PURITY] has been deeply related to negative connotations for feminine terms of address, from archaic to modern day Chinese. There are instances in which expressions of emotion are demonstrated differently in Chinese terms of addresses in neologisms compared to archaic forms. These terms of address, when used in neologisms, show partial changes and newly added qualities of semantic features.

      • KCI등재

        술 문화 관련 중국어 속담의 의미 양상과 수사법 분석

        이명아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22 철학·사상·문화 Vol.- No.39

        This study examines the semantic structure, morphological features, and rhetoric of Chinese proverbs related to alcohol. In the Chinese proverbs, alcohol is expressed as a food to treat precious guests and an indispensable food at a feast. The main meaning domains of Chinese proverbs related to alcohol are mental and emotional, physical and health, and food fields. Although various forms of alcohol-related words are used, the upper category word “jiu (alcohol),” which refers to the generic term for drinks containing alcohol, is used the most. Lower category words and co-occurrence relation words are also used. In rhetoric, metaphors, antithesis, and rhyme are mainly used. Among related proverbs, “hao jiu (good alcohol)” means “talent, good work, good things, profit,” “ku jiu (bitter alcohol)” means “disaster,” and “cun jiu (alcohol made by a farmer himself/herself) means “a distinctive thing,” giving a glimpse into the cultural concept of the Chinese. In addition, in some of them, rhyme is used, and a unique Chinese rhetorical phenomenon that emphasizes the expression of rhythm and musical beauty can be seen. 이 논문은 술 문화와 관련된 중국어 속담을 대상으로 의미 구조, 형태적 특징, 수사법을 고찰했다. 중국어 속담 중 ‘酒[술]’는 귀한 손님을 대접하는 음식으로 잔치에서 빼 놓을 수 없는 음식으로 표현된다. 술 문화 관련 중국어 속담의 주요 의미 영역은 정신 및 감정적 분야, 육체 및 건강 분야, 음식 등이 나타난다. 중국어 속담 중 ‘酒[술]’ 관련 단어는 다양한 형태가 사용되지만 이중 알코올 함유 음료를 뜻하는 상위 범주 형태 ‘酒[술]’가 가장 많이 사용되며 이외에 하위 범주 형태와 공기 관계 형태 등이 쓰인다. ‘酒[술]’ 관련 중국어 속담의 수사법은 주로 ‘比喻[비유], 对偶[대구], 韵脚[운각]’ 등이 쓰이며 관련 속담 중 ‘好酒[좋은 술]’는 ‘인재, 좋은 일, 좋은 물건, 이득’ 등을 비유하고 ‘苦酒[쓴 술]’는 ‘재앙’을, ‘村酒[농민이 직접 빚은 술]’는 ‘특색 있는 사물’을 비유하여 중국인들의 문화적 관념을 엿볼 수 있다. 또한 이중 일부는 각 문장의 마지막 음절에 ‘韵脚[운각]’을 사용하여 리듬감과 음악미 표현을 중시하는 중국 특유의 수사 현상을 관찰할 수 있다.

      • KCI등재

        중국어 사람 신어의 생성과 수사 현상-2016년-2020년 중국어 신어를 중심으로-

        이명아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24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96 No.-

        인간의 사회적 관계를 반영하는 ‘호칭과 지칭(称谓)’은 중국어 어휘체계에서 자주 사용되는 범주 중 하나이다. 중국어 신어에는 이러한 사람을 지칭하는 단어의 생성이 매년 활발하다. 그뿐만 아니라 여기에는 중국인들의 언어습관과 문화가 반영된 수사 표현을 볼 수 있다. 이에 본고는 2016년부터 2020년까지의 중국어 신어를 대상으로 사람을 지칭하는 단어의 생성과 수사적 측면을 분석하여 다음의 몇 가지 사실을 관찰했다. 중국어 사람 신어에서의 수사법은 은유, 환유, 언어유희, 모방, 축약 등이 주로 나타난다. 이중 은유와 환유에서의 보조관념은 관습적으로 연상되는 대상으로, 중국인들 일상의 경험과 밀접하여 그 속성을 비교적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대상이 주로 쓰인다. 중국어 사람 신어에서 이러한 대상의 예로, ‘신화 속 짐승, 개, 소라, 달팽이, 한라봉, 사탕수수, 망고, 레몬, 분홍, 빨강, 노랑, 파랑, 불교, 트래픽, 슬래시’ 등이 있다. 이러한 보조관념은 중국인들에게 일반적으로 잘 이해되거나 지각하기 쉬운 사물의 면으로, 그들이 공유하는 문화와 경험에 기초한 사고방식, 행동 양식 등을 엿볼 수 있다. 이외에도 본고의 수사 현상 중에는 중국어 어휘의 문화적 상징 의미를 볼 수 있다. 예로, 색채어와 맛 표현 단어는 언어문화권에 따라 확장의미가 일부 다른데, 중국어 사람 신어에서의 ‘노란색(黄色)’, ‘신맛(酸)’과 관련된 수사적 표현이 이에 해당한다. ‘Terms of address and reference’, which reflect social relationships of humans, are one of the categories frequently used in the Chinese vocabulary system. In Chinese neologisms, such words referring to people are actively created every year. In addition, rhetorical expressions that reflect Chinese language habits and culture are also used in this case.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d the creation and rhetorical aspect of words that refer to people in Chinese neologisms from 2016 to 2020 and observed several facts as follows. Rhetoric in Chinese neologisms related to people mostly appears in the form of metaphor, metonymy, pun, imitation, and abbreviation. Conventionally associated objects are mostly used as vehicles for metaphor and metonymy. Some examples include mythical beast, dog, conch, snail, sugar cane, mango, lemon, pink, red, yellow, blue, Buddhism, traffic, and slash. Cultural symbols and meanings of vocabulary are also used in this rhetorical phenomenon. For example, words that express color and taste have somewhat different extended meanings depending on the language and culture, and these include rhetorical expressions related to ‘yellow’ and ‘sour’ in Chinese neologisms related to people. Finally, imitation and abbreviation are widely used in the creation of Chinese neologisms, and there is an increasing use of new forms different from before in imitation.

      • 암 환자의 통증 외 증상의 빈도 및 고통 지수 조사 - "표준형 성인 암성 통증평가 도구"개발을 위해 -

        이명아,최윤선,장세권,박진노,송찬희,윤소영,이지원,염창환,Lee, Myung-Ah,Choi, Youn-Seon,Jang, Se-Kwon,Park, Jean-No,Song, Chan-Hee,Yoon, So-Young,Lee, Ji-Won,Yeom, Chang-Hwan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03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6 No.1

        목적 : 본 연구는 한국의 암 환자에서 나타나는 증상 발병율과 고통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암환자의 통증조절을 위한 초기 평가 도구를 개발하기 위해서 실시하였다. 방법 : 2003년 1월 6일부터 20일 사이에 국내 5개 종합병원에 내원한 암 환자 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환자들은 MSAS (Memorial symptom assessment scale)을 이용하여 나타난 증상에 대해 기록하였다. 결과 : 가장 흔한 증상은 무기력(82.1%), 구갈(73.5%), 통증(73.5%) 등이었고 흔한 증상 24가지 중에서 고통 지수가 높은 증상은 구갈(2.11), 가려움증(2.07), 통증(2.03) 등이었다. 통증과 정신 심리학적 증상을 제외하고 빈도와 고통 지수가 높았던 10가지 증상을 평가 항목으로 선정하였다. 결론 : 이들 10가지 증상은 한국의 암 환자에서 발병율과 고통 지수가 높은 증상들이다. 따라서 이들 증상들에 대한 평가가 암 환자에서 통증 조절을 위한 통증 초기 평가 도구를 개발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primary assessment tool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ymptom prevalence and symptom distress in cancer patients of Korea. Methods : A total of 196 patients diagnosed with cancer admitted in 5 general hospitals from January, 6 to January, 20 in 2003, were entered into the study. These patients were asked to complete the MSAS (Memorial symptom assessment scale). We classified these answers into prevalence and distress and then scored them according to grade and frequency. Results : The five most prevalent symptoms were lack of energy (82.1%), dry mouth (73.5%), pain (73.5%), itching (72.4%), and feeling drowsy (68.9%). Among 24 common prevalent symptoms, the ten most distress the symptoms were dry mouth (2.11), itching (2.07), pain (2.03), lack of energy (1.98), difficulty sleeping (1.96), worrying (1.94), "I don't look like myself" (1.91), constipation (1.88), and difficulty concentration (1.76). Conclusion : These 10 symptoms had high prevalence and distress in cancer patients of Korea. We suggest these symptoms to be applied in developing the primary assessment tool in cancer patients.

      • KCI등재

        牟宗三 先生이 본 中國 現代哲學의 課題 硏究

        이명한(李明漢) 한국양명학회 2009 陽明學 Vol.0 No.23

        牟宗三 선생은 중국 현대철학의 과제로 ‘공산주의비판’, ‘기독교에 대한 대응’, ‘立本’, ‘현대화’ 등 네 가지를 제시하였다. 모 선생은 인류의 현대사에서 가장 큰 재앙으로 공산주의 국가가 건설된 것으로 생각했고, 특히 공산주의가 만들어 논 중국의 현실에 극도의 혐오감을 갖고 있다. 그에게 공산주의는 인간의 생활을 파괴하였고, 인간의 존엄성과 인격을 부정한 도저히 용납할 수 없는 사회를 만든 사상으로 인식되었다. 그래서 적극적인 공산주의 비판을 하였다. 또한 서양에서 유입된 기독교도 중국의 문화 정신과 화합하지 못하고, 중국문화정신과 배치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그는 기독교를 서양문화의 근간으로 인식하였다. 이런 기독교에 대한 정확한 인식이 중국 전통문화를 계승, 발전시키는데 보탬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서양문화 옹호론자들에 의해서 부정되고, 공산주의에 의해서 철저하게 파괴된 중국전통문화를 계승,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중국문화의 常道인 유학을 부흥시켜야 한다는 입장을 천명하고 있다. 이것이 바로 ‘立本’이다. 그의 입장에서는 유학이 사라지면, 중국문화도 소멸할 것이라는 분명한 입장을 가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현대화를 말한다. 현대화는 과학의 발전과 민주주의의 실현이라는 두 측면이 있지만, 여기서는 보다 중요한 민주주의의 실현을 중점으로 제시하여 논하고 있다.

      • KCI등재

        녹문과 양명의 心性論 비교 연구 - 理氣一物의 관점을 중심으로-

        이명심(李明心) 한국양명학회 2021 陽明學 Vol.- No.60

        본 연구는 녹문 기학과 양명 심학의 구조적 유사성과 내용적 친연성을 규명하는 데 목적을 둔다. 유ㆍ불ㆍ도를 포괄하는 동양철학의 종지는 천인합일 내지 만물일체를 구현함에 있다. 그런데 유학사상사를 개괄해보면, ‘인간과 천지만물이 하나가 됨’을 체현하는 방법론에서 性命철학과 生命철학의 두 줄기가 전개됨을 알 수 있다. 즉, 정주학은 성명철학에 소속되고, 양명학은 생명철학에 소속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천지우주의 본체론적 개념인 理는 도덕을 상징하고, 氣는 생명을 상징한다. 정주학에서는 리로써 천인합일하는 경지를, 양명학에서는 기로써 만물일체하는 경지를 추구한다. 정주학과 달리 명도는 인간의 본질을 생명으로 규정하는데, 이러한 논리는 ‘性之生理’로써 性과 生을 합일하는 양명이 계승하였고, ‘氣의 生意’를 중시하는 녹문 또한 명도의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인간의 본성을 ‘도덕’으로 규정하는 정주학과 변별되는 점은 바로 ‘生意’의 강조에 있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녹문과 양명은 공히 도덕과 생명의 상충이 아니라 도덕과 생명의 합일을 주장한다는 점에서, 그들의 학문 내용에 친연성이 있다는 것을 알게 한다. 그뿐만 아니라, 그들은 논리체계를 건립하는 방법론에서도 정주학적 ‘理氣二元’을 벗어나 ‘理氣一物’의 관점을 제시함으로써, 논리 구조의 유사성마저 보여주는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structural similarities and content affinity between the Doctrine of Nokmun’s and the Doctrine of Yangming. The wisdom of Oriental philosophy, which encompasses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is to realize the unity of God and men or the unity of all things. To sum up the history of Confucius philosophy, however, the two stems of Human’s Nature and Heaven’s Destiny Philosophy(性命) and Life and Heaven’s Destiny Philosophy(生命) unfold in the methodology, which embodies the idea that “Everything that exists is united into one set.” In other words, the Doctrine of Chutzu’s belongs to Human’s Nature and Heaven’s Destiny Philosophy(性命), and the Doctrine of Wang Yangming belongs to Life and Heaven’s Destiny Philosophy(生命). In the ontologistic concept of the universe, Li(理) symbolizes The Morality and Gi(氣) symbolizes The Life. While the Doctrine of Chutzu’s pursues the stage of 天人合一(Heaven and The Human is one set) through Li(The Morality), the Doctrine of Yangming seeks the state of 萬物一體(All things are one set) through Gi(The Energy-Life). Unlike the Doctrine of Chutzu, Mingdao defines the essence of man as The Life and Yangming, who unites The Nature(性) and The Life(生) by The Life Principle of The Nature(性之生理), inherited it and Nokmun, who lays stress on Living Will(生意) of The Energy(氣), was also greatly influenced by Mingdao. Therefore, what is distinguished in the Doctrine of Chutzu, which defines the essence of man as “The Morality”, is that the emphasis is on “Living Will”(生意). Even so, Nokmun and Yangming make us aware that the contents of their study have an affinity, in a sense that they both claim the unity of The Morality and The Life, rather than the contradiction of The Morality and The Life. In addition, they even show the similarity of logical structure in the methodology of establishing a logical system, by presenting a viewpoint of “Li-Gi-Il-Mul”(理氣一物), outside of the Doctrine of Chutzu’s “Li-Gi-I-Won”(理氣二元).

      • KCI등재

        색채어 관련 중국어 관용어 분석

        이명아,한용수 중앙대학교 외국학연구소 2017 외국학연구 Vol.- No.39

        This paper examines the cultural meaning of terms for color in Chinese idioms, their rhetorical features, and the frequency of their use in modern language. Several patterns emerged. First, certain Korean words for colors are written with the same or similar Chinese characters as the corresponding words in modern Chinese. However, due to diachronic changes in meaning, some color terms actually refer to different colors in Korean and Chinese. Even though they refer to the same color in some cases, the frequency of use and socio-cultural status of these terms are different in the two countries. Second, the frequency with which these terms appear in corpus data and dictionaries illustrates the popularity of these idioms in modern Chinese. Some of the most frequent idioms (according to corpus data analysis) are 开门红, 脸红脖子粗, 开绿灯, 背黑锅, etc. White occurred most frequently in Chinese idioms, followed by black, red, and yellow. Third, contrast and rhyme are two rhetorical features of Chinese idioms involving color terms. Colors that are contrasted include black and white, red and blue, and red and white; the dual opposite pair red and white is the only pair that has a symbolic meaning in Chinese culture. Fourth, Chinese idioms involving color terms generally have a positive or negative connotation. Differences can be observed between words and sentences, which are grammatical units with clear meanings. For instance, color idioms with a positive or negative connotation have their own meaning (referring to a color) regardless of grammatical structure, while in color idioms with a neutral connotation, the phenomenon or behavior described by the entire sentence has a positive or negative conno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