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실생활 맥락의 문장제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 조사 연구

        이규희,이지현 대한수학교육학회 2021 수학교육학연구 Vol.31 No.4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sensitively’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consider realistic contexts while solving problematic problems. Six pairs of word problems were collectively administered to 85 students in third grade during a mathematics lesson, and follow-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1 students. The survey found that the proportion of students who solved the problems by sensitively considering real-world knowledge was not high (22%). In the follow-up interviews, the students reported that they would think of mathematics separately from real-world situations. An analysis of the students’ reactions to real-life problems has implications for the practice of school mathematics regarding real-life word problems.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중학생들이 실생활 맥락의 문장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실생활 맥락의 지식을 얼마나 예민하게 고려하는지, 또 그렇게 인식하는 이유가 무엇인지를 탐색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85명의 중학교 3학년 학생들에게 정형화된 실생활 맥락의 문장제와 불확실성을 내포한 실생활 맥락의 문장제를 해결하게 하고, 11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후속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 실생활 맥락을 예민하게 고려하여 실생활 맥락의 문장제를 해결한 학생의 비율은 약 22%로 높지 않았다. 후속 인터뷰 결과, 대부분의 학생들이 실생활 맥락의 문장제와 현실 상황을 분리하여 사고하는 특징을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실생활 문장제에 대한 학생들의 비현실적 반응은 학교수학에서의 실생활 문장제 교수학습 관행에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연속적 공변 상황에 대한 질적 그래프 구성 과제에서 드러난 예비교사들의 추론 양상 분석

        이규희,이지현 대한수학교육학회 2020 수학교육학연구 Vol.30 No.3

        In Middle School Mathematics 1 of the 2015 revised Korean mathematics curriculum, before the definition of a function, the task of constructing a qualitative graph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changing quantities has been newly proposed. In relation to the changes in the 2015 revised Korean mathematics curriculum, this study explored the reasoning of pre-service teachers revealed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a qualitative graph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quantities that are continuously changing. Most pre-service teachers constructed graphs by focusing on the covariation than the correspond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quantities. Additionally, they successfully reasoned the global shape of the graph by form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as a multiplicative object. However, many pre-service teachers showed difficulty in judging or not judging the differentiable at the point which changes the local shape of graph. Some pre-service teachers thought that the slope of the tangent at the inflection point was zero or invoked time even if it doesn't require. The results in this study suggest that 1) in a continuous covariation situation, the formation of a multiplicative object such as a slope is a critical factor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global shape of the graph, 2) smooth continuous covariation reasoning is a critical factor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local shape of the graph, 3) covariation reasoning has a level difference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global and local shape of the qualitative graph.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수학 1에서는 함수의 정의 전, 변화하는 두 양의 관계를 질적 그래프로 구성하는 과제를 새롭게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2015 함수 교육과정의 변화와 관련하여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두 양의 관계를 질적 그래프로 구성하는 과정에서 드러난 예비교사들의 추론 양상을 탐색하였다. 대부분의 예비교사들은 두 양의 관계식을 세우기보다는 한 양의 변화에 따른 다른 양의 변화에 주목하여 그래프를 구성하였으며, 두 양의 관계를 곱셈적 대상으로 형성하여 그래프의 전체적 개형을 성공적으로 추론하였다. 그러나 그래프의 국소적 개형과 관련하여, 대부분의 예비교사들은 그래프의 국소적 개형이 바뀌는 점(곡선에서 직선으로 바뀌는 점, 변곡점)에서는 미분가능성을 고려하지 않았거나 고려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으며, 일부 예비교사들은 변곡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이라고 생각하였다. 한편 시간이 등장하지 않는 두 양의 관계에 대한 질적 그래프를 구성할 때도 일부 예비교사들은 시간을 상기하여 추론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은 1) 기울기와 같은 곱셈적 대상의 형성이 연속적으로 변하는 두 양의 관계에 대한 질적 그래프의 전체적 개형 추론에 중요한 요소이다, 2) 그래프의 국소적 개형을 파악하는 데에는 매끄러운 연속 공변 추론이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3) 질적 그래프의 전체적 개형과 국소적 개형을 구성하기 위한 공변 추론의 수준은 차이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IPA를 활용한 음악치료사의 내담자 개인정보보호의 인식도와 실천도 분석

        이규희,윤영미,조미란,김하영,류황건 보건의료산업학회 2020 보건의료산업학회지 Vol.14 No.1

        Objectives: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ethical education direction by analyzing the personal information recognition and practice of music therapists. Methods: For the analyses, we selected 60 music therapists who answered a questionnaire from members of K Music Therapy Association, and analyzed task recognition and practice ask performance using IPA method. Results: In the IPA table, the areas of high recognition and practice (1) are the areas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information management. In the IPA table, the areas of low awareness and high practice (2) are areas of privacy communication for those who have completed ethics education. In the IPA table, the areas of low awareness and low practice (3) are areas of privacy communication when ethics education is not completed. In the IPA table, areas of high awareness and low levels of practice (4) are areas of privacy protection. Conclusions: Continuing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to improve the curriculum on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for music therapists, thereby raising the awareness and practice of privacy.

      • KCI등재

        적응적 병렬 검색을 지원하는 스트리밍 XML 파서

        이규희,한상수,Lee, Kyu-Hee,Han, Sang-Soo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7 No.8

        XML은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와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같은 웹서비스들을 위해 널리 사용되며 데이터를 표현하기 위한 사실상의 표준이다. DOM(Document Object Model)을 사용하는 XML 파서는 DOM 트리로 생성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전처리가 요구되기 때문에, 제한적 자원을 갖는 임베디드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전처리를 요구하지 않는 스트리밍 XML 파서를 채택하여 사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에서 적응적 병렬 검색을 사용하는 스트리밍 XML 파서를 위한 새로운 구조를 제안한다. 제안된 APSearch(Adaptive Parallel Search) 파서는 이전 연구들과 비교하여 소프트웨어의 오버헤드를 상당 수 감소시켰으며 XML 파싱을 위한 처리 시간이 약 2.55배와 2.96배 향상되었다. 따라서, 제안된 APSearch 파서는 XML 파싱을 가속화하기 위한 시스템들에 적합한 구조이다. An XML is widely used for web services, such as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and REST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and also de facto standard for representing data. Since the XML parser using DOM(Document Object Model) requires a preprocessing task creating a DOM-tree, and then storing it into memory, embedded systems with limited resources typically employ a streaming XML parser without preprocessing.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architecture for the streaming XML parser using an APSearch(Adaptive Parallel Search) on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Compared to other approaches, the proposed APSearch parser dramatically reduces overhead on the software side and achieves about 2.55 and 2.96 times improvement in the time needed for an XML parsing. Therefore, our APSearch parser is suitable for systems to speed up XML parsing.

      • KCI등재

        보장성 강화 정책이 지방의료원의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

        이규희,배성권 보건의료산업학회 2021 보건의료산업학회지 Vol.15 No.3

        Objectives: Analyze of the differences in financial characteristics and those between publicity and profitability. Analyze the differences in financial characteristics and those between publicity and profitability Methods : This study was conducted on 31 regional public hospitals nationwide using financial statements from 2015 and 2018. It compared operations in 2018 when the Moon Jae-in Care policy was implemented to enhance security with operations in 2015 without the policy. Results: Data from 2015 and 2018 were compar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determine the factors that had an influence on medical profit on medical revenue. It was found that twice in 2015 and 2018, the ratio of labor versus medical costs and the ratio of material versus medical costs were positively affected. It was also found that in 2018, city funding per 100 beds was negatively affected. Conclusions: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health care, appropriate personnel should be hired and city funding should also be provided to secure public health care.

      • KCI등재

        '점'과 '선'에 관한 수학적 분석과 교과서 분석

        이규희,Yi, Gyuhee 한국학교수학회 2021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24 No.1

        본 연구에서는 '점'과 '선'을 '크기' 관념에 주목하여 수학적 분석을 하고, Euclid 기하의 관점에서 한국의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수학 1의 기본도형 내용영역과 미국 기하(Geometry)의 교과서 서술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점'과 '선분'을 '크기' 관념에 주목하여 수학적으로 분석한 결과, 1) '무한소'의 인정과 배제, 2) '측도론'과 '집합론'에 따라 수학적 관점이 달라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점'과 '선'에 관한 교과서의 서술을 Euclid 기하의 관점에서 분석한 결과, 1) 대부분의 한국의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수학 1의 기본도형 내용영역에서는 '크기'가 있는 점과 선을 소개 혹은 직접 그리는 학습활동을 제시한 후, 점과 선의 '관계'를 서술하는 방식으로 전개하고 있었으나, 2) 대부분의 미국 기하 교과서에서는 크기가 있는 점과 선을 소개한 후, '무정의 용어'인 점과 선에 대하여 기하에서의 '점은 크기가 없고', '선은 두께가 없음'을 각각 명시적으로 서술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고찰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수학 1의 기본도형 내용영역에서의 점과 선에 관한 서술이 잠재적으로 Euclid 기하의 관점에 해당하지 않는 수학적 직관을 생성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교수학습 과정에서 이에 대한 언어적 표현의 주의가 필요함을 제안하고자 한다. In this study, mathematical analysis is conducted by focusing to the 'size' of the 'point' and the 'line'. The textbook descriptions of the 'point' and the 'line' in the geometry content area of middle school mathematics 1 by the 2015 revised Korean mathematics curriculum and US geometry textbooks were compared and analyzed between. First, as a result of mathematical analysis of' 'the size of a point and a segment', it was found that the mathematical perspectives could be different according to 1) the size of a point is based on the recognition and exclusion of 'infinitesimal', and 2) the size of the segment is based on the 'measure theory' and 'set theory'.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extbook descriptions of the 'point' and the 'line', 1) in the geometry content area of middle school mathematics 1 by the 2015 revised Korean mathematics curriculum, after presenting a learning activity that draws a point with 'physical size' or line, it was developed in a way that describes the 'relationship' between points and lines, but 2) most of the US geometry textbooks introduce points and lines as 'undefined terms' and explicitly states that 'points have no size' and 'lines have no thickness'. Since the description of points and lines in the geometry content area of middle school mathematics 1 by the 2015 revised Korean mathematics curriculum may potentially generate mathematical intuitions that do not correspond to the perspective of Euclid geometry, this study suggest that attention is needed in the learning process about points and lines.

      • 정량적 묘사분석을 이용한 다양한 전분 gel의 관능특성

        이규희,강현아,신명곤 우송대학교 부설 산업연구원 2002 산업연구 Vol.4 No.1

        전분은 특성상 수분과 가열에 의해 호화 되고, 호화 후 온도가 낮아지면 젤을 형성하는 특성을 갖고 있다. 전분의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제조된 식품으로는 "묵"을 들 수 있겠다. 본 실험에서는 소비자 기호도의 만족을 위하여 여러 가지 전분을 이용하여 젤을 제조하여 정량적 묘사 분석을 통해 관능특성을 비교하였다. 결과로는 옥수수 전분젤이 다른 전분젤들과 비교하여 가장 단단하며 탄력 있는 젤을 형성함을 알 수 있었고, 다음은 도토리 전분 젤이 단단하고 탄력 있는 젤을 형성하였으며, 고구마와 감자전분의 단단한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차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Starches has been mainly used for making gel and capturing the small molecular weight substance. Especially, the foods using the gelling properties of starch have famously known as "Mook" in Korea. The sensory characteristics for the starch gel properties are need to study for the confidence of consumer acceptance. In this study, the gels which obtained various starch such as sweet potato's starch, potato starch, corn starch and acorn starch were evaluated the sensory attributes using quantitative descriptive analysis(QDA). As the results, 8 terms were described, and the most rigid and springiness gel was the corn starch gel, the second was acorn starch gel, and the starch gels between sweet potato and potato were not shown signific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