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실질적인 사회복지국가 구현을 위한 연구

        이공주 한국법학회 2023 법학연구 Vol.23 No.3

        우리나라가 복지국가라는 인식에 대한 조사를 살펴보면, 국민 절반 이상이 우리나라는 복지국가라고 여기고 있으나, 여전히 많은 국민은 우리나라의 복지가 보통이거나 아니라고 한다. 현재 수많은 사회보장 제도가 실현되고 있으면서도 아직까지도 사회복지국가가 아니라고 느끼는 국민이 많다는 것은 그만큼 우리나라 사회보장 제도에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 사회보장 제도의 문제점은 포퓰리즘성 과잉 사회보장 정책 등장으로 국가재정에 부담이 되고 있고, 사회보장 제도의 비효율적 운영과 복지 사각지대 여전하다는 것이다. 그리고 사회적 계층 간⋅지방자치단체 간 불평등이 심화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우리나라가 실질적인 사회복지국가를 구현하려면, 첫째, 자유시장경제주의와 사회복지국가원리의 조화를 잘 이루어 경제적 불평등을 해소하고, 둘째, 재정건전성을 염두한 사회보장 제도를 운영하고 셋째, 국가가 전적으로 개인의 생활을 책임질 수도 없기에 개인은 가급적 스스로의 삶을 책임지도록 노력하고, 사회보장 제도는 보충성의 원칙을 적용하여야 한다. When we examine the survey results regarding the perception of South Korea as a welfare state, more than half of the citizens consider South Korea to be a welfare state. However, many still believe that the welfare in our country is either average or insufficient. Despite the numerous social security systems that have been implemented, the fact that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population still does not perceive South Korea as a welfare state highlights existing issues within our social security system. The problems with our social security system include the burden on national finances due to populist-oriented excessive social security policies, inefficient operation of the social security system, and persisting blind spots in welfare coverage. Furthermore, inequalities between social classes and regional autonomy bodies are deepening. To address these issues and realize a substantive welfare state in South Korea, several steps need to be taken. Firstly, a harmonious balance between free market economy principles and the principles of a welfare state should be achieved to alleviate economic inequality. Secondly, a social security system that takes fiscal soundness into account should be operated. Thirdly, since the state cannot entirely assume responsibility for individuals' lives, individuals should strive to take responsibility for their own lives as much as possible. The social security system should adhere to the principle of subsidiarity, applying supplemental measures where necessary.

      • KCI등재
      • KCI등재

        중심어 간의 공기정보를 이용한 한국어 확률 구문분석 모델

        이공주,김재훈,Lee, Kong-Joo,Kim, Jae-Hoon 한국정보처리학회 2002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Vol.9 No.6

        Since a natural language has inherently structural ambiguities, one of the difficulties of parsing is resolving the structural ambiguities. Recently, a probabilistic approach to tackle this disambiguation problem has received considerable attention because it has some attractions such as automatic learning, wide-coverage, and robustness. In this paper, we focus on Korean probabilistic parsing model using head co-occurrence. We are apt to meet the data sparseness problem when we're using head co-occurrence because it is lexical. Therefore, how to handle this problem is more important than others. To lighten the problem, we have used the restricted and simplified phrase-structure grammar and back-off model as smoothing. The proposed model has showed that the accuracy is about 84%. 구문 분석에서 가장 큰 문제점 중 하나는 구문 구조의 중의성을 어떻게 해결하느냐에 달려있다. 확률 구문 규칙은 구문 구조의 중의성 해결에 한 방법이 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중심어 간의 공기정보를 이용하여 한국어 구문 구조의 중의성을 해결하는 확률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중심어는 어휘를 이용하기 때문에 자료 부족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자료부족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느냐에 따라 어휘 정보 사용의 성공이 결정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구문규칙을 단순화하고 Back-off 방법을 이용해서 이 문제를 완화한다. 제안된 모델은 실험 데이터에 대해 약 84%의 정확도를 보였다.

      • KCI우수등재

        스포츠 기사 댓글에서 수사의문문으로 표현된 풍자 표현의 자동인식

        이공주,김지은 한국언어학회 2019 언어 Vol.44 No.4

        This paper presents an experiment of automatic detection of Korean sarcastic expressions appeared in the comments of Korean sports articles. When sarcasm is expressed in text, its automatic detection becomes challenging since the accurate interpretation can be identified only by figuring out its underlying meaning. However, the sentences implying sarcasm can be detected utilizing a set of features which is selecte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omain in question. This research focuses on identifying sarcastic meaning expressed in text of sports domain in which sarcasm is frequently expressed in the form of rhetorical question. In particular, a sentence final suffix‘nya’is adopted to construct rhetorical question expressing mostly negative sentiment although the suffix itself does not represent any sentiment at all. A set of relevant features including the suffix is selected from the data and classified. A series of experiments utilizing the classified features have proven that non-sentiment bearing words such as a function word or a suffix can be contributed to identify implicit sentiment, such as sarcasm.

      • KCI등재

        Korean Irony Corpus Construction

        이공주,방승주,김지은 한국언어정보학회 2023 언어와 정보 Vol.27 No.1

        This research presents a Korean irony corpus composed of 2,689 documents which are collected from multi-sources including Tweets, movie reviews and sports news comments. The documents of the initial stage are reviewed to check whether they truly convey ironic meaning, utilizing 40 linguistic features which are presumed to trigger irony. 1,385 documents have been confirmed as irony containing ones which are further analyzed and manually annotated with 4 different labels, “I”, “IS”, “IR” and “ISR”. The labels not only represent different types of irony, but also show that irony is superordinate to sarcasm by including “I”(rony) in every label. In addition to the irony documents, non-irony documents are included in the final corpus to balance the dataset. The resulting corpus leads to follow-up studies in which more data will be accumulated and the increased corpus will be augmented and refined with more features. Eventually,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performance in automatically identifying irony from Korean text.

      • KCI등재

        자율 학습을 이용한 선형 정렬 말뭉치 구축

        이공주,김재훈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Vol.11 No.3

        본 논문에서는 자율 선형 정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선형 정렬 말뭉치를 구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자율 선형 정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선형 정렬 말뭉치를 구축할 경우, 두 문자열의 길이가 서로 다르면 정렬된 두 문자열(입력열과 출력열)에 모두 공백문자가 나타난다. 이 방법을 그대로 사용하면 정렬 말뭉치의 구축은 용이하나 정렬된 말뭉치를 이용하는 응용 시스템에서는 탐색 공간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뿐 아니라 구축된 정렬 말뭉치는 다양한 기계학습 방법에 두루 사용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들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입력열에는 공백문자가 나타나지 않도록 기존의 자율 선형 정렬 알고리즘을 수정하였다. 이 알고리즘을 이용해서 한영 음차 표기 및 복원, 영어 단어의 발음 생성, 영어 발음의 단어 생성, 한국어 형태소 분리 및 복원을 위한 정렬 말뭉치를 구축하였으며, 간단한 실험을 통해, 그들의 실용성을 입증해 보였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modified unsupervised linear alignment algorithm for building an aligned corpus. The original algorithm inserts null characters into both of two aligned strings (source string and target string), because the two string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length. This can cause some difficulties like the search space explosion for applications using the aligned corpus with null characters and no possibility of applying to several machine learning algorithms. To alleviate these difficulties, we modify the algorithm not to contain null characters in the aligned source strings. We have shown the usability of our approach by applying it to different areas such as Korean-English back-transliteration, English grapheme-phoneme conversion, and Korean morphological analy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