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공주 한국법학회 2023 법학연구 Vol.23 No.3
우리나라가 복지국가라는 인식에 대한 조사를 살펴보면, 국민 절반 이상이 우리나라는 복지국가라고 여기고 있으나, 여전히 많은 국민은 우리나라의 복지가 보통이거나 아니라고 한다. 현재 수많은 사회보장 제도가 실현되고 있으면서도 아직까지도 사회복지국가가 아니라고 느끼는 국민이 많다는 것은 그만큼 우리나라 사회보장 제도에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 사회보장 제도의 문제점은 포퓰리즘성 과잉 사회보장 정책 등장으로 국가재정에 부담이 되고 있고, 사회보장 제도의 비효율적 운영과 복지 사각지대 여전하다는 것이다. 그리고 사회적 계층 간⋅지방자치단체 간 불평등이 심화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우리나라가 실질적인 사회복지국가를 구현하려면, 첫째, 자유시장경제주의와 사회복지국가원리의 조화를 잘 이루어 경제적 불평등을 해소하고, 둘째, 재정건전성을 염두한 사회보장 제도를 운영하고 셋째, 국가가 전적으로 개인의 생활을 책임질 수도 없기에 개인은 가급적 스스로의 삶을 책임지도록 노력하고, 사회보장 제도는 보충성의 원칙을 적용하여야 한다. When we examine the survey results regarding the perception of South Korea as a welfare state, more than half of the citizens consider South Korea to be a welfare state. However, many still believe that the welfare in our country is either average or insufficient. Despite the numerous social security systems that have been implemented, the fact that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population still does not perceive South Korea as a welfare state highlights existing issues within our social security system. The problems with our social security system include the burden on national finances due to populist-oriented excessive social security policies, inefficient operation of the social security system, and persisting blind spots in welfare coverage. Furthermore, inequalities between social classes and regional autonomy bodies are deepening. To address these issues and realize a substantive welfare state in South Korea, several steps need to be taken. Firstly, a harmonious balance between free market economy principles and the principles of a welfare state should be achieved to alleviate economic inequality. Secondly, a social security system that takes fiscal soundness into account should be operated. Thirdly, since the state cannot entirely assume responsibility for individuals' lives, individuals should strive to take responsibility for their own lives as much as possible. The social security system should adhere to the principle of subsidiarity, applying supplemental measures where necessary.
인스타그램에서의 푸드 디자인이 소비자신뢰와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공주,김선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5 No.1
본 연구에서는 실증연구에 앞서 연구대상을 선정하고, 외식 소비자들 SNS를 통해 정보를 얻어 실제 외식업체에 방문을 하는데 있어 활용을 하는지, 다양한형태의 SNS중 소비자에게 매력적으로 다가오는 SNS 는 무엇인지 연구대상을 선정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실시하였다. 연구대상 선정을 위한 연구의 참여하는사람들은 SNS를 이용하는 사람이며, 이를 통해 외식업체에 대한 정보를 접한 사람들 55명을 표본으로 선정하였다. 설문지는 총 5가지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온라인 설문지를 통해 배포, 회수한 55부의 설문지로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주로 이용하는 SNS에대하여 페이스북이 30(54.7%), 인스타그램이 20(36.3), 카카오스토리가 5(9.0%)로 나타났다. ‘본인이 사용하는 SNS를 통해 외식에 대한 게시글을 보고 외식을한 경험이 있습니까?’라는 질문의 응답에 ‘있다’라고응답한 사람이 42(76.0%), ‘없다’라고 응답한 사람이13(24.0%)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SNS를 활용하여 정보를 탐색하거나 획득하여 외식업체에 대한 방문을결정할 수 있다. SNS를 주로 이용하는 연령대는 20대이상 ∼ 30대 미만이 28(50.9%), 30대 이상 ∼ 40대미만이 17(30.7%)로 20대에서 30대가 과반수를 차지하였으며, 40대 이상은 10(18.4%)로 나타났다. 설문지에 응답한 표본의 성별은 남자가 30(54.6%), 여자가25(45.4%)로 나타났다. 2017 소셜미디어 이용 행태 및 광고접촉 태도 분석보고서1)에 따르면 소셜 미디어 이용 디바이스로 스마트폰이 86.6%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고하였다. 또한 인스타그램 가입률이 68.7%로 전년 대비 12.9%p로 큰 폭의 상승을 보였다. 본 예비설문조사 결과에 의하면 페이스북이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SNS로 뽑혔으나. 모바일에 최적화되어 있어 외식에 대한 경험을 사람들에게 가장 잘 전달해 줄 수 있는 SNS는 이미지형태로 소비자들에 즉각적인 시각적반응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인스타그램으로 사료되어연구 대상을 인스타그램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인스타그램에서의 푸드 디자인이 소비자신뢰와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대하여 확인하고자 하였다. 인스타그램에서의 푸드 디자인, 소비자신뢰, 방문의도에 대한 선행연구와 다양한 문헌을 통해 이론적 고찰을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고, 가설 검증을 위해 인스타그램 이용자 300명을 대상으로 2018년 6월 4일부터2018년 6월 13일까지 10일 동안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불성실 응답지 34부를 제외한 최종 251부를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SPSS 23.0 통계패키지프로그램을통해 빈도 분석과 측정 개념들 간의 관련성 및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신뢰도 및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고 측정변수들 간의 영향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논문 연구 결과 인스타그램은 감각적인 필터와 다양한 트렌드가 존재하기 때문에 20~30대 여성에게주목받고 있으며 모바일에 최적화된 SNS라고 볼 수있다. 인스타그램을 통해 이용자들은 자신의 일상을공유하고 개성을 표현하며 인간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이용하고 있으며, 그 폭은 점점 넓어질것이라 예측되었다. 연구 가설들에 의하면 인스타그램에서의 푸드 디자인 시각적 요소인, ‘그릇의 시각성’을 제외한 요인이소비자 신뢰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방문의도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나타났다. 또한 소비자 신뢰는 방문 ... In this study, we selected the research subjects prior to the empirical study, used the information to obtain the information through the SNS of eating out consumers, visited the actual food service company, and asked what kind of social networking servi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selected by using the SNS, and 55 people who had information about the restaurant were selected as the sample.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5 questions, and the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55 questionnaires distributed and collected through online questionnaires. As a result, 30 (54.7%) of Facebook, 20 (36.3) of Instagram, and 5 (9.0%) of Cacao Story were used for SNS which is mainly used. 42 (76.0%) answered “yes” to the question “Do you have any experience eating out after seeing posts about eating out through your own SNS?”, And 13 (24.0%), respectively. Through this, SNS can be used to search for or acquire information and decide to visit a foodservice company. The majority of respondents in their 20s to 30s were in the age group using SNS, while 28 (50.9%) were in their 20s ~ 30s and 17 (30.7%) were in their 30s ~ 40s. 18.4%). The gender of respondents in the questionnaire was 30 (54.6%) for males and 25 (45.4%) for females. 2017 Social Media Usage Behavior and Advertising Attitude Analysis Report “2017 Social Media Usage Behavior and Advertising Attitude Analysis Report”, DMC Media, 2017. According to the survey, smartphones accounted for 86.6% of all social media usage devices. In addition, the participation rate of the Instagram was 68.7%, a significant increase of 12.9% p from the previous year.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preliminary survey, Facebook has been selected as the most popular social networking site. SNS, which is optimized for mobile, can best convey the experience of eating out to people. It is considered to be an instagram that can instantly give visual response to consumers in image for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ood design on the consumer trust and intention to visit in the Instagram. The theoretical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previous studies on food design, consumer trust, and intention to visit in the Instagram, and various literature. Based on this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were set. For the hypothesis test, we surveyed 300 users of Instagram users for 10 days from June 4, 2018 to June 13, 2018, The final 251 items, excluding 34 items, were used as the analysis data. SPSS 23.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Reliability and factor analysis were performed to ensure the relevance and reliability of frequency analysis and measurement concepts.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measured variable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Instagram is attracted to women in their 20s and 30s due to the presence of sensory filters and various trends. Through the Instagram, users are using the platform as a platform for sharing their daily life, expressing their personality, and building human relationships. According to research hypotheses, food design visual elements in the Instagram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nsumer trust, except for the visual quality of the bowl, and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visit intention. Consumer confidence also had a significant impact on visit intentio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reason why the factor ‘visuality of the bowl’ was rejected is because the place where the people’s gaze stays in the food image shown in the instagram is the food rather than the bowl. The bowl is included in the image of the food, and the form and texture of the bowl are included in ‘visuality of form’ and ‘visuality of texture’, so that ‘visuality of the bowl’ is completely out of food design visual elements in the instagram It can not be said to be a variable that can be excluded. The purpose ...
이공주 韓國憲法學會 2014 憲法學硏究 Vol.20 No.3
2014년 6·4지방선거에서 우리나라는 처음으로 전국 단위의 사전투표를 실시하였다. 11%대의 높은 사전투표율을 기록하면서 투표율 향상이라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였다고 평가받았다. 사전투표란, 선거인이 사전투표 기간 동안 전국 어느 사전투표소에서나 미리 투표할 수 있는 제도이다. 즉, 사전투표의 가장 큰 장점은 전국 어디에서나 투표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사전투표 제도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단순히 투표율을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 실행되는 사전투표 제도는 유권자의 자유로운 선거를 방해한다. 둘째, 사전투표 마감 이후에 후보자가 사퇴하면 결국 사전투표는 무효표가 되어 국민의 참정권을 침해한다. 셋째, 특별한 사유 없이 일반 유권자에게도 선거일이 아닌 날짜에 투표를 하게하는 사전투표 제도를 규정한 특별규정은 특별법의 목적에 합당하지 않다. 이는 법적안정성을 해치는 심각한 문제를 발생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틀 동안의 사전투표는, 사전투표를 하지 않았다면 지출되지 않아도 될 국민세금이 사전투표 실시로 막대한 비용이 낭비되고 이것은 결국 국민 부담만을 가중시키고 있다. 따라서 사전투표 제도가 편리한 점이 있더라도, 사전투표 제도는 폐지되어야 한다. 이에 대한 대응방안으로 첫째, 선거일 투표시간 연장, 둘째, 선거일 공휴일 폐지와 선거일 연장, 그리고 마지막으로, 투표 참여자에 대한 현실적 보상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투표율 제고에 기여하는 방법이라고 제안한다. 대표자들은 국민의 여론을 살펴, 그 뜻을 받들어야 한다. 그것이 국민이 그를 대표자로 뽑아준 이유이다. 국민은 귀찮아서 투표를 안하는 것이 아니라, 투표를 해도 바뀌는 것이 없어서 안하는 것이다. 그만큼 대표자들이 국민의 뜻을 받들지 못했다는 뜻이다. 따라서 사전투표 제도의 문제점에서 살펴보았듯이, 선거 때에 이르러서 목전의 투표율 향상이라는 목적을 내세워 각종 법과 제도를 제·개정하여 법적안정성을 해치지 말고, 좀 더 신중히, 멀리 내다보고 올바르고 안정적인 선거제도를 정착시키기 위해 노력해 나가야 할 것이다. Advance voting was carried out in 6.4 local election 2014 for the first time in Korea. The turnout being 11 percent high, it was judged to be high enough to accomplish the goal of high turnout. Advance voting is the system with which a voter can vote anywhere in this country during advance voting period. In other words, the fact that a voter can vote everywhere in Korea makes the greatest benefit of advance voting. However, advance voting has several problems as follows. First, advance voting as a means of raising turnout interrupts the free choice of voters. Second, if a candidate withdraws candidacy after advance voting, it automatically becomes undervotes infringing on voter's rights. Third, a special regulation that defines advance voting which enables voters to vote on non-voting day without special reasons is not appropriate in terms of the objective of special laws. It seriously harms the legal stability. Lastly, advance voting for two days makes taxes wasted which might not be wasted if it were not for advance voting, increasing the burden of tax payers. For those reasons, advance voting should be abolished though it has some advantages. Extension of voting time on voting day, abolition of holiday of voting day and realistic reward for voting participants can be suggested as the alternatives. Representatives must give careful attention to public opinion and honor their wishes. That is why people elected them as representatives. People don't vote because they don't bother to, but don't because nothing changes, which indicates representatives has failed to honor people's wishes. Thus, as we saw in the problems of advance voting part, enacting and revising the system and statues just before election to accomplish the goal of high turnout which seriously harms legal stability should be stopped and more prudent and visionary decision should be made in voting system to make it righter and more stable.
흑연료 원자흡수 분광법에 의한 혈중의 납, 카드뮴 정량을 위한 외부정도관리 시료제조 및 분석
이공주,임홍빈 梨花女子大學校 藥學硏究所 1995 藥學硏究論文集 Vol.- No.5
납과 카드늄을 포함하는 여러가지 농도의 동결건조된 혈액이 외부정도관리 시료로서 제조되었다. 이 시료들은 흑연료 원자흡수분광법(GFAAS)을 이용하여 성능이 파익되었다. 매트릭스 개선제로서 0.1% ammonium dihydrogen phosphate와 0.1% Triton X-100을 사용하여 섭씨 600 내지 650도의 회화온도에서 혈액에 있는 납과 카드늄의 정량분석을 위한 GFAAS의 최적 분석조건이 얻어졌다.제조된 혈액의 균질도와 안정도는 분석조건에서 연구되었다. Lyophilized whole blood samples containing various concentrations of Pb and Cd have been prepared as external quality control materials. These materials have been characterized with graphite furnace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GFAAS). The optimized conditions for the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Pb and Cd in whole blood using GFAAS were obtained at the ashing temperature of 600∼650℃, with 0.1% ammonium dihydrogen phosphate and 0.1% Triton X-100 as matrix modifier. Homogeniety and stability of the prepared whole blood have been studied at the optimized analytical condition.
흑연료 원자흡수 분광법에 의한 혈중의 납, 카드뮴 정량을 위한 외부정도관리 시료제조 및 분석
이공주,임홍빈 이화여자대학교 생명과학연구소 1995 생명과학연구논문집 Vol.6 No.-
납과 카드뮴을 포함하는 여러 가지 농도의 동결건조된 혈액이 외부정도관리 시료로서 제조되었다. 이 시료들은 흑연료 원자흡수분광법(GFAAS)을 이용하여 성능이 파악되었다. 매트릭스 개선제로서 0.1% ammonium dihydrogen phosphate와 0.1% Triton X-100을 사용하여 섭씨 600내지 650도의 희화온도에서 혈액에 있는 납과 카드뮴의 정량 분석을 위한 GFAAS의 최적 분석조건이 얻어졌다. 제조된 혈액의 균질도와 안정도는 최적화된 분석조건에서 연구되었다. Lyophilized whole blood samples containing various concentrations of Pb and Cd have been prepared as external quality control materials. These materials have been characterized with graphite furnace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GFAAS). The optimized obtained at the ashing temperature of 600~650℃ with 0.1% ammonium dihydrogen phosphate and 0.1% Triton X-100 as matrix modifier. Homogeniety and stability of the prepared whole blood have been studied at the optimized analytical condition.
이공주,황선영,김지은 한국정보과학회 2003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0 No.10
문법 검사기는 문장의 문법 오류를 찾고 이에 대한 적절한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문법 오류를 찾기 위해서 문법 검사기는 전체 문장을 분석해야 하며 이는 많은 자원이 소요되는 작업이다. 이러한 이유로 대부분의 한국어 문법 검사기는 중의성이 없는 작은 부분에 대해서만 구문 분석을 수행하는 부분 구문 분석기를 이용하고 있다. 본 논문의 구문 분석기는 문법 오류를 검사하기 위해서 전체 구문 분석기를 사용하였다. 이 방식은 여러 단어를 사이에 두고 떨어져 있는 두 단어 간에 문법적 오류가 있을 경우에도 이를 찾아서 고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 방식은 수행 성능을 저하시키는 대신, 문법 오류를 수정하는 정확률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논문의 문법 검사기는 문법 오류를 찾고 수정하기 위해서 65개의 규칙을 사용한다. 전체 구문 분석기를 사용하는 한국어 문법 검사기는 약 7백만 어절로 구성된 실험 코퍼스에 대해서 약 96.49%의 교정 정확률을 얻을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a grammar checker is to find a grammatical erroneous expression in a sentence, and to provide appropriate suggestions for them. To find those errors, grammar checker should parse the whole input sentence, which is a highly time-consuming job. For this reason, most Korean grammar checkers adopt a partial parser that can analyze a fragment of a sentence without an ambiguity.This paper presents a Korean grammar checker using a full parser in order to find grammatical errors. This approach allows the grammar checker to critique the errors between the two words in a long distance relationship within a sentence. As a result, this approach improves the accuracy in correcting errors, but it may come at the expense of decrease in its performance. The Korean grammar checker described in this paper is implemented with 65 rules for checking and correcting the grammatical errors. The grammar checker shows 96.49% in checking accuracy against the test corpus including 7 million 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