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내적 내부고발의 활성화를 위한 윤리교육의 필요성

        윤혜진 한국교양교육학회 2018 교양교육연구 Vol.12 No.2

        A Necessity of Ethics Education for Revitalization of Internal Whistle Blowing Yoon, Hye-Jin(Seowon University) The major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late the internal whistle blowing with management ethics. Usually ethical managers directly above employee in corporation will have heard his complaint about ethically inadequate behavior. And they will have tried to deal with it in some way satisfactorily. Therefore, external whistle blowing is always proof of organizational trouble and frequently proof of management failure. If whistle blower in corporation would have accepted whatever decision came through internal formal mechanisms in corporation, he do not go out of external channels. If the common respect of whistle blower is to change, that is required not only argument at a theoretical level, but also argument at a practical ways of changing the corporate climate. Accordingly, to this point, our debate is to focus on actual managerial decision making of employer or chief executive officer. That is, our discussion is to reveal the management ethics about internal whistle blowing practically. According to our discussion, because managers or employers are in a core position to create an ethical environment, to try ethical management about internal whistle blowing, they must appreciate that corporation's ethical climate is the centrism of its overall organizational environment. And then they must understand the factors at work in the corporation that influence employees, that is, whistle blowers. The factors affecting the corporation's ethical climate found in our discussion were the decision of manager and the formal organizational policy and the effective communication mechanisms, that is, the internal whistle blowing mechanisms. Although our discussion have not touched on all of managerial ethics related to internal whistle blowing, the factors suggested explain best practical ways of changing the corporate climate. 내적 내부고발의 활성화를 위한 윤리교육의 필요성윤혜진(서원대학교) 이 논문은 회사의 비행을 외부에 알려 개선토록 하는 외적 내부고발의 윤리적 정당성에도 불 구하고, 결과적으로 그것이 많은 비극을 초래한다는 판단 아래 어떻게 하면 내적 내부고발을 회 사 안에 활성화되도록 할 것인가에 대한 실천적 방안을 연구한다. 이에 따라 외적 내부고발과 내 적 내부고발의 목적은 같지만 그에 도달하는 수단도 중요하다는 차원에서, 외부의 법률적 강제 보다는 회사 안에 내적 폭로의 절차를 마련하는 것이 훨씬 더 효율적인 개선의 방안일 수 있음 을 연구한다. 즉 내적 내부고발의 절차는 소극적 개선을 넘어선 적극적 개선의 방안임을, 타율 적 개선이 아닌 자율적 개선의 방안임을, 그리고 회사의 근본 문제를 뿌리부터 쇄신하려는 윤리 적 개선의 방안임을 연구한다. 그리고 이 논문은 회사의 윤리적 개선을 주도할 막강한 힘이 고용주나 최고경영자에게 있다 고 보고, 그들 자신이 내적 내부고발의 활성화를 경영윤리의 일부로 적극 도입하여 실질적인 성 과를 산출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 대해 논의한다. 이에 따라 사후약방문 식의 처치보다는 예방 차원의 사전 조치가 먼저 이루어지는 것이 합리적일 수 있음을 판단하여, 그들 경영자 스스로 회 사 내 불법 행위와 윤리적 위반 행위에 대한 근절의 의지를 내적 내부고발 절차의 도입에 대한 확 고한 의지로 표방할 수 있어야 함을 논의한다. 이런 논의들을 통해 이 논문은 경영자들이 관심 을 가져야 할 내적 폭로의 실제 절차와 방법을 조감해봄으로써, 내부고발의 절차를 도입하려 하 는 수많은 회사들이 윤리적 위반에 대한 처리의 방식을 다시 한 번 성찰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 을 강조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 논문은 윤리적 경영을 위해서라도 경영자들이 이런 내적 내 부고발의 윤리적 프로그램을 구성원들이 얼마나 신뢰하고 있는지에 대해 확인함으로써, 자신들 이 의도한 프로그램으로 회사가 얼마나 윤리적으로 기능하고 있는지를 결정적으로 판단해보아 야 한다는 점을 역설한다. <

      • KCI등재

        변호사의 신뢰 상실에 따른 윤리적 태도 확립을 위한 제언

        윤혜진 범한철학회 2010 汎韓哲學 Vol.59 No.4

        This paper is trying to propose of necessity of ethical attitude to attorney's wrongdoing. Necessity of ethical attitude to attorney's wrongdoing is ethical study of the moral values inherent in legal practice and of the rules and principles that ought to govern the conduct of individual attorney and attorney community. Attorneys are a privileged position in a social community. They are privileged by reason of their close involvement in the law applying enterprise that converts social situations into legal categories, and offers legal remedies in a wide range of circumstances. This is a power of attorneys. The attorney's power is considerable because every concrete social situation is unique and there is nearly always some room for choice in the application of general rules to particular facts. And attorneys function as gatekeepers between citizens and officials, as mediators between individuals and the society. This power and privileged brings with it responsibility of the interests of clients and the demands of the community and the state. Therefore, necessity of ethical attitude of attorney's wrongdoing matter is not only to attorney, but also everyone. That is, necessity of ethical attitude of attorney's wrongdoing emphasis on social roles of attorneys. This paper aims to show that attorneys are responsibility of ethical attitude for the social community. 국가나 사회에서 이른바 주도적 역할을 한다고 하는 사회적 리더의 도덕적 해이와 윤리적 일탈은 사회나 국가의 윤리 기반 전체를 토대부터 허물어뜨리게 된다. 대체로 그들의 윤리적 일탈은 그들이 사회에서 행사하는 사회적 영향력을 상쇄시키지 못할 만큼 커다란 사회적 파행으로 점철되고 만다. 이런 사회적 파행 가운데 하나로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사회 구성원의 권리 침해에 맞서 그들의 이익을 직접 대변해야 할 법률 전문인인 변호사조차 이러한 윤리적 일탈에 빈번히 가담되어 있다는 사실이다. 이런 까닭에, 사회 구성원의 이익을 위해 법을 다루어야 할 변호사 자신이 오히려 법을 지키지 않거나 윤리적 일탈과 직접 결부되어 있다는 사실은 우리의 직접적인 윤리적 논의의 대상이 될 수 있다. 이 글은 변호사들이 사회 일반 구성원들로부터 신뢰를 회복하고 사회와 사회 구성원의 권익 보호를 위한 존재로서 그 직업적 책무를 다하기 위해서는 변호사에 대한 엄격한 윤리 기준 적용과 그에 따른 윤리적 태도 확립이 절실히 필요하다는 차원에서, 변호사의 신뢰 상실에 따른 구체적 윤리 회복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이에 따라 이 글에서는 먼저, 변호사들의 윤리적 일탈에 대한 실제 사례와 그런 일탈과 비행이 가져오는 막대한 사회적 영향력부터 소개할 것이다. 그런 다음, 변호사가 사회 일반 구성원들로부터 직업적 정당성을 인정받기 위해서는 변호사들 스스로 엄격한 윤리 기준을 마련하거나 이것을 적극적으로 실천해나가는 용기를 보이는 식으로 자신의 도덕성을 회복하려는 노력이 절실히 요구된다는 차원에서, 변호사의 윤리적 태도 확립의 의의를 적극 개진할 것이며 그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안할 것이다. 특히, 변호사 윤리 회복에 대한 자구적인 노력의 방안으로 노블리스 오블리제 태도 확립, 직분 도덕에 대한 의무를 제안할 것이며, 변호사들에 대한 도덕 품성 교육 역시 강화되어야 한다는 점을 제안할 것이다. 그리고 사회 일반 구성원들이 변호사의 윤리적 태도 회복에 관심을 가질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제안도 곁들일 것이다.

      • KCI등재

        부천시 도시브랜드 상징체계 정립을 위한 전략방안 고찰

        윤혜진,오유리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2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20 No.1

        As the spatial movement between people and capital is freed up with globalization, the city brand symbol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creation of a city image as well as national growth. Bucheon City developed C.I that applied the city brand concept for the first time as a local government in the 1990s, and the B.I developed in 2008 is an asset of Bucheon City, which won the Korea Brand Award. However, due to urban evolution, mixing with other symbols, and image transformation without standards, citizens are increasingly confused about the symbol system, and even their identity is being lost.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re-establish the city brand symbol system in order to make Bucheon a global city and to create a consistent city image. To this end, the literature on the symbols of Bucheon was reviewed, and a comprehensive review and diagnosis of the symbol system of Bucheon were conducted through citizen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brand experts. As a result, C.I was measured to be low in aesthetics, B.I was measured to be appropriate and meaningful, and for character, identity, representativeness, meaning, and preference were all measured low.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and interview, three strategies were presented to establish the symbol system: partial improvement-image reinforcement, gradual improvement-image change, and innovative change-image creation. Bucheon City needs to establish a unified management system along with the enhancement and development of its city brand, and it will need to establish a platform to communicate with citizens. 세계화를 필두로 사람과 자본 간의 공간적 이동이 자유로워지면서 도시브랜드 상징은 도시이미지 창출은 물론 국가성장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부천시는 1990년대 지자체 최초로 도시브랜드 개념을 적용한 C.I를 개발하였고, 2008년 개발한 B.I는 대한민국 브랜드 대상을 수상한 부천시의 자산이다. 하지만 도시의 진화와 다른 상징과의 혼재, 기준 없는 이미지 변형으로 인해 상징체계에 대한 시민들의 혼란이 가중되고 있으며, 정체성까지 상실되고 있는 현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부천시가 세계적인 도시로서 면모를 갖추고 일관된 도시이미지 창출을 위하여 도시브랜드 상징체계를 재정립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부천시 상징에 대한 문헌을 고찰하고, 시민설문조사 및 브랜드전문가의 심층인터뷰를 통해 부천시 상징체계에 대한 총체적인 검토와 진단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C.I는 심미성이 낮게 측정되었으며 B.I는 적합성과 의미성, 캐릭터는 정체성, 대표성, 의미성, 선호도 모두 낮게 측정되었다. 설문조사와 인터뷰 결과를 토대로 상징체계 정립을 위해 부분적 개선-이미지 강화, 점진적 개선-이미지 변화, 혁신적 변화-이미지 창출의 전략 3단계를 제시하였다. 부천시는 도시브랜드 제고와 개발과 더불어 일원화된 관리체계 수립이 필요하며, 플랫폼을 구축하여 시민과 소통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 계단 오르기 동안 지면 접촉 조건에 따른 뇌졸중 환자의 근활성도 비교

        윤혜진,오덕원,김경환,기경일,Youn, Hye-Jin,Oh, Duck-Won,Kim, Kyung-Hwan,Ki, Kyong-Il 대한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학회 2010 PNF and Movement Vol.8 No.2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ffering ground contact conditions on the eletromyographic(EMG) activity in rectus femoris, biceps femoris, tibialis anterior, gastrocnemius medialis during step-up activity in patients with hemiparesis. Methods : 10 hemiparetic patients performed step-up activity on three different ground contact conditions: entire ground contact, 2/3 ground contact, 1/3 groud contact. Result : The EMG activities of gastrocnemius medialis significantly changed on 1/3 ground contact(p<.05). However, no significant changed rectus femoris, biceps femoris, tibialis anterior between three differing ground contact conditions (p>.05). Conclusion : This study provides that EMG activities of gastrocnemius medialis significantly changed on different ground contacts. Therefore, this method can be used to strengthen the gastrocnemius medialis.

      • KCI등재

        Research Trends Investigation Using Text Mining Techniques: Focusing on Social Network Services

        윤혜진,김창식,곽기영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18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3

        Research Trends Investigation Using Text Mining Techniques: Focusing on Social Network Services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rends on social network services. The abstracts of 308 articles were extracted from web of science database published between 1994 and 2016. Time series analysis and topic modeling of text mining were implemented. The topic modeling results showed that the research topics were mainly 20 topics: trust, support, satisfaction model, organization governance, mobile system, internet marketing, college student effect, opinion diffusion, customer, information privacy, health care, web collaboration, method, learning effectiveness, knowledge, individual theory, child support, algorithm, media participation, and context system. The time series regression results indicated that trust, support satisfaction model, and remains of the topics were hot topics. This study also provide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rends on social network services. The abstracts of 308 articles were extracted from web of science database published between 1994 and 2016. Time series analysis and topic modeling of text mining were implemented. The topic modeling results showed that the research topics were mainly 20 topics: trust, support, satisfaction model, organization governance, mobile system, internet marketing, college student effect, opinion diffusion, customer, information privacy, health care, web collaboration, method, learning effectiveness, knowledge, individual theory, child support, algorithm, media participation, and context system. The time series regression results indicated that trust, support satisfaction model, and remains of the topics were hot topics. This study also provide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식수 공급 회사의 사회적 책임- 개발도상국 또는 저개발국을 중심으로 -

        윤혜진 한국동서철학회 2022 동서철학연구 Vol.- No.105

        This paper attempts to further solidify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by exemplifying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drinking water supply companies. In particular, by discussing social and public sectors such as drinking water supply for financial efficiency, we would like to examine how and in particular what social responsibility such companies should have by focusing on developing or underdeveloped countries that have entrusted private companies. In fact, there are still large populations in many under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that do not receive adequate drinking water supplies. People living in countries with poor economic conditions or weak infrastructure are often forced to continue to drink water that they cannot afford or benefit from tap water even though they are threatened with health or even survival by drinking contaminated water. For this reason, it is natural for companies operating in such poor countries to further raise expectations of social responsibility for such companies. It is natural to emphasize the meaning of responsibility more specifically to all companies involved in drinking water supply in developing or underdeveloped countries, namely tap water suppliers, water distributors, bottled water producers, water storage tank companies, and well maintenance companies. I believe that ethical exploration of this social responsibility of drinking water supply companies operating in developing or underdeveloped countries is necessary, and I believe that stakeholder theory is suitable as a theoretical basis for this. Among the advantages of stakeholder theory, the stakeholder theory emphasizes that the government should actively intervene in the company's activities, that it can raise general social expectations for company responsibility even if government regulations are weak or not prepared, and that it can actually consider poor stakeholders. In addition, I focus on preparing specific ethical guidelines that can act as standards for drinking water suppliers through analysis and synthesis of these contents. Noting what George Tsogas described, I try to establish ethical standards for drinking water companies by summarizing, organizing, and supplementing them. 이 논문은 식수 공급 회사의 사회적 책임을 예시하여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더욱 공고히 하고자 한다. 특히 재정적 효율성을 이유로 식수 공급과 같은 사회 공공 분야를 개인 기업에 위탁한 개발도상국이나 저개발국을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함으로써 그런 기업들이 어떻게 그리고 특별히 어떠한 사회적 책임을 더 가져야 하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사실 아직도 수많은 저개발국가나 개발도상국가에는 적절한 식수 공급 혜택을 받지 못하는 대규모 인구가 상존한다. 경제적 사정이 좋지 못하거나 사회 기반 시설이 취약한 나라에 살고 있는 이들은 극심한 물 부족과 오염된 식수 음용으로 건강상의 위협 또는 심지어 생존의 위협까지 받고 있음에도 여전히 수돗물 수혜를 받지 못하거나 감당하지 못할 비싼 물 값 때문에 계속해서 식수난을 겪거나 마시지도 못할 물을 마셔야 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런 까닭에 그런 열악한 나라에서 활동하는 기업일수록 그런 기업들에 대해 사회적 책임의 기대치를 한층 높이는 것은 당연하다. 개발도상국이나 저개발국에서 활동하는 식수 공급과 관련된 모든 회사, 즉 수돗물 공급 회사, 물 유통 업체, 생수 생산 업체, 물 저장 탱크 회사, 우물 정비 업체 등에 대해 그 책임의 의미를 특별히 더 강조하는 것은 당연하다. 필자는 개발도상국이나 저개발국에서 활동하는 식수 공급 회사들의 이런 사회적 책임에 대한 윤리적 탐구가 특별히 필요하다고 보고, 먼저 이를 위한 이론적 기초로 이해관계자 이론이 적격이라고 판단한다. 이에 따라 이해관계자 이론의 장점들 가운데 특히 세 가지 강점, 즉 ① 주주중심 이론과 달리 이해관계자 이론은 회사의 활동에 정부가 적극 개입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한다는 점, ② 정부 규정이 미약하거나 미처 마련되지 못했을 경우에도 회사의 책임에 대한 일반적인 사회적 기대치를 높일 수 있다는 점, ③ 여러 이해관계자 가운데 처우에 특히 열악한 이해 당사자를 상황에 맞게 실질적으로 고려할 수 있다는 점을 살려 논의를 진행한다. 그리고 필자는 이러한 내용들에 대한 분석과 종합을 통해 식수 공급 업체의 행위 표준으로 작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윤리적 지침 마련에 주력한다. 조지 초가스가 기술한 사항에 주목하여, 필자는 이를 요약하고 정리하고 보충하는 방식으로 식수 관련 회사들에 대한 윤리적 표준 마련을 위해 노력한다.

      • KCI등재

        포트받침의 마찰요소 이탈을 고려한 전단거동 실험 평가

        윤혜진,조창백,김영진,강준원 한국지진공학회 2023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Vol.27 No.4

        In this study, considering the expansion/contraction behavior of the upper structure at all times and the abnormal behavior of the receiving friction elements that allow horizontal movement during earthquakes, a port receiving test body simulating the protrusion of the friction elements was created and the modulus performance was evaluated. In order to confirm the influence of the friction element's projection, the friction element's degree of separation was divided into four stages, and the shear behavior of the test specimen and the friction coefficient were confirmed.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it was found that the friction load increases as the protrusion degree of the friction element increases. On the other hand, as the degree of protrusion of the coefficient of friction increases, the coefficient of friction also increases. It was confirmed that damage to the friction elements during use increases the coefficient of friction, hinders smooth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upper structure, and causes stress concentration at the fixed-end support.

      • KCI등재

        체성분 분석과 골연령 측정을 통한 취학 전 아동의 성장에 대한 임상연구

        윤혜진,이유진,백정한,Yun, Hye-Jin,Lee, Yu-Jin,Han, Baek-Jung 대한한방소아과학회 2009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Vol.23 No.2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ave better data and to make efficient clinical reviews on pre-school children's growth based on two measurements; Body composition for measuring body volume and bone age for potential growth. Methods :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221 children(118 of boys and 103 of girls) from three kindergartens. Body compositions(soft lean mass, body fat mass, percent body fat) were measured by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bone age was measured by bone density through ultrasonic image of calcaneus. Results and Conclusions : 1. The higher level on weight or BMI, the more averages of soft lean mass, body fat mass, percent body fat. 2. The average bone ages and bone age-chronological age were lower in under 50 percentile's group, but it was higher in upper 50 percentile's group. Also, children with high BMI had older in bone ages and bone age-chronological age. 3. The higher in height percentile based on the bone age; there were more soft lean mass. 4. The averages of bone age and bone age-chronological ag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the more percentiles of height according to bone age were big, they were higher than total average in under 50 percentile's group of height, lower than total average in over 50 percentile's group of height in both boys and girls. 5. The average of MPH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op percentiles of children's height distribution. Also, in the upper percentiles of height distribution based on bone age were big in only boys. 6. The body compositions(soft lean mass, body fat mass, percent body fat) were related to body volume growth, which can he measured by weight or BMI. The bone age, bone age-chronological age, and MPH were related in terms of hight. The body volume growth was a little hit related with potential growth.

      • KCI등재

        적대적 기업인수합병의 윤리적 문제에 관한 연구

        윤혜진 한국동서철학회 2019 동서철학연구 Vol.0 No.94

        The major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ethical problems associated with hostile merger & acquisition. The hostile merger & acquisition is one of the most severe economic trends since the 1980s. And usually hostile merger & acquisition have been subject to scathing criticism. Because almost all hostile mergers & acquisitions are directed toward earning vast money through the manipulation of existing financial, rather than toward the actual production of new and better goods. But Some of those most prominently associated with the opposing of hostile mergers & acquisitions were engaged in immoral activities. This paper is to reveal the immoral activities of hostile mergers & acquisitions. They are as follows. First, this paper oppose hostile merger & acquisition on the grounds that it damages the interests of many stakeholders of the relevant corporations. That is, this paper argue that hostile mergers & acquisitions are by their nature destructive of the interests of stakeholders. Second, this paper oppose hostile merger & acquisition on the grounds that in case of it's success, the result usually take high interest debt to new owners, and finally to service the debt they have to fire many employees. That is, this paper argue that in case of it's success, relevant corporations closed and many employees were the first to be fired. Third, this paper oppose hostile merger & acquisition on the grounds that it made corporate raiders, their greenmail is a form of extortion, and a growing proportion of it is in the form of leveraged management buyout. That is, this paper argue that by corporate raiders, local economies lost their vitality and finally everyone in the communities suffered severely. Therefore, this paper advocate friendly merger & acquisition. And this paper support that friendly merger & acquisition have to substitute for hostile merger & acquisition. 우리 사회에서 기업의 장기적 가치 실현이나 사회경제적 측면의 장기적 발전을 위해 부득이 기업 간 인수합병인 M&A를 실시해야 하는 경우들이 있다. 그러나 설령 그런 어쩔 수 없는 M&A가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그 M&A는 경제적 차원에서건 윤리적 차원에서건 무언가 결정적 문제를 일으켜서는 안 된다. 대개 장기적 관점에서 기업 성장이나 경제 발전을 목적으로 삼고 인수 회사와 피인수 회사 간의 적극적 합의 또는 전략적 제휴를 통해 이루어지는 우호적 M&A에는 이런 문제들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흔히 피인수 회사의 의사와 상관없이 인수 회사의 고의적인 주식매집 행위를 통해 이루어지는 적대적 M&A에는 이런 문제들이 곧잘 발생하곤 한다. 적대적 M&A는 주로 경영권을 빼앗고자 하는 목적에 의해 공격적인 형태로 진행되는 까닭에 경제적 문제를 넘어 어떤 경우 직접적인 윤리적 문제를 일으키곤 한다. 이런 까닭에 이 논문은 굳이 M&A가 실시되어야 하는 경우라면 그것은 우호적인 것이어야 하며, 적대적 M&A인 경우 그것은 모두 우호적인 형태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점을 역설한다. 그리고 이 논문은 기업윤리 차원에서 거론될 수 있는 적대적 M&A의 윤리적 문제점을 다음과 같이 드러내는 일에 논의를 집중함으로써 그런 역설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이 논문은 첫째, 적대적 M&A 활동은 그 자체로 수많은 이해관계자들과 이익 상충을 일으키고 그들에게 결정적 손실을 안겨다주는 결과를 초래할 수밖에 없다는 점에 대해 논의한다. 둘째, 가장 심각하면서도 현실적인 문제로서, 적대적 M&A 자체는 결국 구조 조정이나 직장 폐쇄와 같은 결과를 초래하여 수많은 이들을 대량 해고해야만 하는 문제점을 안게 될 수밖에 없다는 점에 대해 논의한다. 그리고 셋째, 적대적 M&A는 본성상 그린메일 지급이나 차입형 기업인수와 같은 것들을 통해 공동체 전반의 금융 질서를 어지럽혀 사회적으로 커다란 파장을 일으킬 수밖에 없다는 점에 대해 논의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