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변단면 콘크리트 주탑공사의 슬립폼 시스템 적용을 위한 설계기술 연구

        윤혜진,김영진,진원종,김희석,Yoon, Hyejin,Kim, Young Jin,Chin, Won Jong,Kim, Hee Seok 한국건설관리학회 2014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5 No.3

        This paper studied design of slip form system considering the erection of a pylon mock-up. The height of the pylon is 10 m. A rectangular hollow cross-section was considered. The outer and inner dimensions of the pylons were varied with respect to the height. The thickness of 1 sides among the 4 faces were varied. Accordingly the slip form was designed to respond to continuous changes in its dimensions and thickness. Structural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structural safety of the slip form. Virtual construction by BIM proved its practicality. The developed design technologies were successfully applied to the erection of a 10m high pylon executed for field verification test. 이 논문에서는 콘크리트 고주탑 시공을 위한 최첨단 공법이라 할 수 있는 슬립폼 시스템 공법의 기술자립을 목적으로 슬립폼 설계기술을 연구하였다. 대상 주탑은 10m의 높이를 갖으며 보통 케이블 교량의 주탑에서 적용하는 사각 중공 형상으로 계획하였다. 슬립폼 시스템은 콘크리트의 연속 타설을 고려하여 슬립폼이 연속적으로 단면의 치수변화와 두께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또한 시공시 슬립폼에 작용하는 다양한 하중에 대한 안전성을 검토하고, BIM에 의한 가상 시공으로 실용성을 사전 검증하였다. 설계된 제작 도면을 바탕으로 슬립폼 시스템을 제작하고 10m 높이의 주탑을 성공적으로 시공함으로써 개발된 변단면 슬립폼 시스템의 효율성을 입증하는 성과를 얻을 수 있었다.

      • KCI등재

        공공도서관 어린이 사서의 전문성과 프로그램 운영의 상관관계 연구

        윤혜진,차미경,Yoon, HyeJin,Cha, Mikyeong 한국비블리아학회 2017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8 No.1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 사서의 전문성과 어린이서비스 중 프로그램 운영 사이에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 조사하였다. 문헌조사를 기초로 어린이 사서의 전문성은 6가지 영역으로 구성하고 프로그램 운영은 기획과 진행으로 나누어, 공공도서관 어린이서비스 담당 사서 262명(응답률 58%)을 대상으로 이메일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어린이 프로그램 기획은 어린이 사서 전문성의 모든 영역과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프로그램 진행은 전문성 계발을 포함한 3가지 영역에 속한 역량과 관련성이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어린이 사서의 전문성 강화 및 어린이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마련을 위한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fessionalism of children's librarians and the program operation in children's service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he librarians' expertise was divided into 6 areas, and the program operation was divided into planning and proceeding, and an e-mail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262 public librarians (response rate 58%). As a result of the survey, the children's program planning was correlated with all areas of professionalism of children librarians, and the program progress was related to the competence of the three areas including professional development.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a basis for strengthening the professionalism of children's librarians and preparing ways to activate children's programs.

      • SCOPUSKCI등재

        Successful Birth after Transfer of Re-frozen Blastocysts Developed from Immature Oocytes Retrieved from a Woman with Polycystic Ovarian Syndrome

        윤혜진,윤산현,이소영,김해균,이원돈,임진호,Yoon, Hyejin,Yoon, Sanhyun,Lee, Soyoung,Kim, Haekwon,Lee, Wondon,Lim, Jinho The Korean Society for Reproductive Medicine 2005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2 No.1

        본 연구는 이식 후 남은 잉여의 포배기 배아를 두 번의 냉동과 융해 과정을 반복적으로 실시한 후 이식한 결과에 관한 보고이다. 사람 포배기 배아의 동결보존에서 높은 생존율과 성공적인 임신율이 보고되고 있으나 미성숙 난자로부터 발달한 포배기 배아에 두 번의 초급속 냉동 방법을 실시한 후 이식한 보고는 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낭성 난소 증후군 환자에게서 얻은 미성숙 난자로부터 발달한 포배기 배아를 artificial shrinkage 후 초급속 냉동함으로써 생존율을 높이는 방법을 이용하여 재냉동 이식하였을 때 임신에 성공한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29세의 환자로부터 채취한 55개의 미성숙 난자들(germinal vesicle stage oocytes)을 체외배양 하여 성숙한 37개의 난자들로부터 30개의 수정란을 얻을 수 있었다. 12개의 배아가 포배기 배아까지 발달하였으며 이 중 3개의 양질의 포배기 배아를 선별하여 이식하였고, 이식을 한 후에 남은 9개의 포배기 배아들은 artificial shrinkage의 과정을 마친 후에 초급속 냉동 방법을 이용하여 동결보존 하였다. 그 중, 4개의 포배기 배아들을 융해한 후 이식을 하지 않고 다시 재냉동을 하여 보관하였고 이 후 재냉동 되었던 4개의 포배기 배아들을 다시 융해 하여 이식을 한 결과 임신이 되어 건강한 남아를 분만하였다. 이로써 미성숙 난자로부터 얻은 포배기 배아가 두 번의 냉동과 융해의 과정을 통해 크게 손상을 입지 않고 생존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융해이식 후 남은 잉여의 포배기 배아를 다시 냉동 보관하여 다음 주기에 이용함으로써 축적된 임신율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육군 초급간부의 군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실태

        윤혜진 ( Yoon Hye Jin ),김고운 ( Kim Go-un ),김선아 ( Kim Sunah ) 국군간호사관학교 군건강정책연구소 2020 군진간호연구 Vol.38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urvey is to examine military mental health service use of junior army officers. Methods: The study included 381 Army officers serving for the army less then 5 years and working for the Army infantry division. A self-reported online survey was used to assess general characteristics, military mental health service use, satisfaction, and needs. Results: The military mental health service use of junior army officers was low. but their satisfaction was high. The needs on the military mental health service on army junior officers appeared as a guarantee of anonymity and communication education. The highest needs of mental health treatment was ‘Operating mental health military hospital and emergency room’. Conclusion: This study was attempted to stimulate the discussion by noting the importance of mental health of junior army officers. The suitable mental health management system for the army should be established after conducting more detailed surveys and research.

      • KCI등재
      • KCI등재

        인도의 음악 기보와 악보

        윤혜진 ( Hye Jin Yoon ) 민족음악학회 2015 음악과 민족 Vol.49 No.-

        This study is to discuss over how musical notation and notated music have been evolved in India where cultural formation has been established through oral · aural transmission. The discussion includes the matters on musical formation and notation, evolvement of notation and notated music, and the changes and prospect of musical map since the 20th century. Having differentiated between musical notation and notated music, I intended to distinguish method of notation from result of it so as to make an emphasis on the premises that every musical elements for Indian music cannot be notated. While notated music as form of sheet commonly means a perfect reproduction of musical performance, such a notation in India is no more than the medium having the least information only for elements 갻being able to be notated갽. In other words, it is the function of Indian notation system that let one recall memory of music formed by oral transmission. Although devised and evolved in order to contain more musical information, Indian notation system cannot encompass the own characteristic elements except basic mode and simple form. Therefore most of Indian musicians recognize that oral transmission is essential to their music. Indian musical notation and notated music have evolved in a different context from Western갽s. Indian musical notation contains a very basic and limited information as minimum requirement for recalling the memory of oral transmission. The reason why only the least source of oral transmission and actual performance is applied to the notation can be assumed that firm trust in the powerful authority of oral tradition and actual performance has become deeply rooted in musical culture of India. One can perform music by means of learning just with notation and recorded source, but it may be happened thereafter not to able to express ‘musical elements not being able to be notated’ that Indian music has put great emphasis upon. That is to say, the process to learn and accept the way to perform music is directly related and does affect to musical thought and actual performance of musician``s own inertia. Hence it can be asserted that oral transmission is the very method to keep and preserve music much more than musical notation in India unlike Western that has considered musical notation as the method for preserving music.

      • KCI등재

        연구논문 : 자연환경에 대한 기업윤리의 문제

        윤혜진 ( Hye Jin Yoon ) 한국동서철학회 2011 동서철학연구 Vol.61 No.-

        이 글은 자연환경 보호나 파괴된 환경 복구에 대한 기업의 윤리적 책임을 논의하고 있다. 다시 말해, 자연환경에 대한 기업윤리 차원의 당위와 함께, 근거를 마련하는 일에 주력하고 있다. 그래서 이 글은 기업이 공기, 물, 대지, 동식물, 생태계 등의 보존을 위해 적극적 책임을 져야 하며, 그에 따라 여러 방식 가운데 기업이 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일은 바로 돈을 내놓는 일이라고 역설하고 있다. 말로만 친환경을 표방하거나 법률적 강제에 대한 압박 때문이 아니라 책임의 당사자이면서 이득의 주체인 기업이 환경 개선에 대한 비용을 실제로 투자해야 한다는 것이다. 요컨대, 자연환경의 실질적 수혜자인 기업은 실질적 이윤 감소만을 염려하는 안이한 자세를 벗어던져야 한다는 것이다. 환경 투자와 관련된 기업윤리의 문제는 대략 세 가지 정도의 논의로 정리된다. 첫째, 기업의 이윤 추구 활동으로 인해 영향을 받은 자연환경의 외부효과를 기업의 적극적 책임으로 내부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오염자 비용부담원칙에 따라 기업은 무임승차의 유혹에서 벗어나 책임 있는 자세로 자기 몫을 감당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 글에서 이 두 문제는 자연환경에 대한 기업의 투자 당위성으로 설명되고 있다. 그리고 셋째, 이런 투자의 당위성에 대해 설명한 다음, 이 글은 실제로 기업이 환경에 비용을 투자해야 할 구체적 방안도 모색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