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비쿼터스를 적용한 주택문화관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 주택문화관의 전시연출방법을 중심으로

        윤수미,박찬호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5 No.1

        우리나라는 1960년대 이후 주택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아파트가 급속도로 보급되기 시작하였고, 이로써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생활양식의 변화로 주거에 대한 인식이 변화되고 주택문화에 다양한 현상이 나타났다. 이에 기업들은 주택문화관을 선보이며 브랜드 이미지 향상과 기술력 우위성을 부각시키는 등 과거의 역할과 기능에 상당한 변화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최근 주택문화관의 유비쿼터스 구현은 기술전시를 목적으로 한 미래주거공간의 나열식 체험으로 국한되어 나타나고 있다. 급변하는 디지털 문화의 흐름 속에서 인간의 감성을 자극시키는 공간으로 기계와 인간, 자연이 조화를 이루는 주택문화관 자체의 유비쿼터스 구현으로 전환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비쿼터스 환경을 적용한 미래주택관을 통해 홈 네트워크 제공 서비스와 환경적 컨텍스를 중심으로 현 주택문화관의 전시연출에 대해 살펴보고 전시 연출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여 유비쿼터스를 적용한 주택문화관이 나아가야 하는 방향을 모색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In Korea, a lot of apartment buildings have been constructed to solve house shortage problem, and they have evolved. In accord with changing in life style, the perception of housing altered and diverse properties in housing culture appeared. Therefore, enterprises are showing housing culture gallery in order to express brand image and technological superiority. However, recently rising ubiquitous housing culture gallery materialization is limited to experiencing future living space aimed for technology exhibition. When we look closely at housing culture gallery exhibition production methods, they are exhibition productions limited to experience of guide. Therefore, this research will examine current housing culture gallery exhibition production methods focusing on home network provision service and environmental context through future housing gallery applied with ubiquitous environment and will provide an opportunity to find a way for ubiquitous environment applied housing culture gallery by understanding problems in exhibition production.

      • KCI등재

        복합운동의 강도차이가 고혈압을 동반한 비만남성의 혈중지질 및 혈압변화에 미치는 효과

        윤수미,한은상,오장록 한국발육발달학회 2022 한국발육발달학회지 Vol.3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appropriate intensity of complex exercise to improve obesity accompanied by metabolic diseases in men, and to provide guidelines for exercise prescription in practi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elected obese males aged 30-39 years from G Metropolitan City, and among them, 15 patients with hypertension were finally selected through blood pressure test. In order to compare the effects of the difference in intensity of compound exercise, 5 people each from LG(Low Group), MG(Medium Group), and HG(High Group) were randomly selected. The study period was a total of 9 weeks of exercise program. It consisted of screening at week 0 and pre- and post-measurement at week 10.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Complex exercise in obese men with hypertension showed the most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LDL-C, HDL-C, and TG of blood lipids at an HRmax of 55-70%. In the Complex exercise of obese men with hypertension, exercise intensity of 55~70% of HRmax showed the most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change. During complex exercise in obese men with hypertension, high-intensity exercise with HRmax exceeding 75% did not show significant changes in blood lipid TG. Significant changes in blood pressure were shown at all levels of HRmax exceeding 40-75% during complex exercise in obese men with hypertension. Therefore, Complex exercise can be recommended to improve blood lipids and hypertension in obese men with hypertension, and HRmax of 55-70%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appropriate exercise intensity.

      • KCI등재

        오키나와 무속춤을 통하여 본 의식무용 연구

        윤수미 한국무용연구회 2009 한국무용연구 Vol.27 No.2

        근래 우리나라에서는 외국 무속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데 이는 무속의 보편적인 성격을 밝혀냄으로써 한국 무속의 지역적 특성을 좀 더 명확히 파악하자는 뜻이 있다. 특히 한일 양국에서는 오랜 세월에 걸쳐서 무속이 민중의 정신적 토양이 되어 왔다. 민속무용·민속음악·민속놀이 등이 무속에서 분화·발전하였다는 점에서도 한일 양국간에는 공통점이 있다. 한국 무속춤이 지니고 있는 보편성과 특수성을 이해하는 데에 있어서 일본 무속춤을 연구하는 것은 그 나름대로의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다. 일본에서도 무녀가 모든 제사를 주관했던 시대가 있었다. 그러나 외래종교의 전래와 사회상의 변화에 따라 무녀중심의 무속은 본토에서 멀리 떨어진 오키나와 제도에서만 찾아 볼 수 있게 되었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역사적으로 한국과 밀접한 관계가 있고 지역적으로도 가까운 일본 오키나와 지역의 대표적인 무속 의식으로 알려진 이자이호오의 무속춤을 연구대상으로 삼게 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무속춤을 관찰·분석하기 위하여 무의 절차 등을 고찰을 통하여 무무의 기능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과, 오오사카 이자이호오에는 일본 고대 무속의 상당한 부분이 보존되어 있음이 밝혀졌다. 일본 고어로 [아소비(놀이)]라고 하는 진혼주술 의식이 고대의 방식으로 행해지고 있고, 노래와 춤이 그 주요한 테크닉이라는 사실이 밝혀졌으며 노래와 춤은 대체로 조용하고 단조로우며 반복이 많았다. 특히 춤에 있어서는 단순한 동작의 규칙적인 반복으로 주술적인 효과를 올리고 있으며, 그 춤에는 청신(請神)·오신(娛神)·송신(送神)의 의미가 담겨져 있었다. 또한 손목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춤추는 것이 오키나와 무무의 특징이었다. 춤은 주로 진행형과 돌진형의 춤으로 이루어졌으며 때로 발작적인 춤의 형태도 나타나고 있었다. 그리고 집단무로서의 고대의 윤무적 도식 형태가 나타나고 있으며, 춤이 제의에 있어서 핵심적이 역할을 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이와 같은 오오사카 이자이호오 무무의 여러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제의에 있어서 춤이 가장 핵심적인 기능을 하고 있음 · 각각의 춤사위에는 청신, 오신, 송신의 의미가 담겨져 있음 · 가창과 춤이 복합된 형태임 · 단순하고 반복적인 춤의 동작으로써 주술적 효과를 올리고 있음 · 춤이 신과 인간과의 의사소통의 수단이 되고 있음 · 일정한 장소 회무하면서 신내림을 기다림. 이상과 같이 한국 무속춤과 공통적인 특징을 갖고 있음을 보이고 있다. The ways of the shamman rites has long been the psychological heritage of both the Korean and Japanese cultures. Folk dance, folk music and folk traditions all developed form the shamman heritage.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universality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shamman dances, it is effective to compare foreign shamman dances. In Japan, there was once a period in which the female shamman lead all religions rites. However, the import of foreign religions and social change alienated the female shamman oriented shammanism to the Okinawa region, far removed from the mainland. Proceeding the analysis and study of shamman dance, the study of I-jai-ho from a multimensional perspective and using the methodology of folklore studies was initiated. The theological and world riew reflected in the shamman rites, shamman apparel and music were discussed. A thorough approach to shammanism in general seemed necessary to analyze in detail the dance aspect. As a consequence, the discovery of the shammanistic culture preserved in the I-jai-ho was made. The repose of soul magic called [Asobi] in ancient Japanese are dance and song. The songs and dance are virtually quiet and simple, with many repetitions. Especially, in the dance, the simplified and structured repetitions of movement turn out an trance-like effect, and the meanings of inviting god, pleasing god, sending god are enveloped by the dance. The characteristic trait of the Okinawa shamman dance is the wrist action and movement. The forms of dance were mostly progressive and straight-lined, however spasmic rhythms and forms were also observed. Furthermore, ancient dance rituals and the schema were seen in the form of collective dance, and the dance has an essential role in the performance of the shamman rites.

      • KCI등재후보

        한국창작춤 방법론을 위한 미쟝센 개념 적용

        윤수미 한국무용기록학회 2009 무용역사기록학 Vol.16 No.-

        본 연구는 한국창작춤이 시간과 공간의 변화에 따른 동시대적인 무대표현을 지향하면서 새로운 미적범주가 필요하다는 자각과 함께 새로운 내용과 형식에 따른 춤 스타일화에 있어서 지속적인 연구와 발전을 위해 미쟝센이라는 서양적 용어와 개념을 빌어 하나의 틀을 제시해 방법론적 탐색을 모색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미쟝센이란 타 예술장르에서 이미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용어와 개념으로 본 연구에서 이를 도입하여 한국창작춤 무대에서 표현되는 미학적, 기술적 측면과 신체의 조형성과 상징성에 접근한다. 미쟝센은 보편적으로 한 장면 내의 요소들, 즉 극적인 동작을 둘러싼 물리적 환경을 일컫는 용어와 개념으로 이를 통해 창작자는 자신만의 고유한 스타일을 양식화 한다. 이런 양식화의 과정은 자신만의 스타일을 통해 차별성을 강조함으로써 창작자와 수용자 사이에 있어 진정한 소통의 방법을 강구 하고자 하는 것에서 비롯된 것이다. 소통의 단절로 인해 정체성의 위기에 봉착한 한국창작춤에 있어서 관객과의 진정한 소통은 물론 세계와의 소통 진작을 도모하기 위해 미쟝센의 용어와 개념을 빌어 적용시켜 보고자 하는 것이다. 한국창작춤은 비교적 짧은 시간 내에 괄목할 만한 양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질적인 면에서 답보적인 상태를 면치 못하고 있다. 이는 다양한 원인의 복합적인 이유에서 연유할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의 연구자는 한국창작춤이 다양성의 수용이라는 명목 하에 표현하는 무대언어의 혼란으로 인한 소통의 단절이 주된 원인이라 판단하고, 한국창작춤에 있어 보편적 소통 관계 방식을 위한 미적사고의 재정립을 강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논의의 전개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미쟝센의 용어와 개념정리를 통해 동서양의 미적사고의 차이와 유사성을 비교 한다. 비교분석을 통해 사고체계가 문화표현에 있어서 태도, 신념, 가치, 선호와 상징 등과 같은 것들이 민속심리적인 특성에 어떤 모습으로 작용하는지 살펴보는 기회를 갖는다. 이와 같은 논의는 필연적으로 한국적인 미란 무엇이며, 한국적인 미에 대한 상징체계와 기호, 이미지는 급변하는 시대적·사회적 분위기에도 흔들림 없이 어떻게 그 위상을 지니는가에 대해 간략한 논의로 이어진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안무자만의 독특한 스타일을 다양성의 수용과 포용이라는 관점으로 양식화하는 과정 속에서 최근에 행해지고 있는 한국창작춤이 어떤 특성과 경향을 나타내면서 관객과 소통을 하고 있는지에 대해 탐색해 본다. 이를 통해 정체현상을 겪고 있는 현실에 대한 대안 마련을 방법론적으로 제시 한다. 한국창작춤의 방법론적인 모색으로 도입된 미쟝센의 개념은 단지 시각적인 면에 국한 되는 것이 아니라 심리적 공간에 대한 상징과 기호체계를 포함하고 있기에 이에 대한 접근은 보다 더 심도 있게 접근되어져야 한다는 판단이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한 첫 시도이며, 본 연구를 시발점으로 하여 한국창작춤과 미쟝센의 관계를 보다 구체적이며 본격적으로 논의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seeks a methodological search that presents a frame using a western terminology and concept 'mise-en-scene' for continuous research and development of dancing stylization according to the new content and style, with the awareness of necessity of a new aesthetic category, supporting the Hanguk chanjak Chum's contemporary stage expression according to the change of time and space. Mise-en-scene, which is a commonly used terminology and concept in other art genres, is introduced into this study to approach the aesthetical and technological parts and physical modeling and symbolism that are exhibited in the Hanguk chanjak Chum stages. Generally mise-en-scene is a terminology and concept that explains the factors within a scene, or the physical circumstance surrounded by dramatic motions; through this, the creator stylizes his or her own style. Such process of stylization came from the deliberation of true communication through differentiation. Any art besides dancing art ultimately aims at interaction with others; not only the true interaction with the audience, but also the interactive promotion with the world, is being applied using the terminology and concept of mise-en-scene. Despite the remarkable quantitative growth of the Hanguk chanjak Chum within a comparably short period of time, it is remaining standstill in terms of its quality. This comes from complex causes from different reasons. However,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stresses the reformation of aesthetic thinking for universal interactive relation style of the Hanguk chanjak Chum under the judgement that the Hanguk chanjak Chum is the main cause of interactive disconnection due to the confusion of stage language expressed under the purpose of accepting diversity. The process of developing such argument is shown as follows. First, compare the different and similarity of the eastern and western aesthetic thinking through arranging the terminology and concept of mise-en-scene. Such comparison and analysis provides an opportunity to look at how thinking paradigm, in such cultural expressions as attitude, belief, value, preference, etc., functions to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rgument, by necessity, moves on to concise discussion about what Korean styled beauty is, and how it sustains its contemporary position without turbulence in the middle of such atmosphere in which symbolic paradigm, preference, image of the Korean styled beauty rapidly change. And based on this, search for, in the process of stylization, how the contemporarily performing Hanguk chanjak Chum interacts with the audience with what characteristics and trends from the perspective of accepting and embracing diversity, and present alternatives methodologically for its reality of congestion phenomenon. Since mise-en-scene, which was introduced as the methodological search, is not limited just to visual aspects but it also includes symbols and signal paradigm about psychological space, its approach should be made more in-depth.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in making the first attempt for this.

      • KCI등재

        지속가능발전 개념을 도입한 무용축제 사례 연구

        윤수미 한국무용연구학회 2023 한국무용연구 Vol.41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지속가능발전 개념 도입을 시도한 무용축제 사례를 토대로 지속가능발전 개념 도입의 성과와 영향에 대해 탐색하고, 예술의 미래 방향성에 대해 논하고자 함이 목적이다. 연구방법: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는 2023 제37회 한국무용제전‘Stage Ecology’ 사례를 중심으로 전문가집단 7인을 선정하여 표적집단면접(FGI)을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제37회 한국무용제전 ‘Stage Ecology’의 성과로는 첫째, 무용공연현장에서 실질적인 친환경 운동을 실천하여 모범적 선례가 되었다. 둘째, 시대성을 함의한 주제선정과 진취적인 도전정신이 높이 평가되었다. 셋째, 무용인들의 의식을 선도하여 예술의 녹색성장을 유도하는데 공헌하였다. 본 사례 탐구를 통한 예술의미래방향 예측으로는 첫째, 시대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적극적인 도전정신과 독창적, 윤리적 사고가 바탕이 되어야 한다. 둘째, 순수예술로서의 발전과 동시대성, 상징성을 통해 사회적 책임을 준수하고 인간중심의 예술로 발전해야한다. 셋째, 예술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며 예술교육에 대한 지속적인 논의와 모색이 필요하다. 결론: 예술이 보다 장기적인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분야로 자리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더욱 복합적이고 다각적인 고려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인간사회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예술이 사회적 역량을 다하며 인간에게 큰 보탬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 KCI등재

        일본 오키나와와 한국 제주도 무무(巫舞) 비교 연구

        윤수미 한국무용연구학회 2011 한국무용연구 Vol.29 No.2

        민속학적 관점에서 본다면 오키나와와 제주도 사이에는 많은 공통점이 있다. 두 지역 모두 전통적 배경으로 본토에서 고립된 "섬"이라는 지역적 특성과 역사성을 가진 마을전체의 하나에 축제로써 그들만의 독특한 무속문화를 만든 원초적 성격을 띠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일본 남부지방 특히 한국 전통예술과 문화와 연결되어 있는 일본 오키나와 지방에 무속춤에서의 무무(巫舞)와 음악적 구조를 함께 살펴봄으로써 한국 무속춤과의 관계를 보다 명확히 파악하자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 특히 일본남부지역과 연결성이 큰 제주도 지역에서의 칠머리당 영등굿 무속의 경우 다른 지역의 무속보다도 역사적으로나 예술적인 면에서 우리 고유의 형태를 잘 보존하고 있고, 민속 문화의 모태로서 그 문화적 가치가 인정되어 그 의미를 더하고 있다. 이러한 두 지역의 역사적 연관성은 2006년 이후 지금까지 "제주도와 오키나와의 만남"이라는 행사를 통하여 양 지역의 민속 문화예술교류공연이 현재까지도 이루어지고 있음으로도 알 수 있다. 결론으로 두 지역 모두 음악적 구조(운율, 음색, 가사 내용, 악기)와 무무(巫舞)의 형태면에서 매우 공통적인 유사점을 갖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두 지역 모두 "섬" 이라는 공통점에도 불구하고 제주도는 해녀들이 집단무무에 참여하고, 오키나와의 경우 노로인 여성들이 제사를 주관하며, 심방은 남성으로 전체제사를 주관하고 있는 점에서 차이가 난다. 또, 무무(巫舞)의 절차와 무장 및 무구 등에서 일부 차이점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From an ethnological point of view, Okinawa and Jeju share many similarities that are rooted in common geographical and historical characteristics. First, both countries are relatively isolated from the Asiatic mainland: Korea as a mountainous peninsula and Japan as a group of islands lying to the east of the mainland. Secondly, in the case of both countries, their traditional shamanistic religions were deeply interwoven with the cultural life and festivities of their rural villages. In this paper, the shaman-dance and its musical structure in Okinawa, Japan, which has a clear relationship with traditional dance in Korea, will be discussed and analyzed in detail in order to clarify fur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lk dances of the two countries. In particular, the traditional dances Chil-Mu-Ri-Dang and Young-Deung-Good, from Jeju Island, which has the closest relationship with the southern part of Japan, have been historically and artistically well-preserved in comparison with traditional dances in other parts of Korea. The historical relationship between Jeju Island and Okinawa continues to the present day through the event known as the "Meeting of Jeju and Okinawa," which mainly focuses on the mutual exchange of each island's traditional performing arts. In conclusion, in both places, the similarities of musical structure (in terms of rhythms, tones, lyrical content and instruments) and of the form of the shaman-dances are identifiable. Despite the regional similarities, however, there are some important differences. On Jeju Island, for example, female-divers (haenyeo) joined the group shaman-dance; whereas in Okinawa, the Nhoro (female chief priest) supervised the shaman-dance while the Shimbang (male great chief priest) supervised entire ancestral rites. In addition, the partial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islands' respective shaman-dances, such as the process of the shaman-dance, ritual utensils, and accessories, can be recognized.

      • KCI등재

        한국무용제전의 사(史)적 고찰

        윤수미,최윤실 한국무용연구학회 2019 한국무용연구 Vol.37 No.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accomplishments of the Korea Dance Festival, which has contributed greatly to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Korean creative dance as an independent genre, by examining the changes and trends in different stages, such as foundation and sprouting, crisis and take-off, independence and growth, and development and vitalization. To this end, this study collects bibliographic data of related theses and research materials, press releases, texts published in dance books, and programs of the Korea Dance Festival. The overall accomplishments of the Korea Dance Festival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festival has popularized, localized and globalized dance. Second, it has promoted a harmonious development of traditional and modern dance with themes such as shedding new light on traditional dance, dance mythology, and dancing world heritage. Third, it has also improved concreteness of dance performances and developed the competencies of choreographers by selecting various themes. Fourth, the festival has discovered and nurtured young choreographers through performances in little theaters. 본 연구는 한국창작춤이 독자적 장르로서 정착하고 발전하는데 크게 기여함이 판단되는 한국무용제전을 창립 및 발아기, 위기 및 도약기, 자립 및 성장기, 발전 및 활성기로 나누어 각 시기별 변화와 흐름 양상에 대해 살펴봄으로서 성과를 논하고자 함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문헌자료를 중심으로 관련 학위논문 및 학술 연구 자료, 언론 보도 자료, 무용전문서적에 실린 평문, 그리고 한국무용제전 프로그램을 수집하여 고찰을 시도하고자 한다. 한국무용제전의 전체적 성과를 요약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의 대중화, 지역화, 국제화이다. 둘째, 전통무용의 재조명, 춤 신화전, 춤추는 세계문화유산이라는 주제를 통한 옛춤과 현대춤의 조화로운 발전 도모이다. 셋째, 다양한 주제 선정을 통한 춤 공연의 구체성 향상 및 안무가들의 역량 개발이다. 넷째, 소극장 공연을 통한 젊은 안무가들의 발굴 및 육성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