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제강점기 일본어 자료에 나타난 ‘울릉도의 屬島로서의 독도’ 인식

        윤소영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20 독도연구 Vol.- No.28

        그동안 여러 선행연구의 성과를 통하여 1905년 일본이 독도를 자국의 영토로 강제 편입시키기 이전, 일본의 지도와 역사지리교육에서는 독도를 일본의 영토로 인지하지 않았다는 점이 충분히 밝혀졌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일제강점기는 시대적인 특성상, 위와 같은 관점의 연구가 어려운 실정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역사는 시기에 따라 분절되는 것이 아니라 여전히 연속성 하에 존재하기 때문에 비록 법제적으로 일본이 독도를 일방적으로 영토화했다고 해도 독도가 울릉도의 속도라는 인식은 갑자기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이 연구는 일제강점기에 울릉도와 독도 관련의 일본어 자료 속에 독도 인식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대상 자료는 2017년에 독립기념관에 기증된 김남훈 독도 관련 기증자료 중, 일제강점기의 일본어 역사지리부도와 일제강점기에 일본인 학자에 의해 저술된 울릉도와 독도 관련 연구논문, 시마네 현 마쓰에 시 죽도연구소에서 필자가 직접 수집한 「죽도편입에 관하여」라는 문서군을 주목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시바 가즈모리(芝葛盛) 의 일본역사지도(1922)에는 죽도(=독도)를 조선의 것으로 적어, 울릉도의 부속섬으로 독도를 인지했음을 드러내었다. 이것은 ‘地名의 巨人’으로 불린 요시다 도고(吉田東伍)의 대일본지명사서의 영향이 컸으며, 요시다 도고가 펴낸 신편 일본독사지도에 소개된 「한국병합 전후 일본영역도」의 인식과도 일치하고 있음이 발견된다. 나아가 시바 가즈모리의 관점은 연구 동료인 후지타 아키라(藤田明)의 저술에도 반영되었다. 그런 점에서 시바 가즈모리의 일본역사지도의 독도 관련 기술이 시바 가즈모리의 특수한 사례라고 할 수는 없을 것이다. 독도를 울릉도의 부속 섬으로 인식하는 사례는 일제강점기 일본인 학자의 저술에서도 살펴볼 수 있다. 즉, 다보하시 기요시(田保橋潔), 이마무라 도모(今村鞆) 등의 연구에서는 울릉도를 竹島, 독도를 松島에 비정함으로써 자연히 독도를 울릉도의 부속 섬으로 간주하는 인식을 드러내었다. 히바타 셋코(樋畑雪湖)는 직접적으로 독도를 울릉도의 부속 섬이라고 단정했다. 한편 일제강점기 울릉도에 거주했던 일본인들이 맑은 날 울릉도에서 독도가 뚜렷이 보인다고 증언한 점, 독도가 竹島라는 이름으로 시마네 현에 일본 영토로 편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일본인은 량코도로, 조선인은 獨島라고 했다는 점은 국가적인 차원에서 일정 지역의 소속과 명칭을 바꾸어도 일상생활 속에서 체감하는 공간 인식은 이전의 방식과 습관을 계승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이다. 1923년 발간된島根縣誌나 1945년 일본 마쓰에 재무부 국유지대장에 ‘獨島’라고 기록되었다는 것은, 울릉도의 부속 섬으로서의 독도의 존재감이 일본 측에도 인지되었음을 보여준다. 나아가 정작 독도를 영토 편제한 시마네 현에서는 1926년에 행정구역 개정으로 오키도사가 폐지되고 오키지청이 수립된 후 독도 관련 행정 조치도 취해야 했지만 1953년까지 방치한 사실이 있었다. 이러한 점은 현재 일본 측에서는 은폐하고 있지만 이것이야말로 일제강점기에 일본이 독도에 무관심했음을 알 수 있는 지표이다. 일제강점기의 한국은 한국병합조약에 의해 ‘영원히’ 일본의 영토가 되었다고 인식되었기에, 일본 측은 굳이 독도를 따로 ... Until now, through the results of several previous studies, it is thought that it was fully revealed that Japan did not recognize Dokdo as a territory of Japan before it was forced to annex it to its territory in 1905. However,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t was difficult to prove that Dokdo was Korean territory because all of the Korean territory became Japanese territory. Nevertheless, history is not cut off from time to time, but still exists under continuity. Even if Japan, by law, made Dokdo one-sided as its territory, the perception that Dokdo is an island attached to Ulleungdo will not suddenly disappear.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Dokdo's perception appeared in Japanese materials related to Ulleungdo and Dokdo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donated by Nam Hoon Kim, donated to the Independence Hall of Korea in 2017, research papers related to Ulleungdo and Dokdo written by Japanese scholar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Matsue City, Shimane Prefecture It is a document called "About the Incorporation of Takeshima" that I directly collected at the Takeshima Research Institute.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hiba Kazumori's Japanese History Map (1922) wrote Takeshima(=Dokdo) as the territory of Korea, revealing that it recognized Dokdo as an island attached to Ulleungdo. This was largely influenced by Yoshida Togo's "The Great Japanese geographic dictionary", which was called the Giant of Japanese Geography. This coincides with the perception of Japanese territorial maps before and after the Korean annexation introduced in the "New Japanese history map" published by Yoshida Togo. Furthermore, since Shiba Kazumori's perspective was reflected in the writings of research colleague Akira Fujita. Shiba Kazumori's perception was not limited to him. An example of recognizing Dokdo as an affiliated island of Ulleungdo can also be found in research papers written by Japanese scholar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other words, studies by Tabohashi Kiyoshi and Imamura Tomo revealed the perception of Dokdo as a sub-island of Ulleungdo by declaring Ulleungdo as Takeshima(竹島) and Dokdo as Matsushima(松島). Setko Hibata directly determined Dokdo as an island of Ulleungdo. On the other hand, Japanese residents who lived in Ulleungdo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estified that Dokdo was clearly visible on Ulleungdo on a clear day. Despite the fact that Dokdo was incorporated as a Japanese territory in Shimane Prefecture under the name of Takeshima(竹島), Japanese were known as Ryangkodo and Koreans were Dokdo(獨島). The fact that it is called is a part wher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previous methods and habits continue in life regardless of changes in the system. Also, it is recorded as Dokdo(獨島) in 島根縣誌 (1923) and the head of the State Treasury Department of Matsue, Japan (1945), indicating that Japan also recognized Dokdo as an attached island of Ulleungdo. Furthermore, after the administrative district was changed from Oki island governor (島司) to the Oki branch office in 1926, it was left until 1953 without administrative measures for changing the region governing Dokdo. Japan is hiding this fact, but this is an indicator that Japan can guess how Dokdo was perceived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Korea was recognized as the “territory of Japan Empire” by the Korean Merge Treaty, so the Japanese side did not have to separate Dokdo and emphasize it as Japanese territory. In such a situation, regardless of its name, the geographical recognition of Dokdo as a sub-island of Ulleungdo was naturally expressed in Japanese records related to geography. Even Japanese officials have indicated that the island was called “Dokdo(獨島)” by Koreans.

      • KCI등재
      • KCI등재

        Classificateurs et Mots de mesure

        윤소영 프랑스학회 2007 프랑스학연구 Vol.39 No.-

        수분류사와 단위표시명사의 구분과 일반언어학에서 그 구분이 미치는 영향에 관한 고찰 윤 소 영 대다수의 아시아 언어에 존재하는 수분류사체계(système des classificateurs numéraux)는 일반 언어학에서 흔히 프랑스어 등에 존재하는 장르(genre)체계나 아프리카어 등에 존재하는 명사등급(classes nominales)체계와 함께 그들 상위시스템인 명사분류시스템(système de classification nominale)의 한 갈래로 취급된다. 하지만 고도의 문법성이 인정되는 장르체계나 명사등급체계와는 달리 수분류사체계는 일반적으로 다른 두 시스템에 비해 월등히 문법성이 떨어지는 요소로 여겨져 왔다. 본고에서는 통사론적, 의미론적, 그리고 비교언어학적 관점에 입각하여 한국어에서 넒은 의미의 ‘분류사’라 칭해지는 어휘들을 적어도 크게 두 그룹으로 나누어 다루는 게 적절하다는 주장을 펼친다. 한 그룹은 본고에서 제안하는 문법적 요소로서의 협소한 의미의 분류사(classificateurs au sens étroit)이고 다른 그룹은 엄격한 의미에서의 분류사가 아닌, 단순 단위표시명사(mots de mesure)로, 전자가 언어유형학적으로 볼 때 ‘분류사 언어’에만 존재하며 개체명사(noms comptables)와 함께 쓰인다면 후자는 ‘분류사 언어’뿐만 아니라 ‘비분류사 언어’에도 존재하며 주로 물질명사(noms massiques)와 함께 쓰이며 그 자체가 명사성이 강하다는 특징이 있다. 본고에서 제안하는 이러한 협소한 의미의 분류사의 정의는 그간 막연히 어휘성이 높다고만 평가되어 왔던 수분류사체계의 문법성의 정도를 재검토해 보고 명사분류시스템 속에서의 수분류사체계의 위치를 재고해 볼 수 있는 여지를 마련한다.

      • KCI등재

        전자전달증대기(ERE)를 이용한 태양전지의 전력 향상

        윤소영,홍주희,김학희,김학수 한국화학공학회 2014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52 No.3

        태양전지의 전력향상을 위해 외부에 연결된 시스템적인 접근방법으로써 가변병렬공급기(DC1)와 가변직렬공급기(DC2)가 부착된 전자 전달 증대기(Electron Relay Enhancer: ERE)를 이용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DC1의 전압이 태양전지 전압보다 높을 경우 DC1은 저항과 같은 역할을 하므로 태양전지의 전압이 상승하게 되고 반면 전류는 낮아지게된다. 이 때 낮아진 전류는 DC2에서 보충해주어 태양전지의 출력이 증가하게 된다. DC ERE 직-병렬 시스템은 병렬전압의 1.5~2.0 V 증가로 태양전지의 전압을 2.0~3.0 V 높일 뿐 아니라 전력 증가율도 약 10% 정도 향상시켰다. The studies to improve the power of Solar Cell using ERE (Electron Relay Enhancer) system with Variableparallel-feeder (DC1) and variable series-feeder (DC2) were carried out. For DC1 voltage was higher than that ofSolar Cell, this was raised because that functioned as a load, whereas a current was lowed. At that moment, the power ofthe Solar Cell was increased because the DC2 replenished the lower current. Not only increased the DC ERE series-parallelsystem the voltage of Solar Cell to 2.0~3.0 V, but they also increased the rate of power increase to about 10%.

      • KCI등재

        발꿈치에 발생한 궤양성 무색소성 흑색종

        윤소영,박영운,김은지,박현선,윤현선,조소연 대한피부과학회 2013 대한피부과학회지 Vol.51 No.12

        무색소성 흑색종(amelanotic melanoma)은 전체 악성 흑 색종의 2∼8% 정도를 차지하는 드문 피부 악성 종양으로, 악성도가 높아 피부암 사망률의 74%를 차지한다1. 색소를 띠지 않으므로 초기에 흑색종으로 의심하기 힘들고 병기 가 진행된 상태로 발견 되는 경우가 많아 예후가 좋지 않 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환자는 64세 여자로 내원 6개월 전 오른쪽 발꿈치 외측 에 단발성의 단단한 홍반성 결절이 발생하였고 내원 4개 월 전부터 크기가 증가하여 본원 피부과 내원하였다. 가려 움증이나 통증은 동반되지 않았다. 피부 소견은 오른쪽 발 꿈치 외측에 대칭적이며 경계가 명확한 3.0×3.0 cm 크기 의 둥근 홍반성 판이 관찰되었다. 병변 중앙부는 진물이 가 피화되었고, 가장자리에는 미란이 동반되었다(Fig. 1A). 임 상적으로 에크린땀구멍종, 에크린악성한공종 의심하여 병 변 중심에서 시행한 조직 검사상 표피에 궤양이 동반되었 고 진피 내 종양세포가 다수 관찰되며 멜라닌 색소는 없었 다. 세포 모양은 방추형 또는 다각형이었으며 중배율, 고배 율 소견상 비전형적이고 다형성의 종양 세포들이 보이며 핵은 크고 진하게 염색되어 있었다(Fig. 1B, C). 종양 세포 들은 면역 조직화학 염색에서 S-100, HMB-45 양성 소견을 보였다. PET/CT검사에서는 원발 부위 섭취 증가 소견과 함께 오른쪽 오금림프절, 샅고랑림프절, 바깥엉덩림프절로 전이 소견이 관찰되었다. 이상의 임상적 소견, 병리조직학 적 소견 및 검사 소견을 통해 무색소성 흑색종으로 진단하 고 수술적 치료를 권유하였으나 환자와 보호자는 이를 거 부하였고, 이후 추적관찰은 불가능하였다. 무색소성 흑색종은 색소를 띠지 않으면서 임상적으로 붉은색 또는 핑크색의 반, 구진, 판 및 결절의 다양한 형태 로 나타난다. 기저세포암, 가시극세포종, 멕켈세포암, 광선 각화증, 보웬병, 혈관종, 화농성 육아종과 유사하게 보일 수 있어 감별이 필요하며, 단순 염증소견이나 양성 종양과 유사한 형태를 보일 수 있기 때문에 조기 진단이 어렵다2. 국소 항생제나 스테로이드로 잘 치료되지 않고 병변의 지 속시간이 길 경우 의심해보아야 하며, 비전형적 임상 형태 때문에 인해 진단에 걸리는 시간은 13개월 정도이다. 현재 까지 국내 저널에 보고된 무색소성 흑색종은 9예가 있으 며 19∼79세에 진단받았다(Table 1). 홍반성 결절이나 반 의 형태로 궤양을 동반하거나 동반하지 않는 양상이었고, 이 중 3예에서 발뒤꿈치에 발생하였으며, 그 중 1예에서 임상적으로 에크린땀구멍종을 의심하여 조직검사를 시행 하였다. 본 환자의 경우 병변이 발꿈치에 발생하였고 임상 적 소견이 에크린땀구멍종 또는 에크린악성한공종과 유사 하였으나 무색소성 흑색종으로 진단된 증례이다. 이전의 연구에서 결절성 아형을 제외한 무색소성 흑색 종 20예의 임상적 특징을 조사하였을 때 대부분 대칭적인 모양과 규칙적인 경계를 보여 흑색종을 진단하는데 중요 한 ABCD 규칙으로도 감별이 쉽지 않았다. 이는 흑색종의 경우 비정상적인 멜라닌 세포가 수평방향으로 불규칙하게 증식하면서 eumelanin을 만들기 때문에 비대칭적인 모양과 불규칙적인 경계를 보이는 반면, 무색소성 흑색종은 멜라 닌 색소가 육안상 안보이기 때문이다3. McClain 등4은 무색 소성 흑색종의 70%에서 붉은색이었다고 보고하였고, 이러 한 경우 ABCD 규칙으로 악성감별이 불충분하여 Red, Raised lesion, Recent change의 3R을 추가적으로 고려해야 한 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다른 연구자는 ABCD 규칙에 이어 Elevated, Firm, Growing의 EFG를 제안한 바 있다5. 본 증 례에서도 임상양상이 대칭적이고 경계가 규칙적이어서 ABCD 규칙으로는 감별이 어려웠지만, 병변이 융기되어있 고, 단단했으며 최근 4개월간 크기가 증가하여 EFG에 합 당하였다. 본 저자들은 64세 여성의 발뒤꿈치에 발생한 무색소성 흑색종을 진단하고, 크기가 빨리 증가할 경우 임상의가 반 드시 의심해야 할 질환으로 주의가 필요하여 보고하는 바 이다.

      • SCOPUSKCI등재

        2, 4, 5-Trichlorophenoxyacetic Acid 분해균의 유전적 특성에 관한 연구

        윤소영,송홍주,이건,이상준,이종근,Yoon, So-Yeong,Son, Hong-Joo,Lee, Geon,Lee, Sang-Joon,Lee, Jong-Kun 한국미생물학회 1992 미생물학회지 Vol.30 No.4

        2, 4, 5-T 분해균주인 Pseudomonas sp. EL-071P 는 rifampicin, ampicilin, kanamycin 등의 중금속에 대하여 내성을 가지고 있었다. 이 균주로부터 2, 4, 5-T 분해능과 rifampicin 의 내성에 관련된 하나의 plasmid 를 분리, 정제하였으며 그 크기는 약 40 kb 이었다. E. coli 에 2, 4, 5-T 분해능에 관ㅎ련된 plasmid 를 transformation 한 결과 2, 4, 5-T 분해에는 plasmid 가 관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균주는 다양한 염소계방향족 동족체화합물을 유일한 탄소원으로 하여 생육할 수 있었으며, chlorophenol compound 의 경우 CI$^{-}$ 의 치환위치가 ortho, para-, meta- 위치순으로 분해가 잘 되었다. 2, 4, 5, -T 의 기질 유사체인 4-chlorophenol 에 의해 2, 4, 5-T 대사가 저해되었다. 비염소계 방향족화합물중 benzoate, salicylate, toluene 은 Pseudomonas sp. EL-071P 와 Pseudomonas putida KCTC 1643 에 의해 탄소원으로 이용되었으나 naphtalene 의 경우 Pseudomonas sp. EL-071 에 의해서만 탄소원으로 이용되어 표준균주인 Pseudomonas putida KCTC 1643 과 상이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Pseudotnorju.c sp. EL-071P degrading 2.4.5-trichlorophe~~oxyi~cetaicci d (2.3.5-T) was resistantto antibiotics: rifampicin. ampicillin. kanamycin and metal ions : Zn" and Cu".The plasmitl related to the degradation of 2.4.5-'r and rifa~npicin resistance was isolatecifrom the strain. Its size was about 40 Kb. As result of transforming the plasmid intoEsch~rirhiti coli MClOhl, it was confirmed that the plasmid ura.; related to 2.4.5-T degradation.The strain coulil grow in the various chlorinated aromatic analogs as the solc carbon source.In the case of chlorophcnols. the chlorinated mono-substituteti phenols were easily dcgradetlin the order ol' ortho-. ~ ~ a r um- ,c ~tu-position.T he 2.3.5-T mctaholism was inhibited by 4-chlorophenol of 2.4.5-7' analog. In non-chlorinateci aromatics. ~ C I I L O ~ I ~ Csa.l icylilte i~ndtoluene were uscd ax the carbon source by the strain and typestrain Acudonlotrtr.\ plrtirltrKCTC 1643 having clegrad;~bility of various aromatics. But naphtalene was usecl only bythe A~urlomonri.\ sp. EL-07 1 P.the A~urlomonri.\ sp. EL-07 1 P.

      • KCI등재

        청일전쟁기 일본인의 戰爭觀과 조선인식 - 라프카디오 헌의 에세이와 대중매체를 통하여 -

        윤소영 한국일본사상사학회 2016 일본사상 Vol.0 No.31

        The study tone of the Korean modern history that took up Sino-Japanese War emphasizes aggression characteristics and the barbaric act of the emperor on a day throughout. But the study tone in Japan is different from this. In other words, much human life is killed and wounded in this war and the Queen of Korea was killed by a Japanese. Nevertheless Japan ignores the fact that they invaded Korea and they lift international dynamics relations and insist on legitimacy of the war. Besides it is a fact that such recognition is consistent so far from modern times and is insisted. Why is this? I want to consider this problem through outlook on Korea recognition of the Japanese public for the Sino-Japanese War period. Therefore, I want to attention to is two essays of Lafcadio Hearn(1850-1904). Hearn wrote essays as "A Wish Fulfilled" and "after the war" in 1895. He wrote about his pupil matured into a soldier by the militaristic education of Japanese Emperor system. The boy says that it is the heart's desire to die for the Emperor at the time of Sino-Japanese War and he was killed in war. This suggests what a result of the militaristic education of Japan in those days. The Japanese newspaper continued reporting that this war was the chance when did not have two when Japan could mature into the large country in the Sino-Japanese War period. Meiji Tenno ordered that sacrifice one's life for light and the authority of the empire for declaration of war. Under such situation, the public media which conveyed the war situation overflowed in Japan. The color woodblock print which painters exaggerated a state of the war and drew was popular with people. Other than drama, a diorama, an automatic puppet play, the child toy which featured the theme of Sino-Japanese War, various publications in admiration of war were popular. To Japanese public, this war was like the festival. The people did not have a heart to sympathize with for dead Korea and the Chinese people in war. Japanese newspapers did not have the antiwar tone either. Japan thought only that the Emperor Meiji and the nation won in war all in one body in Sino-Japanese War. It was the same as denying the whole Meiji Japan that people insisted on the war. In such an atmosphere, I think that Japanese frigidity to never feel crime awareness was born for the barbaric act to kill to a Korean queen. 청일전쟁을 다룬 한국근대사의 연구 논조는 일관되게 일제의 침략성과 그 만행을 강조하고 있지만, 일본 측의 연구논조는 이와는 다르다. 즉, 이 전쟁에서 수많은 인명이 살상되고 그 과정에서 한국의 왕비까지 살해당하는 등, 조선을 침략했다는 사실이 분명한데도, 이러한 점을 주목하기 보다는 국제적인 역학관계를 통해서 전쟁의 정당성을 주장하고 있다. 심지어 이러한 인식은 현재에도 일관되게 주장되고 있다. 왜 일본의 연구에서는 청일전쟁기에 조선을 침략했다는 사실에 대한 인식이 미미한 것일까? 그것은 청일전쟁을 바라보는 일본인의 근본적 인식에 원인이 있는 것은 아닐까? 이 연구는 이러한 의문을 갖고 청일전쟁기 일본 대중의 전쟁관과 조선인식의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이 글에서는 1890년대에 일본에 거주하며 청일전쟁기 일본사회를 관찰한 작가 라프카디오 헌의 두 편의 에세이와 당시 일본의 대중매체의 전쟁보도 양상을 주목하고자 한다. 라프카디오 헌의 「A Wish Fulfilled」와 「After the War」에서는 자신의 제자인 소년이 메이지일본의 군국주의 교육을 통해 결국 천황을 위해서 죽는 것이 소원이라고 말할 정도로 군국소년으로 성장한 모습을 지적하고 있다. 이것은 당시 일본군국주의교육의 성과가 어떠했는지를 시사하고 있다. 청일전쟁기 신문은 이 전쟁이 일본이 대국으로 성장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로 생각했고 1894년 천황의 조서에는 목숨을 바쳐 충성을 다하라고 젊은 병사들을 선동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청일전쟁 동안 일본에서는 전쟁 상황을 전달하는 대중매체가 봇물처럼 쏟아졌다. 전쟁보도화를 그린 니시키에(錦絵)가 전성기를 맞이했으며 청일전쟁을 주제로 한 연극, 디오라마, 자동인형극, 어린이 장난감, 각종 출판물이 쏟아져 나왔다. 일본이 승전을 거둔 조선의 장소는 ‘명소’가 되어 승전 스토리텔링과 더불어 일본인의 뇌리에 강한 인상을 남겼다. 이 전쟁은 일본인들에게 ‘축제’처럼 이루어졌고 사망하거나 부상당한 병사에 대한 애도, 유족의 슬픔에 대한 공감과 위로, 전쟁에 대한 분노나 격전지에서 학살당한 조선인과 중국인에 대한 동정 등은 언론에 전혀 보도되지 않았다. 이와 같이 청일전쟁은 일본의 천황과 국민이 일체화되어 전쟁에서 승리하여 국가적 도약을 이루는 것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이 전쟁을 침략이라는 관점에서 인식하는 것 자체가 천황과 메이지일본 존재 자체에 대한 부정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조선의 왕비까지 살해한 만행에 대해서도 전혀 ‘죄의식’을 느끼지 않는 일본인의 전반적인 ‘불감증’이 생겼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노인 여가프로그램 설계를 위한 기초연구

        윤소영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06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Vol.1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leisure program to guarantee the leisure right of the elderly. In order to study on the change of leisure perspective and the existence of leisure need, it has based on the leisure program of the elderly in welfare institutions. It was suggested that; The contents of leisure program of the elderly would contain the change of leisure perspective, discovery of leisure need, improvement of the elderly's function(physical health, psychological satisfaction, and social relations), and development of new interest. In specific context, it was varied from the conditions and environments(space or equipment) in each institu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