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擧業을 통해 본 明末의 科擧와 學問

        윤상수(尹相洙) 한국양명학회 2011 陽明學 Vol.0 No.29

        이 논문에서는 과거공부, 혹은 시험의 답안을 의미하는 ‘擧業’을 가지고 명대의 과거와 학문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명대의 관리등용제도는 사실상 科擧로 일원화되어 있었다. 이는 결국 초야에 호걸이 묻혀있는데 조정에는 유능한 관리가 부족한 사태를 초래하였다. 이러한 문제가 표면화되기 시작한 것은 隆慶?萬曆경부터였다. 명대의 거업은 正德?嘉靖에 전성기를 맞이한 이후, 隆慶?萬曆부터 쇠퇴하기 시작하여, 天啓?崇禎에는 타락의 극에 이르렀다고 말해진다. 이러한 거업의 변화는 당시의 학문적 동향과도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다. 정덕?가정부터 시작되는 양명학의 유행은 마침내 거업에도 영향을 미쳐 융경?만력 초년부터 주자학의 권위를 동요시켰다. 이로 인해 양명학을 비롯하여 제자백가, 불교, 도교 등 그때까지 이단시되었던 사상들이 거업에 도입되는 사태가 출현하였다. 이러한 ‘學無定論’의 상황은 거듭되는 명조의 조치에도 불구하고 시대의 조류에 밀려 악화될 뿐이었다. 한편, 거업의 혼란은 당시의 출판 붐과 맞물려 擧業書의 대유행을 가져왔으며, 거업서의 유행은 명말의 사회에 ‘空疏不學’의 풍조를 만연시켰다. 顧炎武는 이러한 공소불학의 풍조로 인해 학문이 황폐화되고 인재가 타락하여, 결국 명은 내부에서부터 무너지게 되었다고 주장한다. 이와 동일한 논의는 黃宗羲에게서도 나타난다. 이들의 주장은 『明史』 儒林傳에 반영되어 “科擧가 성하여 儒術이 미미해졌다”라는 명대 유학에 대한 평가로 이어진다. 명대의 학문은 과거 때문에 쇠퇴하였다는 주장은 청초에 가장 권위 있는 견해 가운데 하나였다. 이는 명대의 학문에 대한 반성에서 출발하는 청초의 새로운 학문적 사조에서도 과거에 대한 반성이 중요한 요소였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전후 일본의 송명유학 연구에 대하여

        윤상수 ( 尹相洙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7 한국학연구 Vol.0 No.47

        이 글은 전후, 즉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1945년 이후 일본의 송명유학 연구에 대해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연구사를 정리하고 있는 논저들을 토대로 그 내용을 정리하는 방식, 말하자면 연구사 연구를 정리하는 방법을 택하였다. 본론에서는 먼저 이 시기의 전체적인 연구의 흐름을 개관하고 나서, 사상사적 연구와 그 외의 주요한 연구로 나누어 대략 1980년대까지 전후 일본의 송명유학 연구에 대해 검토하였으며, 마지막으로 1990년대 이후의 상황에 대해서도 간략하게 언급하였다. 本論文は、戦後日本の宋明儒学研究について紹介することを目的とする。そのためにこの論文では、この時期の研究史をまとめた論著をもとにその内容を整理する、言い換えれば研究史の研究を整理する方法をとっている。本論ではまず、この時期の全体的な研究の流れを整理してから、思想史的研究及びその他の主な研究に分け、おおよそ1980年代までの日本の宋明儒学研究について検討し、最後に1990年代以後の状況についても簡略に言及した。

      • KCI등재

        일본어학습자의 문법습득에 관한 종단적 연구 - 격조사「に・で」의 사용을 중심으로 -

        윤상한 한국일어일문학회 2019 日語日文學硏究 Vol.110 No.-

        This study is a longitudinal analysis of the tendency to learn Japanese learners' the use of "ni" and "de". The results is summarized as follows. (1) The order of appearance of the Japanese language learner '' in the case of the Japanese language learner' is different for each learner, and the use is not biased to either of the items. (2) The misuse of Japanese language learners is represented by a similar ratio in both "ni" and "de", and the difference between learners' mother tongue is not so noticeable. (3) The misuse of Japanese language learners does not decrease even if learning is advanced, and continues to occur until the latter half of learning. (4)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atterns of correctness and misuse of Japanese language learners based on previous nouns, units of "place+de" and "position+ni". (5) The formation of a Japanese language learner's unit appears over the entire learning time. 本研究は,日本語の学習者の格助詞「に・で」を習得傾向を縦断的に観察し、分析したものである。結果を以下のようにまとめられる。 (1)日本語学習者の格助詞「に」の出現順序は、学習者ごとに差があり,使用もどちらか一方の項目に偏らない。 (2)日本語学習者の誤用は「に」と「で」の両項目において類似な割合で表われ,学習者の母語による差はそれほど顕著ではない。 (3)日本語学習者の誤用は、学習が進んでも減らず,学習後期まで持続的に出現する。 (4)日本語学習者の正·誤用のパターンに基づいて分析した結果,「場所名詞+で」と「位置名詞+に」という2つのユニットが形成されている可能性がある。 (5)日本語学習者のユニットの形成は全体の学習時間にわたって現れる。

      • KCI등재
      • KCI등재

        의료사무 장면에서의 공통어와 방언 간 코드 스위칭에 관한 연구

        윤상한 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21 일본학 Vol.53 No.-

        This research analyzes the conversation that takes place at the reception of medical institutions, and analyzes and examines how code switching between common languages and dialects appears and works. According to the analysis, code switching in hospital reception and storage situations depends on various factors such as social and job attributes and roles of conversation participants, and changes in conversation themes.It was found that code switching is intentionally and actively used as a linguistic function such as changing the situation of conversation and changing the theme, expressing solidarity with the conversation partner, and adjusting the distance. 본 연구에서는 의료기관의 접수와 수납 장면의 회화를 분석하여 공통어와 방언 간의 코드 스위칭이 어떻게 나타나며, 또 어떻게 기능하는지에 관하여 분석・고찰하였다. 분석의 결과, 일본의 병원 접수 창구의 회화 장면에는 다양한 코드 스위칭이 나타나며, 이러한 코드 스위칭은 회화 참가자의 사회적・직무적 속성과 역할, 회화 주제의 변화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코드 스위칭에는 회화의 상황을 전환하거나 주제를 바꾸는 등 발화문 내에서의 기능과 함께, 대화 상대방에게 정서적인 유대감을 나타내거나 거리를 조절하는 등 화용론적 기능이라고 하는 참가자들의 의도적이고 적극적인 언어 사용 책략이 담겨 있음을 엿볼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