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간호대학생을 위한 섬망환자 시뮬레이션 학습시나리오 개발 및 평가

        유승연 한국의료시뮬레이션학회 2023 한국의료시뮬레이션학회지 Vol.7 No.2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simulation module suited for the clinical situations of elderly patients with delirium, and evaluate its application possibility for nursing students by evaluating its effects. Method: The module was developed in the order of setting learning objectives and situations, developing the algorithm, writing the clinical performance checklist, and debriefing. The algorithm was constructed with a monitor setting, patient/mannequin actions, expected interventions, and cues in chronological order, according to the module progression outline of Jeffries. The outcome measures included students’ knowledge of delirium, clinical competenc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pre- and post-simulation learning.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Results: After applying the simulation learning scenario, there were significant improvements in students’ knowledge of delirium (t=-5.94, p<.001), clinical competency (t=-5.62, p<.001),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7.25, p<.001). Satisfaction with education was also considerably high (3.76/4). Conclusion: The simulation module for patients with delirium can be very effective in improving nursing students’ knowledge of delirium, clinical competenc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students will be able to increase their understanding of patients with delirium and improve their delirium nursing capabilities through simulation education.

      • KCI등재

        위험 발달군 영아의 어머니와 일반 영아 어머니의 자아, 결혼, 양육관련 심리적 특성 비교연구: 한국 아동 패널 3차년도 자료를 중심으로

        유승연,임지선,김연하 한국보육지원학회 2014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10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위험 발달을 보이는 영아 어머니의 자아, 결혼, 양육 심리적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일반 영아 어머니의 특성과 비교·분석 하고자한다. 이를 위해 SPSS 21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빈도분석, t-test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한국아동패널 3차년도(2010)자료의 총 표본 1802가구 중 한국형 DenverⅡ 아동발달 검사결과 정상 범주로 구분된 1584명의 영아와 의심스런 발달로 구분된 186명의 영아의 어머니이다. 연구결과, 어머니의 결혼관련 심리적 특성 중 결혼 만족도와 남편의 양육참여, 양육관련 심리적 특성 중 양육지식, 양육스타일, 양육스트레스 변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자아관련 심리적 특성 변인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일반 영아 어머니가 위험 발달군 영아 어머니에 비해 상대적으로 양육스트레스를 덜 갖고, 건강한 자아심리와 양육실제, 부부관계를 경험하는 것으로 보여 지며, 위험 발달 영아를 위한 예방적 차원에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zation and Prognostic Implication of SMAD4 Expression in Colorectal Carcinoma

        유승연,이지애,신윤주,조남윤,배정모,강경훈 대한병리학회 2019 Journal of Pathology and Translational Medicine Vol.53 No.5

        Background: SMAD family member 4 (SMAD4) has gained attention as a promising prognostic factor of colorectal cancer (CRC) as well as a key molecule to understand the tumorigenesis and progression of CRC.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1,281 CRC cases immunohistochemically for their expression status of SMAD4, and correlated this status with clinicopathologic and molecular features of CRCs. Results: A loss of nuclear SMAD4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frequent lymphovascular and perineural invasion, tumor budding, fewer tumor-infiltrating lymphocytes, higher pT and pN category, and frequent distant metastasis. In contrast, tumors overexpressing SMAD4 showed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sporadic microsatellite instability. After adjustment for TNM stage, tumor differentiation, adjuvant chemotherapy, and lymphovascular invasion, the loss of SMAD4 was found to be an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 for worse 5-year progression-free survival (hazard ratio [HR], 1.27; 95% confidence interval [CI], 1.01 to 1.60; p = .042) and 7-year cancerspecific survival (HR, 1.45; 95% CI, 1.06 to 1.99; p = .022). Conclusions: We confirmed the value of determining the loss of SMAD4 immunohistochemically as an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 for CRC in general. In addition, we identified some histologic and molecular features that might be clues to elucidate the role of SMAD4 in colorectal tumorigenesis and progression.

      • KCI등재

        유아 예비 교사의 인성 교육을 위한 심리상담 교육학적 접근의 모색에 관한 연구

        유승연,이숙희 한국윤리학회 2010 倫理硏究 Vol.79 No.1

        본 연구는 유아 예비 교사 교육을 위한 인성교육중 하나인 심리 상담 교육학적 접근 방법에 관한 이론 및 적용 사례에 과한 연구이다. 특히 심리 상담 교육학적 이론이 반성적 사고를 통한 예비교사들의 자기 비판적 사고와 전문성발달을 성장시킬 수 있다는 이론적 근거에서 전체적인 맥락이 구성되었다. 심리 상담 교육학적인 접근이 유아교사의 인성과 감성 교육을 통해 교육실제에 대한 관점과 견해가 변화하며 반성적 사고를 증진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연구는 심리상담 교육학적인 이론과 교사교육의 연계성에 관한 문헌 연구를 체계화 하였으며 각 이론에 근거한 실제 사례의 경우를 삽입하여 전체적인 이론적 연구를 뒷받침 하였다. 이에 이 연구에서 유아 예비교사를 위한 심리상담 교육학적 접근 방법으로 그림이나 자서전쓰기, 메타포로 표현하기, 상상기법과 같은 프로그램을 제시하였으며 연구방법은 문헌 연구를 사용하였으며 이론에 과한 이해를 돕기 위해 실제 사례들을 삽입하였다. 미래사회의 한국 교사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교사들의 반성적 사고를 통한 인성교육을 위한 심리 상담 교육학적의 시각의 효과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describes how psychopedagogical approach were used to develop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upright character for moral education and perform beliefs about the learning and teaching in teacher education. Furthermore, it outlines how this theory was used to engender self-critique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based on reflective learning with preservice teachers. This article provides the consequences for teacher education, and examines the use of psychopedagy programs by researchers as a means of changing the views and practice of future teachers. Both the literature search and the case study approach led to the conclusion that researcher has discovered the significance of power of emotion in developing reflective thinking about teaching and learning. Finally, researchers tested the effect of psychopedagogy on the learning of preservice teachers, using these programs such as a drawing, autobiography, metaphor, and a guiding fantasy. The core of the paper reports findings from the pedagogic consequence of the various programs. Then we outline and consider the usefulness of the process through which these findings were used to implement critical reflection and discussion around the implications as new teacher education.

      • KCI등재

        유아 과학 교수방법의 질적 개선을 위한 포트폴리오 평가 활용이 예비교사의 역할 변화와 태도 형성에 미치는 영향

        유승연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00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20

        이 연구는 유아 수.과학 교육 시간에 유아와 활동한 것들을 포트폴리오 평가를 통해 예비교사가 과학자와 같이 자신의 과학이론을 형성해나가는 모습을 통해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연구에 참여한 3명의 예비교사들은 포트폴리오 평가를 개발하면서 교사로서 어떠한 역할 변화와 태도형성을 보였는지 면접과 예비교사들이 한학기동안 쓴 반성적 저널과 유아의 작품과 사진과 반응을 모은 포트폴리오를 내용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교육에 있어 창의적 교수 방법 도구로 포트폴리오 평가의 가치를 알아보는 것으로 포트폴리오 활용을 통해 예비교사들의 모습과 태도가 어떻게 달라지며 과학적 태도 변화가 어떻게 달라지며 교사로써의 역할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논의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 참여한 예비교사들은 포트폴리오를 만들면서 연구가로 변해 가는 모습을 보여 주었다. 고민을 통한 유아와의 상호작용과 활동은 유아교사에게 오히려 많은 것을 느끼고 배우는 자세를 갖게 하였다. 둘째, 유아를 관찰하면서 유아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유아가 사물을 어떻게 인식하며 받아들이는지를 배우게 되었으며 관찰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다. 셋째, 예비교사 스스로 자신의 학습활동과 교수활동을 포함한 학습전반에 걸쳐 의문점(inquiry)이 생기기 시작하여 스스로 탐구해나가는 모습들을 보여주었다. 넷째, 도전해나가는 자로서 변해 가는 모습을 보여 주었다. 교사 자신의 아이디어나 생각을 어려움을 극복해가며 구현해나가는 모습들을 보여 준다. 다섯째, 과학에 대한 자기이론을 정립하는 것을 교사 스스로가 자신의 경험을 통해 이론화를 시켜 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여섯째, 유아와의 직접 활동을 통하여 유아 과학 교육에 대한 흥미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유아 과학에 대한 긍정적 사고와 태도를 갖게 되었다. 이러한 교사의 긍정적인 과학적 태도 형성과 사고 과정의 변화는 포트폴리오를 통해 효과적으로 예비교사에게 접근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전체적으로 이 연구에 참여한 3명의 유아 예비 교사들을 유아 과학 교육 시간의 포트폴리오 형성 과정을 통하여 다양한 역할과 태도변화를 통해 유아 중심의 시각전환이라는 교사로서의 질적 향상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
      • KCI등재

        분리막을 이용한 공기 중 이산화탄소 제거 기술

        유승연,박호범 한국막학회 2020 멤브레인 Vol.30 No.3

        As the demand for fossil fuels continues to increase worldwide, carbon dioxide (CO2) concentration in the air has increased over the centuries. The way to reduce CO2 emissions to the atmosphere, carbon capture and sequestration (CCS) technology have been developed that can be applied to power plants and factories, which are primary emission sources. According to the climate change mitigation policy, direct air capture (DAC) in air, referred to as “negative emission” technology, has a low CO2 concentration of 0.04%, so it is focused on adsorbent research, unlike conventional CCS technology. In the DAC field, chemical adsorbents using CO2 absorption, solid absorbents, amine-functionalized materials, and ion exchange resins have been studied. Since the absorbent-based technology requires a high-temperature heat treatment process according to the absorbent regeneration, the membrane-based CO2 capture system has a great potential Membrane-based system is also expected for indoor CO2 ventilation systems and immediate CO2 supply to smart farming systems. CO2 capture efficiency should be improved through efficient process design and material performance improvement. 전 세계 화석 연료 사용이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공기 중 이산화탄소(CO2) 농도가 수 세기에 걸쳐 증가하고있다. 대기로의 CO2 배출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주요 배출원인 발전소와 공장에 적용할 수 있는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carbon capture and sequestration, CCS)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기후 변화 완화 정책에 따라 negative emission 기술로 언급되는 공기 중 CO2 직접 포집 기술(direct air capture, DAC)은 CO2 농도가 0.04%로 매우 낮기 때문에 기존의 CCS 기술에 적용된 기술과 달리 흡착제를 이용한 저농도 CO2 포집 연구에 집중되어 있다. DAC 분야는 주로 CO2의 흡착을 이용한 습식 흡착제, 건식 흡착제, 아민 기능화된 소재, 이온교환 수지 등이 연구되었다. 흡착제 기반 기술은 흡착제 재생에 따른 고온 열처리 공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에너지 소모가 없는 분리막 기반의 공기 중 CO2 포집 기술의 잠재력이 크다. 분리막은특히 실내 공기 CO2 저감 환기 시스템 및 실내용 스마트팜(smart farm) 시스템의 연속적인 CO2 공급에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O2 처리 기술은 기후 변화를 완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개발이 지속되어야 하며 효율적인 공정 설계와 소재 성능 향상을 통해 공기 중 CO2 포집의 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