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옥상 인공습지 조성에 적합한 배지 선발

        유병열 한국화훼학회 2014 화훼연구 Vol.22 No.4

        This study aims to find a proper condition forgrowth and development of plants which is used as anartificial wetland on roof garden. To create an efficientplanting place providing natural habitats, the median ofplants are controlled so that the high ornamental value ofplants are selecte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Loosestrife plants were found to grow and flower better inthe medium mixed with peat moss 1 : clay sand 1 (v/v) andmedium treated with peat moss 5 + clay sand 5 (cm) thanin the peat moss medium. Bluet plants were found to growbetter in peat moss than in clay sand and grow generallywell in the medium mixed with peat moss 1 : clay sand 1 (v/v)and medium treated with peat moss 5 + clay sand 5 (cm).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medium mixed with peatmoss 1 : clay sand 1 (v/v) and medium treated with peatmoss 5 + clay sand 5 (cm) turned out to be media suitablefor the creation of rooftop wetlands. 본 연구에서는 옥상 인공습지 조성에 적합한 식물들을 이용하여 옥상 내 인공 생태습지를 조성하고자 관상가치가 있는 습지식물 종으로, 효율적인 식생공간 조성에 적합한 생육조건을 찾고자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부처꽃은 피트모스 배지에 식재한 것보다 피트모스 1 :마사토 1를 혼합한 배지와 피트모스 5 + 마사토 5(cm)로 처리한 배지가 생장과 개화에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삼백초에 있어서는 피트모스에 식재한 것이 마사토에 식재한것보다는 생육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피트모스 1 :마사토 1를 혼합한 배지와 피트모스 5 + 마사토 5(cm)로 처리한 배지도 전반적으로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옥상습지 조성에 적합한 배지는 피트모스와 마사토 1 : 1로 혼합한 배지와 피트모스 5 +마사토 5(cm)로 처리한 배지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대학생들의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와 인간관계기술 그리고 행복의 구조모형 분석

        유병열 한국체육정책학회 2013 한국체육정책학회지 Vol.1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of mediation effec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creation specialization and happiness. For the subjects fo this study, 345 rowing players(male: 211, female: 134) were selected, For the measurement instruments of this study, 3 questionnaires were used, composed recreation specialization questionnair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 questionnaire, and happiness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SPSS 18.0 and AMOS 7.0 program.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rist, recreation specialization has an effect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 Seco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 has an effect on happiness. Third, recreation specialization has an effect on happines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초등 도덕과 교수·학습의 일반적 과정·절차에 관한 연구

        유병열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0 한국초등교육 Vol.20 No.2

        Nowadays, we have to carry out the national curriculum of mor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and to develop moral education textbook for children. But those tasks can be smoothly accomplished only when the basic frame of moral teaching- learning is constructed for elementary classes. So, it is our urgent task to develop the general process and steps of moral teaching- learning in elementary classes. So, I wanted develop the general frame of moral teaching- learning in elementary classes and tried to prove the theoretical rightness and the practical propriety of the frame. To accomplish the task, firstly I enquired the goal and characteristics of 2007 national curriculum of moral education and the theory of virtue and character education that has been the main trend in the field of modern moral education. Secondly, based on the inquiry, I contrived the general frame, that is, the whole process and steps of moral teaching-learning for elementary classes. This frame is made up of three models: basic model, six sub-basic models and practical teaching-learning models. These models were tested out in elementary schools for six months and their theoretical foundation and practical appropriateness were verified with good results. The basic model is the general framework of teaching-learning in elementary moral classes. Only when we are based on this model, we can practice the moral education according to the theory of virtue and character education. The six sub-models are derived from the basic model and we can use them to develop the moral competences and virtual traits of human character in elementary children. finally, the practical teaching-learning models became the foundation of the moral textbook for elementary children and they substantially contribute to the teacher`s moral teaching-learning in elementary classes. 2007년에 개정 고시된 도덕과 교육과정을 학교 현장에 실질적으로 적용함에 있어 해결되어야 할 과제들이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 중 중요한 하나가 바로 초등 도덕과 교육의 일반적 과정·절차를 개발해 내는 일이다. 이 문제는 당장 초등 도덕 교과서를 만들어 내는 데 토대가 된다는 점에서 뿐만 아니라 학교 현장에서 도덕과 교육을 실행해 감에 있어 근간이 된다는 점에서도 매우 절실한 과제가 된다. 이 연구는 바로 이런 문제의식에 기초하여 새 도덕과 교육과정 하에서의 초등 도덕과 수업의 일반적 과정·절차를 모색해 내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2007 도덕과 교육과정의 기본 정신과 중점 방향을 고려하고, 현대 도덕교육의 중심 동향이 되고 있는 인격․덕교육적 접근에 기초하여, 초등 도덕과의 일반적 과정·절차로서 도덕과 수업의 기본 모형과 여섯 가지 하위모형 및 차시별 수업모형을 구안해 내었다. 그리고 이를 새 도덕 교과서를 개발해 내는 데 적용하는 동시에 학교 현장의 적합성 실험에 투입하여 그 타당성 여부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새로이 개발된 초등 도덕과 수업의 일반적 과정·절차 모형은 이론과 실제 모두에서 타당하고 적절하다는 점이 밝혀졌으며, 이에 따라 앞으로 이를 새 도덕 교과서 개발은 물론 학교 현장의 도덕과 교육 실제에도 실질적으로 적용, 운영해 가기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

      • 초등 도덕과 새 교과서 체제·구성의 특징과 활용 방안

        유병열 公州敎育大學 敎育硏究所 2011 公州敎大論叢 Vol.48 No.1

        2007 개정 초?중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에 의거한 새 초등 도덕과 교과서가 개발되어, 2010년부터는 3?4학년용이 그리고 2011년부터는 5?6학년용이 현장에 적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새 도덕 교과서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고 그 활용을 제대로 하도록 돕는 일이 매우 중요하고도 시급한 과제가 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바로 이러한 점을 직시하여 새 도덕 교과서의 체제?구성을 소개하고 그 활용 방안을 탐구, 안내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먼저 새 도덕과 교과서가 어떤 관점과 원리 위에서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논의하였다. 구체적으로 새 도덕 교과서는 덕과 인격을 기르기 위한 덕?인격교육적 접근에 기초하고 있으며. 덕과 인격을 구성하는 지?정?행 측면의 요소들을 설정하고 이를 기르기 위해 조직적이고도 체계적으로 접근하고 있는데 이러한 점들을 비교적 자세하게 안내하고자 한 것이다. 이어서 이러한 새 도덕 교과서를 활용한 도덕 수업이 기본적으로 어떻게 운영될 수 있는지를 논하였다. 새 교과서를 활용한 도덕수업은 1차시: 지식이해 중심-2차시: 도덕판단 중심-3차시: 가치심화 중심을 기본골격으로 하면서 여기에 정의적 접근과 행동적 접근이 순차적?동시적으로 통합 추구되도록 하고 있는데 바로 이러한 점들을 고려한 도덕수업의 기본 모습을 탐구,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그리고 중학년과 고학년 교과서 사이의 차별성과 연계성 및 새 도덕 교과서 활용상의 유의점 등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Nowadays we have developed new textbooks of elementary moral education based on 2009 national curriculum of moral education. As we know very well, the textbooks play the decisive roles in elementary moral education in this country. So if we really want to practice good moral education in schools and bring up desirable character-virtues in our children, we must know the textbooks accurately and strive to use them very effectively. So, in order to contribute to this purpose, I have tried to introduce and give some good explanations about the systems and structures of the textbooks of elementary moral education. In addition, I inquired and suggested the process and methods of the moral teaching-learning that are practiced in using the textbooks in elementary classes. Also, I explained the differences and main characteristics of the textbooks between 3-4 grade and 5-6 grade. And finally, I suggested some things that we have to considerate when we use the textbooks in elementary moral education.

      • 초등 도덕과 새 교과서 체제·구성의 특징과 활용 방안

        유병열 공주교육대학교 2011 公州敎大論叢 Vol.48 No.S

        2007 개정 초?중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에 의거한 새 초등 도덕과 교과서가 개발되어, 2010년부터는 3?4학년용이 그리고 2011년부터는 5?6학년용이 현장에 적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새 도덕 교과서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고 그 활용을 제대로 하도록 돕는 일이 매우 중요하고도 시급한 과제가 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바로 이러한 점을 직시하여 새 도덕 교과서의 체제?구성을 소개하고 그 활용 방안을 탐구, 안내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먼저 새 도덕과 교과서가 어떤 관점과 원리 위에서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논의하였다. 구체적으로 새 도덕 교과서는 덕과 인격을 기르기 위한 덕?인격교육적 접근에 기초하고 있으며. 덕과 인격을 구성하는 지?정?행 측면의 요소들을 설정하고 이를 기르기 위해 조직적이고도 체계적으로 접근하고 있는데 이러한 점들을 비교적 자세하게 안내하고자 한 것이다. 이어서 이러한 새 도덕 교과서를 활용한 도덕 수업이 기본적으로 어떻게 운영될 수 있는지를 논하였다. 새 교과서를 활용한 도덕수업은 1차시: 지식이해 중심-2차시: 도덕판단 중심-3차시: 가치심화 중심을 기본골격으로 하면서 여기에 정의적 접근과 행동적 접근이 순차적?동시적으로 통합 추구되도록 하고 있는데 바로 이러한 점들을 고려한 도덕수업의 기본 모습을 탐구,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그리고 중학년과 고학년 교과서 사이의 차별성과 연계성 및 새 도덕 교과서 활용상의 유의점 등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Nowadays we have developed new textbooks of elementary moral education based on 2009 national curriculum of moral education. As we know very well, the textbooks play the decisive roles in elementary moral education in this country. So if we really want to practice good moral education in schools and bring up desirable character-virtues in our children, we must know the textbooks accurately and strive to use them very effectively. So, in order to contribute to this purpose, I have tried to introduce and give some good explanations about the systems and structures of the textbooks of elementary moral education. In addition, I inquired and suggested the process and methods of the moral teaching-learning that are practiced in using the textbooks in elementary classes. Also, I explained the differences and main characteristics of the textbooks between 3-4 grade and 5-6 grade. And finally, I suggested some things that we have to considerate when we use the textbooks in elementary moral education.

      • KCI등재

        한국과 일본의 학교 안전교육 비교 연구(Ⅱ) - 학교 안전교육의 지도내용 및 교육방법을 중심으로 -

        유병열,손은혜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9 한국초등교육 Vol.30 No.2

        This study was a follow-up study of the comparative study of school safety education in Korea and Japan, with the aim of finding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development and practice of school safety education in Korea by comparing the contents of school safety education and guidance methods in both countries. The areas of school safety education are divided into seven safety categories in Korea, and are divided into 25 divisions and 56 groups in particular. In Japan, the areas of school safety education are divided into nine to 10 areas. In addition, health education and school lunch(meals) education are covered in separate areas. Based on these distinctions, both countries have guided school safety education through links to various subjects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study,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areas and contents of school safety education in Korea and Japan, as well as teaching contents and teaching strategies and found some important implications. First, in the case of Korea, safety education for tsunamis, radiation and volcanoes is relatively weak compared to Japan, which requires improvement. Second, it is desirable in that the two countries' educational methods habituate students' appropriate behavior regarding safety and ability to practice with a focus on practical training and experience. Third, in Korea, we need to make more efforts to strengthen and stabilize safety education in relation to education. Fourth, in addition to practice and experience, efforts need to be strengthened to deepen intellectual understanding about safety and to enhance thinking and make thoughtful decisions, as well as improve problem=solving skills etc. Finally, it is crucial to encourage students to be more self-directed and creative so they can actively participate in investigating various topics on safety.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학교 안전교육 비교 연구(Ⅰ)의 후속 연구로서 양국의 학교 안전교육 내용 및 지도 방법 측면을 중심으로 비교하여, 이를 통해 한국의 학교 안전교육의 개선과 발전 및 실천에 유의미한 시사점을 찾는 데 목적이 있었다. 학교 안전교육의 영역을 한국의 경우 7대 안전으로 구분하 여, 25개의 중분류와 56개의 소분류로 구체적으로 구분되어 나뉘는데, 일본의 경우, 크게 생활 안전, 교통안전, 재해안전으로 구분하여 하위 9~10개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학교 보건교육 및 급식교육을 별도 영역으로 다루고 있다. 이러한 구분을 토대로 양국은 학교 안전교육을 여러 교과와의 연계, 교과 외 활동 등을 통해 지도해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일본의 학교 안전교육의 영역 및 내용을 비롯하여, 교과별 지도 내용과 지도 방법을 비교하고 분석하였는데, 이를 통해 몇 가지 중요한 시사점 을 찾았다. 첫째, 한국의 경우 쓰나미, 방사능, 화산 등에 대한 안전교육이 일본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 하게 구성되어 있어 개선이 요청된다. 둘째, 양국의 교육 방법이 실습과 체험 중심으로 학생들의 안전 한 행동 기능과 실천 능력을 습관화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셋째, 한국의 경우 교과 교육과 연계한 안전교육의 강화 및 내실화에 보다 더 노력할 필요가 있다. 넷째, 실습과 체험 방식에 더하여 안전에 관한 지적 이해의 심화와 사고ㆍ판단력, 합리적 의사결정력, 문제해결력 등을 증진하기 위한 노력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이 스스로 안전에 관한 문제를 찾아 탐구하고 해결하며 개선해 가는 등 학생들의 자기주도적이고 적극적, 창의적인 안전교육 방법들로 발전시켜 가는 노력이 요구된 다. 이상의 시사점을 토대로 앞으로 한국의 학교안전교육이 학교 안팎의 다양한 지원과 연구를 통해 보다 체계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